알렉산더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화 《알렉산더》는 2004년에 개봉한 올리버 스톤 감독의 역사 영화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삶을 다루고 있다. 콜린 패럴이 알렉산더 역을, 앤서니 홉킨스가 프톨레마이오스 역을 맡았다. 영화는 알렉산더의 어린 시절, 마케도니아 왕이 된 과정, 페르시아 원정과 정복, 동방 원정과 죽음, 그리고 동성애 논란 등을 다루며, 역사적 정확성, 오리엔탈리즘 묘사, 폭력성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일부에서는 역사적 고증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리버 스톤 감독 영화 - 파괴자들
2012년 올리버 스톤 감독의 영화 파괴자들은 캘리포니아 라구나 비치를 배경으로 대마 사업으로 성공한 두 남자와 그들의 연인이 멕시코 마약 카르텔에 맞서는 범죄 스릴러이다. - 올리버 스톤 감독 영화 - 월 스트리트: 머니 네버 슬립스
《월 스트리트: 머니 네버 슬립스》는 1987년 영화의 속편으로, 고든 게코가 금융 위기를 경고하고 딸과의 관계를 회복하려 하지만, 젊은 자본 거래인과 얽히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2010년 개봉 영화이다. -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트로이 (영화)
《트로이》는 볼프강 페터젠 감독이 호메로스의 《일리아드》를 바탕으로 트로이 전쟁을 묘사한 2004년 역사 서사 영화로, 브래드 피트, 에릭 바나, 올랜도 블룸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며 그리스와 트로이의 충돌, 주요 인물들의 갈등과 운명, 트로이 목마 작전과 함락 등을 웅장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타이탄의 분노
타이탄의 분노는 2012년에 개봉한 영화로, 페르세우스가 크로노스의 부활에 맞서 제우스를 구출하고 트라이엄프의 창을 찾아 모험을 떠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흥행했으나 비평가들에게는 혹평을 받았다. - 2004년 성소수자 영화 - 퀸카로 살아남는 법
티나 페이 각본, 마크 워터스 감독의 2004년 미국 10대 코미디 영화 《퀸카로 살아남는 법》은 린제이 로한, 레이첼 맥아담스 등이 출연하여 공립 고등학교에 처음 다니게 된 케이디 헤런의 성장과 갈등을 그리며 10대 심리, 사회적 관계, 외모지상주의를 현실적으로 묘사하여 호평을 받았고, 뮤지컬 및 뮤지컬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2004년 성소수자 영화 - 세상 끝의 집 (영화)
마이클 메이어 감독의 영화 《세상 끝의 집》은 마이클 커닝햄의 소설을 원작으로, 클리블랜드 교외에서 만나 뉴욕에서 함께 생활하는 보비, 조너선, 클레어의 이야기를 통해 우정, 사랑, 성 정체성, 에이즈 등의 주제를 다루며 전미 비평가 위원회에서 우수성을 인정받고 GLAAD 미디어상 후보에 올랐다.
