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장대높이뛰기 세계 기록 추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자 장대높이뛰기 세계 기록 추이는 여자 장대높이뛰기 세계 기록의 변천사를 다룬다. 20세기 초 미국에서 시작된 여자 장대높이뛰기는 IAAF 공인 이전에는 루스 스펜서, 밀드레드 칼 등이 기록을 세웠고, 이후 엘바 힌츠, 다이앤 브래그, 아이린 스피커, 장춘젠 등 여러 선수들이 기록을 경신했다. 1992년 IAAF가 공인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쑨차이윈, 다니엘라 바르토바, 에마 조지, 스테이시 드라길라, 옐레나 이신바예바 등이 세계 기록을 경신하며 여자 장대높이뛰기 발전에 기여했다. 특히 이신바예바는 2000년대에 압도적인 기량으로 5m를 넘는 세계 기록을 세우며 여자 장대높이뛰기 역사를 새롭게 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상 경기 기록 - 마라톤 세계 기록 추이
마라톤 세계 기록은 1896년 시작된 마라톤 경기의 역사를 반영하며, 남자와 여자 모두 여러 선수들이 기록을 경신하며 발전해 왔다. - 육상 경기 기록 - 여자 4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
여자 4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 추이는 여자 400m 달리기 대한민국 기록의 변천사를 보여주는 기록이다. - 스포츠에 관한 - 카이트서핑
카이트서핑은 연과 보드를 사용하여 바람의 힘으로 물 위를 활강하는 수상 스포츠로, 다양한 스타일이 있으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세계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스포츠에 관한 - 양궁
양궁은 활과 화살로 표적을 맞히는 스포츠로, 선사 시대부터 무기로 사용되다가 1538년 영국에서 스포츠로 발전하여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195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국제 대회에서 경기가 열린다. - 국기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국기 - 아시아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크고 인구가 많은 대륙으로, 유라시아 동쪽 4/5를 차지하며, 4대 문명 중 3개의 발원지이고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발전했으며 경제 성장과 분쟁을 동시에 겪고 있다.
여자 장대높이뛰기 세계 기록 추이 | |
---|---|
여자 장대높이뛰기 세계 기록 추이 | |
![]() | |
기록 상세 | |
공인 시작일 | 1994년 6월 21일 |
국제 육상 경기 연맹 | 국제 육상 경기 연맹 |
기록 변동 내역 | |
기록 | 4.05 m |
선수 | 쑨차이윈 (Sun Caiyun, 孙彩云)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장소 | 지난 |
날짜 | 1994년 6월 21일 |
기록 | 4.08 m |
선수 | 쑨차이윈 (Sun Caiyun, 孙彩云)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장소 | 자카르타 |
날짜 | 1994년 6월 21일 |
기록 | 4.10 m |
선수 | 쑨차이윈 (Sun Caiyun, 孙彩云)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장소 | 베이징 |
날짜 | 1994년 6월 28일 |
기록 | 4.12 m |
선수 | 진뤄란 (Jin Ruolan, 金 뤄란)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장소 | 톈진 |
날짜 | 1994년 6월 28일 |
기록 | 4.15 m |
선수 | 진뤄란 (Jin Ruolan, 金 뤄란)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장소 | 톈진 |
날짜 | 1994년 6월 28일 |
기록 | 4.20 m |
선수 | 엠마 조지 (Emma George)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장소 | 멜버른 |
날짜 | 1995년 2월 18일 |
기록 | 4.22 m |
선수 | 엠마 조지 (Emma George)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장소 | 멜버른 |
날짜 | 1995년 2월 21일 |
기록 | 4.25 m |
선수 | 엠마 조지 (Emma George)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장소 | 퍼스 |
날짜 | 1995년 3월 11일 |
기록 | 4.28 m |
선수 | 엠마 조지 (Emma George)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장소 | 시드니 |
날짜 | 1995년 7월 16일 |
기록 | 4.30 m |
선수 | 엠마 조지 (Emma George)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장소 | 멘도사 |
날짜 | 1995년 8월 4일 |
기록 | 4.31 m |
