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피르 양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앙피르 양식은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 이후 디렉투아르 양식에서 발전하여, 나폴레옹 시대에 전성기를 맞은 예술 양식이다. 고대 로마 제국을 이상화하여 단순하고 우아한 디자인을 추구했으며, 건축, 가구, 실내 장식, 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났다. 프랑스에서는 샤를 페르시에와 퐁텐이 앙피르 양식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건축물로는 카루젤 개선문, 방돔 기둥, 마들렌 교회가 대표적이다. 나폴레옹 몰락 후에도 유럽 각 지역으로 확산되어 스웨덴에서는 칼 요한 양식으로, 러시아에서는 나폴레옹 전쟁 승리를 기념하는 건축물에 적용되었으며, 이탈리아에서는 이탈리아 제국 양식으로 부활했다. 영국, 독일, 미국에서는 지역적 특성에 맞게 변형되어 이집트 부흥, 그리스 부흥 등의 양식으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고전주의 - 안토니오 카노바
안토니오 카노바는 신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이탈리아 조각가로, 로마에서 미켈란젤로의 영향을 받아 활동하며 《키스로 깨어나는 프시케》, 《테세우스와 미노타우르스》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나폴레옹의 후원을 받으며 유럽 예술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신고전주의 - 앙투안장 그로
앙투안장 그로는 나폴레옹 시대에 활동하며 나폴레옹의 군사적 업적을 그린 프랑스 화가로, 고전주의 화풍에 대한 고뇌로 인해 센 강에 투신하여 생을 마감했다. - 예술 사조 - 인상주의
인상주의는 19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시작된 미술 운동으로, 빛과 색채의 순간적인 인상을 담아내며 아카데미 미술에 반발, 클로드 모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에드가 드가 등을 중심으로 혁신적인 회화 양식을 제시하여 현대 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예술 사조 - 추상 미술
추상 미술은 20세기 초 사물의 재현을 벗어나 순수한 조형 요소로 표현하는 미술 양식이며, 바실리 칸딘스키 등에 의해 시작되어 다양한 운동을 거쳐 발전했고 기하학적 추상과 서정적 추상으로 분류된다.
앙피르 양식 | |
---|---|
개요 | |
![]() | |
시기 | 1800년–1815년 |
위치 | 프랑스 통령 정부 프랑스 제1제국 |
주요 인물 | 피에르프랑수아레오나르 퐁텐 샤를 페르시에 |
영향 | 총재 정부 양식 |
영향 받은 양식 | 비더마이어 이집트 리바이벌 그리스 리바이벌 후기 연방 양식 리젠시 |
상세 정보 | |
정의 | 19세기 신고전주의 예술 운동 |
설명 | 유럽 전역의 궁정에서 제정 양식을 채택했으며, 특히 러시아에서 주류가 되었다.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는 소박한 국내 인테리어와 관련된 더 부드러운 비더마이어와 공존했다. |
주요 건축가 | 샤를 페르시에 (1764–1838)와 피에르프랑수아레오나르 퐁텐 (1762–1853)은 제정 시대 장식 및 가구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두 인물이었다. 나폴레옹 궁정의 공식 건축가로서 그들의 주요 임무는 다양한 왕실 거주지를 개조하는 것이었다. 그들의 《실내 장식 모음집》(Recueil de décorations intérieures, 1812)은 제정 시대 양식의 필수 핸드북이었다. |
2. 역사
앙피르 양식은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프랑스에서 유행한 신고전주의 양식이다. 나폴레옹의 프랑스 제1 제정 시대에 시작되어 나폴레옹의 통솔력과 프랑스의 지위를 이상화하려는 의도를 담고 있었다.
앙피르 양식은 이전의 루이 16세 양식과 디렉토리 양식의 영향을 받았으며, 고대 로마와 고대 그리스의 건축과 예술에서 영감을 얻었다. 18세기에 시작되어 재발견된 로마 제국과 그 많은 고고학적 보물의 요소를 기반으로 했다.