알렉산더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영화 정보 | |
제목 | 알렉산더 |
원제 | Alexander |
![]() | |
감독 | 올리버 스톤 |
각본 | 올리버 스톤 크리스토퍼 카일 레이타 칼로그리디스 |
원작 | 로빈 레인 폭스의 "알렉산더 대왕" |
제작 | 토마스 슈훌리 존 킬릭 이아인 스미스 모리츠 보먼 |
출연 | 콜린 파렐 안젤리나 졸리 발 킬머 자레드 레토 로사리오 도슨 앤서니 홉킨스 |
음악 | 방겔리스 |
촬영 | 로드리고 프리에토 |
편집 | 토마스 J. 노드버그 얀 에르베 알렉스 마케즈 |
스튜디오 | 인터미디어 필름스 이스틀란 프로덕션스 프랑스 3 시네마 퍼시픽 필름 에그몬드 필름 & 텔레비전 IMF Internationale Medien und Film GmbH & Co. 3 Produktions KG |
배급사 | 워너 브라더스 픽처스 (북미/영국/이탈리아) 콘스탄틴 필름 (독일) 파테 디스트리뷰션 (프랑스) A-필름 디스트리뷰션 (네덜란드) |
개봉일 | 2004년 11월 16일 (할리우드) 2004년 11월 24일 (미국) 2004년 12월 23일 (독일/네덜란드) 2005년 1월 5일 (프랑스) 2005년 1월 14일 (이탈리아) 2005년 2월 5일 (일본) |
상영 시간 | 175분 (극장판) (다른 버전은 대체 버전 참고) |
제작 국가 |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영국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1억 5500만 달러 |
흥행 수익 | 미국/캐나다: 34,297,191 달러 전 세계: 167,298,192 달러 일본: 12.5억 엔 |
2. 생애
기원전 285년경, 프톨레마이오스 1세 소테르는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의 '바실레우스'이자 파라오로서 알렉산더의 삶을 이야기한다.[3] 알렉산더는 어머니 올림피아스와 가정교사 아리스토텔레스와 함께 성장하며, 사랑, 명예, 음악, 탐험, 시, 그리고 군사 전투에 관심을 갖게 된다. 그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와의 관계는 필리포스가 아탈로스의 조카 클레오파트라 에우리디케와 결혼하면서 파탄에 이른다. 알렉산더는 아탈로스를 그의 친족에서 제외시킨 후 필리포스를 모욕했고, 그 결과 필리포스의 궁궐에서 추방당한다.
필리포스가 암살된 후, 알렉산더는 마케도니아의 왕이 된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알렉산더가 테베를 초토화하는 징벌적 원정을 언급하고, 나중에 페르세폴리스를 불태운 일도 언급한 뒤, 알렉산더의 서(西) 페르시아 원정의 개요를 설명한다. 여기에는 시와 오아시스의 아문 신탁에 의해 제우스의 아들로 선언된 일,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페르시아 황제 다리우스 3세와의 대규모 전투, 그리고 아시아 전역에서의 8년간의 원정이 포함된다.
알렉산더의 가장 사적인 관계는 어린 시절 친구 헤파이스티온, 바고아스, 그리고 나중의 아내 록사나와의 관계이다.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더를 아킬레우스에 비유하며, 알렉산더는 헤파이스티온이 자신의 파트로클로스 (아킬레우스의 연인)여야 한다고 대답한다. 헤파이스티온이 파트로클로스가 먼저 죽었다고 언급하자, 알렉산더는 헤파이스티온이 먼저 죽으면 그를 따라 사후 세계로 가겠다고 맹세한다 (아킬레우스가 파트로클로스를 위해 그랬듯이). 헤파이스티온은 알렉산더가 록사나와 결혼하자 심한 질투심을 보이며, 알렉산더가 술에 취해 분노한 나머지 클레이토스를 인도에서 살해한 후 그녀를 알렉산더에게서 떼어놓으려 한다.
병사들의 초기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알렉산더는 그들을 설득하여 그의 마지막이자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투인 히다스페스 전투에 참여시킨다. 그는 화살에 심하게 부상을 입지만 살아남아 축하를 받는다. 이후 헤파이스티온은 인도에서 옮겨온 장티푸스로 인해 사망하여 알렉산더를 깊이 슬프게 한다. 바빌론에서 열린 심포지엄에서 알렉산더는 술을 너무 많이 마신 후 의식을 잃는다. 임종 직전에 알렉산더의 장군들이 그의 왕국을 분할하고 그의 시신 소유권을 놓고 싸우기 시작하자 바고아스는 슬퍼한다.
기원전 285년에 프톨레마이오스는 그의 서기에게 그와 다른 모든 장교들이 미래의 정복이나 결과를 피하기 위해 실제로 알렉산더를 독살했다고 인정한다. 그러나 그는 알렉산더가 전반적인 쇠약 상태가 악화되어 질병으로 사망했다고 기록하게 한다. 그런 다음 알렉산더에 대한 찬사로 회고록을 마무리한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렉산더 회고록은 결국 불태워져 로마 제국 말기에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의 다른 두루마리와 함께 영원히 사라졌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은 지 40년 후, 그의 신하였던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알렉산드로스의 생애에 대해 기록을 남기려 했다.
