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게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게임은 자원, 건물, 함선, 연구, 전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플레이어는 '모성'을 시작으로 자원을 채취하고, 함대를 건설하여 다른 행성을 약탈하거나 방어하며,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게임 내 자원은 금속, 크리스탈, 듀테륨, 암흑 물질, 에너지로 구성되며, 건물 건설, 함선 생산, 연구 등에 사용된다. 함대는 자원 운송, 전투, 정찰, 식민지 건설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달을 생성하여 특수 건물을 건설할 수도 있다. 전투는 함대와 방어 시설 간의 자동 전투로 진행되며, 승리 시 자원 약탈이 가능하다. 동맹 시스템을 통해 다른 플레이어와 협력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며, 유료 기능을 통해 게임 플레이를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실시간 전략 게임 - 웹삼국지
    웹삼국지는 웹 브라우저 기반의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2009년 클로즈 베타 테스트를 시작하여 현재 여러 국가에서 서비스되고 있다.
  • 대규모 다중 사용자 온라인 실시간 전략 게임 - 클래시 오브 클랜
    클래시 오브 클랜은 슈퍼셀에서 개발한 온라인 멀티플레이어 게임으로, 클랜을 формирует하고 군대를 훈련시켜 다른 플레이어를 공격하여 자원을 얻고, 자신의 마을을 건설하고 발전시켜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브라우저 게임 - 워들
    워들은 6번의 시도 안에 5글자 영어 단어를 맞히는 웹 기반 단어 추측 게임으로, 정답 단어와 일치하는 글자와 위치에 따라 색깔로 표시되며, 조시 워들이 개발하여 뉴욕 타임스에 인수되었다.
  • 브라우저 게임 - 두들 챔피언 아일랜드 게임
    두들 챔피언 아일랜드 게임은 롤플레잉과 스포츠 게임을 결합하여 고양이 캐릭터 루키로 일본을 모티브로 한 섬들을 탐험하며 미니 게임 대결을 통해 챔피언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2002년 비디오 게임 - 사이보그 009
    《사이보그 009》는 이시노모리 쇼타로가 그린, 9명의 사이보그 전사들이 활약하는 만화로, 냉전 시대를 배경으로 반전 메시지와 다양한 주제를 담고 있으며, 2001년 애니메이션 방영을 통해 한국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 2002년 비디오 게임 - 칭송받는 자
    기억을 잃은 하쿠오로가 에루루와 함께 압제에 맞서 싸우며 투스쿨을 건국하는 《칭송받는 자》는 판타지와 공상과학이 결합된 세계관 속에서 하쿠오로의 정체성과 전쟁의 의미에 대한 고뇌를 다루는 미디어믹스 작품이다.
오게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게임 정보
제목오게임
영어 제목OGame
개발사Gameforge AG
출시2002년
장르머드 게임 기반
MMORTS
실시간 브라우저 기반 MMO
플랫폼웹 브라우저
엔진PHP, AJAX
모드멀티플레이
언어다국어
버전0.84

2. 게임의 주요 시스템

오게임은 플레이어가 하나의 행성(초기에는 '모성'이라 불림)에서 시작하여 자원을 관리하고 제국을 확장해 나가는 우주 전략 게임이다. 게임의 기본적인 흐름은 행성에 광업소를 건설하여 금속, 수정, 듀테륨과 같은 자원을 확보하고, 이를 이용해 건물 건설, 연구 개발, 함대 구성, 방어시설 구축 등을 진행하는 것이다.[3] 자원 사용량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어 실시간으로 순위가 매겨지며, 사용하지 않은 자원은 점수에 포함되지 않는다.[3]

게임의 배경이 되는 우주는 여러 개의 은하로 구성되며(최대 9개), 각 은하는 499개의 행성계를, 각 행성계는 15개의 행성 슬롯을 가진다. 플레이어는 초기 모성(항상 163개의 필드를 가짐) 외에도 이민선을 통해 비어있는 행성 슬롯에 새로운 식민지를 건설하여 제국을 확장할 수 있다. 원래는 최대 9개의 행성 제한이 있었으나, 현재는 추가적인 연구와 비용을 통해 더 많은 행성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3]

