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양곤 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양곤 대학교는 1878년 캘커타 대학교의 분교로 설립된 미얀마의 국립 대학교이다. 영국 식민 통치 시기 버마 독립 운동의 중심지였으며, 1962년 군사 쿠데타 이후 버마식 사회주의 정책으로 인해 교육 수준이 저하되기도 했다. 1989년 양곤 대학교로 개칭되었으며, 2011년 민주화 이후 학부 과정을 재개했다. 현재 다양한 학부 및 학과를 운영하며, 저명한 동문을 다수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8년 설립 - 스톡홀름 대학교
    스톡홀름 대학교는 1878년 설립되어 대중과의 소통을 중시하며 성장해 1960년 대학교로 승격, 현재 3만 9천 명 이상의 학생과 4,600명의 교직원이 재학하는 스웨덴 국립 대학교로서 다양한 교육 및 연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세계적인 대학 순위에 이름을 올리며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등 스웨덴과 유럽을 대표하는 대학이다.
  • 1878년 설립 - 암만
    암만은 요르단의 수도이자 가장 큰 도시로, 랍밧 암몬에서 시작된 오랜 역사를 지니며, 헬레니즘 시대에 필라델피아로 개명, 이슬람 시대를 거쳐 요르단의 수도가 되었고, 현재는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로서 역사 유적과 현대적 인프라가 공존한다.
양곤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양곤 대학교 문장
양곤 대학교 문장
교훈 (로마자 표기)natthi vijja samaṃ mittaṃ
교훈 (번역)지혜만큼 좋은 친구는 없다.
설립일1878년
종류공립
총장틴 므 툰 박사
학부생4194명
대학원생5748명
위치양곤 까마윳 11041, 미얀마
캠퍼스도시
이전 명칭랭군 칼리지 (1878년)
정부 칼리지 (1906년)
유니버시티 칼리지 (1920년대 초)
랭군 예술 과학 대학교 (1964년)
웹사이트양곤 대학교 웹사이트
교수진1313명
제휴ASEAN 대학교 네트워크 (AUN)
ASAIHL
개요
이름 (로마자 표기)Yankon Tekkathol
유형국립 종합대학
총장포 캉 박사
국가미얀마
규모16개 대학, 8개 대학원
학생수학부 13,500명, 대학원 1,000명
교직원 수교수 1,023명
위치미얀마 양곤시 까마윳 11041

2. 역사

1878년 캘커타 대학교의 분교로 설립된 랑군대학은 영국에 의해 운영되었다. 랑군대학은 식민정부가 교육기관들을 관리하기 위해 조성한 '교육차관'으로 설립되었다. 1904년에는 '정부대학(Government College)'으로 개칭되었고, 1920년에는 세속적인 정부대학과 침례교 신학교인 젓슨대학(Judson College)이 통합되면서 종합대학이 되었다. 이러한 통합 과정에서 미국인 침례교도들은 젓슨대학을 랑군대학교의 독립된 교육기관으로 간주했다. 랑군 대학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옥스퍼드 대학교를 이상향으로 삼았다.

이 시기에 영국에 의해 설립된 만달레이대학교(1925년 설립), 양곤사범대학(현 양곤중앙교원연수원)과 양곤의학대학(1930년 설립), 만달레이농학전문학교(현 예진농업대학교)(1938년 설립)는 모두 랑군 대학교의 통제를 받았다.

랑군 대학교는 당시 버마의 최고 엘리트들이 입학하는 학교인 동시에, 격렬한 반식민 활동의 중심지였다. 영국의 식민지배에 항거한 1920년, 1936년, 1938년의 세 번에 걸친 대투쟁은 모두 랑군 대학교에서 시작되었다. 1930년대를 거쳐 랑군대학교는 버마 민족주의의 모태가 되었으며, 아웅 산, 우 누, 우 딴과 같은 버마와 독립 이후 미얀마의 유명한 정치인들을 배출했다.

1940년대1950년대에 걸쳐 랑군대학교는 동남아시아 최고 대학이자 아시아 최고 대학 중 하나로 손꼽혔다. 이 당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많은 학생들이 랑군 대학교로 유학을 왔다.