기원전 356년에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와 어머니 올림피아스 사이에서 알렉산드로스가 태어났다. 아들을 왕으로 만드는 것에만 열정을 불태우는 어머니와 권력을 빼앗길 것을 두려워하는 아버지는 끊임없이 다툰다. 양친의 사랑에 굶주린 알렉산드로스는 헤파이스티온 등 동년배 친구들과의 우정에서 마음의 평안을 찾았다. 이윽고 누군가에 의해 아버지 왕이 암살된다. 갑자기 마케도니아 왕이 된 20세의 알렉산드로스는 그리스, 그리고 서아시아 전역으로 진군하여 압승을 거두고, 24세에 이집트의 왕이 되자 페르시아 제국 원정을 시작한다.
기원전 331년에 세계 최강이라고 불린 페르시아 제국을 멸망시키고, 동서 융합 정책을 기치로 그 군대를 동쪽으로 진격시켜, 그야말로 이동하는 제국이 된다.
아시아 침공 도중 알렉산드로스는 어머니의 충고에도 불구하고 박트리아의 공주 록사네를 첫 번째 부인으로 맞이한다. 아시아인과의 결혼을 장군들은 격렬하게 비판하고, 군대 사이에 불만이 쌓이기 시작한다. 알렉산드로스는 동료들에게 목숨을 위협받게 되고, 불만 분자를 숙청하면서 원정을 계속한다.
점차 고립되어 가는 알렉산드로스는 마침내 인도 땅을 밟지만, 바빌론으로 돌아와 새로운 원정 계획에 착수한 무렵 32세의 젊은 나이로 수수께끼의 급사를 맞이한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알렉산드로스는 기원전 356년에 마케도니아의 수도 펠라에서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 2세와 올림피아스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당대 최고의 학자였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교육을 받으며 철학, 문학, 과학, 정치 등 다양한 학문을 섭렵했다. 알렉산드로스는 어린 시절부터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보였으며, 필리포스 2세의 군사 원정에 참여하기도 했다.알렉산드로스의 신하였던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은 지 40년 후, 그의 생애에 대해 기록을 남기려 했다.
필리포스 2세와 올림피아스는 아들을 왕으로 만드는 것과 권력을 빼앗길 것을 두려워하여 끊임없이 다퉜다. 양친의 사랑에 굶주린 알렉산드로스는 헤파이스티온 등 동년배 친구들과의 우정에서 마음의 평안을 찾았다.
2. 2. 마케도니아의 왕
기원전 356년에 마케도니아 왕 필리포스와 어머니 올림피아스 사이에서 알렉산드로스가 태어났다. 아들을 왕으로 만드는 것에만 열정을 불태우는 어머니와 권력을 빼앗길 것을 두려워하는 아버지는 끊임없이 다투었다. 양친의 사랑에 굶주린 알렉산드로스는 헤파이스티온 등 동년배 친구들과의 우정에서 마음의 평안을 찾았다. 이윽고 누군가에 의해 아버지 왕이 암살된다. 갑자기 마케도니아 왕이 된 20세의 알렉산드로스는 그리스, 그리고 서아시아 전역으로 진군하여 압승을 거두고, 24세에 이집트의 왕이 되자 페르시아 제국 원정을 시작한다.2. 3. 페르시아 원정과 정복
기원전 334년, 알렉산드로스는 페르시아 제국 정복을 위한 원정을 시작했다.[3] 그는 그라니코스 전투, 이수스 전투, 가우가멜라 전투 등에서 페르시아 군대를 격파하고,[10] 페르시아 제국의 수도 페르세폴리스를 점령했다. 알렉산드로스는 페르시아 제국의 마지막 황제 다리우스 3세를 추격하여 살해하고, 페르시아 제국을 멸망시켰다.[15]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알렉산더의 서(西) 페르시아 원정의 개요를 설명하면서, 시와 오아시스의 아문 신탁에 의해 제우스의 아들로 선언된 일,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다리우스 3세와의 대규모 전투, 그리고 아시아 전역에서의 8년간의 원정을 언급한다.[3] 특히 가우가멜라 전투의 묘사는 매우 복잡한 전투의 재현을 인상적으로 표현했을 뿐만 아니라, 먼지와 무기 충돌로 혼란스러운 사막 평원에서 대규모 군대가 작전을 수행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11]
알렉산더는 기원전 331년에 페르시아 제국을 멸망시키고 동서 융합 정책을 기치로 군대를 동쪽으로 진격시켰다. 아시아 침공 도중 알렉산드로스는 박트리아의 공주 록사네를 첫 번째 부인으로 맞이했지만, 이는 장군들의 격렬한 비판을 불러일으켰고 군대 내 불만이 쌓이는 원인이 되었다.