게임 진행에는 기본 자원인 금속, 수정, 듀테륨 외에도 건물과 시설 가동에 필요한 에너지, 그리고 유료 기능 등에 사용되는 특수 자원인 다크 매터가 존재한다.[3] 자원은 행성 내 시설을 통해 직접 생산하거나, 다른 플레이어와의 거래, 또는 다른 플레이어의 행성을 공격하여 약탈하는 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다.[3]

다른 플레이어와의 상호작용, 특히 전투는 게임의 중요한 요소이다. 플레이어는 함대를 구성하여 다른 행성을 공격해 자원을 빼앗거나(레이드), 반대로 자신의 행성을 지키기 위해 방어 시설을 건설해야 한다. 연구를 통해 더 강력한 함선이나 방어 시설을 개발할 수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5개의 게임 서버(각각 '우주'라고 불림)가 운영되고 있으며, 각 서버는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서버 간 자원 이동이나 거래는 불가능하다. 또한,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계정을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게임 플레이 자체는 무료이지만, 게임 진행에 도움을 주는 일부 기능이나 특전은 다크 매터를 이용한 유료 결제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2. 1. 자원

오게임에는 총 5가지 자원이 존재한다: 금속, 크리스탈, 듀테륨, 암흑 물질, 에너지.[3] 이 중 메탈, 크리스탈, 듀테륨은 기본적인 생산 및 활동에 주로 사용되며, 암흑 물질과 에너지는 특수한 역할을 담당한다. 플레이어는 건물 건설, 연구, 함선 건조, 방어 시설 구축 등에 자원을 1,000 단위 사용할 때마다 1점의 점수를 얻으며, 이는 실시간으로 갱신된다.[3] 사용하지 않은 자원은 점수에 포함되지 않는다.[3]

=== 주요 자원 (메탈, 크리스탈, 듀테륨) ===

메탈, 크리스탈, 듀테륨은 행성에 광산 시설(메탈 광업소, 크리스탈 광업소, 듀테륨 정제소)을 건설하여 생산하거나, 다른 플레이어의 행성을 공격하여 약탈하는 방식으로 얻을 수 있다.[3] 이 세 자원은 플레이어 간 거래나, 암흑 물질을 사용하여 상인을 호출함으로써 서로 교환할 수도 있다.[3]

  • 금속: 메탈 광업소에서 생산되며, 가장 기본적인 자원이다. 건물 건설, 함선 건조, 방어 시설 구축 등 거의 모든 개발에 가장 많이 소모된다. 다른 자원에 비해 획득량이 많고 가치는 상대적으로 낮다.
  • 크리스탈: 크리스탈 광업소에서 생산된다. 전자 부품이나 합금 등 첨단 기술 개발에 필요한 자원으로, 특히 연구를 진행할 때 많이 소비된다. 일부 고급 함선이나 방어 시설 제작에도 필요하며, 메탈보다 가치가 높다.
  • 듀테륨: 듀테륨 정제소(또는 합성기)에서 생산되며, 세 자원 중 가장 가치가 높다. 주로 함대의 연료로 사용되며, 첨단 기술 연구나 특정 함선 및 방어 시설 생산에도 필요하다. 다른 자원에 비해 생산량이 적어 희소성이 높다. 함대의 규모가 클수록 특정 거리를 이동하는 데 더 많은 연료가 필요하므로, 대규모 함대를 운용하는 플레이어에게는 특히 중요한 자원이다.


=== 특수 자원 (암흑 물질, 에너지) ===

  • 암흑 물질: 오게임 내의 사이버 머니 역할을 하는 특수한 자원이다.[3] 현금 결제를 통해 구매하거나, 함대를 원정 미션에 보내 탐색하는 방식으로만 획득할 수 있다.[3] 다른 플레이어로부터 약탈하거나 운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3] 암흑 물질은 사령관, 장교 등 게임 플레이에 도움을 주는 유료 옵션을 구매하거나, 자원 종류를 교환해주는 상인을 호출하거나, 기존 행성의 위치를 옮기는 등 특수한 기능을 이용하는 데 사용된다.[3]
  • 에너지: 메탈, 크리스탈, 듀테륨 광산을 가동하는 데 필수적인 자원이다. 에너지가 부족하면 광산의 생산 효율이 떨어진다. 에너지는 태양광 발전소, 태양광 인공위성(조선소에서 건조), 핵융합로를 통해 생산할 수 있다.[3] 태양광 발전소와 태양광 인공위성은 기본적인 에너지 생산 수단이며, 핵융합로는 듀테륨을 소모하여 더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고급 시설이다. 에너지 공학 연구를 통해 핵융합로의 에너지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생산된 에너지는 저장되지 않고 실시간으로 소비된다.[3]

2. 2. 건물

오게임의 건물은 자원 생산, 함선 및 방어시설 건설, 연구 진행, 자원 저장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주요 건물로는 자원 생산을 위한 광업소, 함선 및 방어시설을 만드는 군수 공장, 연구를 위한 연구소, 개발 시간을 줄여주는 로봇 공장과 나노 머신 공장, 자원을 보관하는 탱크 등이 있다.