선수 | 엠마 조지 (Emma George)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장소 | 라이닝겐 |
날짜 | 1996년 1월 27일 |
기록 | 4.41 m |
선수 | 엠마 조지 (Emma George)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장소 | 멜버른 |
날짜 | 1996년 3월 3일 |
기록 | 4.42 m |
선수 | 엠마 조지 (Emma George)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장소 | 멜버른 |
날짜 | 1996년 3월 8일 |
기록 | 4.45 m |
선수 | 엠마 조지 (Emma George)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장소 | 멜버른 |
날짜 | 1996년 3월 21일 |
기록 | 4.50 m |
선수 | 엠마 조지 (Emma George)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장소 | 멜버른 |
날짜 | 1997년 2월 8일 |
기록 | 4.55 m |
선수 | 엠마 조지 (Emma George) |
국가 | 오스트레일리아 |
장소 | 브리즈번 |
날짜 | 1998년 2월 20일 |
기록 | 4.56 m |
선수 | 샌디 모리스 (Sandi Morris) |
국가 | 미국 |
장소 | 존스버러 |
날짜 | 2016년 4월 1일 |
기록 | 4.57 m |
선수 | 샌디 모리스 (Sandi Morris) |
국가 | 미국 |
장소 | 추라비스타 |
날짜 | 2016년 7월 15일 |
기록 | 4.58 m |
선수 | 에카테리니 스테파니디 (Ekaterini Stefanidi, Κατερίνη Στεφανίδη) |
국가 | 그리스 |
장소 | 필로테이 |
날짜 | 2016년 7월 25일 |
기록 | 4.59 m |
선수 | 샌디 모리스 (Sandi Morris) |
국가 | 미국 |
장소 | 우드랜드 |
날짜 | 2016년 7월 25일 |
기록 | 4.60 m |
선수 | 에카테리니 스테파니디 (Ekaterini Stefanidi, Κατερίνη Στεφανίδη) |
국가 | 그리스 |
장소 | 리오데자네이루 |
날짜 | 2016년 8월 19일 |
기록 | 4.62 m |
선수 | 제니퍼 쉬어 (Jennifer Suhr) |
국가 | 미국 |
장소 | 브록포트 |
날짜 | 2008년 6월 8일 |
기록 | 4.63 m |
선수 | 제니퍼 쉬어 (Jennifer Suhr) |
국가 | 미국 |
장소 | 뉴욕 |
날짜 | 2011년 7월 6일 |
기록 | 4.64 m |
선수 | 제니퍼 쉬어 (Jennifer Suhr) |
국가 | 미국 |
장소 | 유진 |
날짜 | 2012년 6월 23일 |
기록 | 4.65 m |
선수 | 엘리자 맥카트니 (Eliza McCartney) |
국가 | 뉴질랜드 |
장소 | 조크시티 |
날짜 | 2018년 7월 21일 |
기록 | 4.66 m |
선수 | 제니퍼 쉬어 (Jennifer Suhr) |
국가 | 미국 |
장소 | 디모인 |
날짜 | 2013년 4월 27일 |
기록 | 4.70 m |
선수 | 제니퍼 쉬어 (Jennifer Suhr) |
국가 | 미국 |
장소 | 디모인 |
날짜 | 2013년 4월 27일 |
기록 | 4.71 m |
선수 | 스텔라-이라 레디 (Stélla-Iró Ledí, Στέλλα-Ηρώ Λεδού) |
국가 | 그리스 |
장소 | 필로테이 |
날짜 | 2023년 5월 27일 |
기록 | 4.72 m |
선수 | 제니퍼 쉬어 (Jennifer Suhr) |
국가 | 미국 |
장소 | 로체스터 |
날짜 | 2014년 7월 6일 |
기록 | 4.73 m |
선수 | 케이티 나게오트 (Katie Nageotte) |
국가 | 미국 |
장소 | 애틀랜타 |
날짜 | 2018년 5월 19일 |
기록 | 4.74 m |
선수 | 제니퍼 쉬어 (Jennifer Suhr) |
국가 | 미국 |
장소 | 웨스트데모인 |
날짜 | 2016년 6월 26일 |
기록 | 4.75 m |
선수 | 샌디 모리스 (Sandi Morris) |
국가 | 미국 |
장소 | 슐레스비히 |
날짜 | 2023년 7월 25일 |
기록 | 4.76 m |
선수 | 엘리자 맥카트니 (Eliza McCartney) |
국가 | 뉴질랜드 |
장소 | 오클랜드 |
날짜 | 2018년 2월 25일 |
기록 | 4.77 m |
선수 | 샌디 모리스 (Sandi Morris) |
국가 | 미국 |
장소 | 킹스턴어폰헐 |
날짜 | 2018년 7월 8일 |
기록 | 4.78 m |
선수 | 샌디 모리스 (Sandi Morris) |
국가 | 미국 |
장소 | 에카테린부르크 |
날짜 | 2019년 7월 13일 |
기록 | 4.79 m |
선수 | 케이티 나게오트 (Katie Nageotte) |
국가 | 미국 |
장소 | 마리에타 |
날짜 | 2020년 7월 30일 |
기록 | 4.80 m |
선수 | 엘리자 맥카트니 (Eliza McCartney) |
국가 | 뉴질랜드 |
장소 | 노스쇼어 시티 |
날짜 | 2018년 12월 23일 |
기록 | 4.81 m |
선수 | 케이티 나게오트 (Katie Nageotte) |
국가 | 미국 |
장소 | 유진 |
날짜 | 2021년 6월 26일 |
기록 | 4.82 m |
선수 | 샌디 모리스 (Sandi Morris) |
국가 | 미국 |
장소 | 게이렌키르헨 |
날짜 | 2016년 7월 23일 |
기록 | 4.83 m |
선수 | 샌디 모리스 (Sandi Morris) |
국가 | 미국 |
장소 | 브뤼셀 |
날짜 | 2016년 9월 9일 |
기록 | 4.85 m |
선수 | 케이티 문 (Katie Moon) |
국가 | 미국 |
장소 | 로스앤젤레스 |
