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클리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라클리오는 그리스 크레타 섬의 주요 도시이자 행정 중심지이다. 고대 헤라클레이움에서 유래된 이라클리오는 미노아 문명 시대부터 중요한 항구 도시로 발전했으며, 크노소스 궁전 유적을 포함한 다양한 유적과 건축물이 남아있다. 9세기에는 아랍 세력의 지배를 받기도 했으며, 이후 비잔틴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만 제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거치며 도시의 이름과 모습이 변화했다.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에는 칸디아로 불렸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칸디예로 불리며 크레타 섬의 수도 역할을 했다. 현재는 이라클리오 국제공항, 해상 항구, 유럽 고속도로 75호선 등을 통해 교통의 요충지 역할을 하며, 이라클리오 고고학 박물관, 크레타 자연사 박물관 등 다양한 박물관과 문화 시설을 갖춘 관광 도시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클리오 - 크노소스
크노소스는 크레타 섬의 고대 도시로, 미노스 문명의 중심지였던 크노소스 궁전으로 유명하며,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고, 청동기 시대에는 거대한 궁전을 중심으로 번영했으며, 미노타우로스 미궁 전설과 함께 고고학 유적지로 남아있다. - 이라클리오 - 칸디아 공방전
칸디아 공방전은 1648년부터 1669년까지 크레타 섬의 칸디아에서 베네치아 공화국과 오스만 제국 간에 벌어진 21년간의 공성전으로,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끝났으며 다르다넬스 해협 봉쇄 시도, 서유럽의 지원, 그리고 베네치아의 생물학전 계획 등이 복합적으로 얽힌 전투이다. - 이라클리오현 - 디아섬
디아섬은 크레타 섬 북쪽에 위치한 무인도로, 제우스가 만든 섬이라는 전설이 있으며, 다양한 보호 야생 동물의 서식지이자 유럽 자연 네트워크의 일부이고, 고대 항구 유적이 발견된 곳으로 당일 여행이 가능하다. - 이라클리오현 - 크레타만
크레타만은 크레타섬 주변 해역으로, 여러 항구와 도시들을 포함하며, 하니아만, 수다만, 알미로스만, 미라벨로만 등의 만을 포함한다. - 그리스의 주도 - 아테네
아테네는 그리스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서구 문명의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아크로폴리스와 다양한 교통 시스템을 갖춘 관광 도시이다. - 그리스의 주도 - 파트라
파트라는 그리스 아카이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서그리스의 중심지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시대의 지배를 거쳐 풍부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의 중요한 무대였고 현재는 문화 유적과 현대 도시의 모습을 갖춘 그리스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이다.
| 이라클리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일반 정보 | |
![]() | |
| 유형 | 자치단체 |
| 위치 | 크레타 |
| 광역 자치 단위 | 이라클리오 |
| 시장 | 알렉시스 칼로카이리노스 |
| 시장 취임 | 2023년 |
| 인구 (2021년) | 179,302명 (자치단체) |
| 인구 (2011년) | 156,842명 (도시 지역) |
| 도시 기능 구역 인구 | 211,370명 |
| 면적 (자치단체) | 244.6 km² |
| 면적 (도시 지역) | 109.0 km² |
| 고도 | 0 ~ 33 m |
| 시간대 | CET (UTC+2) CEST (UTC+3) |
| 우편 번호 | 70x xx, 71x xx, 720 xx |
| 지역 번호 | 281 |
| 자동차 번호판 | HK, HP, HZ |
| 웹사이트 | Heraklion-city.gr |
| 발음 | |
| 인구 통계 | |
| 도시 방문객 순위 (2017) | 세계 93위 |
2. 명칭
이라클리오(Ηράκλειονell, 헤라클레이온)라는 이름은 크노소스의 항구 역할을 했던 고대 헤라클레이움에서 유래했다.[8][9] 이 항구는 영웅 헤라클레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0] 고대에는 크노소스에서 약 20스타디아(약 3.7km) 떨어진 곳에 위치했으며,[11] 스트라보 역시 이 두 장소의 연관성을 언급했다.[12] 고대 항구의 부지는 오늘날의 항구 지역 근처, 현대 도시의 경계 안에 속한다. 종교 기록에는 주교구로 등재되어 있지 않지만, '헤라클레오폴리스의 테오도로스'라는 주교가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 참석했다는 기록이 있다.[13]
역사적으로 이라클리오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 824년, 알-안달루스(이베리아)에서 온 아랍인들이 크레타를 정복하고 크레타 토후국을 세운 후, 수도를 고르티나에서 이곳으로 옮기고 '해자의 성'이라는 뜻의 '''ربض الخندقara'''(라브드 알-한다크)라고 불렀다.[15]
- 비잔틴 제국이 크레타를 되찾은 후, 아랍어 이름은 그리스어화되어 '''Χάνδαξell'''(칸다크스) 또는 '''Χάνδακαςell'''(칸다카스)가 되었다. 이 시기 현지에서는 '큰 성'이라는 뜻의 '''Μεγάλο Κάστροell'''(메갈로 카스트로)로 불렸고, 주민들은 '성 거주자'라는 의미의 Καστρινοίell(카스트리노이)라고 불렸다.[17]
- 베네치아 공화국과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칸디아'''(Candiaita)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이 이름은 칸다크스에서 유래했으며, 라틴어와 스페인어에서도 같은 표기를 사용했고, 프랑스어로는 Candiefra(칸디), 영어로는 Candyeng(캔디)로 불렸다. 이 이름은 도시뿐 아니라 크레타 섬 전체를 지칭하기도 했다. 오스만 제국은 이 도시를 '''Kandiyetur'''(칸디예)라고 불렀다.[16][54]
고대의 이름 '헤라클레이온'은 19세기에 부활했으며, 1867년 이전부터 이미 지역 주민들이 사용하고 있었다.[14] 현대 그리스어(데모티키) 표기는 '''Ηράκλειοell'''이며, 라틴 문자로는 ''Iraklio''로 표기한다. 카사레부사에 따른 표기 및 발음 역시 '이라클리오'이다.
