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의도공항은 일제강점기인 1916년 9월에 완공되어 1971년 폐쇄된 대한민국의 옛 공항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육군 훈련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1929년에는 만주행 항공편의 중간 기착지로 활용되었다. 1953년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으나, 1958년 김포국제공항으로 민간 공항 기능이 이전되었고, 이후 공군기지로 사용되다 1971년 서울공항으로 기능이 이관되어 폐쇄되었다. 폐쇄 이후 활주로 부지에는 5·16 광장(여의도 광장)이 조성되었다. 과거 일본제국항공, 대한국민항공, 노스웨스트 항공 등이 여의도 공항을 이용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6년 개항한 공항 - 에든버러 공항
에든버러 공항은 1916년 군사 기지로 설립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후 민간 항공에 개방, 확장 공사 및 빈치 그룹 인수, 트램 연계를 거쳐 현재 국제선 및 국내선을 운항하는 스코틀랜드의 주요 국제공항이다. - 1916년 개항한 공항 - 로마 참피노 공항
로마 참피노 공항(조반 바티스타 파스티네 국제공항)은 로마에 위치한 1916년 개항의 오래된 공항으로, 현재는 저가 항공, 전세편, 정부 항공편을 취급하며 단층 터미널 건물 1개 동으로 운영되고 대중교통 연결편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없어진 공항 - 울산비행장
울산비행장은 일제강점기인 1928년에 개항한 경상남도 최초의 비행장으로, 일본이 대륙 진출을 위한 군사적, 경제적 목적으로 건설하여 초기에는 일본항공수송의 도쿄-다롄 노선 중간 기착지로 활용되었으나, 시설 노후화와 대구비행장 개설 등으로 기능이 축소되어 1980년대에 폐쇄되었고 현재는 주택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 대한민국의 없어진 공항 - 안동비행장
- 1971년 폐지 -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
시티 오브 뉴올리언스는 시카고와 뉴올리언스를 연결하는 암트랙 장거리 여객열차로, 1908년 시카고 뉴올리언스 리미티드로 시작하여 이름 변경, 운행 중단 및 재개를 거치며 미국 중서부와 남부의 중요한 교통 수단 역할을 하고 있다. - 1971년 폐지 - 스가모 구치소
스가모 구치소는 1895년 설립된 일본 감옥으로, 시대에 따라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정치범 수용소, 종전 후에는 전범 수용소로 사용되다가 1958년 폐쇄 후 선샤인 시티가 들어섰다.
여의도공항 | |
---|---|
위치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여의도공항 |
한국어 이름 | 여의도비행장 |
한자 이름 | 汝矣島飛行場 |
로마자 표기 | Yeouido Bihaengjang |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 | Yŏŭido Pihaengjang |
공항 종류 | 폐쇄됨 |
운영 기관 | 일본 제국 육군 항공대 (1916–1929?) 조선총독부 체신국 (1929? – 1945?) 미국 제5공군 (1945? – 1958) 대한민국 공군 (1958–1971) |
위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
개항 | 1916년 |
여객 서비스 중단 | 1958년 |
폐쇄 | 1971년 |
좌표 | 37°31′33″N 126°55′19″E |
활주로 정보 | |
활주로 1 길이 | 1,969 m |
활주로 1 표면 | 아스팔트 |
헬리포트 정보 | |
기타 정보 | |
비고 | 1971년 철거, 현재 여의도공원, KBS 본사, MBC 본사 부지이다. |
웹사이트 | 여의도공항, 서울기록원 |
2. 역사
1916년 3월, 일제가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현 여의도)에 비행장 건립을 시작하여, 같은 해 9월 활주로와 격납고를 완공하고 10월에 개장하면서 여의도공항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일제는 중국 대륙 침략의 교두보로 활용하기 위해 한반도에 비행장이 필요했고, 이에 따라 여의도에 비행장을 건설했다.
개장 초기 여의도 비행장은 활주로와 격납고만 있는 매우 한산한 모습이었다. 1917년 5월, 미국의 곡예 비행사 아트 스미스의 곡예 비행과 1922년 12월 10일 안창남의 시범 비행은 당시 조선인들에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일본 당국은 1929년 여의도 비행장을 만주로 가는 항공편의 중간 기착지로 활용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개량했고, 1930년대에는 일본항공운수주식회사를 통해 여러 목적지로 정기 항공편을 운항했다.
1945년 해방 이후, 미군 점령으로 일본 제국 항공의 운영은 중단되었다. 1947년 노스웨스트 항공이 일본에서 민간 항공편 운항을 재개하며 서울-도쿄 노선을 운항했다. 1948년 대한국민항공은 여의도 공항을 운영 기지로 삼아 국제선과 국내선을 운항했다. 1953년 여의도 비행장은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고, 1954년 4월 26일 여의도 국제공항이 정식 개항하였다.
하지만 여의도는 홍수에 취약하여, 1958년 1월 30일 민간 공항 기능이 김포국제공항으로 이전되었다. 이후 국제공항 기능과 국내 항공 노선까지 김포공항으로 이전되면서 여의도의 민간 항공 시대는 막을 내렸다. 1971년 2월, 공군기지 기능마저 서울공항으로 이전되면서 여의도 공항은 완전히 폐쇄되었다.