날짜 | 2023년 7월 8일 |
기록 | 4.86 m |
선수 | 옐레나 이신바예바 (Yelena Isinbayeva, Елена Исинбаева) |
국가 | 러시아 |
장소 | 게이트셰드 |
날짜 | 2004년 7월 4일 |
기록 | 4.87 m |
선수 | 옐레나 이신바예바 (Yelena Isinbayeva, Елена Исинбаева) |
국가 | 러시아 |
장소 | 런던 |
날짜 | 2005년 7월 22일 |
기록 | 4.88 m |
선수 | 옐레나 이신바예바 (Yelena Isinbayeva, Елена Исинбаева) |
국가 | 러시아 |
장소 | 브뤼셀 |
날짜 | 2005년 8월 26일 |
기록 | 4.89 m |
선수 | 옐레나 이신바예바 (Yelena Isinbayeva, Елена Исинбаева) |
국가 | 러시아 |
장소 | 로잔 |
날짜 | 2008년 7월 8일 |
기록 | 4.90 m |
선수 | 옐레나 이신바예바 (Yelena Isinbayeva, Елена Исинбаева) |
국가 | 러시아 |
장소 | 런던 |
날짜 | 2005년 7월 22일 |
기록 | 4.91 m |
선수 | 옐레나 이신바예바 (Yelena Isinbayeva, Елена Исинбаева) |
국가 | 러시아 |
장소 | 파리 |
날짜 | 2005년 7월 22일 |
기록 | 4.92 m |
선수 | 옐레나 이신바예바 (Yelena Isinbayeva, Елена Исинбаева) |
국가 | 러시아 |
장소 | 런던 |
날짜 | 2005년 7월 22일 |
기록 | 4.93 m |
선수 | 옐레나 이신바예바 (Yelena Isinbayeva, Елена Исинбаева) |
국가 | 러시아 |
장소 | 모나코 |
날짜 | 2007년 7월 10일 |
기록 | 4.95 m |
선수 | 옐레나 이신바예바 (Yelena Isinbayeva, Елена Исинбаева) |
국가 | 러시아 |
장소 | 베이징 |
날짜 | 2008년 8월 18일 |
기록 | 5.00 m |
선수 | 옐레나 이신바예바 (Yelena Isinbayeva, Елена Исинбаева) |
국가 | 러시아 |
장소 | 베를린 |
날짜 | 2009년 8월 28일 |
2. 역사
여자 장대높이뛰기는 남자 종목에 비해 비교적 역사가 짧으며,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주로 미국에서 비공식 기록들이 세워졌으나,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1990년대에 들어서야 여자 장대높이뛰기 세계 기록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따라서 여자 장대높이뛰기의 역사는 IAAF 공인 이전과 이후 시기로 나눌 수 있으며, 공인 이후 기록은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며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2. 1. 초기 역사 (IAAF 공인 이전)
여자 장대높이뛰기는 20세기 초반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이 시기의 기록들은 대부분 비공식적인 것이었다. 특히 미국에서 세워진 초기 기록들은 주로 야드파운드법 (피트와 인치)으로 측정되었으나,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과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는 미터법으로 측정된 기록만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3] 이러한 초기 기록들은 당시 여자 육상 종목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이나 체계적인 관리가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다.아래는 IAAF의 공식 기록 인정 이전에 세워진 주요 여자 장대높이뛰기 기록들이다. 표의 기록은 도약 당시 사용된 측정 단위(피트와 인치 또는 미터)이며, 피트/인치 기록의 경우 미터 환산값이 괄호 안에 병기되었다.
기록 | 선수 | 국가 | 장소 | 날짜 | 비고[3] |
---|---|---|---|---|---|
4 ft 9 in (1.45m)[1] | 루스 스펜서 | 미국 | 페인즈빌, 오하이오 | 1910년 5월 14일 | |
4 ft 10 in (1.47m)[1] | 1911년 5월 15일 | ||||
4 ft 11 in (1.5m)[1] | |||||
5 ft 1 in (1.55m)[1] | |||||
5 ft 2 in (1.57m)[1] | |||||
5 ft 3 in (1.6m)[1] | |||||
5 ft 4 in (1.63m)[1] | |||||
5 ft 5 in (1.65m)[1] | |||||
5 ft 6 in (1.68m)[1] | |||||
5 ft 7 in (1.7m)[1] | |||||
5 ft 7.75 in (1.72m)[2] | |||||
5 ft 8 in (1.73m)[1] | 헤이즐 휴타프 | 록힐, 사우스캐롤라이나 | 1915년 4월 3일 | ||
5 ft 9 in (1.75m)[1] | |||||
5 ft 9.75 in (1.77m)[2] | |||||
5 ft 10 in (1.78m)[1] | 로이스 테이텀 | 탤러해시, 플로리다 | 1915년 4월 13일 | ||
=5 ft 10 in (1.78m)[1] | 엠마 리 킹 | ||||
6 ft 0.5 in (1.84m)[2] | 로이스 테이텀 | ||||