3. 역사
이라클리오라는 이름은 고대 헤라클레이움(Heracleium)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크노소스의 항구 역할을 했던 곳이다.[8][9] 이 항구의 이름은 영웅 헤라클레스의 이름을 딴 것이다.[10] 고대 스트라보 역시 크노소스와 이 항구의 연관성을 언급했다.[12] 이 고대 이름은 19세기에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14]
고대 미노스 문명 시기, 이 지역은 크노소스의 항구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노스 문명 쇠퇴 이후 로마 시대에 이르러서야 다시 건설 활동이 있었으나, 비잔틴 제국 초기까지 해적 활동이 잦았다.[21]
824년, 알-안달루스 출신의 아랍인들이 크레타를 정복하고 크레타 토후국을 세우면서, 이곳을 수도로 삼고 'ربض الخندق|라브드 알-한다크ara'(해자의 성)라고 불렀다.[15] 이 이름은 그리스어로 'Χάνδαξ|칸닥스grc' 또는 'Χάνδακας|칸다카스grc'로 변형되었다. 아랍 통치 하에서 이곳은 해적들의 근거지로 이용되기도 했다.
961년, 비잔틴 제국이 칸다크스 공방전 끝에 도시를 탈환하고 재건했다. 이후 약 240년간 비잔틴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지에서는 'Μεγάλο Κάστρο|메갈로 카스트로el'(큰 성)라는 이름으로 불렸다.[17]
1204년, 제4차 십자군 이후 복잡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도시는 베네치아 공화국에 매각되었다. 베네치아인들은 도시 이름을 '칸디아'(Candia|칸디아ita)로 바꾸고, 두께가 40m에 달하는 거대한 벽을 포함한 강력한 요새를 건설했으며, 이곳을 칸디아 왕국의 중심지로 삼았다. 이 시기 크레타 르네상스라 불리는 문화적 부흥기를 맞이하기도 했다.
1669년, 크레타 전쟁 (1645–1669) 중 21년에 걸친 칸디아 포위전 끝에 오스만 제국이 도시를 점령했다. 오스만 시대에는 '칸디예'(Kandiye|칸디예ota)로 불렸으며, 한동안 크레타의 수도였으나 나중에 하니아에게 수도 지위를 넘겨주었다.[23] 이 시기에는 항구 기능이 약화되었다.
1898년, 자치 크레타국이 성립되면서 영국 관리 하에 들어갔고, 이때 고대 이름인 '이라클리오'가 공식적으로 부활했다. 1913년에는 크레타 전체와 함께 그리스 왕국에 병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크레타 전투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25], 1971년 다시 크레타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고 이후 주요 관광 도시로 발전했다.[25]
3. 1. 미노아 문명 시대

이라클리오는 도시 남쪽 외곽에 위치한 크노소스 궁전 유적이 있으며, 이라클리온 시에 속한다. 미노아 문명 시대에 크노소스는 크레타 섬에서 가장 큰 인구 밀집 지역이었으며, 많은 사람들은 이곳을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로 여긴다.[19]
크노소스는 초기 미노아 시대 (기원전 3500년 ~ 기원전 2100년)부터 이라클리온 지역(현대 포로스-카참바스[20] 인근)에 항구를 가지고 있었다.
3. 2. 고대 ~ 중세 시대
미노아 문명의 멸망 이후, 이라클리오를 포함한 크레타 섬 전체는 어려움을 겪었고 지역 발전은 미미했다. 로마인들이 도착한 후에야 이 지역에서 건설이 시작되었지만, 특히 비잔틴 제국 초기에는 해적과 강도들이 만연했다.[21]
이라클리온은 824년 수도로 지정되었으며, 이듬해 아랍인들이 아부 하프스 우마르 알-이크리티시의 지휘 아래 요새 건설을 시작했다. 이들은 에미르 알-하캄 1세에 의해 알-안달루스에서 추방되어 동로마 제국으로부터 섬을 점령한 세력이었다. 그들은 도시를 보호하기 위해 해자를 건설하고 도시를 'ربض الخندق|라바드 알-한닥ara'(해자의 성) 또는 그리스어화된 이름인 'Χάνδαξ|찬닥스grc'라고 불렀다. 이 도시는 크레타 토후국 (약 827년–961년)의 수도가 되었다. 사라센인들은 이 항구를 비잔틴 제국 선박을 공격하고 에게해 주변의 제국 영토를 습격하는 해적들의 안전한 은신처로 사용하도록 허용했다.