1962년 네 윈 사회주의 정부가 들어서자 중앙정부기관인 고등교육위원회가 랑군대학을 통제하게 되었다. 설립 이래 영어를 교수용어로 사용했으나, 고등교육위원회의 통제 이후 모든 교수용어와 교육교재가 버마어로 바뀌면서 교육수준이 급격히 저하되었고, 이전의 명성도 무너지기 시작했다. 1964년 랑군 대학교에서 여러 학부가 독립된 이후 랑군 인문ㆍ자연과학대학교로 개칭되었다.

1962년 7월 7일 랑군 대학교 학생들은 '부정한 대학 통제'에 저항하는 평화로운 시위를 벌였다. 네 윈 정권은 군대를 파견하여 시위를 강제 해산했고, 이 과정에서 많은 학생들이 사망했다. 랑군대학교 학생회관 건물은 다음날 아침 포격을 받았다.

1974년 11월 UN사무총장 우 딴이 사망하자 12월 5일 대학에서 장례식이 있었다. 학생들은 국가가 경의를 표하지 않는 것에 저항하기 위해 영구 중이던 관을 빼앗아 학교 인근에서 자체적으로 장례를 치른 뒤 대학교 내 임시 빈소에 관을 세웠다. 12월 11일 군대가 캠퍼스를 진압하여 저항하는 학생들을 사살하고 관을 슈웨다곤 파고다 밑으로 옮겼다.

1989년 군사 쿠데타 이후 국명이 미얀마로 변경되면서 랑군대학교도 양곤대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8888 항쟁의 재발을 우려한 군부로 인해 1990년대 대부분 폐쇄되었으며, 학생들의 연대를 막기 위해 교육기관과 학부를 양곤시 밖으로 분산시켰다. 현재 양곤대학교 메인 캠퍼스에는 대학원 수업과 특정 전문가 과정, 졸업수업만 이루어지고 있다. 학부수업은 대이곤 대학교, 동양곤대학교, 서양곤대학교에서 이루어진다.

양곤 대학교는 1995년 12월 1일 다이아몬드 기념일 기념 행사를 열었다. 이는 학교 설립 75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로, 정부는 63억미얀마 짯를 들여 대학 구내에 4층짜리 다이아몬드 기념관을 건설하고 새로운 우표 세트를 발행했다.[13] 양곤 경제 대학교 등 한때 부속 기관이었던 기관과 학과들도 기념 행사를 가졌다.

2011년 미얀마의 새 정부는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보였다. 2013년 아웅산 수치는 '양곤 대학교 개선 및 복원 위원회'의 수장으로 임명되었고,[6] 같은 해 12월, 학부생 50명을 선발하여 재개교했다.[6] 2014년에는 미얀마 국가 교육법이 제정되어 교육부가 대학교를 관리하고 총장을 임명하게 되었다.

2. 1. 식민지 시대 (1878년 ~ 1948년)

1878년 캘커타 대학교의 분교로 설립된 '''랑군 대학'''은 영국 식민 정부가 설립한 교육 위원회에 의해 운영되었다.[5] 1904년 정부 대학(Government College)으로 개명되었고, 1920년 세속적인 정부 대학과 침례교 신학교인 저드슨 대학(Judson College)이 통합되면서 종합대학이 되었다. 미국 침례교도들은 저드슨 대학을 랑군 대학교의 독립된 교육기관으로 간주했다.[5] 랑군 대학은 케임브리지 대학교옥스퍼드 대학교를 모델로 삼았다.[7] 1925년 설립된 만달레이 대학, 1930년 설립된 양곤사범대학(현 양곤중앙교원연수원)과 양곤의학대학, 1938년 설립된 만달레이농학전문학교(현 예진농업대학교)는 모두 랑군 대학교의 통제를 받았다.