앙피르 양식의 건축은 동시대 미국의 연방 양식 (예: 미국 국회의사당 건물의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둘 다 건축을 통한 선전의 형태였다. 앙피르 양식은 과시적이지 않고 차분하고 균형 잡힌, 대중적인 양식이었으며, 나폴레옹이 그의 나폴레옹 법전으로 유럽 민족을 "해방"시킨 것처럼 건축을 "해방"시키고 "계몽"시킨 것으로 여겨졌다.
프랑스에서 유명한 앙피르 양식의 건축물로는 웅장한 신고전주의 양식의 카루젤 개선문, 방돔 광장, 마들렌 사원이 파리에 건축되었으며, 이는 로마 제국 건축물의 모방이었다.
제정 양식은 러시아 제국에도 특유의 정착을 보였다. 러시아에서는 나폴레옹에 대한 승전을 기념하기 위해, 러시아 해군 본부, 카잔 성당, 알렉산더 원주, 나르바 개선문과 같은 기념 건축물들이 세워졌다. 스탈린 양식은 종종 스탈린 제정 양식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2. 1. 기원과 초기 발전
앙피르 양식은 18세기 말 프랑스 혁명 이후 등장한 디렉투아르 양식에서 발전했다. 디렉투아르 양식은 고대 로마 공화국의 미덕을 반영하여 단순하면서도 우아한 디자인을 추구했는데, 이는 앙피르 양식의 토대가 되었다.[17] 스토아주의적인 로마 공화국의 덕목은 예술뿐만 아니라 정치적 행동과 개인의 도덕성의 기준으로 여겨졌다.[17] 국민공회 위원들은 스스로를 고대 영웅으로 생각했고, 아이들은 브루투스, 솔론, 리쿠르고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7] 혁명 축제는 다비드에 의해 고대 의례처럼 연출되었고, 심지어 공안위원회 위원들의 의자도 다비드가 고안한 고대 모델을 바탕으로 만들어졌다.[17]프랑스 통령 정부 시대에는 이집트 및 시리아 원정의 영향으로 앙피르 양식의 많은 모티프가 도입되었으며, 더욱 공식적이고 사각형적인 형태가 강조되었다. 앙피르 양식은 "로마 제국의 화려한 풍요로움으로 향했다. 도리아식의 절제된 엄격함은 코린트식의 풍요로움과 화려함으로 대체되었다."[17]
2. 2. 나폴레옹 시대의 전성기
나폴레옹의 집권과 함께 앙피르 양식은 전성기를 맞이했다. 앙피르 양식은 "로마 제국의 화려한 풍요로움으로 향했다. 도리아식의 절제된 엄격함은 코린트식의 풍요로움과 화려함으로 대체되었다."[17] 나폴레옹은 앙피르 양식을 통해 자신의 통솔력과 프랑스의 지위를 이상화하려는 의도를 가졌다.샤를 페르시에와 퐁텐은 함께 프랑스 제국 양식을 창조한 프랑스 건축가이다. 로마에서 공부한 두 사람은 1790년대에 파리에서 주요 가구 디자이너가 되었고, 나폴레옹과 다른 정치가들로부터 많은 의뢰를 받았다.[17] 이들은 말메종 성의 나폴레옹 건축가로 활동하며, 영광스러운 고대 그리스 및 로마 제국에서 빌려온 상징과 장식에서 영감을 얻어 앙피르 양식을 발전시켰다.