960년, 훗날 황제가 되는 니케포로스 포카스가 지휘하는 비잔틴 제국 군대가 크레타에 상륙하여 이라클리오를 공격했다. 칸다크스 공방전 끝에 이 도시는 961년 3월 함락되었다. 사라센인 주민들은 학살당했으며, 도시는 약탈당하고 불타 파괴되었다. 곧 재건된 이 도시는 이후 243년 동안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9세기에는 이슬람 세력에 의해 도시가 건설되었다고 전해지지만, 그 이전에도 문명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유적 등이 발견되고 있다. 그 후, 동로마 제국, 제노바 등의 지배를 거쳐, 13세기 초 제4차 십자군 이후 세력을 확장하던 베네치아의 지배하에 놓였다. 현재에도 베네치아령 시대의 요새가 남아있다. 그 후, 20년이 넘는 공방전 끝에 1669년 오스만 제국이 이 도시를 점령했다. 20세기 초에 그리스령이 되었다.
3. 3.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

1204년, 이라클리오는 복잡한 정치적 거래의 일환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에 매각되었다. 이 거래에는 제4차 십자군이 폐위된 동로마 제국 황제 이삭 2세 앙겔루스를 복위시키는 내용 등이 포함되었다. 베네치아인들은 도시의 해자를 개선하고 거대한 요새를 건설했는데, 두께가 40m에 달하는 거대한 벽과 7개의 보루, 항구 요새 등 그 구조물의 상당 부분이 현재까지 남아있다.
이 시기 도시는 찬닥스에서 "칸디아"(Candia|칸디아ita)로 이름이 바뀌었고, 칸디아 공작의 소재지가 되었다. 크레타 섬 전체의 베네치아 행정 구역은 "칸디아 왕국"(Regno di Candia|칸디아 왕국ita)으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칸디아라는 이름은 도시뿐 아니라 크레타 섬 전체를 지칭하는 데에도 자주 사용되었다. 베네치아는 자신들의 통치를 공고히 하기 위해 1212년부터 베네치아 출신 가문들을 크레타에 정착시키기 시작했다. 이러한 두 문화의 공존과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영향은 칸디아를 중심으로 크레타 전역에 문학과 예술이 꽃피는 크레타 르네상스를 이끌었다.
3. 4. 오스만 제국 시대
크레타 전쟁 (1645–1669) 동안 오스만 제국은 1648년부터 1669년까지 21년 동안 도시를 포위했는데, 이는 역사상 가장 긴 포위전 중 하나로 기록된다. 특히 마지막 단계는 22개월간 이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투르크인 약 7만 명, 크레타인과 노예 약 3만 8천 명, 그리고 도시를 방어하던 기독교 수비대 약 2만 9천 명이 목숨을 잃는 등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낳았다.[22] 알바니아인 출신 대재상 쾨프릴뤼 파즐 아흐메트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는 결국 1669년에 도시를 점령했다.오스만 제국 시대에 이 도시는 Kandiye|칸디예ota로 불렸으며, 1849년까지 크레타의 수도(''Girit Eyâleti'') 역할을 했다. 이후 수도가 하니아(오스만 튀르크어: Hanya|하니아ota)로 옮겨지면서 칸디예는 산자크의 지위로 변경되었다.[23] 당시 그리스인들은 이 도시를 흔히 Μεγάλο Κάστρο|메갈로 카스트로el('큰 성')라고 불렀다.
오스만 통치 기간 동안 항구에 토사가 쌓이면서 항구 기능이 점차 약화되었고, 주요 해상 운송 기능은 섬 서부에 위치한 하니아로 옮겨가게 되었다.
3. 5. 근현대
1856년 10월 12일, 크레타 섬 북쪽 해안에서 발생한 1856년 이라클리오 지진으로 인해 도시 내 3,600채 이상의 가옥 대부분이 파괴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 당시 온전하게 남은 집은 18채에 불과했으며, 이 재앙으로 이라클리오에서만 538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24]1898년에는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아래 국제적인 감시를 받는 자치 크레타국이 세워졌고, 그리스의 게오르기오스 왕자가 최고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열강들이 섬을 직접 관리하던 시기(1898–1908) 동안, 칸디아(이라클리오의 옛 이름)는 영국의 통제 하에 있었다. 이때 도시의 이름은 고대 명칭인 "이라클리오"로 다시 바뀌었다.