모든 건물은 건설하거나 1레벨 증설할 때마다 행성의 필드를 1칸 사용한다. 행성에 주어진 필드를 모두 사용하면 더 이상 건물을 지을 수 없다.[3] 게임 시작 시 주어지는 초기 행성은 일률적으로 163개의 필드를 가지지만, 이민선으로 만드는 식민지의 필드 수는 기본적으로 무작위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행성계의 4~6번 위치에 있는 행성이 비교적 많은 필드를 가질 확률이 높다. 만약 식민지의 필드 수가 너무 적다면 해당 식민지를 포기할 수도 있다.
테라포머는 건설 시 행성의 필드를 5칸 늘려주는 특수한 건물이다. 다만, 테라포머 자체도 건설 시 1 필드를 소모하므로 실질적으로는 4 필드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예: 162/163 → 163/168)

건물 운영 및 일부 특수 건물 가동에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에너지는 주로 태양광 발전소, 융합 발전소, 태양광 위성을 통해 생산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소는 기본적인 에너지 생산 시설이며 태양광 발전 방식으로 작동한다. 융합 발전소는 중수소를 소모하여 에너지를 생산하며, 에너지 공학 연구를 통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태양광 위성은 조선소에서 생산하여 배치하는 방식으로 에너지를 얻는다.

자원을 직접 생산하는 주요 건물로는 금속 채굴소, 수정 채굴소, 중수소 합성기가 있다. 이 건물들은 업그레이드를 통해 생산량을 늘릴 수 있으며, 가동을 위해 에너지가 필요하다. 금속 채굴소는 금속을, 수정 채굴소는 수정을, 중수소 합성기는 중수소를 채굴하는 시설이다.

2. 3. 함선

오게임은 기본적으로 전투 게임이므로, 함대는 게임 플레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함선은 조선소에서 생산할 수 있으며, 연구를 통해 더욱 강력한 함선을 만들 수 있다. 함선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중수소가 연료로 필요하다. 함대는 크게 자원 운송용 함선, 전투용 함선, 그리고 특수 용도 함선으로 나눌 수 있다. 자원 운송용 함선은 선적 공간이 크지만 방어력이 약하고, 전투용 함선은 비교적 강한 공격력과 방어력을 가지지만 파괴 시 자원 파편이 되어 공격 목표가 되기도 한다.

함선 이름유형주요 특징
소형 화물선
(소형 수송선)
자원 운송저렴하게 생산 가능하며 소량의 자원을 운반한다. 장갑과 보호막, 공격력은 약하다. 연구를 통해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대형 화물선
(대형 수송선)
자원 운송소형 화물선보다 고가이지만 대량의 자원을 운반할 수 있다. 장갑과 보호막, 공격력은 약하다. 연구를 통해 소형 화물선보다 빠르게 수송 가능하다.
전투기
(경 전투함)
전투저렴하고 민첩성이 뛰어난 전투함. 모델은 구축함이다.
공격기
(중 전투함)
전투개량된 기관을 탑재하여 전투기보다 종합적인 능력에서 우위를 점한다.
순양함전투공격력, 방어력, 속도 면에서 공격기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모델은 순양함이다.
전함
(배틀쉽)
전투순양함을 더욱 대형화하여 높은 공격력과 방어력을 갖춘 주력 전투함. 모델은 전함이다.
순양전함
(대형 전함)
전투함대 공격용 전투함. 강력한 내구력과 보호막을 자랑하며, 각 함선에 대해 강력한 전투 능력을 보여준다.
폭격기전투행성이나 의 방어 시설 파괴에 특화된 전투함. 공격력은 전함을 능가하지만 속도가 느리고 연비(중수소 소모)가 매우 나쁘다.
구축함
(디스트로이어)
전투전함, 순양전함을 능가하는 공격력을 가진 전투함. 속도와 연비가 나쁜 단점이 있다.
죽음의 별
(데스스타)
전투 / 특수위성 규모의 거대한 우주 요새. 모델은 스타워즈 에피소드 4: 새로운 희망의 데스스타이다. 다른 플레이어의 을 파괴하는 미션에 사용된다.
이민선
(식민지선)
특수비어있는 행성식민지를 건설하는 데 사용되는 수송선. 자원 수송 능력은 높지만 속도가 느리다. 식민지 건설 후에는 사라지는 일회용 함선이다.
수확선
(잔해 수거선)
특수전투로 파괴된 함선의 잔해(자원)를 회수할 수 있다. 자원 수송 능력은 높지만 속도가 느리다.
무인 정찰기
(정찰기)
특수다른 플레이어의 행성이나 을 정찰하는 데 사용된다. 함선 중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하지만, 자원 수송 능력은 매우 낮다.
태양광 위성기타행성 궤도상에 건설되는 태양광 발전소. 일반 태양광 발전소보다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지만 발전량이 적다. 조선소에서 생산한다.