앙피르 양식의 건물은 일반적으로 단순한 목재 프레임과 상자 모양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원목 무늬를 식민지에서 수입한 값비싼 마호가니로 입혔다. 오르몰루 디테일(금박을 입힌 청동 가구 부착물 및 장식)은 높은 수준의 장인 정신을 보여주었다.[17]
2. 3. 나폴레옹 몰락 이후
나폴레옹 몰락 이후에도 앙피르 양식은 약간의 변화를 거치며 수십 년 동안 인기를 유지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프랑스에서는 앙피르 양식이 다시 유행하기도 했다.[1]이 양식은 이탈리아에서 다른 유럽 지역보다 더 오래 지속되었는데, 부분적으로는 로마 제국과의 연관성 때문이었고, 부분적으로는 1870년 이탈리아 통일 이후 국가 건축 양식으로 부활했기 때문이다. 마리오 프라츠는 이 양식을 이탈리아 제국 양식이라고 불렀다.[1]
영국, 독일, 미국에서 앙피르 양식은 지역 상황에 맞게 변형되어 이집트 부흥, 그리스 부흥, 비더마이어 양식, 리젠시 양식, 후기 연방 양식으로 점차 발전했다.[1]
스웨덴과 노르웨이 연합의 칼 요한 왕이 된 베르나도트 장군은 나폴레옹 양식을 스웨덴에 도입하여 그의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칼 요한 양식은 앙피르 양식이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스칸디나비아에서 인기를 유지했다. 프랑스는 스웨덴에 대한 부채의 일부를 돈 대신 오르몰루 청동으로 지불하여 프랑스의 청동과 스웨덴의 크리스탈을 사용한 크리스탈 샹들리에가 유행하게 되었다.[1]
3. 주요 특징
앙피르 양식의 모든 장식은 루이 14세 양식을 연상시키는 엄격한 대칭성을 따른다. 일반적으로 작품의 오른쪽과 왼쪽 면의 모티프는 모든 세부 사항에서 서로 일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개별 모티프 자체는 완전히 대칭적인 구성을 이룬다. 예를 들어 각 어깨에 똑같은 머리카락이 늘어진 고대 두상, 대칭적으로 배열된 튜닉을 입은 승리의 정면상, 자물쇠판을 양옆으로 장식하는 동일한 로제트나 백조 등이 있다.[6]
나폴레옹은 루이 14세처럼 자신의 통치를 상징하는 문장들을 사용했는데, 특히 독수리, 벌, 별, 그리고 황제의 월계관 안에 새겨진 I(황제를 의미)와 N(나폴레옹을 의미)이 대표적이다.[6]
앙피르 양식에 사용된 주요 모티프는 다음과 같다:[6]
- 종려 가지를 든 니케
- 그리스 댄서
- 누드와 드레이핑된 여성
- 고대 전차
- 날개 달린 푸토
- 마스크론 형태의 아폴론, 헤르메스, 고르곤
- 백조, 사자, 황소의 머리, 말과 맹수
- 나비, 발톱, 날개 달린 키메라
- 스핑크스
- 부크라니움
- 해마
- 얇은 리본으로 묶인 떡갈나무 화환
- 덩굴 포도, 양귀비 린소
- 로제트
- 종려 가지, 월계관
- 뻣뻣하고 평평한 아칸서스 잎, 팔메트, 풍요의 뿔, 구슬, 암포라, 삼각대, 겹쳐진 원반, 케듀시어스 형태의 헤르메스, 화병, 투구, 타오르는 횃불, 날개 달린 트럼펫 연주자, 고대 악기(튜바, 딸랑이, 특히 리라)
루이 16세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던 플루팅과 트리글리프는 고대에서 유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앙피르 양식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반면, 이집트 부흥 모티프는 이 시기 초기에 특히 흔하게 사용되었다. 여기에는 스카라베, 연꽃 주두, 날개 달린 원반, 오벨리스크, 피라미드, 네메스를 착용한 형상, 맨발로 지지되고 이집트식 머리 장식을 한 카리아티드 등이 있다.[6]
3. 1. 건축
앙피르 양식 건축은 고대 로마 건축에서 영감을 받아 웅장하고 기념비적인 외관을 강조했다. 개선문, 기둥, 신전과 같은 건축 요소들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대표적인 건축물로는 파리의 카루젤 개선문(1806–1808, 샤를 페르시에와 피에르-프랑수아-레오나르 퐁텐), 방돔 기둥(방돔 광장, 1806–1810, 자크 곤두앵과 장-밥티스트 르페르), 마들렌 교회(1807–1842) 등이 있다.[7] 제정 러시아에서는 앙피르 양식이 나폴레옹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는 건축물에 적극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참모 본부 건물, 카잔 대성당(1811, 안드레이 보로니킨), 알렉산더 원주, 나르바 개선문 등이 대표적이다.[7]- -]--]--
- -]
3. 2. 가구 및 실내 장식
가구는 단순한 목재 프레임과 상자 모양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며, 식민지에서 수입된 값비싼 마호가니로 마감하는 경우가 많았다. 비더마이어 양식 가구는 재정적 제약으로 인해 흑단을 사용하기도 했다. 금박을 입힌 청동 장식(오르몰루, Ormolu)은 장인의 높은 기술 수준을 보여주며 널리 사용되어 화려함을 더했다.[17]실내 공간은 넓고 대칭적인 배치를 특징으로 하며, 코린트식 필라스터와 수직 패널로 장식되었다.