1913년, 이라클리오는 나머지 크레타 지역과 함께 그리스 왕국에 공식적으로 병합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1년 5월, 독일의 침공 작전인 크레타 전투 과정에서 도시는 격렬한 폭격을 받아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라클리오는 1945년까지 독일의 점령 하에 놓였다. 전쟁 이후, 1971년에 이라클리오는 하니아를 대신하여 다시 크레타의 행정 중심지, 즉 수도의 지위를 되찾았다. 1980년대부터는 도시와 크레타 섬 전체가 중요한 관광지로 발전하기 시작했다.[25]
4. 지리
이라클리오는 그리스 최대의 섬인 크레타 북부 해안에 위치한 도시이다. 크레타 현의 현청 소재지이며, 섬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이기도 하다. 에게 해 남쪽, 지중해 동부에 자리 잡고 있어 역사적으로나 현대적으로나 중요한 해상 교통의 요지이다. 해안에 발달한 항구 도시이며, 배후에는 크레타 섬의 산지가 펼쳐져 있다.
4. 1. 기후
이라클리오는 덥고 건조한 여름과 온화하고 비가 오는 겨울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해성 기후 (쾨펜 기후 구분: ''Csa'')를 보인다. 여름은 대체로 맑고 건조하며, 에게 해에서 불어오는 계절풍(멜테미)이 더위를 완화시키기도 한다. 겨울은 온화하며 비가 내린다. 이라클리온은 아테네보다 남쪽에 위치하여 겨울이 더 따뜻하지만, 여름에는 해양의 영향으로 아테네보다 시원한 편이다. 여름철 최고 기온은 보통 28°C에서 30°C 사이이며, 이는 아테네보다 약 5°C 낮다. 역대 최저 기온 기록은 공항에서 -0.8°C였으나, 항구 지역에서는 기온이 영하로 내려간 적이 없다. 눈은 드물게 내리며, 마지막으로 기록적인 강설량은 2004년 2월에 있었다.[35] 이라클리온은 내한성 구역 11a에 해당한다.[36]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 평균 뇌우 일수 (1961-1990) | 3.6 | 3.0 | 2.9 | 1.8 | 1.5 | 0.9 | 0.2 | 0.1 | 1.2 | 4.1 | 3.5 | 4.4 | 27.2 |
| 평균 우박 일수 (1961-1990) | 0.3 | 0.6 | 0.5 | 0.0 | 0.1 | 0.0 | 0.0 | 0.0 | 0.0 | 0.0 | 0.0 | 0.3 | 1.8 |
| 평균 해수 온도 °C | 17.1°C | 16.4°C | 16.5°C | 17.1°C | 19.5°C | 23°C | 25.4°C | 26.1°C | 25.4°C | 23.3°C | 20.6°C | 18.4°C | 20.7°C |
| 평균 일조 시간 (시간/일) | 10.0 | 11.0 | 12.0 | 13.0 | 14.0 | 15.0 | 14.0 | 13.0 | 12.0 | 11.0 | 10.0 | 10.0 | 12.1 |
| 평균 자외선 지수 | 3 | 4 | 5 | 7 | 9 | 10 | 11 | 10 | 8 | 5 | 3 | 2 | 6.4 |
| 출처: NOAA (뇌우 및 우박 발생 일수 1961-1990)[43], Weather Atlas (해수 온도, 일조 시간, 자외선 지수)[44] | |||||||||||||
5. 교통
이라클리온은 크레타 섬의 주요 교통 중심지 역할을 수행한다.
항구는 그리스 본토의 피레아스 및 여러 에게 해 섬들을 연결하는 중요한 페리 선착장으로 기능한다.[29][30] 도시 동쪽 약 5km 지점에는 이라클리온 국제공항(니코스 카잔차키스 공항)이 위치하여 국내외 항공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육상 교통으로는 유럽 고속도로 75호선이 도시를 통과하며, 크레타 내 다른 주요 도시들과 연결된다. 또한, 시내 및 시외버스 노선이 잘 갖추어져 있어 도시 내외 이동이 편리하다.[31][32]
5. 1. 항공

이라클리온 국제공항 또는 니코스 카잔차키스 공항은 도시에서 동쪽으로 약 5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이 공항은 이라클리온 출신 작가이자 철학자인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크레타 섬이 주요 휴양지이기 때문에 2022년에 8,066,000명의 승객이 이용했으며, 아테네 국제공항 다음으로 그리스에서 두 번째로 붐비는 공항이다. 전세 항공편으로는 그리스 내에서 첫 번째이며, 유럽에서는 59번째로 붐비는 공항이다(유럽에서 가장 붐비는 공항 목록).
비행장은 헬레닉 공군의 제126 전투단과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다.
5. 2. 해상
이라클리온은 중요한 해운 항구이자 페리 선착장이다. 이 항구는 로버트 맥알파인 경(Sir Robert McAlpine)이 건설하여 1928년에 완공되었다.[30]그리스 본토의 아테네 항구인 피레아스로 가는 여러 척의 페리가 매일 운항한다. 또한 여행객들은 이라클리온에서 다음의 여러 섬으로 가는 페리와 배를 이용할 수 있다.[29]
5. 3. 육상
유럽 고속도로 75호선이 이라클리오를 지나며, 크레타 섬의 다른 주요 도시인 아기오스 니콜라오스, 하니아, 레팀노와 연결된다.