보르자는 아케메네스 왕조 바빌론을 묘사한 세트의 디테일에 대해서도 "장관"이라고 칭찬했으며, 내부 및 외부 디자인, 장신구 등이 실제 최근 고고학적 발견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13]
하지만, 르웰린-존스는 영화 ''알렉산더''가 동양 사회의 열등함과 그림 같은 모습에 대한 익숙한 오리엔탈리즘적 개념을 보여준다고 비판했다.[16] 파로크는 알렉산더의 페르세폴리스 방화가 영화에 생략된 점에 의문을 제기하며, 영화 속 페르시아 군대가 실제와 달리 무질서하게 묘사된 점을 지적했다.[17]
2. 4. 동방 원정과 죽음
기원전 331년, 알렉산드로스는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페르시아 제국의 다리우스 3세를 격파하고 페르시아를 정복했다.[3] 이후 동쪽으로 진군하여 인도 북부까지 진출, 히다스페스 전투에서 인도의 포루스 왕을 격파했으나,[3] 병사들의 반발로 인해 더 이상 진격하지 못하고 바빌론으로 귀환했다.[3]알렉산드로스는 동서 융합 정책을 추진하며 박트리아의 공주 록사네와 결혼했지만, 이는 장군들과 병사들의 불만을 야기했다.[3] 점차 고립되어 가던 알렉산드로스는 바빌론에서 새로운 원정 계획을 세우던 중, 기원전 323년 32세의 젊은 나이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3] 그의 사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장티푸스, 독살 등 여러 설이 제기되고 있다.[3]
3. 논란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의 절친한 친구이자 장군이었던 헤파이스티온과의 관계 때문에 동성애자라는 논란이 있다.[6][7][8]
25명의 그리스 변호사들은 올리버 스톤과 워너 브라더스 영화 제작사를 상대로 역사를 부정확하게 묘사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위협했다. 야니스 바르나코스는 "우리는 동성애에 반대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제작사가 이 영화가 알렉산더의 삶을 진실하게 묘사한 것이 아니라 순수한 허구라는 점을 관객에게 명확히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영화 사전 시사 후 변호사들은 소송을 진행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6]
영국 시사회에서 스톤은 영화가 미국 흥행에서 실패한 이유로 "도덕성의 맹렬한 근본주의"를 비난했다. 그는 미국의 비평가와 관객들이 알렉산더의 성적 취향 문제를 과도하게 부풀렸다고 주장했다.[7][8]
알렉산드로스는 정복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학살하고 도시를 파괴하는 등 잔혹한 행위를 저질렀다는 비판을 받는다. 특히 테베와 페르세폴리스의 파괴는 그의 대표적인 잔혹 행위로 꼽힌다. 카베 파로크는 알렉산더의 페르세폴리스 방화가 영화에서 생략된 점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이러한 알렉산드로스의 폭력성을 비판하며, 그의 업적을 긍정적으로만 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제기한다.
올리버 스톤은 영화 《알렉산더》 제작 과정에서 옥스퍼드 대학교의 역사가 로빈 레인 폭스는 물론, 동료 학자들과 다른 영국 전문가들과도 상의했다.[9] 스톤은 또한 뉴욕 시립 대학교 퀸스 칼리지의 역사가인 존 맥스웰 오브라이언(그의 저서 《알렉산더 대왕: 보이지 않는 적: 전기》에서 일부 내용 차용)과도 상의했지만, 영화 크레딧에는 그의 이름이 올라가지 않았다.