1900년대 초, 저드슨 대학과 합병되기 전 랑군 대학


랑군 대학교는 당시 버마 최고 엘리트들이 입학하는 학교였지만, 격렬한 반식민 활동의 중심지이기도 했다. 학생들은 영국 행정부의 대학 통제와 총독을 랑군 대학 총장으로 임명한 것에 항의했다.[6] 1920년, 1936년, 1938년 세 차례에 걸친 대규모 반식민 투쟁은 모두 랑군 대학교에서 시작되었다. 미얀마 국경일은 1920년 랑군 대학 버마 학생들의 반란을 기념하는 날이다. 1930년대 랑군 대학교는 버마 민족주의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아웅산, 우 누, 우 딴 등 훗날 미얀마의 유명한 정치인들을 배출했다.

2. 2. 독립 이후 (1948년 ~ 1962년)

1940년대1950년대에 랑군대학교는 동남아시아 최고 대학이자 아시아 최고 대학 중 하나로 명성을 얻었다.[7][9][10] 이 시기에는 세계 여러 나라에서 많은 학생들이 랑군 대학교로 유학을 왔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이 이 대학을 점령하기도 했지만, 1948년 버마(현 미얀마)가 독립한 후 복구되어 다시 번영기를 맞이했다. 하지만 이러한 황금기는 1962년에 끝났다.[6]

제2차 세계 대전 중 피해를 입은 랑군대학교 건물.

2. 3. 군부 통치 시대 (1962년 ~ 2011년)

1962년 군사 쿠데타 이후 네 윈 장군 통치 하에 버마식 사회주의가 시행되면서, 랑군 대학은 중앙 정부 기관인 고등 교육국의 직접 통제를 받게 되었다. 이전에는 교수, 학자 및 정부 관리들의 협의회에 의해 운영되었다.[7] 강의 언어는 영어에서 버마어로 변경되었다. 교육 수준은 현저히 저하되기 시작했고, 국제 기구들은 대학에서 발급하거나 취득한 학위를 인정하지 않게 되었다.[7] 1964년 일부 학과와 학부(의학, 경제, 교육 등)가 대학에서 분리된 후, 대학의 이름은 랑군 예술 과학 대학교(Rangoon Arts and Sciences University, 약칭 RASU)로 변경되었다.

랑군 대학 학생들은 1962년 7월 7일 '부당한 대학 규칙'에 항의하는 평화적인 시위를 벌였다. 네 윈은 학생들을 해산하기 위해 군대를 보냈고, 수십 명의 학생들이 사망했다. 유서 깊은 랑군 대학 학생회(RUSU) 건물은 다음 날 아침 파괴되었다.[6]

1974년 11월 전 유엔 사무총장 우 탄트가 사망했고, 1974년 12월 5일 그의 장례식 당일 랑군 대학 학생들은 꺄익카산 경마장에 전시된 그의 관을 빼앗아 RUSU 구내에 임시 능묘를 세워, 국장으로 장례를 치르지 않은 정부에 항의했다. 군대는 12월 11일 캠퍼스를 급습하여 일부 학생들을 살해하고 관을 회수하여 쉐다곤 파고다 기슭에 우 탄트를 매장했다.

양곤 대학교의 학위 수여식장


네 윈 장군의 사회주의 정부에 반대하는 학생 시위는 1988년에 정점에 달했다. 1988년 3월 학생 시위는 정부의 폭력적인 대응에 직면했다.[11] 1988년 8월 8일, 전국의 학생들이 군사 정권에 항의하기 위해 모였다. 이 시위는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지지했으며, 오늘날 8888 민주화 운동으로 기억된다. 이 운동은 쏘 마웅 장군이 진압하여 권력을 장악하고 국가 법과 질서 복원 위원회(SLORC 또는 na wa ta)를 설립했다. 시위에서 300명 이상의 학생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되며, 그 후 수개월과 수년 동안 더 많은 사람들이 투옥되었다.[6]

