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상드르 드 로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1591년 프랑스에서 태어난 예수회 선교사로, 베트남 선교에 헌신했다. 그는 베트남어를 연구하고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베트남어 표기법인 꾸옥응으를 개발하여 베트남어 보급에 기여했으며, 포르투갈어-라틴어-베트남어 사전을 편찬했다. 1630년 베트남에서 가톨릭 신앙 박해로 추방된 후, 로마로 돌아와 선교 자금 지원을 요청했으며, 페르시아로 파견되어 1660년 사망했다. 그의 업적을 기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기념 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알렉상드르 드 로드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
1591년 프랑스 아비뇽에서 태어났으며, 일부 자료에서는 그의 가계가 스페인 아라곤 출신의 유대인계 혈통이라고도 전한다.[4] 1612년 예수회에 입회하여 선교사의 길을 걷게 되었고, 1619년 인도차이나반도로 파견되었다.
1620년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한 후 10년 동안 베트남 왕궁에서 일하면서 베트남어와 베트남 문화를 익혔다. 이때, 『포르투갈어-라틴어-베트남어 사전』을 편찬하고, 베트남어의 로마자 표기법인 꾸옥응으를 고안하는 등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1624년 코친차이나에서 선교를 시작하여 동인도 제도로 파견되었으며, 1627년에는 통킹 등지를 여행하였다. 1630년 베트남에서 로마 가톨릭교회 신앙에 대한 박해가 시작되자 마카오로 이동하여 10년간 머물렀다. 이후 베트남 남부 후에에서 다시 선교를 시작했으나, 정세 불안으로 1649년 로마로 돌아오게 되었다.
그는 베트남 선교를 위한 지원을 요청했으나, 1660년 페르시아로 파견되었고, 이스파한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1943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그를 기념하는 우표를 발행했으며, 2001년에는 베트남 예술가가 그를 기리는 그림을 제작하기도 했다.[15]
2. 1. 예수회 입회 및 초기 선교 활동
1591년 프랑스 아비뇽에서 태어난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1612년 4월 24일 로마에서 예수회 수련원에 들어가 선교사의 길을 걷게 되었다.[4] 1619년 인도차이나반도로 파견되어 본격적인 선교 활동을 시작하였다.[4] 1620년 베트남 하노이에 도착한 그는 이후 10년간 베트남 왕궁에서 활동하며 베트남어와 베트남 문화를 익혔다.1624년 동인도 제도에서 선교를 진행했고, 1627년부터는 통킹에서 일했다. 이 시기, 드 로드는 베트남어를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방법을 고안했는데, 이는 훗날 꾸옥응으라 불리며 베트남의 공식 문자가 되었다. 또한, 『포르투갈어-라틴어-베트남어 사전』(1651)을 편찬하여 베트남어 연구에 기여했다.[15]


2. 2. 베트남어 연구 및 꾸옥응으 개발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베트남에 있는 동안 가스파르 두 아마랄, 안토니우 바르보자, 프란시스쿠 드 피나와 같은 초기 포르투갈 선교사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초기 베트남 문자를 개발했다. 그는 교리문답서인 ''Catechismus pro ijs, qui volunt suscipere baptismum in octo dies divisis''와 삼개국어 사전 및 문법서인 ''Dictionarium Annamiticum Lusitanum et Latinumla''을 편집했다.[13] 이 두 작품은 1651년 로마에서 출판되었으며, 드 로드는 이 새로운 라틴 문자를 놈 문자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했다. 이후 쯔 꾸옥 응으로 정제되어 20세기에 이르러 베트남어의 사실상 문자가 되었다. 한편, 마이오리카의 교리문답서와 경건 서적은 20세기까지 베트남 기독교 문학의 지배적인 문자였던 쯔 놈에 대한 선호를 반영했다.[14]
2. 3. 베트남에서의 추방과 재입국