이 영화는 많은 고대 역사가들로부터 찬사와 비판을 동시에 받았다. 전반적인 평가는 영화가 여러 측면에서 놀라운 역사적 정확성을 보여주는 반면, 무엇보다도 극화된 것이며, 특히 페르시아인과 동방 민족의 묘사와 관련하여 스타일리시한 변화와 일부 부정확성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3. 1. 동성애 논란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그의 절친한 친구이자 장군이었던 헤파이스티온과의 관계 때문에 동성애자라는 논란이 있다.[6][7][8]25명의 그리스 변호사들은 올리버 스톤과 워너 브라더스 영화 제작사를 상대로 역사를 부정확하게 묘사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위협했다. 야니스 바르나코스는 "우리는 동성애에 반대하는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제작사가 이 영화가 알렉산더의 삶을 진실하게 묘사한 것이 아니라 순수한 허구라는 점을 관객에게 명확히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영화 사전 시사 후 변호사들은 소송을 진행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6]
영국 시사회에서 스톤은 영화가 미국 흥행에서 실패한 이유로 "도덕성의 맹렬한 근본주의"를 비난했다. 그는 미국의 비평가와 관객들이 알렉산더의 성적 취향 문제를 과도하게 부풀렸다고 주장했다.[7][8]
3. 2. 폭력성과 잔혹성
알렉산드로스는 정복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학살하고 도시를 파괴하는 등 잔혹한 행위를 저질렀다는 비판을 받는다.[16][17] 특히 테베와 페르세폴리스의 파괴는 그의 대표적인 잔혹 행위로 꼽힌다. 카베 파로크는 알렉산더의 페르세폴리스 방화가 영화에서 생략된 점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17]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이러한 알렉산드로스의 폭력성을 비판하며, 그의 업적을 긍정적으로만 평가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을 제기한다.4. 유산과 영향
4. 1. 헬레니즘 문화
4. 2. 제국의 분열과 헬레니즘 국가
4. 3. 한국에 미친 영향
5. 대중 매체에서의 묘사
5. 1. 영화 "알렉산더" (2004)
- 콜린 패럴 - 알렉산더 역
- * 코너 파올로 - 소년 시절 알렉산더 역
- 앤서니 홉킨스 - 프톨레마이오스 역
- * 엘리엇 코완 - 청년 시절 프톨레마이오스 역
- 안젤리나 졸리 - 올림피아스 역
- 발 킬머 - 필리포스 2세 역
- 자레드 레토 - 헤파이스티온 역
- 로사리오 도슨 - 록사네 역
- 크리스토퍼 플러머 - 아리스토텔레스 역
- 게리 스트레치 - 클레이토스 역
- 존 카바나 - 파르메니온 역
- 닉 더닝 - 아탈로스 역
- 조셉 모건 - 필로타스 역
- 이안 비티 - 안티고노스 역
- 조나단 리스 마이어스 - 카산드로스 역
- - 페르디카스 역
- - 다리우스 3세 역
5. 1. 1. 영화 출연진
- 콜린 패럴 - 알렉산드로스 역
- * 제시 캄 - 어린 알렉산드로스 역
- * 코너 파올로 - 젊은 알렉산드로스 역
- 앤서니 홉킨스 - 프톨레마이오스 역
- * 엘리엇 코완 - 성인 프톨레마이오스 역
- * 로버트 얼리 - 젊은 프톨레마이오스 역
- 안젤리나 졸리 - 올림피아스 역
- 발 킬머 - 필리포스 2세 역
- 자레드 레토 - 헤파이스티온 역
- * 패트릭 캐럴 - 젊은 헤파이스티온 역
- 로사리오 도슨 - 록사네 역
- 크리스토퍼 플러머 - 아리스토텔레스 역
- 데이비드 베델라 - 서기 카두스 역
- 피오나 오쇼너시 - 간호사 역
- 브라이언 블레시드 - 레슬링 트레이너 역
- 개리 스트레치 - 클레이토스 흑공 역
- 존 캐버나 - 파르메니온 역
- 닉 더닝 - 아탈로스 역
- 마리 메이어 - 에우리디케 역
- 믹 랠리 - 말 상인 역
- 조셉 모건 - 필로타스 역
- 이안 비티 - 안티고노스 역
- 조나단 리스 마이어스 - 카산드로스 역
- * 모건 크리스토퍼 페리스 - 젊은 카산드로스 역
- 데니스 콘웨이 - 네아르코스 역
- * 피터 윌리엄슨 - 젊은 네아르코스 역