1989년 군부는 미얀마 전역의 지명을 변경했고, 대학의 이름은 양곤 대학교(University of Yangon)로 변경되었다. 8888 민주화 운동의 재발을 우려하여 1990년대 대부분의 기간 동안 대학이 폐쇄되었다. 학생들의 집결을 막기 위해 정부는 기존의 양곤 대학을 구성하는 기관과 학과들을 도시 전역에 흩어진 별도의 교육 기관으로 분산시켰다. 2013년 이전에는 대학 본 캠퍼스에서 대학원 과정, 특정 전문 과정 및 소수의 단기 과정만 진행되었다. 다곤 대학교, 동양곤 대학교, 서양곤 대학교와 같은 새로운 대학이 학부생들을 위해 설립되었다.[12]

양곤 대학교 학위 수여식장에서 열린 2019년 동양곤 대학교 졸업식


양곤 대학교는 1995년 12월 1일에 시작된 일주일간의 기념 행사로 다이아몬드 기념일을 기념했다. 기념일은 학교의 공식 설립 75주년을 기념하는 것이었다. 기념을 위해 정부는 대학 구내에 4층짜리 건물인 다이아몬드 기념관을 건설했는데, 비용은 63억미얀마 짯였다. 새로운 우표 세트도 발행되었다.[13] 양곤 경제연구소와 같이 한때 부속 기관이었던 기관과 학과들도 기념 행사를 가졌다.

2. 4. 민주화 이후 (2011년 ~ 현재)

2011년 미얀마에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2013년 아웅산 수치는 '양곤 대학교 개선 및 복원 위원회'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6] 같은 해 12월, 양곤 대학교는 학부 과정을 다시 시작하여 엄선된 50명의 학생을 입학시켰다.[6]

2014년에는 미얀마 국가 교육법이 제정되었는데, 이 법은 교육부가 대학교를 관리하고 총장을 임명하도록 규정하여 논란이 되었다.

3. 주요 학부 및 학과

양곤 대학교에는 철학부, 수학부, 물리학부, 화학부, 산업화학부, 동물학부, 식물학부, 법학부, 영어영문학부, 버마어버마 문학부, 역사학부, 국제관계학부, 지질학부, 동방학부, 정보기술학부, 지리학부, 인류학과, 고고학과, 도서관정보학과, 심리학과 등이 있다. 각 학과는 학부 과정을 제공하며, 국제관계학과는 문학사(국제관계)와 문학사(정치학) 두 가지 학위 과정을 제공한다.

3. 1. 학부

학부
철학
수학
물리학
화학
산업화학부
동물학
식물학
법학
영어영문학부
버마어 버마 문학부
역사학
국제관계학부
지질학
동방학부
정보기술학부
지리학


3. 2. 학사 과정

양곤 대학교는 문학사(B.A.), 이학사(B.Sc.), 법학사(LL.B.) 세 가지 분야의 학부 과정을 제공한다. 1996년 학생 운동 이후 군사 정부는 본 캠퍼스에서 모든 학부 과정 제공을 중단시켰다. 더욱이, 당국은 캠퍼스에서 학부생들이 머무는 것조차 허용하지 않았다. 2014년, 양곤 대학교는 '우수센터(Center of Excellence, COE)'라는 이름으로 학부 과정을 재개하여 각 분야별로 50명의 학생을 선발했다.[1]

학부명학사석사박사
미얀마어문학사문학석사철학박사
영어문학사문학석사철학박사
지질학이학사이학석사철학박사
역사학문학사문학석사철학박사
철학문학사문학석사철학박사
심리학문학사문학석사철학박사
법학법학사법학박사
식물학이학사이학석사철학박사
화학이학사이학석사철학박사
수학이학사이학석사철학박사
물리학이학사이학석사철학박사
동물학이학사이학석사철학박사


3. 3. 대학원 과정

양곤 대학교는 대학원 과정으로 박사, 석사, 디플로마 과정을 제공한다.[1]

4. 캠퍼스

일출 무렵의 저드슨 교회


2012년 저드슨 타워


대학 담마 홀


야다나 홀


정문


양곤 대학교는 양곤에서 가장 큰 호수인 인야 호 남서쪽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카마유트 타운십의 페이 로드와 유니버시티 애비뉴 로드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으며, 양곤 시내 북쪽에 위치한다. 1920년에 건설된 본교 캠퍼스와 흘라잉 캠퍼스가 있으며, 본교 캠퍼스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 본교 캠퍼스 안에는 아도니람 저드슨의 이름을 딴 저드슨 교회가 있다.