=6 ft 0.5 in (1.84m)[1] | 에바 피스크 | 링컨, 네브래스카 | 1915년 5월 13일 | ||
6 ft 1 in (1.85m)[1] | |||||
6 ft 3 in (1.91m)[1] | |||||
=6 ft 3 in (1.91m)[1] | 밀드레드 칼 | 뉴헤이븐, 코네티컷 | 1915년 6월 6일 | ||
6 ft 4 in (1.93m)[1] | |||||
6 ft 5 in (1.96m)[1] | |||||
6 ft 6 in (1.98m)[1] | |||||
6 ft 7 in (2.01m)[1] | |||||
6 ft 8 in (2.03m)[1] | |||||
6 ft 9 in (2.06m)[1] | |||||
6 ft 10 in (2.08m)[1] | |||||
6 ft 11 in (2.11m)[1] | |||||
7 ft 0 in (2.13m)[2] | |||||
7 ft 1 in (2.16m)[1] | |||||
7 ft 2 in (2.18m)[2] | |||||
7 ft 3 in (2.21m)[2] | 1919년 6월 3일 | ||||
2.25m[1] | 엘바 힌츠 | 바이마르 공화국 | 뉘른베르크, 독일 | 1921년 7월 17일 | |
2.3m[1] | 헬레네 헤네케 | ||||
2.35m[2] | |||||
=2.35m[2] | 옐레나 골도비나 | 소련 | 모스크바, 러시아 SFSR | 1924년 9월 7일 | |
2.53m[2] | 조야 로마노바 | 1935년 8월 26일 | |||
8 ft 6 in (2.59m)[2] | 다이앤 브래그 | 미국 |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 | 1952년 7월 6일 | |
=8 ft 6 in (2.59m)[2] | 브렌다 워커 | 뉴질랜드 | 와이로아, 뉴질랜드 | 1969년 1월 8일 | |
8 ft 6.5 in (2.6m) (실내)[1] | 아이린 스피커 | 미국 | 루이빌, 켄터키 | 1978년 2월 10일 | |
8 ft 7 in (2.62m) (실내)[1] | 1979년 2월 9일 | ||||
9 ft 0 in (2.74m) (실내)[1] | |||||
9 ft 7 in (2.92m) (실내)[1] | |||||
10 ft 0.25 in (3.05m) (실내)[1] | |||||
=10 ft 0.25 in (3.05m)[2] | 자나 에드워즈 | 미상 | 1983년 6월 | ||
10 ft 6 in (3.2m)[2] | 시카고, 일리노이 | 1983년 6월 11일 | |||
10 ft 7 in (3.23m)[2] | 클리블랜드, 오하이오 | 1983년 6월 18일 | |||
11 ft 1 in (3.38m)[2] | 1983년 6월 18일 | ||||
11 ft 6 in (3.51m)[2] | 포트웨인, 인디애나 | 1983년 7월 23일 | |||
11 ft 9.5 in (3.6m)[2] | |||||
3.72m[2] | 장춘젠 | 중국 | 광저우, 중국 | 1988년 4월 20일 | |
3.73m[2] | 사오징먼 | 1988년 5월 4일 | |||
3.75m[2] | 장춘젠 | 난징, 중국 | 1988년 6월 10일 | ||
3.76m[2] | 저우민신 | 푸저우, 중국 | 1989년 4월 22일 | ||
3.8m[2] | 장춘젠 | 광저우, 중국 | 1989년 9월 9일 | ||
3.81m[2] | 1990년 3월 24일 | ||||
3.83m[2] | 순차이윈 | 1991년 3월 24일 | |||
=3.83m[2] | 장춘젠 | ||||
4m[2] | |||||
4.02m[2] | 베이징, 중국 | 1991년 6월 5일 | |||
4.05m[2] | 광저우, 중국 | 1991년 8월 10일 |
2. 2. IAAF 공인 이후의 발전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1990년대 들어 여자 장대높이뛰기 세계 기록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 다음은 IAAF 공인 이후의 세계 기록 변화 과정이다.[3]기록 (m) | 선수 | 국적 | 장소 | 날짜 | 비고[3] |
---|---|---|---|---|---|
4.05[4] | 쑨차이윈 | 중국 | 난징, 중국 | 1992년 5월 21일 | 1번째 IAAF 공인 세계 기록 |
4.08[4] | 1995년 5월 18일 | 2 | |||
4.08[4] | 중구이칭 | 1 | |||
4.10[4] | 다니엘라 바르토바 | 체코 | 류블랴나, 슬로베니아 | 1995년 5월 21일 | 1 |
4.12[4] | 뒤스부르크, 독일 | 1995년 6월 18일 | 2 | ||
4.13[4] | 베젤, 독일 | 1995년 6월 24일 | 3 | ||
4.14[4] | 게이츠헤드, 잉글랜드 | 1995년 7월 2일 | 4 | ||
4.15[4] | 오스트라바, 체코 | 1995년 7월 6일 | 5 | ||
4.16[4] | 펠트키르히, 오스트리아 | 1995년 7월 14일 | 6 | ||
4.17[4] | 1995년 7월 15일 | 7 | |||
4.18[4] | 안드레아 뮐러 | 독일 | 치타우, 독일 | 1995년 8월 5일 | 1 |
4.20[4] | 다니엘라 바르토바 | 체코 | 쾰른, 독일 | 1995년 8월 18일 | 8 |
4.21[4] | 린츠, 오스트리아 | 1995년 8월 22일 | 9 | ||
4.22[4] | 숄고타르얀, 헝가리 | 1995년 9월 11일 | 10 | ||
4.25[4] | 엠마 조지 | 오스트레일리아 |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1995년 11월 30일 | 1 |
4.28[4] | 퍼스, 오스트레일리아 | 1995년 12월 17일 | 2 | ||
4.30[4] | 1996년 1월 28일 | 3 | |||