- 닐 잭슨 - 페르디카스 역
- * 알렉잔더 고든 - 젊은 페르디카스 역
- 개릿 롬바드 - 레온나토스 역
- 크리스 아베르딘 - 폴리페르콘 역
- 로리 매캔 - 크라테로스 역
- 팀 피곳-스미스 - 징조를 읽는 사람 역
- 라즈 데간 - 다리우스 3세 역
- 에롤 샌더 - 페르시아 왕자 역
- 스테판 페라라 - 베수스 (박트리아 사령관) 역
- 태드 머피 - 죽어가는 병사 역
- 프란시스코 보쉬 - 바고아스 역
- 안넬리즈 에스메 - 스타테이라 2세 역
- 토비 케벨 - 파우사니아스 역
- 레어드 매킨토시 - 그리스 장교 역
- 페오도르 아트킨 - 옥시아르테스 (록사네의 아버지) 역
- 빈 분루에리트 - 인도의 포루스 왕 역
- 자란 응람디 - 인도 왕자 역
- 브라이언 맥그래스 - 의사 역
- 올리버 스톤 (크레딧에 없음) - 제우스 조각상 근처의 마케도니아 군인 역
5. 1. 2. 영화에 대한 비판
25명의 그리스 변호사들은 스톤과 워너 브라더스 영화 제작사를 상대로 역사를 부정확하게 묘사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위협했다. 야니스 바르나코스는 "우리는 동성애에 반대하는 것이 아닙니다."라고 말하면서, "하지만 제작사가 이 영화가 알렉산더의 삶을 진실하게 묘사한 것이 아니라 순수한 허구라는 점을 관객에게 명확히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라고 주장했다. 영화 사전 시사 후 변호사들은 소송을 진행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6]영화의 영국 시사회에서 스톤은 영화가 미국 흥행에서 실패한 이유로 "도덕성의 맹렬한 근본주의"를 비난했다.[7] 그는 미국의 비평가와 관객들이 알렉산더의 성적 취향 문제를 과도하게 부풀렸다고 주장했다.[8]
올리버 스톤은 영화 《알렉산더》 제작 과정에서 옥스퍼드 대학교의 역사가 로빈 레인 폭스와, 다른 영국 전문가들과 상의했다.[9]
이 영화는 많은 고대 역사가들로부터 찬사와 비판을 동시에 받았다. 영화가 여러 측면에서 놀라운 역사적 정확성을 보여주는 반면, 특히 페르시아인과 동방 민족의 묘사와 관련하여 스타일리시한 변화와 일부 부정확성을 포함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카디프 대학교 고대사 교수인 로이드 르웰린-존스는 "올리버 스톤의 영화 ''알렉산더''(2004)는 동양 사회의 열등함과 그림 같은 모습에 대한 익숙한 오리엔탈리즘적 개념을 모두 보여준다."라고 비판했다.[16]
페르시아 역사 전문가인 카베 파로크는 알렉산더의 페르세폴리스 방화가 영화에 생략된 점에 의문을 제기하며, 영화 속에서 "그리스 군대는 전형적으로 매우 조직적이고 훈련된 모습으로 묘사되는 반면, 소위 페르시아인들이 마케도니아인과 대결할 때는 그들이 터번을 두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터번은 페르시아의 유물이 아니다 [...] 그들의 군대는 완전히 무질서하게 묘사된다."라고 지적했다.[17]
스톤은 페르시아 및 인도 역사와 관련된 역사적 문제에 대해, 스토리텔링을 희생하면서 수많은 전투를 정확하게 묘사할 자원이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라니쿠스 강 전투와 이수스 전투의 주요 측면을 모두 가우가멜라 전투로 통합하고, 히다스페스 강 전투를 단순화했으며, 말리 포위전을 알렉산드로스의 죽음에 가까웠던 사건과 합쳐 설명했다. 옥스퍼드 유니언에서 스톤은 가우가멜라 전투 묘사에 대해 "많은 역사학자들은 그 전투가 영화에서 본 그 어떤 묘사보다 정확하며, 그들이 생각하기에 전투에서 일어났던 일과 가장 가깝다고 말했습니다."라고 주장했다.[18]
로튼 토마토에 따르면 207건의 평론 중 긍정적인 평가는 16%에 불과하며,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4점이다. 평론가들은 "3시간에 달하는 이 지루하고, 이야기가 너무 많으며, 감정이입이 되지 않는 전기 영화는 알렉산더의 삶을 조명하는 데 실패했다."라고 평가했다.[43]
메타크리틱에 따르면, 42건의 평론 중 긍정적인 평가는 8건, 엇갈린 평가는 16건, 부정적인 평가는 18건이며, 평균 평점은 100점 만점에 39점이다.[44]
