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양적 분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양적 분류는 생물이 에너지를 얻고 탄소를 획득하는 방식에 따라 생물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이는 에너지원, 전자 공여체, 탄소원을 기준으로 구분하며, 가장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은 에너지원과 탄소원을 함께 고려한다. 에너지원에 따라 광합성 생물과 화학 합성 생물로, 탄소원에 따라 독립 영양 생물, 종속 영양 생물, 혼합 영양 생물로 나뉜다. 이러한 분류는 광합성 독립 영양 생물, 광합성 종속 영양 생물, 화학 합성 독립 영양 생물, 화학 합성 종속 영양 생물 등 4가지 주요 영양 그룹을 형성하며, 생명 공학, 농업, 환경 보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 생태학 - 먹이 그물
    먹이 그물은 생태계 내 생물 간의 복잡한 먹이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망으로, 생태학자들은 이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에너지와 영양소 흐름을 추적하며, 먹이사슬과 영양 단계, 생태 피라미드 개념과 관련되어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영양 생태학 - 종속영양생물
    종속영양생물은 유기 화합물로부터 에너지원과 탄소원을 얻는 생물로, 생명의 기원과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먹이 사슬에서 소비자의 역할을 한다.
  • 생물분류학 - 생명의 백과사전
    생명의 백과사전은 다양한 온라인 데이터 소스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유기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계층적 분류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는 집계 환경이다.
  • 생물분류학 - 모식속
    모식속은 동물, 식물, 세균 명명법에서 과 이상의 분류군 이름을 정하는 기준이 되는 속으로, 동물 명명법에서는 과군 분류군의 명명 타입으로, 식물 명명법에서는 편의상, 세균 명명법에서는 속 이상의 분류군 명명 유형으로 사용되며, 각 규약에 따라 모식속 지정 및 상위 분류군 이름 결정 방식에 차이가 있다.
  • 세균학 - 세균학자
    세균학자는 미생물학의 한 분야인 세균학을 연구하며, 병리학, 면역학, 식품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감염병 예방 및 치료에 기여하는 과학자이다.
  • 세균학 - 질-닐슨 염색
    질-닐슨 염색은 결핵균 등 항산성 세균 검출을 위해 개발된 염색 방법으로, 석탄산 푹신으로 1차 염색 후 산성 알코올로 탈색하고 대비 염색하여 항산성 세균을 붉은색으로, 비항산성 세균을 다른 색으로 염색한다.
영양적 분류
개요
정의탄소와 에너지를 얻는 대사 전략에 따라 미생물을 분류하는 방법이다.
중요성생태학적 기능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주요 영양 그룹
광독립영양생물에너지원: 빛
탄소원: 이산화탄소 (CO₂)
예시: 시아노박테리아, 조류
화학독립영양생물에너지원: 무기 화합물 (예: S, )
탄소원: 이산화탄소 (CO₂)
예시: 수소산화세균, 질산화세균
광종속영양생물에너지원: 빛
탄소원: 유기 화합물
예시: 일부 세균
화학종속영양생물에너지원: 유기 화합물
탄소원: 유기 화합물
예시: 대부분의 세균, 균류, 동물
추가 정보
믹소트로피 (혼합영양)정의: 독립영양과 종속영양을 모두 사용하는 방식
중요성: 해양 미생물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
예시: 일부 세균
에너지원빛, 유기 화합물, 무기 화합물
탄소원이산화탄소 (CO₂), 유기 화합물

2. 에너지원

생물은 에너지원에 따라 광영양생물화학영양생물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광합성 생물: 빛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광인산화를 수행한다)
  • 화학 합성 생물: 화학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산화적 인산화를 수행한다)


식물과 일부 세균은 빛의 가용성에 따라 광영양과 화학영양을 번갈아 가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류 중에는 어두운 곳에서 화학 합성 생물로 살아갈 수 있는 종류가 알려져 있다.

생물의 대사 분류
에너지원photo- -영양생물
분자chemo-
전자 공여체유기 화합물 organo- 
무기 화합물litho-
탄소원유기 화합물 hetero-
이산화 탄소auto-


2. 1. 광영양생물 (Phototroph)

'''광영양생물'''(광합성 생물)은 광수용체에서 빛을 흡수하여 화학 에너지로 변환한다. 이 에너지는 화학적 위치 에너지 형태로 ATP, 탄수화물, 또는 단백질에 저장되며, 움직임, 성장, 생식과 같은 생명 활동에 사용된다.