4.41[4] | 4 | ||||
4.42[4] | 랭스, 프랑스 | 1996년 6월 29일 | 5 | ||
4.45[4] | 삿포로, 일본 | 1996년 7월 14일 | 6 | ||
4.50[4] |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1997년 2월 8일 | 7 | ||
4.55[4] | 1997년 2월 20일 | 8 | |||
4.57[4] | 오클랜드, 뉴질랜드 | 1998년 2월 21일 | 9 | ||
4.58[4] |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1998년 3월 14일 | 10 | ||
4.59[4] | 브리즈번, 오스트레일리아 | 1998년 3월 21일 | 11 | ||
4.60[4]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1999년 2월 20일 | 12 | ||
4.60[4] | 스테이시 드라길라 | 미국 | 세비야, 스페인 | 1999년 8월 21일 | 1 |
4.60 (실내)[4][5] | 포카텔로, 미국 | 2000년 2월 19일 | 2 | ||
4.62 (실내)[4][5] | 애틀랜타, 미국 | 2000년 3월 3일 | 3 | ||
4.63[4] | 새크라멘토, 미국 | 2000년 7월 23일 | 4 | ||
4.63 (실내)[4][5] | 뉴욕, 미국 | 2001년 2월 2일 | 5 | ||
4.64 (실내)[4][5] | 스베틀라나 페오파노바 | 러시아 | 도르트문트, 독일 | 2001년 2월 11일 | 1 |
4.66 (실내)[4][5] | 스테이시 드라길라 | 미국 | 포카텔로, 미국 | 2001년 2월 17일 | 6 |
4.70 (실내)[4][5] | 7 | ||||
4.70[4] | 2001년 4월 27일 | 8 | |||
4.71[4] | 스탠퍼드, 미국 | 2001년 6월 9일 | 9 | ||
4.81[4] | 10 | ||||
4.82[4] | 옐레나 이신바예바 | 러시아 | 게이츠헤드, 잉글랜드 | 2003년 7월 13일 | 1 |
4.83 (실내)[4][5] | 도네츠크, 우크라이나 | 2004년 2월 15일 | 2 | ||
4.85 (실내)[4][5] | 스베틀라나 페오파노바[6] | 아테네, 그리스 | 2004년 2월 22일 | 2 | |
4.86 (실내)[4][5] | 옐레나 이신바예바 | 부다페스트, 헝가리 | 2004년 3월 6일 | 3 | |
4.87[4] | 게이츠헤드, 잉글랜드 | 2004년 6월 27일 | 4 | ||
4.88[4] | 스베틀라나 페오파노바 | 이라클리온, 그리스 | 2004년 7월 4일 | 3 | |
4.89[4] | 옐레나 이신바예바 | 버밍엄, 잉글랜드 | 2004년 7월 25일 | 5 | |
4.90[4] | 런던, 잉글랜드 | 2004년 7월 30일 | 6 | ||
4.91[4] | 아테네, 그리스 (2004년 하계 올림픽) | 2004년 8월 24일 | 7 | ||
4.92[4] | 브뤼셀, 벨기에 | 2004년 9월 3일 | 8 | ||
4.93[4] | 로잔, 스위스 | 2005년 7월 5일 | 9 | ||
4.95[4] | 마드리드, 스페인 | 2005년 7월 16일 | 10 | ||
4.96[4] | 런던, 잉글랜드 | 2005년 7월 22일 | 11 | ||
5.00[4] | 12 | ||||
5.01[4] | 헬싱키, 핀란드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2005년 8월 9일 | 13 | ||
5.03[4] | 로마, 이탈리아 | 2008년 7월 11일 | 14 | ||
5.04[4] | 퐁비에유, 모나코 | 2008년 7월 29일 | 15 | ||
5.05[4] | 베이징, 중국 (2008년 하계 올림픽) | 2008년 8월 18일 | 16 | ||
5.06[7] | 취리히, 스위스 | 2009년 8월 28일 | 17 | ||
대한민국 여자 장대높이뛰기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 시기부터 최윤희, 임은지와 같은 선수들이 국제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한국 여자 장대높이뛰기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1994년 1월 1일부터 여자 장대높이뛰기 기록을 공식적으로 공인하기 시작했다. IAAF가 공인한 세계 기록과 그 이전의 주요 기록 추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대한민국 여자 장대높이뛰기
특히 최윤희는 2010년대에 여러 차례 한국 기록을 경신하며 대한민국 여자 장대높이뛰기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대한민국 여자 장대높이뛰기는 아직 세계 정상급 수준과는 격차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앞으로 더 많은 유망주를 발굴하고 체계적인 훈련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4. 역대 세계 기록
4. 1. IAAF 공인 세계 기록 (1992년 ~ 현재)
wikitext
# | 기록(m) | 차이(cm) | 선수 | 국적 | 날짜 | 대회명 | 개최지 | 주석 |
---|---|---|---|---|---|---|---|---|
1 | 4.05m | 쑨차이윈 | 중국 | 1992. 5. 21 | 난징, 중국 | [8] | ||
2 | 4.08m | 중구이칭 | 중국 | 1995. 5. 18 | 타이위안, 중국 | [8] | ||