다음은 앙피르 양식 가구 및 실내 장식의 예시이다.
이름 | 제작자/작품 | 제작 시기 | 재료 | 크기 | 위치 |
---|---|---|---|---|---|
-- | 1800–1814 | 다리, 받침대 및 선반은 주목, 금박 청동 마운트, 선반 아래 철판 | 높이: 92.4cm, 너비: 49.5cm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뉴욕) | |
-- | 1804-1809 | 소나무에 엠보이니아 나무를 씌운 것, 금박 청동 마운트 | 173.4cm x 87.6cm x 37.8cm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
-- | 조르주 자코브와 프랑수아 오노레 조르주 자코브-데말테르 | 1804 | 자수 벨벳, 금박 나무와 상아 | 높이: 1.2m | 루브르 박물관 |
두 개의 문 패널이 있는 코모드 | 1805년 이전 | 마호가니에 청동 마운트 | 1.165m x 1.794m x 0.83m | 루브르 박물관 | |
입법부에서 가져온 나폴레옹 1세의 왕좌 | 베르나르 푸아예와 프랑수아 오노레 조르주 자코브-데말테르 | 1805 | 조각하고 금박을 입힌 나무, 은색 자수가 있는 붉은 벨벳 | 160cm x 110cm x 82cm | 파리 장식 미술관(파리) |
-- | 1805–1808 | 마호가니, 금박 청동 및 새틴 벨벳 실내 장식 | 87.6cm × 59.7cm × 64.8cm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
황후의 보석함 | 프랑수아 오노레 조르주 자코브-데말테르 | 1809 | 마호가니, 아마란스, 흑단, 주목, 자개 및 금박 청동 마운트 | 2.76m x 2m x 0.6m | 루브르 박물관 |
-- | 프랑수아 오노레 조르주 자코브-데말테르 | 1809–1819 | 마호가니 (가능성은 스위테니아 마호가니), 은을 덧대고 상감 | 90.2cm x 50.2cm x 37.5cm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
의자 | 1810년 이전 | 금색 조각 장식, 현대적인 장식, 빨간색과 흰색 실크로 마감된 흰색 나무 | 90cm x 50.5cm x 44cm | 루브르 박물관 | |
로마 왕의 요람 (엠파이어) | 피에르 폴 프뤼동, 앙리 빅토르 로기에|Henri Victor Roguier프랑스어, 장 밥티스트 클로드 오디오 및 피에르 필리프 토미르 | 1811 | 나무, 은도금, 자개, 벨벳, 실크 및 얇은 명주로 덮인 구리 시트, 은색 및 금색 실로 장식 | 높이: 216cm | 빈 미술사 박물관 (빈, 오스트리아) |
3. 3. 모티프와 장식
루이 14세 양식을 연상시키는 엄격한 대칭성이 앙피르 양식 장식의 특징이다. 작품의 오른쪽과 왼쪽 모티프는 모든 세부 사항에서 서로 일치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개별 모티프 자체가 완전히 대칭적인 구성을 이룬다. 루이 14세처럼, 나폴레옹은 자신의 통치를 상징하는 문장들을 사용했는데, 특히 독수리, 벌, 별, 그리고 황제의 월계관 안에 새겨진 I(''황제''를 의미)와 N(''나폴레옹''을 의미)이 대표적이다.[6]사용된 모티프는 다음과 같다:
- 니케: 종려 가지를 든 모습으로 표현된다.