에너지원에 따라 생물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뉜다.

  • '''광합성 생물''' : 빛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광인산화를 수행한다).
  • '''화학 합성 생물''' : 화학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의존한다 (산화적 인산화를 수행한다).


식물, 조류 등은 광합성 생물의 예시이다.

영양적 분류는 에너지원과 탄소원에 따라 조합하여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광합성 독립 영양 생물''' : 빛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고, 탄소 고정을 수행한다. 식물, 조류, 시아노박테리아, 광합성 세균 등이 이에 해당한다.
  • '''광합성 종속 영양 생물''' : 빛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고,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이용한다 ('''탄소 고정 불가'''). 일부 광합성 세균 (홍색 비유황 세균 등)이 이에 해당한다.
  • '''화학 합성 독립 영양 생물''' : 환원형 무기 화합물의 산화로 에너지를 얻고, 탄소 고정을 수행한다. 일부 세균 (질산화 세균, 황 산화 세균, 철 세균, 수소 세균 등, 단, 철 세균은 독립 영양이 아니라고 보기도 한다)이 이에 해당한다.
  • '''화학 합성 종속 영양 생물''' : 유기물의 산화를 통해 에너지를 얻고, 그 탄소를 탄소원으로 이용한다. 많은 동물, 미생물이 이에 해당한다.

2. 2. 화학영양생물 (Chemotroph)

화학 영양 생물은 화학 에너지를 방출하여 생명 활동에 사용한다. 방출된 에너지는 화학적 위치 에너지 형태로 ATP, 탄수화물, 또는 단백질에 저장된다.[2]

동물은 화학종속영양생물이며(화학 화합물을 에너지와 탄소의 원천으로 산화), 균류(곰팡이 등), 원생생물, 일부 세균도 마찬가지이다.[3]

화학 영양 생물의 예
생물설명
동물화학 화합물을 에너지와 탄소의 원천으로 산화
균류곰팡이
원생생물일부
세균일부



에너지원에 의한 분류는 다음 두 가지로 나뉜다.


  • 광합성 생물: 빛을 에너지원으로 이용 (광인산화 수행)
  • 화학 합성 생물: 화학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이용 (산화적 인산화 수행)


식물은 광합성 생물의 예시이며, 동물은 화학 합성 생물의 예시이다.

3. 전자 공여체

유기영양생물은 유기 화합물을 전자/수소 공여체로 사용하는 반면, 무기영양생물은 무기 화합물을 전자/수소 공여체로 사용한다.[2]

전자 또는 수소 원자는 환원 당량 (전자 공여체)로부터 공급되며, 광합성 생물과 화학 합성 생물 모두에게 필요하다. 이들은 산화 환원 반응에서 ATP 합성 (이영양생물에서) 또는 생합성 (자가영양생물에서)의 동화 작용 과정에서 에너지를 전달하며, 전자 또는 수소 공여체는 환경으로부터 섭취된다.

유기영양생물은 종종 종속영양생물이기도 하며, 유기 화합물을 전자와 탄소의 공급원으로 사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무기영양생물은 종종 자가영양생물이기도 하며, 무기적인 전자 공급원과 이산화 탄소(CO2)를 무기 탄소 공급원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식물틸라코이드 막을 가로지르는 전자 전달 사슬에 물을 전자 공여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무기영양생물이다. 동물은 유기 화합물을 ATP 합성에 전자 공여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기영양생물이다 (식물도 이를 사용하지만, 여기에서는 고려하지 않는다). 둘 다 호흡에서 산소를 전자 수용체로 사용하지만, 이러한 특성은 그들을 무기영양생물로 정의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3. 1. 유기영양생물 (Organotroph)

유기영양생물은 유기 화합물을 전자/수소 공여체로 사용하는 생물이다.[2] 동물, 곰팡이, 일부 세균이 이에 해당한다.[3]

유기영양생물은 종종 종속영양생물이기도 하며, 유기 화합물을 전자와 탄소의 공급원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동물은 유기 화합물을 ATP 합성에 전자 공여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기영양생물이다.[2]