3 | 4.08m | 쑨차이윈 | 중국 | 1995. 5. 19 | 타이위안, 중국 | [8] | ||
4 | 4.1m | 다니엘라 바르토바 | 체코 | 1995. 5. 21 | 류블랴나, 슬로베니아 | [8] | ||
5 | 4.12m | 1995. 6. 18 | 뒤스부르크, 독일 | [8] | ||||
6 | 4.13m | 1995. 6. 25 | 베젤, 독일 | [8] | ||||
7 | 4.14m | 1995. 7. 2 | 게이츠헤드, 영국 | [8] | ||||
8 | 4.15m | +1 | 1995. 7. 6 | 오스트라바 황금 스파이크 | 오스트라바, 체코 | [8] | ||
9 | 4.16m | 1995. 7. 14 | 펠트키르히, 오스트리아 | [8] | ||||
10 | 4.17m | 1995. 7. 15 | 펠트키르히, 오스트리아 | [8] | ||||
11 | 4.2m | 1995. 8. 18 | 쾰른, 독일 | [8] | ||||
12 | 4.21m | 1995. 8. 22 | 린츠, 오스트리아 | [8] | ||||
13 | 4.22m | 1995. 9. 11 | 셜고터랸, 헝가리 | [8] | ||||
14 | 4.18m | 안드레아 뮐러 | 독일 | 1995. 8. 5 | 치타우, 독일 | [8] | ||
15 | 4.25m | 엠마 조지 | 오스트레일리아 | 1995. 11. 30 |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8] | ||
16 | 4.28m | 1995. 12. 17 | 퍼스, 오스트레일리아 | [8] | ||||
17 | 4.41m | 1996. 1. 28 | 퍼스, 오스트레일리아 | [8] | ||||
18 | 4.42m | 1996. 6. 29 | 랭스, 프랑스 | [8] | ||||
19 | 4.45m | 1996. 7. 14 | 삿포로, 일본 | [8] | ||||
20 | 4.5m | +5 | 1997. 2. 8 | 빅토리아 육상 선수권 대회 |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8] | ||
21 | 4.55m | +5 | 1997. 2. 20 | 멜버른 트랙 클래식 (IAAF 그랑프리 육상 대회) |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8] | ||
22 | 4.57m | 1998. 2. 21 | 오클랜드, 뉴질랜드 | [8] | ||||
23 | 4.58m | 1998. 3. 14 | 오스트레일이리아 육상 선수권 대회 |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9] | |||
24 | 4.59m | +1 | 1998. 3. 21 | 브리즈번 육상 대회 | 브리즈번, 오스트레일리아 | [8][10] | ||
25 | 4.6m | +1 | 1999. 2. 20 | 시드니 그랑프리 육상 대회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8] | ||
26 | 4.6m | 스테이시 드라길라 | 미국 | 1999. 8. 21 | 제7회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세비야, 스페인 | [8] | |
27 | 4.61m (i) | 2000. 2. 19 | Golden Spike Invitational | 포커텔로, 미국 | [8][11] | |||
28 | 4.62m (i) | 2000. 3. 3 | 미국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애틀랜타, 미국 | [8][11] | |||
29 | 4.63m | 2000. 7. 23 | 미국 육상 올림픽 대표 선발전 | 새크라멘토, 미국 | [8] | |||
30 | 4.63m (i) | 2001. 2. 2 | 밀로즈 게임스 | 뉴욕, 미국 | [8][11] | |||
31 | 4.66m (i) | 2001. 2. 17 | 골든 스파이크 인비테이셔널 | 포커텔로, 미국 | [8][11] | |||
32 | 4.7m (i) | 2001. 2. 17 | 포커텔로, 미국 | [8][11] | ||||
33 | 4.7m | 2001. 4. 27 | 아이다호 주립대 스프링페스트 | 포커텔로, 미국 | [8] | |||
34 | 4.71m | 2001. 6. 9 | 페레그린 U.S 오픈 그랑프리 미팅 | 팰러앨토, 미국 | [8] | |||
35 | 4.81m | 2001. 6. 9 | 페레그린 U.S 오픈 그랑프리 미팅 | 팰러앨토, 미국 | [8] | |||
36 | 4.64m (i) | 스베틀라나 페오파노바 | 러시아 | 2001. 2. 11 | 스파카센 실내 미팅 (IAAF Permit Meet) | 도르트문트, 독일 | [8][11][12] | |
37 | 4.85m (i) | 2004. 2. 22 | 실내육상대회 | 아테네, 그리스 | [8][11][13] | |||
38 | 4.88m | 2004. 7. 4 | 아테네 그랑프리 치클리티리아 (IAAF 슈퍼 그랑프리) | 이라클리오, 그리스 | [8] | |||
39 | 4.82m | 옐레나 이신바예바 | 러시아 | 2003. 7. 13 | 2003 슈퍼그랑프리육상대회 | 게이츠헤드, 영국 | [8] | |
40 | 4.83m (i) | 2004. 2. 15 | 장대높이뛰기 스타스 대회 | 도네츠크, 우크라이나 | [8][11] | |||
41 | 4.86m (i) | 2004. 3. 6 | 2004년 세계 실내 육상 선수권 대회 | 부다페스트, 헝가리 | [8][11] | |||
42 | 4.87m | 2004. 6. 27 | 브리티시 슈퍼그랑프리대회 | 게이츠헤드, 영국 | [8] | |||
43 | 4.89m | 2004. 7. 25 | 노리치유니온국제육상대회 | 버밍엄, 영국 | [8] | |||