6. 평가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역사상 가장 위대한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으로 꼽히며, 그의 정복 활동은 헬레니즘 문화를 탄생시키고 서양 문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19] 그러나 그의 폭력성과 잔혹성은 비판받기도 한다.[20]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진보 진영에서는 알렉산드로스의 업적을 긍정적으로만 평가하지 않고, 그의 폭력성과 제국주의적 행태를 비판적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한다.[21][22]
영화 ''알렉산더''는 2004년 11월 24일 개봉하여 북미 박스 오피스 6위, 해당 주 신규 개봉작 중 2위를 기록했다.[19] 그러나 1억 5,500만 달러의 제작비와 추가 마케팅 비용을 고려하면, 최대 7,100만 달러의 손실을 보며 흥행 참패했다.[21][22][23]
로튼 토마토에서는 206개 리뷰를 바탕으로 16%의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4.00/10이다. 웹사이트의 비평가 평가는 "거의 3시간에 달하는 긴 상영 시간에도 불구하고, 이 지루하고, 말 많고, 감정적으로 거리가 먼 전기 영화는 알렉산더의 삶을 조명하는 데 실패했다."이다.[24] 메타크리틱에서는 42명의 비평가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40점을 받아 "혼조된 또는 평균적인 평가"를 나타냈다.[25] 시네마스코어에서 조사한 관객들은 이 영화에 A+에서 F까지의 등급에서 평균 "D+"를 부여했다.[26]
미국 영화 평론가들은 ''알렉산더''가 액션 드라마 영화보다는 역사 다큐멘터리에 가깝다고 비판했다.[27] ''시카고 선타임스''의 로저 이버트는 별 4개 중 2개를 주면서, "최소한 잠시라도 역사가 프톨레마이오스의 끝없는 내레이션에서 벗어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전투, 웅장함과 의식 장면을 환영한다."라고 평가했다.[27] ''버라이어티''의 토드 맥카시는 "올리버 스톤의 ''알렉산더''는 기껏해야 명예로운 실패작이며, 극적인 재능과 감정적 몰입이 결정적으로 부족한 지적이고 야심 찬 영화이다. ''트로이''(2004)가 저속하고 고의적으로 비역사적이었던 반면, 건조하고 학문적이다"라고 썼다.[28]
반면, ''The A.V. Club''의 키스 어릴리히는 ''알렉산더: 얼티밋 컷''을 2014년 최고의 영화 10위로 선정하기도 했다.[29]
참조
[1]
웹사이트
"''Alexander'' (15)"
https://bbfc.co.uk/r[...]
2004-11-19
[2]
웹사이트
Alexander
http://www.afi.com/m[...]
2014-08-20
[3]
논문
Oliver Stone's ''Alexander''
Center for the Study of Film & History
2005-04-01
[4]
문서
Videobusiness.com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Words from Oliver Stone: Thank you very... - Alexander: Revisited
https://www.facebook[...]
Facebook
2013-12-04
[6]
뉴스
Greek lawyers halt Alexander case
http://news.bbc.co.u[...]
2004-12-03
[7]
뉴스
Stone blames 'moral fundamentalism' for US box office flop
http://film.guardian[...]
2005-01-06
[8]
뉴스
Stone says Alexander is too complex for 'conventional minds#REDIRECT
http://film.guardian[...]
2004-12-10
[9]
웹사이트
Movie Commentary: Alexander
https://www.archaeol[...]
[10]
웹사이트
"Alexander (opened 24 November 2004) Oliver Stone's Costly History Lesson"
http://www.stfrancis[...]