생물의 대사 분류
에너지원photo- -영양생물
분자chemo-
전자 공여체유기 화합물 organo- 
무기 화합물litho-
탄소원유기 화합물 hetero-
이산화 탄소auto-



화학유기이영양생물은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탄소를 얻기 위해 유기 기질을 필요로 하고, 유기 화합물의 분해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생물이다. 분해자는 죽은 유기물로부터 탄소와 전자 또는 수소를 얻는 화학유기이영양생물의 예이다.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은 살아있는 유기물로부터 탄소와 전자 또는 수소를 얻는다.

화학유기영양생물은 유기 화합물의 화학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당(예: 포도당), 지방 및 단백질을 포함한 유기 화합물로부터 전자 또는 수소를 얻는다.[2] 이들은 세포 기능에 필요한 탄소 원자 또한 이러한 유기 화합물로부터 얻는다.[3]

3. 2. 무기영양생물 (Lithotroph)

무기영양생물은 무기 화합물을 전자/수소 공여체로 사용한다.[1] 일부 무기영양세균은 가능한 경우 여러 전자 공급원을 활용할 수 있다.[1]

화학 합성 독립 영양 생물은 환원형 무기 화합물의 산화로 에너지를 얻고, 탄소 고정을 한다.[1] 여기에는 질산화 세균, 황 산화 세균, 철 세균, 수소 세균 등이 속한다. (단, 철 세균은 독립 영양이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1]

한국의 하천과 토양에는 다양한 무기영양생물이 살고 있으며, 질소 순환, 황 순환 등 생태계 물질 순환에 기여한다.

4. 탄소원

종속영양생물은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탄소를 얻기 위해 유기 화합물을 대사한다.[2] 반면 독립영양생물이산화 탄소(CO2)를 탄소 공급원으로 사용한다.[1]

'''탄소원'''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생물의 대사 분류
에너지원photo- -영양생물
분자chemo-
전자 공여체유기 화합물 organo- 
무기 화합물litho-
탄소원유기 화합물 hetero-
이산화 탄소auto-



화학유기이영양생물은 유기 기질을 필요로 하고, 유기 화합물의 분해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생물이다. 분해자는 죽은 유기물로부터 탄소와 전자 또는 수소를 얻는 화학유기이영양생물의 예이다. 초식동물과 육식동물은 살아있는 유기물로부터 탄소와 전자 또는 수소를 얻는다.

혼합 영양은 이산화탄소와 유기물 모두를 탄소원으로 한다는 특이점이 있지만, 이산화탄소나 유기물 중 어느 쪽에 더 많이 의존하는지에 따라 둘 다 이용 가능한 생물 (누에가 최근 동위원소를 이용한 연구에서 혼합 영양인 것으로 밝혀졌다)이라도 독립 또는 종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4. 1. 독립영양생물 (Autotroph)

독립영양생물이산화 탄소(CO2)를 탄소 공급원으로 사용하여 유기물을 합성하는 생물이다.[1] 식물, 조류, 시아노박테리아, 일부 세균 등이 이에 해당한다. 독립 영양 생물은 빛 에너지를 이용하는 광합성 독립 영양 생물과 화학 에너지를 이용하는 화학 합성 독립 영양 생물로 나눌 수 있다.[1]

한국의 산림은 다양한 종류의 식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유기물을 생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식물들은 한국 생태계의 탄소 순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기후 변화 완화에도 기여한다.

4. 2. 종속영양생물 (Heterotroph)

종속영양생물은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탄소를 얻기 위해 유기 화합물을 대사한다.[2] 독립영양생물이산화 탄소를 탄소 공급원으로 사용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종속영양생물은 유기물을 섭취하여 생명 활동에 필요한 물질을 얻는다.[3]

화학유기영양생물은 유기 화합물의 화학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당(예: 포도당), 지방 및 단백질을 포함한 유기 화합물로부터 전자나 수소를 얻는 생물이다.[2] 이들은 세포 기능에 필요한 탄소 원자 또한 이러한 유기 화합물로부터 얻는다.