시내에서는 39개의 다양한 노선을 가진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31] 또한, 시외 버스를 통해 이라클리오와 크레타의 여러 주요 목적지를 오갈 수 있다.[32] 크레타 섬의 중심 도시로서 하니아 등 섬 내 다른 도시로 가는 버스 노선도 잘 갖추어져 있다.
과거 1922년부터 1937년까지는 항만 건설을 위해 헤라클리온의 쿨레스와 시로포타모스를 잇는 산업 철도가 운행된 적이 있다.[33]
2007년 여름, 헤라클리온에서 열린 크레타 이민자 대회에서는 엔지니어 조지 나테나스와 바실리스 에코노모풀로스가 하니아, 레팀노, 헤라클리온을 연결하는 크레타 철도 노선 개발을 제안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 아이디어를 실행하기 위한 공식적인 계획은 아직 없다.[34]
6. 관광
이라클리오는 미노아 문명의 중요한 유적인 크노소스 궁전으로 향하는 주요 관광 거점 역할을 한다.
6. 1. 주요 관광 명소
이라클리오에서 가장 오래된 건축 기념물은 도시 외곽에 위치한 미노아 문명의 유적인 크노소스 궁전이다. 이곳은 크레타 섬 최대의 고고학 유적지이자 중요한 관광 거점이다.
중세 시대의 주요 건축물로는 1248년에서 1253년 사이에 건축된 성 베드로의 도미니카 교회와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 소속이었던 산 살바토레 교회가 있었다. 산 살바토레는 코르나로 광장에 있었으나 1970년에 철거되었다.[26]
베네치아 공화국 시대의 건축물도 다수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성 마르코 대성당과 라이온스 광장 옆에 있는 르네상스 양식의 로지아(1626–1628)가 있다. 또한, 이라클리오 역사 지구 중심부 주변에는 중세에 건설되고 베네치아 공화국에 의해 완전히 재건된 방어벽, 보루 등 다양한 요새 시설이 있다. 이 요새들은 1669년 오스만 제국에 도시가 함락되기 전까지 무려 21년 동안 이어진 역사상 가장 긴 포위 공격을 견뎌냈다. 항구 지역에는 바다의 성이라는 뜻의 쿨레스 요새(카스텔로 아 마레)와 성벽, 무기고가 자리 잡고 있다. 베네치아 시대에 만들어진 벰보 분수, 프리울리 분수, 팔메티 분수, 사그레도 분수와 라이온스 광장의 모로시니 분수(1628) 등 많은 분수가 오늘날까지 보존되어 있다.
19세기 건축물로는 원래 예니 자미("새로운 모스크")로 1869년에 건설되었던 성 티투스 대성당과 1862년부터 1895년 사이에 지어진 아기오스 미나스 대성당이 있다.
현대 건축물의 예로는 건축가 파트로클로스 카란티노스가 1937년에서 1940년 사이에 건설한 이라클리오 고고학 박물관을 들 수 있다.
도시 곳곳에서는 이라클리오와 크레타 섬의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이나 인물들을 기념하는 조각품, 동상, 흉상 등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엘 그레코, 비첸초스 코르나로스, 니코스 카잔차키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등이 있다.
- 이라클리오 고고학 박물관
- 크노소스 궁전
- 모로시니 분수 (베니젤로스 광장에 위치)
7. 문화
이라클리오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 연구, 문화 시설 및 미디어가 있다.
- 교육, 연구 및 도서관:
- 크레테 대학교
- 헬레닉 지중해 대학교 (구 크레테 기술교육대학)
- MBS 칼리지
- 연구 기술 재단 - 헬라스
- 니콜라스 키치키스 도서관
- 비켈라이아 도서관
- 이라클리오 제3 고등학교
- 이라클리오 제5 고등학교
- 미디어:
- 채널 4
- 크레타 채널
- 크리티 TV
- 마이TV
이라클리오는 이라클리오 고고학 박물관을 비롯한 다양한 박물관, 이라클리오 문화 컨퍼런스 센터와 같은 공연 예술 시설, 그리고 OFI, 에르고텔리스 등 여러 스포츠 클럽을 보유하고 있다.