44 | 4.9m | +1 | 2004. 7. 30 | IAAF 런던 슈퍼 그랑프리 | 런던, 영국 | [8] | ||
45 | 4.91m | +1 | 2004. 8. 24 | 제28회 하계 올림픽 | 아테네, 그리스 | [8] | ||
46 | 4.92m | +1 | 2004. 9. 3 | 반 담 기념 육상 대회 | 브뤼셀, 벨기에 | [8] | ||
47 | 4.93m | +1 | 2005. 7. 5 | 아슬레티시마 (IAAF 슈퍼 그랑프리) | 로잔, 스위스 | [8] | ||
48 | 4.95m | +2 | 2005. 7. 16 | 마드리드 육상 대회 (IAAF 슈퍼 그랑프리) | 마드리드, 스페인 | [8] | ||
49 | 4.96m | +1 | 2005. 7. 22 | IAAF 런던 슈퍼 그랑프리 | 런던, 영국 | [8] | ||
50 | 5m | +4 | 2005. 7. 22 | IAAF 런던 슈퍼 그랑프리 | 런던, 영국 | [8] | ||
51 | 5.01m | +1 | 2005. 8. 9 | 2005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 헬싱키, 핀란드 | [8] | ||
52 | 5.03m | +2 | 2008. 7. 11 | 골든 갈라 육상 대회 (IAAF 골든 리그) | 로마, 이탈리아 | [8] | ||
53 | 5.04m | +1 | 2008. 7. 29 | 헤르쿨리스 대회 (IAAF 슈퍼 그랑프리) | 퐁비에유, 모나코 | [8] | ||
54 | 5.05m | +1 | 2008. 8. 18 | 제29회 하계 올림픽 | 베이징, 중국 | [8] | ||
55 | 5.06m | +1 | 2009. 8. 28 | 벨트클라세 취리히 | 취리히, 스위스 | [14] |
4. 2. IAAF 공인 이전 세계 기록 (참고)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은 1994년 1월 1일부터 여자 장대높이뛰기 기록을 공식적으로 공인하기 시작했다. 그 이전에 세워진 기록들은 비록 IAAF의 공식 세계 기록은 아니지만, 여자 장대높이뛰기 종목의 초기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특히 초기 기록 중 상당수는 미국에서 야드파운드법으로 측정되었으며, 이후 미터법으로 환산되었다.아래는 IAAF 공인 이전에 세워진 주요 기록들이다.[3]
기록 (m) | 선수 | 국적 | 날짜 | 장소 | 비고 |
---|---|---|---|---|---|
1.45m[1] | 루스 스펜서 | 미국 | 1910년 5월 14일 | 페인즈빌, 미국 | |
1.47m[1] | 1911년 5월 15일 | ||||
1.5m[1] | |||||
1.55m[1] | |||||
1.57m[1] | |||||
1.6m[1] | |||||
1.63m[1] | |||||
1.65m[1] | |||||
1.68m[1] | |||||
1.7m[1] | |||||
1.72m[2] | |||||
1.73m[1] | 헤이즐 휴타프 | 록힐, 미국 | 1915년 4월 3일 | ||
1.75m[1] | |||||
1.77m[2] | |||||
1.78m[1] | 로이스 테이텀 | 탤러해시, 미국 | 1915년 4월 13일 | ||
1.78m[1] | 엠마 리 킹 | = | |||
1.84m[2] | 로이스 테이텀 | ||||
1.84m[1] | 에바 피스크 | 링컨, 미국 | 1915년 5월 13일 | = | |
1.85m[1] | |||||
1.91m[1] | |||||
1.91m[1] | 밀드레드 칼 | 뉴헤이븐, 미국 | 1915년 6월 6일 | = | |
1.93m[1] | |||||
1.96m[1] | |||||
1.98m[1] | |||||
2.01m[1] | |||||
2.03m[1] | |||||
2.06m[1] | |||||
2.08m[1] | |||||
2.11m[1] | |||||
2.13m[2] | |||||
2.16m[1] | |||||
2.18m[2] | |||||
2.21m[2] | 1919년 6월 3일 | ||||
2.25m[1] | 엘바 힌츠 | 바이마르 공화국 | 뉘른베르크, 바이마르 공화국 | 1921년 7월 17일 | |
2.3m[1] | 헬레네 헤네케 | ||||
2.35m[2] | |||||
2.35m[2] | 옐레나 골도비나 | 소련 | 모스크바, 소련 | 1924년 9월 7일 | = |
2.53m[2] | 조야 로마노바 | 1935년 8월 26일 | |||
2.59m[2] | 다이앤 브래그 | 미국 | 필라델피아, 미국 | 1952년 7월 6일 | |
2.59m[2] | 브렌다 워커 | 뉴질랜드 | 와이로아, 뉴질랜드 | 1969년 1월 8일 | = |
2.6m i[1] | 아이린 스피커 | 미국 | 루이빌, 미국 | 1978년 2월 10일 | 실내 기록 |
2.62m i[1] | 1979년 2월 9일 | 실내 기록 | |||
2.74m i[1] | 실내 기록 | ||||
2.92m i[1] | 실내 기록 | ||||
3.05m i[1] | 실내 기록 | ||||
3.05m[2] | 자나 에드워즈 | * 1983년 6월 | |||
3.2m[2] | 시카고, 미국 | 1983년 6월 11일 | |||
3.23m[2] | 클리블랜드, 미국 | 1983년 6월 18일 | |||
3.38m[2] | 1983년 6월 18일 | ||||
3.51m[2] | 포트웨인, 미국 | 1983년 7월 23일 | |||
3.59m[2] | |||||
3.72m[2] | 장춘젠 | 중국 | 광저우, 중국 | 1988년 4월 20일 | |
3.73m[2] | 사오징먼 | 1988년 5월 4일 | |||
3.75m[2] | 장춘젠 | 난징, 중국 | 1988년 6월 10일 | ||