1624년, 동아시아로 보내져 예수회원 지롤라모 마이오리카와 함께 배를 타고 응우옌이 지배하는 ''당쫑(코친차이나)''에 도착했다. 드 로드는 포르투갈령 마카오로 돌아가기 전에 프란시스코 데 피나[5] 밑에서 베트남어를 공부했다.1626년, 동료 예수회원 줄리아노 발디노티와 줄리오 코가가 ''당응오아이(통킹)''을 성공적으로 방문한 후, 상사 앙드레 팔메이로는 알렉상드르 드 로드와 페로 마르케스를 북부 베트남의 이 지역을 복음화하기 위해 보냈다.[6] 두 선교사는 1627년 3월 19일(성 요셉 축일)에 타인 호아에 상륙하여 7월 2일(방문 축제)에 수도 탕롱(현재 하노이)에 도착했다. 드 로드는 1630년까지 그곳에서 일하다가 떠나야 했다. 이 3년 동안 그는 영주 찐짱의 통치하에 하노이 법정에서 생활했는데, 복잡한 시계와 수학에 관한 금빛 책과 같은 선물로 황제를 매료시켰다.[7] 그 당시 그는 오늘날까지 인기 있는 가톨릭 신앙인 ''Ngam Mua Chay''를 작곡하여 베트남어로 그리스도의 수난을 묵상했다.[8] 그는 1630년 찐짱이 그를 응우옌의 스파이로 의심하여 베트남에서 추방되었다. 로드는 그의 보고서에서 6,000명 이상의 베트남인을 개종시켰다고 말했다. 베트남의 일상 대화는 "새의 노래와 같다"고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적었다.
당응오아이에서 로드는 마카오로 가서 10년을 보냈다. 그 후 그는 베트남으로 돌아왔는데, 이번에는 후에 주변의 당쫑으로 갔다. 그는 이 지역에서 6년을 보냈지만, 영주 응우옌 푸옥 란의 불쾌감을 사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그의 형벌이 유배로 감형되자, 로드는 1649년까지 로마로 돌아와 베트남으로의 가톨릭 선교를 위한 자금 지원을 늘려달라고 간청하며 베트남에서 발견될 수 있는 자연적인 부에 대한 약간 과장된 이야기를 했다.
2. 4. 베트남 선교 지원 노력과 페르시아 파견
1624년, 동인도 제도에서 선교를 진행했고, 1627년부터 통킹에서 일했다. 1630년 베트남에서 가톨릭교회에 대한 박해가 일어나자 드 로드는 출국을 강요받았다. 그 후 10년을 마카오에서 보낸 후, 드 로드는 응우옌 씨(광남 응우옌 씨)가 지배하는 베트남 남부에 재입국하여 후에에서 활동했다. 그 후 정세 불안의 영향으로 1649년 로마로 귀국하여 베트남 선교를 위한 자금 지원을 각 방면에서 요청했다.[9][10][11]베트남에 다시 가고 싶다는 드 로드의 소원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1660년에는 페르시아로 파견되었다. 드 로드는 그곳으로 갔지만 11월 5일 이스파한(현재의 이란)에서 세상을 떠났다.[12]
2. 5. 사후
1943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알렉상드르 드 로드를 기념하는 30센트 기념우표를 발행했다.[15] 2001년 베트남 예술가 응우옌 딘 당은 알렉상드르 드 로드와 응우옌 반 빈에게 경의를 표하는 그림을 그렸다.[15]3. 주요 저서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생전에 베트남에 대한 여러 책을 저술했다.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제목 | 출판 연도 | 출판 장소 | 비고 |
---|---|---|---|
통킹 왕국의 역사 (Histoire du royaume de Tunquin) | 1650년 | 로마 | |
Dictionarium Annamiticum Lusitanum et Latinum (베트남어 - 라틴어 - 포르투갈어 사전) | 1651년 | 로마 | |
Rhodes of Viet Nam: The Travels and Missions of Father Alexander de Rhodes in China and Other Kingdoms of the Orient | 1966년 | 영어 번역본 | |
Tunchinensis historiæ libri duo | 1652년 | ||
'La glorieuse mort dAndré, Catéchiste'' (안드레아 교리문답자의 영광스러운 죽음) | 1653년 | ||
Catechismus | 1658년 | ||
Relazione de’ felici successi della santa fede predicata dai Padri della Compagnia di Giesu nel regno di Tunchinoit | 1650년 | 로마 | |