7. 1. 박물관
- 이라클리오 고고학 박물관
- 크레타수족관
- 크레타 역사 박물관
- 크레타 자연사 박물관
- 크레타 전투 및 국립 저항 박물관
- 니코스 카잔차키스 박물관
- 시나이의 아기아 아이카테리니 컬렉션
- 시각 예술 박물관
7. 2. 예술
이라클리오 문화 컨퍼런스 센터는 공연 예술 센터이다.7. 3. 스포츠


이 도시는 여러 스포츠 클럽의 본거지이다. 특히, 이라클리오는 OFI와 에르고텔리스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 두 축구 클럽은 그리스 슈퍼리그에서 이전부터 활동했으며, 이는 그리스 축구 리그 시스템의 최상위 리그이다. 또한, 이 도시는 이라클리오 축구 클럽 협회의 본부이기도 하며, 전체 지역의 축구를 관리한다. 다른 주목할 만한 스포츠 클럽으로는 이라클리오 B.C. (농구), 아찰레니오스 (축구)와 이로도토스 (축구)가 각각 ''아찰레니오''와 네아 알리카르나소스 교외에 위치해 있다.
| 이라클리오에 기반을 둔 주요 스포츠 클럽 | |||
|---|---|---|---|
| 클럽 | 설립 | 스포츠 | 현재 시즌 |
| OFI | 1925 | 축구, 농구 | 그리스 슈퍼리그, 그리스 C 바스켓 리그 |
| 에르고텔리스 | 1929 | 축구, 농구 | 풋볼 리그, 크레탄 바스켓 리그 |
| 이라클리오 | 1928 | 농구 | 크레탄 바스켓 리그 |
| 이로도토스 | 1932 | 축구, 농구 | 풋볼 리그, 크레탄 바스켓 리그 |
| 아찰레니오스 | 1951 | 축구 | 감마 에트니키 |
OFI 크레타와 에르고텔리스 FC 두 축구 클럽이 본거지를 두고 있으며, 양 팀의 대결은 크레타 더비라고 불린다.
8. 출신 인물






이라클리오는 소설가 니코스 카잔차키스(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그리스인 조르바'')와 시인이자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오디세아스 엘리티스, 그리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가 도메니코스 테오토코풀로스(엘 그레코)를 포함하여 그리스의 중요한 인물들을 배출한 곳이다.
다음은 이라클리오 출신의 주요 인물 목록이다.
- 엘리 알렉시우 (1894년–1988년): 작가
- 미나스 디마키스 (1913년–1980년): 시인
- 오디세아스 엘리티스 (1911년–1996년): 노벨상 수상 시인
- 테스 프라굴리스: 그리스계 캐나다 작가
- 레아 갈라나키 (1947년 출생): 작가
- 기리틀리 알리 아지즈 에펜디 (1749년–1798년): 작가, 외교관
- 니코스 카잔차키스 (1883년–1957년): 작가
- 메넬라오스 파를라마스(Μενέλαος Παρλαμάςel) (1911년–1997년): 작가, 학자
- 페드로 데 칸디아 (1485년–1542년): 작가, 여행 작가, 아메리카 대륙의 스페인 정복 기록
- 스테파노스 살리키스 (1330년 – 1391년 이후): 시인
- 릴리 조그라푸 (1922년–1998년): 작가
- 니콜라스 칼리아키스 (1645년–1707년): 그리스 크레타 출신 학자, 철학자[46]
- 니콜로 코메노 파파도폴리 (1655년–1740년): 변호사, 역사학자, 사서
- 안드레아스 무살루스 (1665년경–1721년): 그리스 크레타 출신 수학 교수, 철학자, 건축 이론가[47]
- 프란체스코 바로치 (1537년–1604년): 수학자, 천문학자
- 요세프 솔로몬 델메디고 (1591년–1655년): 랍비, 작가, 의사, 수학자, 음악 이론가
- 포티스 카파토스: 생물학자, 유럽 연구 위원회 위원장
- 스피로스 코코토스 (1933년–현재): 건축가
- 마르쿠스 무수루스 (마르코스 무수루스) (1470년–1517년): 학자, 철학자
- 칸디아의 페테르 (대립교황 알렉산데르 5세로도 알려짐): 철학자, 학자
- 조셉 시파키스 (1946년–현재): 컴퓨터 과학자, 2007년 튜링상 공동 수상자
- 마이클 N. 카테하키스 (1952년–현재): 러트거스 대학교 응용 수학자, 운영 연구원
- 게라시모스 블라코스 (1607년–1685년): 학자
- 시모네 스트라티고 (1733년경–1824년): 이라클리오 (칸디아) 출신 그리스 수학자, 해양 과학 전문가[48]
- 테오파네스 (1500년경–1559년): 이콘 화가
- 미하일 다마스키노스 (1530/35년–1592/93년): 이콘 화가
- 게오르기오스 클론자스 (1535년–1608년): 화가
- 엘 그레코 (1541년–1614년): 매너리스트 화가, 조각가, 건축가
- 얀니스 파르마켈리스 (1932년 출생): 조각가
- 안드레아스 리초스 (1422년–1492년): 이콘 화가
- 아리스티디스 블라시스 (1947년–2015년): 화가
- 콘스탄티노스 볼라나키스 (1837년–1907년): 화가
- 리카 디알리나 (1934년 출생): 배우, 모델, 미스 헬라스
- 일리아 리비쿠 (1919년–2002년): 배우
- 사프포 노타라 (1907년–1985년): 배우
- 야니스 스마라그디스 (1946년 출생): 영화 감독
- 레나 키리아쿠 (1918년–1994년): 피아니스트
- 프란체스코 레온타리티스 (프란체스코 론다리트) (1518년–1572년): 작곡가
- 야니스 마르코풀로스 (1939년 출생): 작곡가
- 미론 미하일리디스 (1968년 출생): 지휘자
- 마놀리스 라술리스 (1945년–2011년): 작사가
- 노티스 스파키아나키스 (1959년 출생): 가수
- 레나 플라토노스: 피아니스트