3.76m[2] | 저우민신 | 푸저우, 중국 | 1989년 4월 22일 | ||
3.8m[2] | 장춘젠 | 광저우, 중국 | 1989년 9월 9일 | ||
3.81m[2] | 1990년 3월 24일 | ||||
3.83m[2] | 쑨차이윈 | 1991년 3월 24일 | |||
3.83m[2] | 장춘젠 | = | |||
4m[2] | |||||
4.02m[2] | 베이징, 중국 | 1991년 6월 5일 | |||
4.05m[2] | 광저우, 중국 | 1991년 8월 10일 |
참조
[1]
PDF
http://iaaf-ebooks.s[...]
[2]
웹사이트
Women's PV World Record Progression - PoleVaultPower.com
http://www.polevault[...]
[3]
문서
The numbered occurrence of the athlete breaking the world record, in other words "#7" would indicate the 7th time the athlete broke the world record.
[4]
웹사이트
12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Berlin 2009.
http://www.iaaf.org/[...]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07-30
[5]
문서
"From 2000, [[IAAF]] Rule 260.18s (formerly 260.6.a) was amended to say [[World record|world records]] (as opposed to indoor world records) can be set in a facility 'with or without a roof.' So far, only one event - the women's pole vault - has been affected by this change, which was not applied retrospectively. Therefore world records set in 2000 and 2001 by Stacy Dragila and Svetlana Feofanova can be regarded as 'absolute' and appear on these [record progression] lists."
http://www.iaaf.org/[...]
[6]
문서
The IAAF lists Yelena Isinbayeva as having set this mark on 20 February 2004 on their 2009-published progression lists. However, multiple sources elsewhere, including the IAAF's own list of highest women's indoor vaults of the year 2004,
http://www.iaaf.org/[...]
[7]
웹사이트
World Records Ratified
http://www.iaaf.org/[...]
2009-11-09
[8]
웹인용
12th IAAF World Championships In Athletics: IAAF Statistics Handbook. Berlin 2009.
https://web.archive.[...]
IAAF Media & Public Relations Department
2009
[9]
웹인용
Australian Track & Field Championships 1997-98
http://www.athletics[...]
2012-07-19
[10]
뉴스
'엠마 조지 올 세 번째 세계신'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98-03-23
[11]
문서
"From 2000, [[IAAF]] Rule 260.18s (formerly 260.6.a) was amended to say [[World record|world records]] (as opposed to indoor world records) can be set in a facility 'with or without a roof.' So far, only one event - the women's pole vault - has been affected by this change, which was not applied retrospectively. Therefore world records set in 2000 and 2001 by 스테이시 드러길라 and Svetlana Feofanova can be regarded as 'absolute' and appear on these [record progression] lists."
http://www.iaaf.org/[...]
20110629134819
[12]
웹인용
Uitslagen Sparkassen Indoorgala Dortmund
http://sportslion.ne[...]
2012-07-08
[13]
문서
The IAAF lists 옐레나 이신바예바 as having set this mark on 20 February 2004 on their 2009-published progression lists. However, multiple sources elsewhere, including the IAAF's own list of highest women's indoor vaults of the year 2004,
http://www.iaaf.org/[...]
[14]
웹인용
World Records Ratified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