모든 동물은 화학종속영양생물이며, 곰팡이, 원생동물, 일부 세균도 마찬가지이다.[3]

'''에너지원'''과 '''탄소원'''을 사용하는 영양적 분류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영양적 분류법'''이다. 탄소원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생물의 대사 분류
에너지원photo- -영양생물
분자chemo-
전자 공여체유기 화합물 organo- 
무기 화합물litho-
탄소원유기 화합물 hetero-
이산화 탄소auto-


4. 3. 혼합영양생물 (Mixotroph)

일부, 대개 단세포 생물은 서로 다른 대사 방식을 오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Chroococcales''는 광합성 독립 영양, 광합성 종속 영양, 화학 종속 영양 사이를 오갈 수 있다.[13] 로도슈도모나스 팔루스트리스는 산소 유무에 관계없이 성장할 수 있으며, 빛, 무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이다.[14] 이러한 혼합 영양 생물은 광합성 독립 영양 생물이나 유기 종속 영양 생물보다 더 많은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서식지를 지배할 수 있다.[15]

혼합 영양은 이산화 탄소와 유기물 모두를 탄소원으로 한다는 특이한 점이 있다. 하지만, 이산화탄소나 유기물 중 어느 쪽에 더 많이 의존하는지에 따라 둘 다 이용 가능한 생물 (누에가 최근 동위원소를 이용한 연구에 의해 혼합 영양인 것이 밝혀졌다)이라도 독립 또는 종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5. 주요 영양 그룹

생물은 에너지원, 전자 공여체, 탄소원에 따라 다양한 영양 그룹으로 분류된다.

생물의 대사 분류
에너지원광(photo)- -영양생물
분자화학(chemo)-
전자 공여체유기 화합물 유기(organo)- 
무기 화합물무기(litho)-
탄소원유기 화합물 이영양(hetero)-
이산화 탄소자가영양(auto)-


  • 에너지원:
  • 광영양생물(Phototroph): 빛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광인산화)
  • 화학영양생물(Chemotroph): 화학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산화적 인산화)
  • 탄소원:
  • 독립 영양 생물(Autotroph): 이산화 탄소(CO2)를 탄소원으로 사용한다.
  • 종속 영양 생물(Heterotroph): 유기물을 탄소원으로 사용한다.
  • 혼합 영양 생물(Mixotroph): 독립 영양 및 종속 영양의 혼합된 형태이다. 이산화탄소와 유기물 모두를 탄소원으로 사용한다.
  • 전자 공여체:
  • 유기 영양 생물(Organotroph): 유기 화합물을 전자 공여체로 사용한다.
  • 무기 영양 생물(Lithotroph): 무기 화합물을 전자 공여체로 사용한다.


이러한 분류 기준을 조합하여 생물을 크게 네 가지 주요 영양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에너지원환원당량원탄소원명칭
광합성유기유기물광합성 유기 종속 영양 생물
이산화탄소광합성 유기 독립 영양 생물
무기유기물광합성 무기 종속 영양 생물
이산화탄소광합성 무기 독립 영양 생물
화학 합성유기유기물화학 합성 유기 종속 영양 생물
이산화탄소화학 합성 유기 독립 영양 생물
무기유기물화학 합성 무기 종속 영양 생물
이산화탄소화학 합성 무기 독립 영양 생물



일부 생물은 상황에 따라 다른 대사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Chroococcales''는 광합성 독립 영양, 광합성 종속 영양, 화학 종속 영양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13] Rhodopseudomonas palustris는 산소 유무에 관계없이 빛, 무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 등을 에너지원으로 사용 가능하다.[14]

5. 1. 광독립영양생물 (Photoautotroph)

광영양생물의 한 종류이다. 광독립영양생물(Photoautotroph)은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탄소원으로 삼아 유기물을 합성한다. 이들은 탄소 고정을 통해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대표적인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식물
  • 조류
  • 시아노박테리아 (남세균)
  • 녹색황세균


대부분의 식물은 빛을 에너지원으로, 을 전자 공여체로, 이산화탄소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광합성 무기 독립 영양 생물이다. 그러나 일부 조류는 어둠 속에서 화학 유기 종속 영양 방식으로 전환하기도 하며, 고등 식물조차도 밤에는 광합성으로 합성된 녹말을 종속 영양 방식으로 호흡한다.