- 마리아 파파페트로스: 심령술사, 영적 치료사, 영적 컨설턴트
- 카일 해밀턴 (2001년 출생):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49]
- 니코스 마클라스 (1973년 출생): 축구 선수
- 요르요스 사마라스 (1985년 출생): 축구 선수
- 그렉 마시알라스 (1956년 출생): 미국의 펜싱 선수
- 미할리스 칼리스 (2003년 출생): 농구 선수
- 요르요스 야쿠마키스 (1994년 출생): 축구 선수
- 콘스탄틴 코르니아크토스 (1517년–1603년): 와인 상인, 동유럽 도시 리비우에서 가장 부유했던 인물[50]
- 지안나 안젤로풀로스-다스칼라키 (1955년 출생): 사업가, 변호사, 정치인
- 에민 알리 베디르 칸 (1851년–1926년): 쿠르드족 외교관
- 레오니다스 키르코스 (1924년–2011년): 정치인
- 아리스티디스 스테르기아디스 (1861년–1950년): 스미르나 고등 판무관
- 게오르기오스 불가라키스 (1959년 출생): 보수 정치인
- 로밀로스 케디코글루 (1940년 출생): 그리스 파기원 원장
- 막시모스 마르구니오스 (1549년–1602년): 키티라(키테라)의 주교
- 키릴로스 루카리스 (1572년–1637년): 신학자, 알렉산드리아의 교황 겸 총대주교(키릴 3세), 콘스탄티노플의 세계 총대주교(키릴 1세)
- 멜레티오스 페가스: 알렉산드리아의 교황 겸 총대주교
- 테오도르 2세 (1954년 출생):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교황 겸 총대주교
- 피터 필라르제스 (1339년경–1410년) (피에트로 디 칸디아, 후일 교황 알렉산데르 5세): 철학자
- 마카리오스 그리니에자키스 (1973년 출생): 호주 성 대교구의 그리스 정교회 대주교
- 마리아 스피리다키 (1984년 출생): 패션 모델, 텔레비전 진행자
9. 자매 도시
이라클리오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국가 | 도시 | 자매결연 연도 |
|---|---|---|
| 키프로스 | 리마솔 | [51] |
| 루마니아 | 콘스탄차 | 1992[52] |
| 우크라이나 | 오데사 | 1992[53] |
| 스페인 | 톨레도 | 2017 |
| 러시아 | 니즈니노브고로드 | 2018 |
| 미국 | 탬파 | 2019 |
| 세르비아 | 추카리차 | 2019 |
| 중국 | 닝보 | 2019 |
참조
[1]
웹사이트
appsso.eurostat.ec.europa.eu
https://appsso.euros[...]
2020-07-17
[2]
Webarchive
Municipality of Heraklion, Municipal elections – October 2023
https://ekloges.ypes[...]
2024-05-08
[3]
웹사이트
Pronunciation for Ηράκλειο
http://forvo.com/wor[...]
2016-08-16
[4]
웹사이트
Population on 1 January by age groups and sex - functional urban areas
https://appsso.euros[...]
Eurostat
2022-06-01
[5]
웹사이트
Top 100 City Destination Ranking 2017
https://blog.euromon[...]
2017-01-26
[6]
웹사이트
Top 100 City Destinations Ranking: WTM London 2017 Edition
https://blog.euromon[...]
2019-04-01
[7]
논문
Top 100 City Destinations 2018
http://go.euromonito[...]
2018
[8]
간행물
Cite Barrington
[9]
간행물
Cite DARE
[10]
간행물
Cite Stephanus
[11]
문서
"[[Stadiasmus Maris Magni]] §§ 348–349."
[12]
간행물
Cite Strabo
[13]
문서
Cornel. Creta Sacr. vol. i. p. 254.
[14]
서적
The Cretan refugees and their American helpers
https://archive.org/[...]
Lee and Shepard
1868
[15]
문서
Encyclopaedia of Islam, Second Edition, s.v. "Iḳrīṭish".
[16]
서적
Osmanlı Yer Adları ("Ottoman Place Names")
T.C. Başbakanlık Devlet Arşivleri Genel Müdürlüğü
[17]
서적
A Shared World: Christians and Muslims in the Early Modern Mediterranea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논문
Crete
2009-11
[19]
문서
Beyond the palace: A century of investigation at Europe's oldest city
2000
[20]
서적
Metallurgy in the Early Bronze Age Aegean
https://www.academia[...]
Oxbow Books
2019-01-31
[21]
웹사이트
History of Heraklion in Crete island - Greeka.com
https://www.greeka.c[...]