4. 1. 주요 건물


  • 인문학부 교사
  • 강당
  • 레크리에이션 센터
  • 과학부 교사
  • 다마 홀 (학위수여식장)
  • 양곤 대학교 부속 요양소
  • 양곤 대학교 설립 50주년 기념관
  • 양곤 대학교 부속 병원
  • 예술관
  • 대강당
  • 저드슨 교회
  • 체육관
  • 과학관
  • 양곤 대학교 중앙도서관
  • 대학 담마 홀
  • 대학 양호소
  • 대학 창립 60주년 기념관
  • 대학병원
  • 양곤 대학교 도서관
  • 대학 우체국
  • 화가의 집

4. 2. 기숙사

미얀마의 대학에서는 수업 및 학교생활에서 남녀 학생이 함께 활동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양곤 대학교에는 여학생 전용 기숙사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인야관의 모습.


이름
바고 관
베이건 관 (여성 전용)
데이곤 관
인와 관 (아바 관)
인야 관 (여성 전용)
말라 관 (여성 전용)
나와데이 관
핀야 관
퍄이 관 (여성 전용)
사가잉 관
쉐보 관
다웅구 관
타광 관 (여성 전용)
타톤 관
티리 관 (여성 전용)
야다나 관 (여성 전용)



미얀마의 기숙사는 남녀가 함께 사용하지 않으며, 사용 가능한 공간이 제한적이다. 여성 기숙사는 남성 기숙사보다 더 많은 규칙이 적용된다.

5. 저명한 동문

양곤 대학교는 다양한 분야에서 미얀마와 국제 사회에 기여한 저명한 동문들을 배출했다. 정치, 행정, 학계, 문학, 경제 등 여러 분야에서 উল্লেখযোগ্য 활동을 한 동문들이 많다.
정치 및 행정 분야에서는 미얀마의 국부 아웅산[1], 인도 헌법 제정에 기여한 B. R. 암베드카르[2], 팡롱 협정 설계자 페 킨[14], 제3대 유엔 사무총장 우 탄트, 미얀마 10대 대통령 윈 민트 등이 있다.
학계 및 문학 분야에서는 버마 최초의 고고학자 타우 세인 코 경(Sir Taw Sein Ko), 개발경제학 분야의 흘라 민트(Hla Myint), 킷산 문학 운동의 사야 자우기(Saya Zawgyi) 등이 대표적이다.
경제 및 기타 분야에서는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경제 고문 에즈라 솔로몬, CB은행 회장 킨 마웅 아예[17], 맥스 미얀마 설립자 자우 자우 등이 있다.

5. 1. 정치 및 행정


  • 아웅산: 미얀마의 국부이자 미얀마군 창설자, 영국령 버마의 5대 총리[1]
  • B. R. 암베드카르: 인도 헌법 제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2]
  • 바 초: 1946년–1947년 정보부 장관[3]
  • 바 마: 1937년부터 1939년까지 버마 총리, 2차 세계 대전 중 1943년–1945년 총리[4]
  • 바 스웨: 버마의 2대 총리[5]
  • 바 윈: 1946년–1947년 무역부 장관[6]
  • 킨 뉴트: 미얀마 정보부 수장이자 9대 총리[7]
  • 꺄우 니인: 1948년부터 1949년까지, 그리고 1953년부터 1958년까지 버마 부총리, 초대 내무부 장관[8]
  • 마 소 사: 미얀마 최초의 여성 의사, 여성 참정권 운동가, 국회의원 (주드슨 대학교)[9]
  • 마웅 킨: 버마 최초의 대법원장(1921년–1924년)[10]
  • 마웅 마웅: 버마 대법원장, 버마 법무장관, 버마 7대 대통령[11]
  • 마웅 마웅 카: 1977년–1988년 버마 총리[12]
  • 네 윈: 혁명평의회 의장, 버마의 4대 대통령이자 3대 총리[13]
  • 페 킨: 팡롱 협정(Panglong Agreement)의 주요 설계자[14]
  • 쇼캇 알리 칸: 방글라데시 헌법(Constitution of Bangladesh) 제정에 참여한 인물[15]
  • 타킨 미아: 1946년–1947년 내무부 장관[16]
  • 칫 칫 민트: 미얀마 정치인[17]
  • 우 누: 버마의 초대 총리
  • 우 라작: 교육부 장관
  • 우 탄트: 1961년부터 1971년까지 세 번째 유엔 사무총장
  • 우샤 나라야난: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인도의 영부인
  • 윈 마웅: 버마 연방(Union of Burma)의 3대 대통령
  • 윈 민트: 미얀마의 10대 대통령