Tunchinesis historiae libri duo, quorum altero status temporalis hujus regni, altero mirabiles evangelicae predicationis progressus referuntur: Coepta per Patres Societatis Iesu, ab anno 1627, ad annum 1646la | 1652년 | 리옹 | |
Histoire du Royaume de Tunquin, et des grands progrès que la prédication de L’Évangile y a faits en la conversion des infidèles Depuis l’année 1627, jusques à l’année 1646프랑스어 | 1651년 | 리옹 | 앙리 알비 번역 |
Divers voyages et missions du P. Alexandre de Rhodes en la Chine et autres royaumes de l'Orient프랑스어 | 1653년 | 파리 | 영어 번역본은 Rhodes of Viet Nam: The Travels and Missions of Father Alexandre de Rhodes in China and Other Kingdoms of the Orient (1666) |
그는 가스파르 두 아마랄, 안토니우 바르보자, 프란시스쿠 드 피나와 같은 초기 포르투갈 선교사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초기 베트남 문자를 개발했다. 그는 교리문답서인 ''"Catechismus pro ijs, qui volunt suscipere baptismum in octo dies divisis"''와 삼개국어 사전 및 문법서인 ''Dictionarium Annamiticum Lusitanum et Latinumla''을 편집했다. 이 두 작품은 1651년 로마에서 출판되었으며, 드 로드는 이 새로운 라틴 문자를 놈 문자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했다.[13] 이후 쯔 꾸옥 응으로 정제되어 20세기에 이르러 베트남어의 사실상 문자가 되었다.
4. 평가 및 영향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예수회 소속 선교사로 1619년 인도차이나반도에 파견되어 베트남에서 선교 활동을 펼쳤다. 1620년 하노이에 도착한 후 10년 동안 베트남 왕궁에서 활동하며 베트남어와 문화를 익혔다. 그는 베트남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인 "꾸옥응으"를 고안하여 베트남 문자 발전에 기여했다.[15] 또한, 『베트남어 교리서』와 『포르투갈어-라틴어-베트남어 사전』을 편찬하여 베트남 선교와 문화 연구에 공헌했다. 드 로드는 자신의 보고에서 6,000명 이상의 베트남인에게 세례를 베풀었다고 밝혔다.
1624년부터 동인도 제도에서, 1627년부터는 통킹에서 선교 활동을 했다. 1630년 베트남에서 가톨릭교회에 대한 박해가 시작되자 마카오로 떠났다가, 10년 후 베트남 남부 후에에서 다시 선교를 시작했다. 1649년 로마로 돌아와 베트남 선교를 위한 지원을 요청했고, 이는 1659년 파리 외방전교회 설립에 영향을 주었다.[9][10][11]
1660년 페르시아로 파견되었으나, 이스파한에서 사망하였다. 드 로드는 『통킹 왕조의 역사』(1650)와 『포르투갈어-라틴어-베트남어 사전』(1651) 등을 출판하여 베트남의 문화와 역사를 유럽에 알렸다. 1943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그의 초상화가 새겨진 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4. 1. 베트남 언어 및 문화 연구에 대한 공헌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베트남어 로마자 표기법인 '꾸옥응으'를 고안하여 베트남 문어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1620년 하노이에 부임한 그는 10년 동안 베트남 왕궁에서 일하면서 베트남어와 베트남 문화를 익혔다.[15] 가스파르 두 아마랄, 안토니우 바르보자, 프란시스쿠 드 피나와 같은 초기 포르투갈 선교사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초기 베트남 문자를 개발했다.[13]그는 교리문답서인 ''Catechismus pro ijs, qui volunt suscipere baptismum in octo dies divisisla''와 삼개국어 사전 및 문법서인 ''Dictionarium Annamiticum Lusitanum et Latinumla''을 편집했다. 이 두 작품은 1651년 로마에서 출판되었으며, 드 로드는 이 새로운 라틴 문자를 놈 문자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했다.[13] 이후 쯔 꾸옥 응으로 정제되어 20세기에 이르러 베트남어의 사실상 문자가 되었다. 한편, 마이오리카의 교리문답서와 경건 서적은 20세기까지 베트남 기독교 문학의 지배적인 문자였던 쯔놈에 대한 선호를 반영했다.[14]