- 그리스 댄서
- 누드와 드레이핑된 여성
- 고대 전차
- 날개 달린 푸토
- 마스크론 형태의 아폴론, 헤르메스, 고르곤
- 백조, 사자, 황소의 머리, 말과 맹수
- 나비, 발톱, 날개 달린 키메라
- 스핑크스
- 부크라니움
- 해마
- 얇은 리본으로 묶인 떡갈나무 화환
- 덩굴 포도, 양귀비 린소
- 로제트
- 종려 가지, 월계관
그리스-로마 양식의 모티프도 많이 사용되었는데, 뻣뻣하고 평평한 아칸서스 잎, 팔메트, 풍요의 뿔, 구슬, 암포라, 삼각대, 겹쳐진 원반, 케듀시어스 형태의 헤르메스, 화병, 투구, 타오르는 횃불, 날개 달린 트럼펫 연주자, 그리고 고대 악기(튜바, 딸랑이, 특히 리라) 등이 있다. 루이 16세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던 플루팅과 트리글리프는 고대에서 유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되지 않았다.
이집트 부흥 모티프는 이 시기 초기에 특히 흔하게 사용되었다: 스카라베, 연꽃 주두, 날개 달린 원반, 오벨리스크, 피라미드, 네메스를 착용한 형상, 맨발로 지지되고 이집트식 머리 장식을 한 카리아티드 등.[6]
이미지 | 설명 |
---|---|
-- | 카루젤 개선문의 세부, 날개 달린 승리 조각상 |
-- | 암포라를 사이에 둔 한 쌍의 스핑크스, 린소와 팔메트로 둘러싸인 세면대(아테네 또는 라바보) |
-- | 이집트 부흥 파이론 모양의 동전 보관함 상단, 처마 돌림띠와 날개 달린 태양 |
-- | 다양한 종류의 팔메트로 장식된 의자 |
-- | 세 개의 날개 달린 사자와 팔메트가 있는 작은 긴 프리즈가 있는 테이블 |
3. 4. 패션
여성 패션에서는 엠파이어 실루엣이 유행했다. 엠파이어 실루엣은 허리선이 높고 가슴 아래에서부터 직선으로 떨어지는 드레스 스타일로, 고대 그리스-로마 복식에서 영감을 받았다. 남성 패션에서는 군복 스타일의 영향을 받은 코트, 조끼, 바지 등이 유행했다.
4. 다른 지역으로의 확산
앙피르 양식은 프랑스에서 시작되었지만, 유럽 전역과 미국 등지로 확산되며 각 지역의 특성에 맞게 변형되었다.
스웨덴과 노르웨이 연합의 칼 14세 요한 왕이 된 베르나도트 장군은 나폴레옹 양식을 스웨덴에 도입하여 그의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칼 요한 양식은 앙피르 양식이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스칸디나비아에서 인기를 유지했다. 프랑스는 스웨덴에 대한 부채의 일부를 돈 대신 오르몰루 청동으로 지불하여 프랑스의 청동과 스웨덴의 크리스탈을 사용한 크리스탈 샹들리에가 유행하게 되었다.
이탈리아에서 이 양식은 유럽 대부분의 지역보다 더 오래 살아남았는데, 부분적으로는 로마 제국과의 연관성 때문이고, 부분적으로는 1870년 이탈리아 통일 이후 건축의 국가 양식으로 부활했기 때문이다. 마리오 프라츠는 이 양식을 "이탈리아 제국 양식"이라고 썼다.