1970년대 여의도 개발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활주로 자리에 5·16 광장(여의도 광장)이 조성되었는데, 이는 유사시 활주로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한다.[9]
2. 1. 일제강점기
일제는 1916년 3월 경기도 고양군 용강면(현 여의도)에 비행장 건립을 시작하여, 같은 해 9월 활주로와 격납고를 완공하고 10월에 개장하였다.[1] 당시 여의도는 농경지로 쓰였으나, 일본 제국 육군 훈련 기지로도 사용되었다.[2]개장 초기에는 비행기가 뜨고 내릴 수만 있으면 충분했기 때문에 활주로와 격납고 외 다른 부대 시설은 없었다. 비행기를 접할 기회가 드물어 주민들은 비행장에 대한 호기심은 컸지만, 실제 비행을 보는 경우는 드물었다.
1917년 5월, 미국의 곡예 비행사 아트 스미스가 여의도 비행장에서 곡예 비행을 선보였다. 당시 서울 시민 20만여 명 가운데 5만여 명이 이를 관람할 정도로 큰 관심을 받았다.
1922년 12월 10일에는 한국 최초의 비행사 안창남이 여의도 비행장에서 시범 비행을 선보였다.
1929년, 일본 당국은 여의도 비행장을 만주로 가는 항공편의 중간 기착지로 활용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개량했다.[1] 1930년대에는 일본항공운수주식회사(후에 일본 제국 항공으로 변경됨)가 도쿄 (1929년 시작), 후쿠오카, 봉천, 다롄, 신징 등 여러 목적지로 정기 항공편을 운항했다.[3][4]
1943년, 김포 비행장이 개항하면서 여의도는 경성 제2비행장으로 불리게 되었다.[5]
2. 2. 해방 이후
1945년 미군 점령으로 일본 제국 항공의 운영이 중단되었다.[3][4] 1947년 노스웨스트 항공이 일본에서 민간 항공편 운항을 재개하며 서울-도쿄 노선을 운항했다.[7] 1948년 대한국민항공(KNA)이 여의도 공항을 운영 기지로 삼아 홍콩으로 가는 국제선과 부산, 강릉, 광주, 제주로 가는 국내선을 운항했다.[6] 1953년 여의도 비행장이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고,[9] 1954년 4월 26일, 여의도 국제공항이 정식 개항하였다.[9]하지만 여의도는 홍수에 취약했기 때문에,[9] 1958년 1월 30일 민간 공항 기능이 김포국제공항으로 이전되었다.[9] 1961년에는 국제공항 기능이,[9] 1964년 4월에는 국내 항공 노선까지 김포공항으로 이전되면서 여의도 민간 항공 시대는 막을 내렸다.[9] 1971년 2월, 공군기지 기능마저 서울공항(성남)으로 이전되면서 여의도 공항은 폐쇄되었다.[9]
1970년대 여의도 개발 당시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활주로 자리에 5·16 광장(여의도 광장)이 조성되었는데, 이는 유사시 활주로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었다고 한다.[9]
3. 과거 항공사 및 취항지 (1958년 이전)
일본제국항공(Imperial Japanese Airways)은 1945년 미군 점령으로 운영이 중단될 때까지 만주국 신징, 묵덴, 도쿄 노선을 운항했다.[1] 대한국민항공은 1948년부터, 노스웨스트 항공은 1947년 일본에서 민간 항공편이 재개되면서 여의도공항 운항을 시작했다.
3. 1. 대한국민항공 (Korean National Airlines)
대한국민항공은 제주, 홍콩, 강릉, 광주, 부산 노선을 운항했으며, 전세편으로는 마닐라 노선을 운항했다. 대한국민항공은 1948년부터 운항을 시작했다.3. 2. 일본제국항공 (Imperial Japanese Airways)
일본제국항공(Imperial Japanese Airways)은 만주국 신징, 묵덴, 도쿄 노선을 운항하였다.[1] 1945년 미군 점령으로 운영이 중단될 때까지 운항했다.[1]항공사 | 목적지 |
---|---|
일본제국항공 | 만주국 신징, 묵덴, 도쿄 |
3. 3. 노스웨스트 항공 (Northwest Orient Airlines)
노스웨스트 항공은 1947년 일본에서 민간 항공편이 재개되면서 여의도공항 운항을 시작했으며, 도쿄를 연결하는 노선을 운영했다.참조
[1]
뉴스
Korea's First Airport Was on Yeouido
https://www.koreatim[...]
2018-09-20
[2]
웹사이트
朝鮮半島の旧陸海軍航空基地
http://navgunschl2.s[...]
2018-09-20
[3]
웹사이트
Dai Nippon Koku - Greater Japan Airlines - Imperial Japanese Airways
http://www.timetable[...]
2018-09-20
[4]
웹사이트
Dai Nippon Koku - Greater Japan Airlines - Imperial Japanese Airways
http://www.timetable[...]
2018-09-20
[5]
뉴스
조선・경성제2(여의도, 경성)비행장 흔적: 공항탐색・3
https://web.archive.[...]
2018-09-20
[6]
웹사이트
Korean National Airlines - KNA - Koreanair
http://www.timetable[...]
2018-09-20
[7]
웹사이트
Northwest timetable, 1955
http://www.timetable[...]
2018-09-20
[8]
웹인용
여의도공항, 서울기록원
https://archives.seo[...]
2024-05-07
[9]
뉴스
汝矣島(여의도)광장 문화공간 활용 바람직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2-1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