5. 2. 학계 및 문학


  • 벤자민 피어리 팔(Benjamin Peary Pal): 인도농업연구위원회(Indian Council of Agricultural Research) 초대 위원장이자 밀 유전학 및 육종 분야의 최고 과학자 중 한 명.[14]
  • 흘라 페(Hla Pe): 언어학자, 런던대학교(University of London)에서 버마어와 문화를 가르친 교수(1966–1980)이자 버마어-영어 사전 편찬자 중 한 명
  • 흘라 민트(Hla Myint): 경제학자이자 개발경제학(development economics)의 선구자 중 한 명
  • 틴 아웅(Htin Aung): 동남아시아 고등교육기관 협회(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Institutions of Higher Learning, ASAIHL)의 창립자 중 한 명
  • 미 미 카잉(Mi Mi Khaing): 학자이자 작가
  • 무하마드 시딕 칸(Muhammad Siddiq Khan): 방글라데시 사서이자 다카대학교(University of Dhaka) 도서관학과(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설립자
  • 난다 틴잔(Nanda Thein Zan): 철학과 불교에 관한 저술가
  • 사오 사이몽(Sao Saimong): 학자이자 언어학자, 개혁된 샨 문자(Shan script)로 잘 알려짐
  • 세인 투(Sein Tu): 심리학자
  • 페시 마단(Pessie Madan): 인도의 첨단 기술 연구 개발 분야 지도자
  • 페 마웅 틴(Pe Maung Tin): 팔리어와 불교에 관한 학자
  • 포 캬(Pho Kyar): 소설가이자 교육 개혁가
  • 로널드 핀들레이(Ronald Findlay): 컬럼비아 대학교 라그나르 누르크세 경제학 교수
  • 타우 세인 코 경(Sir Taw Sein Ko)(1864–1930): 버마 최초의 기록된 고고학자이자 티보 왕(King Thibaw)과 영국 행정부 사이의 중개자
  • 탄 툰(Than Tun): 역사가
  • 타우 카웅(Thaw Kaung): 사서이자 아시아 도서관학(library science) 분야의 저명한 전문가
  • 우 민트(U Myint): 경제학자[15]
  • 우 늅(U Nyun): 경제학자이자 1959년부터 1973년까지 유엔 아시아 태평양 경제 사회 위원회(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사무총장
  • 캬우 뎃(Kyaw Thet): 역사가
  • 윈스턴 셋 아웅(Winston Set Aung): 경제학자이자 미얀마 중앙은행(Central Bank of Myanmar) 부총재(Deputy Governor)
  • 인 인 네(Yin Yin Nwe): 지질학자이자 미얀마 대통령(President of Myanmar)인 테인 세인(Thein Sein)의 수석 교육 고문
  • 요시오 니시(Yoshio Nishi): 티베트-버마어(Tibeto-Burman languages) 언어학 분야의 일본 학자
  • 바 갈레(Ba Gale): 만화가
  • 꺄이 아예(Kyi Aye): 미얀마 정신과 의사, 시인, 소설가, 단편 소설가
  • 콜레지안 네 윈(Collegian Ne Win): 영화 배우이자 축구 선수
  • 킨 묘 칫(Khin Myo Chit): 작가이자 언론인
  • 꺄이 소 툰(Kyi Soe Tun): 영화 감독
  • 탄 에(Than E): 가수
  • 루두 다우 아마르(Ludu Daw Amar): 1936년 양곤대학교 학생 파업 지도자, 작가이자 언론인
  • 민 투 윈(Min Thu Wun):[16]몬족계 미얀마 학자이자 시인
  • 묘 탄 틴트(Mya Than Tint): 소설가, 번역가
  • 사야 자우기(Saya Zawgyi): 킷산 문학 운동의 일원이자 작가 (학위 미취득)
  • 테인 페 민트(Thein Pe Myint): 미얀마 공산당(Communist Party of Burma)의 작가, 언론인, 사무총장
  • 테이판 마웅 와(Theippan Maung Wa): 1930년대 킷산 문학 운동의 일원이자 작가
  • 마웅 틴(Maung Htin): 킷산 문학 운동의 일원이자 작가
  • 묘 민(Myo Min) (응웨 소(Ngwe Soe)): 킷산 문학 운동의 일원이자 작가
  • 틴 마웅(Tin Maung): 영화 배우이자 감독
  • 와 와 윈 쉐(Wah Wah Win Shwe): 배우
  • 네 인 윈(Nwe Yin Win): 가수
  • 꺄우 투(Kyaw Thu): 배우이자 무료 장례식 서비스 협회(Free Funeral Service Society) 회장