영국, 독일, 미국에서 앙피르 양식은 지역 조건에 맞춰 적용되었고 이집트 부흥, 그리스 부흥, 비더마이어 양식, 리젠시 양식, 후기 연방 양식으로 점차 표현력을 얻게 되었다. 미국의 연방 양식 건물인 미국 국회의사당 건물의 디자인은 제국 디자인의 영향을 받았다.
4. 1. 스웨덴
스웨덴에서는 훗날 스웨덴의 칼 14세 요한 왕이 된 베르나도트 장군에 의해 앙피르 양식이 도입되었으며, 칼 요한 양식(Karl Johan Style)으로 불렸다. 앙피르 양식이 다른 유럽 지역에서 잊혀진 후에도, 칼 요한 스타일은 스칸디나비아에서 인기를 유지했다. 프랑스가 스웨덴에 대한 부채의 일부를 금전 대신 오르몰루( 청동에 도금한, 가구의 금속 부품 및 장식) 청동으로 지불하면서, 프랑스의 청동과 스웨덴의 크리스탈을 사용한 크리스탈 샹들리에가 유행했다.4. 2. 러시아
러시아 제국에서 앙피르 양식은 나폴레옹에 대한 승전을 기념하는 건축물에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17] 러시아 해군 본부, 카잔 성당, 알렉산더 원주, 나르바 개선문 등이 대표적인 건축물이다. 스탈린 시대의 건축 양식은 스탈린 앙피르 양식(Stalin's Empire Style)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7]4. 3. 이탈리아
이탈리아에서 앙피르 양식은 로마 제국과의 연관성 때문에 다른 유럽 지역보다 오래 지속되었으며,[3] 1870년 이탈리아 통일 이후 국가 건축 양식으로 부활하기도 했다.[3] 마리오 프라츠는 이 양식을 "이탈리아 앙피르 양식"이라고 불렀다.[3]4. 4. 영국, 독일, 미국
영국, 독일, 미국에서는 앙피르 양식이 지역 상황과 이집트 부흥, 그리스 부흥, 비더마이어 양식, 리젠시 양식, 후기 연방 양식과 같은 후발 유행 양식에 부합했다.

참조
[1]
웹사이트
Empire Style, 1800–1815
https://www.metmuseu[...]
Department of European Sculpture and Decorative Arts,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4-10-01
[2]
Harv
[3]
웹사이트
Consulate style
https://www.thefreed[...]
2024-04-29
[4]
Harvnb
[5]
서적
Stilguiden: möbler & inredning 1700–2000
Prisma
[6]
서적
French Furniture • From Louis XIII to Art Deco
Little, Brown and Company
2001
[7]
서적
Enciclopedia căminului
Editura științifică și enciclopedică
1975
[8]
웹사이트
Fauteuil du trône de Napoléon Ier aux Tuileries
https://collections.[...]
2022-05-23
[9]
웹사이트
Commode à deux vantaux
https://collections.[...]
2022-05-23
[10]
서적
Symbols of Power • Napoleon and the Art of the Empire Style • 1800-1815
Abrams
2007
[11]
웹사이트
Serre-bijoux de l'Impératrice Joséphine, dit Grand écrin
https://collections.[...]
2022-05-23
[12]
웹사이트
Deux chaises
https://collections.[...]
2022-05-23
[13]
서적
Symbols of Power • Napoleon and the Art of the Empire Style • 1800-1815
Abrams
2007
[14]
웹사이트
Egyptian vase and pedestal
https://www.louvre.f[...]
2021-03-12
[15]
서적
Symbols of Power • Napoleon and the Art of the Empire Style • 1800-1815
Abrams
2007
[16]
웹사이트
MANTEL CLOCK "LA LISEUSE"
https://www.kollerau[...]
[17]
서적
ビジュアル解説 インテリアの歴史
秀和システム
[18]
서적
図解インテリア・ワードブック
建築資料研究社
[19]
서적
室内学入門
建築資料研究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