2004-11-24
[11]
웹사이트
Movie Commentary: Alexander
https://www.archaeol[...]
[12]
Youtube
Ancient Warfare Expert Rates 10 Battle Tactics In Movies And TV How Real Is It?
https://www.youtube.[...]
2021-02-02
[13]
웹사이트
Movie Commentary: Alexander
https://www.archaeol[...]
[14]
문서
"Making Alexander Fit for the Twenty-first Century: Oliver Stone's Alexander"
https://www.academia[...]
2020-02-05
[15]
서적
The Alexander Mosaic: Stories of Victory and Defe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King of the Seven Climes: A History of the Ancient Iranian World (3000 BCE - 651 CE)
UCI Jordan Center for Persian Studies
2017
[17]
뉴스
World: Oliver Stone's 'Alexander' Stirs Up Controversy
http://www.rferl.org[...]
Rferl.org
[18]
Youtube
Oliver Stone | Full Q&A | Oxford Union
https://www.youtube.[...]
2016-05-06
[19]
웹사이트
Weekend Box Office Results for November 26–28, 2004
https://www.boxoffic[...]
Amazon.com
2004-11-30
[20]
웹사이트
Alexander (2004)
https://www.boxoffic[...]
Amazon.com
2005-02-01
[21]
뉴스
Breaking Ground With a Gay Movie Hero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4-11-20
[22]
뉴스
Alas, fortune did not favor 'Alexander'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04-11-28
[23]
웹사이트
20 films no one expected to lose money at the box office
https://www.insider.[...]
2020-06-15
[24]
웹사이트
Alexander (2004)
https://www.rottento[...]
2021-07-15
[25]
문서
Metacritic
[26]
웹사이트
Find CinemaScore
https://www.cinemasc[...]
CinemaScore
2022-05-19
[27]
웹사이트
Alexander
https://www.rogerebe[...]
Ebert Digital LLC
2004-11-23
[28]
뉴스
Alexander
https://www.variety.[...]
Penske Business Media
2004-11-21
[29]
웹사이트
2014 Favorites With Keith Uhlich (Part 1)
http://www.thecineph[...]
2015-01-04
[30]
웹사이트
Stinkers Bad Movie Awards - 2004
http://www.thestinke[...]
[31]
웹사이트
Alexander Revisited: The Final Cut
https://variety.com/[...]
2007-04-18
[32]
웹사이트
Alexander: the final, final cut
http://www.theguardi[...]
2007-08-09
[33]
웹사이트
A Reappraisal of Oliver Stone's "Alexander: The Ultimate Cut"
https://www.rogerebe[...]
2014-06-24
[34]
웹사이트
"Oliver Stone's ''Alexander'' Gets Another DVD Release The final, final cut is now confirmed..."
http://www.ropeofsil[...]
2006-12-18
[35]
웹사이트
Warner Bros. Online: DVD Shop Browsing
http://whv.warnerbro[...]
Whv.warnerbros.com
[36]
웹사이트
"The Digital Fix: Home Cinema – ''Alexander Revisited: The Final Cut'' (HD) in September – EXTRAS!!"
http://homecinema.th[...]
Homecinema.thedigitalfix.co.uk
2007-08-19
[37]
웹사이트
Oliver Stone plans fourth 'Alexander' cut
http://www.digitalsp[...]
2012-11-08
[38]
웹사이트
Alexander: The Ultimate Cut
https://web.archive.[...]
Karlovy Vary International Film
[39]
뉴스
Oliver Stone Insists Latest Cut of 'Alexander' Is the 'Ultimate Version'
https://variety.com/[...]
Variety
2012-06-27
[40]
웹사이트
10th Anniversary Edition of Oliver Stone's Sweeping Epic "Alexander: The Ultimate Cut" on Blu-ray June 3 from Warner Bros. Home Entertainment - Press Releases
https://www.warnerbr[...]
2014-03-04
[41]
웹사이트
Alexander
2022-07-07
[42]
문서
2005
[43]
웹사이트
Alexander
2022-07-07
[44]
웹사이트
Alexander
2022-07-07
[45]
웹사이트
2004年 第25回 ラジー賞(ゴールデン・ラズベリー賞)
https://www.allcinem[...]
2022-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