5. 2. 광종속영양생물 (Photoheterotroph)

빛 에너지를 사용하지만, 탄소원으로 이산화 탄소 대신 유기물을 섭취하는 생물이다. 즉, 이들은 탄소 고정을 할 수 없다.[16] 홍색비유황세균, 헬리오박테리아 등이 이에 속한다.[8][16]

5. 3. 화학독립영양생물 (Chemoautotroph)

화학독립영양생물(Chemoautotroph)은 무기 화합물의 산화 반응에서 얻은 화학 에너지를 사용하여 이산화 탄소를 탄소원으로 유기물을 합성하는 생물이다. 화학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으며, 이들은 주로 극한 환경에서 발견된다.

다음은 화학독립영양생물의 예시이다.

  • 질산화세균: 니트로박터와 같은 질산화 세균은 화학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다.[16]
  • 황 세균
  • 철 세균
  • 메탄 생성균: 메탄 생성균과 같은 일부 고세균은 화학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다.[16]

5. 4. 화학종속영양생물 (Chemoheterotroph)

화학유기이영양생물은 성장과 발달에 필요한 탄소를 얻기 위해 유기 기질을 필요로 하고, 유기 화합물의 분해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생물이다. 유기 화합물의 화학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당(예: 포도당), 지방 및 단백질을 포함한 유기 화합물로부터 전자 또는 수소를 얻는다.[2] 세포 기능에 필요한 탄소 원자 또한 이러한 유기 화합물로부터 얻는다.

모든 동물은 화학종속영양생물이며 (이는 화학 화합물을 에너지와 탄소의 원천으로 산화한다는 의미), 곰팡이, 원생생물, 일부 세균도 마찬가지이다.[3]

에너지원전자/H-원자 공여체탄소원이름예시
분해
화학
화합물
화학-
유기물
-유기-
유기물
-이영양-
화학유기이영양생물포식, 기생, 부생 원핵생물. 일부 진핵생물 (이영양성 원생생물류, 균류, 동물)
이산화 탄소
-자가영양-
화학유기자가영양생물일부 고세균 (혐기성 메탄 영양 고세균). 화학합성, 인공적으로 자가영양인 에스케리키아 콜라이 세균 및 피치아 파스토리스 효모
무기물
-무기-
유기물
-이영양-
화학무기이영양생물일부 세균 (Oceanithermus profundus)
이산화 탄소
-자가영양-
화학무기자가영양생물일부 세균 (니트로박터), 일부 고세균 (메탄박테리아). 화학합성


  • 일부 저자는 물을 공급원으로 사용할 때 ''-수소-''를 사용한다.

6. 극한 환경에서의 영양 방식

일부 단세포 생물은 서로 다른 대사 방식을 오갈 수 있다. 예를 들어 ''Chroococcales''는 광합성 독립 영양, 광합성 종속 영양, 화학 종속 영양 사이를 전환할 수 있다.[13] ''Rhodopseudomonas palustris''는 산소 유무에 관계없이 성장하며, 빛, 무기 화합물, 유기 화합물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14] 이러한 혼합 영양 생물은 더 많은 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 서식지를 지배할 수 있다.[15]

자연에는 다양한 조합이 존재하지만, 일부 조합이 더 흔하다. 대부분의 식물은 ''광합성 무기 영양 독립 영양 생물''이고, 모든 동물과 균류는 ''화학 유기 종속 영양 생물''이다. 그러나 일부 진핵생물 미생물은 단 하나의 영양 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부 조류는 빛에서 광합성 독립 영양 방식으로 살아가지만, 어둠 속에서는 화학 유기 종속 영양 방식으로 전환한다. 고등 식물조차도 낮 동안 합성된 녹말을 밤에 종속 영양 방식으로 호흡한다.

원핵생물은 다양한 영양 범주를 보인다.[16] 예를 들어, 시아노박테리아와 많은 자색 유황 세균은 ''광합성 무기 독립 영양 생물''일 수 있으며, 녹색 무황 세균은 ''광합성 유기 종속 영양 생물''일 수 있다.[8][16] 많은 박테리아는 ''화학 유기 종속 영양 생물''이다.[8] 일부 박테리아는 단 하나의 영양 그룹에만 국한되지만, 다른 박테리아는 필요에 따라 영양 방식이 바뀌기도 한다.[16] 황 산화, 철, 아나목스 박테리아, 메탄 생성균은 ''화학 무기 독립 영양 생물''이다. ''화학 무기 종속 영양 생물''은 드물고, ''광합성 유기 독립 영양 생물''도 흔하지 않다.