2019-02-11
[22]
웹사이트
The War for Candia
http://www.msc.gr/ve[...]
2006-08-05
[23]
Webarchive
Tahir Sezen, Osmanlı Yer Adları, Ankara 2017, T.C. Başbakanlık Devlet Arşivleri Genel Müdürlüğü Yayın No: 26
http://devletarsivle[...]
2023-03-05
[24]
Data Set
Significant Earthquake Database
https://www.ngdc.no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2-06-05
[25]
웹사이트
Heraklion
http://www.visit-anc[...]
visit-ancient-greece.com
2015-09-02
[26]
논문
Recovering the Augustinian Convent of San Salvatore in Venetian Candia
https://www.cambridg[...]
2021-04-07
[27]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2021-09-07
[28]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29]
웹사이트
Heraklion ferry, compare prices, times and book tickets
https://www.directfe[...]
2017-09-25
[30]
웹사이트
Sir Robert McAlpine
https://www.gracesgu[...]
Grace's Guide
2019-12-16
[31]
웹사이트
Iraklio urban buses
http://www.astiko-ir[...]
2015-02-23
[32]
웹사이트
ΚΤΕΛ Ηρακλείου - Λασιθίου Κρήτης | Online Κράτηση εισιτηρίων για λεωφορεία - Δρομολόγια Λεωφορεία Κρήτης
https://www.ktelherl[...]
2017-08-27
[33]
문서
Tzikas, Polykarpos; Konstantinos, Mamalakis; Tertipis, Dimitrios; Charitopoulos, Evangelos. «Μέσα σταθερής τροχιάς στην Κρήτη: Δίκτυα βιομηχανικών σιδηροδρόμων κατά το πρώτο μισό του 20ου αιώνα».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gress of Cretan Studies.
[34]
웹사이트
No Plans for Crete Railway Project
https://www.ekathime[...]
2021-08-15
[35]
웹사이트
ΠΑΤΡΙΣ - ΑΡΧΕΙΟ ΗΛΕΚΤΡΟΝΙΚΗΣ ΕΚΔΟΣΗΣ
https://archive.patr[...]
2023-05-25
[36]
웹사이트
Meteo.gr - Προγνώσεις καιρού για όλη την Ελλάδα
https://www.meteo.gr[...]
2024-01-15
[37]
웹사이트
Meteo.gr - Προγνώσεις καιρού για όλη την Ελλάδα
https://www.meteo.gr[...]
2024-01-15
[38]
웹사이트
Latest Conditions in Heraklion Port
https://penteli.mete[...]
2024-01-15
[39]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https://oscar.wmo.in[...]
2023-07-14
[40]
웹사이트
Climatic Data for selected stations in Greece: Heraklion (Crete)
http://www.hnms.gr/e[...]
2019-09-17
[41]
웹사이트
Climate Atlas of Greece (for sunshine 1977-2002)
http://climatlas.hnm[...]
HNMS
2021-07-20
[42]
웹사이트
STATION HERAKLION
http://meteo-climat-[...]
meteo-climat
2018-12-02
[43]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61-1990: Iraklion
https://www.ncei.no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2024-04-15
[44]
웹사이트
Heraklion, Greece - Monthly weather forecast and Climate data
https://www.weather-[...]
Weather Atlas
2019-01-25
[45]
서적
Catalogue / Harper (Lathrop C.) inc., New York, Issue 232
Lathrop C. Harper, Inc
[46]
서적
" A new general biographical dictionary, Volume 5 "
T. Fellowes
[47]
서적
Convegno internazionale nuove idee e nuova arte nell '700 italiano, Roma, 19–23 maggio 1975
Accademia nazionale dei Lincei
[48]
서적
Napoleone e la repubblica italiana: 1802–1805
Skira
[49]
웹사이트
Notre Dame RB Mick Assaf: Mick's Mickstape Season 2 Volume 1
https://247sports.co[...]
[50]
서적
Voluntary brotherhood: confraternities of laymen in early modern Ukraine
Canadian Institute of Ukrainian Studies Press
[51]
웹사이트
Limassol Twinned Cities
http://www.limassolm[...]
2013-07-29
[52]
웹사이트
Cu ce oraşe este înfrăţit municipiul Constanţa?
https://www.ziuacons[...]
2019-04-07
[53]
웹사이트
Twinnings
https://web.archive.[...]
2013-08-25
[54]
서적
イタリアの中世都市
山川出版社
[55]
뉴스
Climatological Information for Iraklion, Greece
http://www.weather.g[...]
Hong Kong Observatory
[56]
웹사이트
Iraklion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2-12-19
[57]
웹인용
Climatic Data for selected stations in Greece: Heraklion (Crete)
http://www.hnms.gr/e[...]
2019-09-17
[58]
웹인용
http://meteo-climat-[...]
meteo-climat
2018-12-02
[59]
웹인용
Heraklion, Greece - Monthly weather forecast and Climate data
https://www.weather-[...]
Weather Atlas
2019-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