4. 2. 가톨릭 선교 활동에 대한 평가
알렉상드르 드 로드는 예수회 소속 선교사로 1619년 인도차이나반도에 파견되어 베트남에서 선교 활동을 펼쳤다. 1620년 하노이에 도착한 후 10년 동안 베트남 왕궁에서 활동하며 베트남어와 문화를 익혔고, 『베트남어 교리서』와 『포르투갈어-라틴어-베트남어 사전』을 편찬하였다. 또한 베트남어를 로마자로 표기하는 방법을 고안했는데, 이는 훗날 "꾸옥 응으"로 불리며 널리 사용되었다.[15] 드 로드는 자신의 보고에서 6,000명 이상의 베트남인에게 세례를 베풀었다고 밝혔다.1624년부터 동인도 제도에서, 1627년부터는 통킹에서 선교 활동을 이어갔다. 1630년 베트남에서 가톨릭교회에 대한 박해가 시작되자 마카오로 떠났다가, 10년 후 베트남 남부 후에에서 다시 선교를 시작했다. 1649년 로마로 돌아와 베트남 선교를 위한 지원을 요청했고, 이는 1659년 파리 외방전교회 설립에 영향을 주었다.[9][10][11]
1660년 페르시아로 파견되었으나, 이스파한에서 사망하였다. 드 로드는 베트남의 문화와 역사를 유럽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로마 체류 중 『통킹 왕조의 역사』(1650)와 『포르투갈어-라틴어-베트남어 사전』(1651) 등을 출판했다. 1943년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에서는 그의 초상화가 새겨진 우표가 발행되기도 했다.
참조
[1]
논문
"La Date de naissance du Père de Rhodes: 15 mars 1591, est-elle exacte?"
1960
[2]
서적
Wörterbücher: Ein Internationales Handbuch Zur Lexikographie
https://books.google[...]
[3]
서적
Researches Into the Physical History of Mankind
https://archive.org/[...]
[4]
웹사이트
Tu sĩ Dòng Tên Alexandre de Rhodes từ trần
https://dongten.net/[...]
1999
[5]
웹사이트
Customs and Culture of Vietnam
http://www.militaryl[...]
[6]
웹사이트
The Historiography of the Jesuits in Vietnam: 1615–1773 and 1957–2007
https://referencewor[...]
Brill
2018-10
[7]
서적
Vietnam: A History
Penguin
1997-06-01
[8]
서적
Mission and Catechesis: Alexandre de Rhodes & Inculturation in Seventeenth-Century Vietnam
https://books.google[...]
Orbis Books
2015
[9]
서적
Viet Nam
https://books.google[...]
[10]
서적
An Empire Divided
https://books.google[...]
[11]
서적
Asia in the Making of Europe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The Introduction of Roman Writing Into Vietnam (The transcendental Death of Mr. Nguyen Van Vinh)
http://ribf.riken.go[...]
[13]
간행물
The Handbook of Austroasiatic Languages
BRILL
2014
[14]
서적
Vietnam and the West: New Approaches
Cornell Southeast Asia Program, Cornell University Press
2010
[15]
웹인용
The Introduction of Roman Writing Into Vietnam (The Transcendental Death of Mr. Nguyen Van Vinh).
http://ribf.rike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