합성 생물학을 통해 두 모델 미생물의 영양 방식을 종속 영양에서 화학 유기 독립 영양으로 변환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유전자 조작과 적응 실험실 진화를 통해 CO2|이산화탄소영어를 유일한 탄소원으로 사용하고, 포름산을 전자의 공급원으로 사용하도록 진화했다.[10]
  • 메틸영양 생물인 ''피치아 파스토리스''(Pichia pastoris) 효모는 메탄올 대신 CO2|이산화탄소영어를 탄소원으로 사용하도록 유전자 조작되었으며, 메탄올은 세포의 전자 공급원으로 유지되었다.[11]


미생물은 다양한 생육 조건을 나타내며, 고등생물에게는 불가능한 특수한 환경에서도 생육 가능하다. 이러한 생육 조건은 산소 분압, 온도, pH, 염 농도, 압력 등 매우 다양하다.

7. 영양 방식의 응용

미생물은 매우 다양한 영양 방식을 활용하며, 이는 생명공학, 합성생물학, 농업, 환경 보전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하게 응용된다.


  • 생명공학: 미생물의 다양한 영양 방식을 이용하여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거나, 환경을 정화하고, 바이오 에너지를 만드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16]
  • 합성생물학: 유전자를 조작하거나 진화 기술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영양 방식을 바꾸거나 새로운 영양 방식을 개발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0][11]
  • 대장균은 유전자 조작 및 실험실 진화를 통해 이산화탄소(CO2)를 유일한 탄소원으로 사용하고, 포름산을 전자의 공급원으로 사용하도록 진화했다.[10]
  • 메틸영양 생물인 피치아 파스토리스 효모는 메탄올 대신 이산화탄소(CO2)를 탄소원으로 사용하도록 유전자 조작을 받았다.[11]
  • 농업: 작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을 이해하고, 토양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을 조절하여 작물 생산성을 높이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환경 보전: 생태계 내에서 생물들의 영양 관계를 이해하고, 생물 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Evidence for the ubiquity of mixotrophic bacteria in the upper ocean: implications and consequences 2006-12
[2] 웹사이트 Todar's Online Textbook of Bacteriology http://textbookofbac[...] 2014-04-19
[3] 서적 Microbial Growth on C1 Compounds Springer 1987
[4] 논문 Nomenclature of nutritional types of microorganisms. http://symposium.csh[...] 1946
[5] 서적 Comparative Ecology of Microorganisms and Macroorganisms https://books.google[...] Springer 1991
[6] 논문 A general framework of persistence strategies for biological systems helps explain domains of life 2013
[7] 서적 Illustrated Glossary of Protoctista: Vocabulary of the Algae, Apicomplexa, Ciliates, Foraminifera, Microspora, Water Molds, Slime Molds, and the Other Protoctists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1993
[8] 서적 Biology: How Life Works W. H. Freeman 2019
[9] 논문 Autotrophy as a predominant mode of carbon fixation in anaerobic methane-oxidizing microbial communities 2012-11
[10] 논문 Conversion of Escherichia coli to Generate All Biomass Carbon from CO2 2019-11
[11] 논문 The industrial yeast ''Pichia pastoris'' is converted from a heterotroph into an autotroph capable of growth on CO2 2019-12
[12] 논문 ''Oceanithermus profundus'' gen. nov., sp. nov., a thermophilic, microaerophilic, facultatively chemolithoheterotrophic bacterium from a deep-sea hydrothermal vent 2003-05
[13] 논문 Photoheterotrophy and chemoheterotrophy among unicellular blue-green algae 1972-03
[14] 논문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Rhodopseudomonas palustris'' as a Microbial Cell Factory 2022
[15] 논문 Evidence for the ubiquity of mixotrophic bacteria in the upper ocean: implications and consequences 2006-12
[16] 논문 Carbon metabolic pathways in phototrophic bacteria and their broader evolutionary implications 2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