5. 3. 경제 및 기타


  • 에즈라 솔로몬: 미국의 경제학자이자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경제 고문
  • 킨 마웅 아예: CB은행 회장 겸 미얀마 은행 협회 회장[17]
  • 림 친 송: 20세기 초 거물이자 버마 입법평의회 의원
  • 마이클 모 마인트: 마인트 앤 어소시에이츠와 미얀마 석유자원 유한회사(MPRL) 설립자
  • 자우 자우: 맥스 미얀마 설립자 겸 아시아축구연맹(AFC) 부회장

참조

[1] 웹사이트 THE MOTTO OF THE UNIVERSITY OF YANGON AND THE INFLUENCE OF PALI https://www.myanmard[...]
[2] 웹사이트 ရန်ကုန်တက္ကသိုလ် အမှတ်တံဆိပ်နှင့် ဆောင်ပုဒ် https://www.moi.gov.[...]
[3] 웹사이트 ရန်ကုန်တက္ကသိုလ် အမှတ်တံဆိပ်နှင့် ဆောင်ပုဒ် | Myanmar Digital News https://www.mdn.gov.[...]
[4] 뉴스 President Obama rejuvenates Rangoon University of Burma http://asiancorrespo[...] Hybrid News Limited 2012-11-20
[5] 서적 Governance And Civil Society In Myanmar: Education, Health, and Environment Routledge
[6] 뉴스 '8888 Uprising' remembered in Yangon http://mail.mmtimes.[...] 2016-08-09
[7] 서적 Economic Development of Burma: a Vision and a Strategy SUP
[8] 뉴스 Prospects of education in Myanmar http://www.burmalibr[...] 1999-12-23
[9] 저널 Towards a New Modern Developed Nation http://www.umich.edu[...] University of Michigan International Institute 2002-09-01 # Fall 2002를 9월 1일로 가정
[10] 뉴스 Yangon: From stately city to crumbling symbol of isolation https://www.reuters.[...] 2011-11-27
[11] 뉴스 Red Bridge burns bright for student activists http://mail.mmtimes.[...] 2014-04-08
[12] 서적 Governance and Civil Society in Myanmar: Education, Health and Environment Routledge
[13] 웹사이트 Myanmar Philately http://tharaphi.webs[...] Tharaphi
[14] 웹사이트 Agriculture http://www.iisc.erne[...] .iisc.ernet.in
[15] 뉴스 Thein Sein Appoints Presidential Advisors http://www.irrawaddy[...] 2011-04-27
[16] 잡지 Burmese Literary Pioneer http://www2.irrawadd[...]
[17] 웹사이트 CB Bank: Board of Directors http://www.cbbank.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