2. 3. 1. 함대 미션

오게임에서 함대를 보낼 때 선택할 수 있는 미션은 다음과 같다.

  • '''운송''': 다른 행성으로 자원을 운송한다.
  • '''공격''': 타 유저의 행성이나 을 공격한다.
  • '''정찰''': 타 유저의 행성이나 을 정찰한다. 함대에 정찰기가 포함되어 있어야 선택할 수 있다.
  • '''배치''': 자신의 다른 행성이나 에 함대를 배치한다.
  • '''수확''': 잔해지대에 떠 있는 파편(자원)을 수확한다. 수확선이 포함되어야 선택할 수 있다.
  • '''식민''': 비어 있는 행성에 식민지를 건설한다. 이민선이 함대에 포함되어 있어야 선택할 수 있다.
  • '''원정''': 외우주를 탐사하여 자원, 함대, 암흑물질, 또는 상인을 얻을 수 있다. 목표 행성 좌표의 마지막 숫자가 16이어야 한다 (예: 1:100:16). 탐사 중 함대 귀환 시간이 지연되거나 외계인과 전투가 발생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함대가 소멸될 수도 있다. 원정 기술 연구가 필요하다.
  • '''파괴''': 타 유저의 을 파괴한다. 죽음의 별이 함대에 포함되어 있어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서버가 ACS(Alliance Combat System, 연합 전투 시스템)를 지원한다면 아래 미션을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 '''연합 공격''': 최대 5명의 유저가 같은 행성을 동시에 공격한다. 참여하는 함대 간 도착 시간 차이가 30% 이내여야 한다. (예: 목표까지 1시간 거리일 경우, 도착 시간이 1시간 18분을 넘는 유저는 참여할 수 없다.)
  • '''연합 방어''': 최대 5명의 유저가 같은 행성을 동시에 방어한다. 방어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듀테륨이 추가로 소모된다. 지정된 시간 이상 머무르려면 해당 행성에 우군보급기지가 건설되어 있어야 하며, 이 경우에도 듀테륨이 소모된다.

2. 4. 달

오게임의 행성에는 달이 생성될 수 있다. 행성에 주둔하거나 공격해 온 함대가 파괴될 때 발생하는 파편의 양에 따라 일정 확률로 달이 생성된다. 파편 10만당 생성 확률이 1%씩 증가하며, 최대 20%까지 올라간다.[7] 최대 확률(20%)로 생성된 달은 보통 8000km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낮은 확률에서는 3000km에서 7000km 사이의 다양한 크기로 생성된다.

다른 사용자와 합의하여 일부러 함대를 파괴시켜 달을 만들어 줄 수도 있는데, 이를 흔히 '달작'이라고 부른다. 보통 확률 20%를 만족시키면서 메탈 비중이 높아 비용이 저렴한 전투기 1667대나 순양함 112대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달을 만들기 전에는 해당 우주의 게임 운영자(GO, Game Operator)에게 신고해야 한다.

달에는 행성과 달리 특수한 건물을 지을 수 있다.

  • 밀집 센서 (Sensor Phalanx):[7] 일정 범위(센서 레벨2 - 1) 안에 있는 다른 행성의 함대 이동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스캔 1회당 듀테륨 5,000을 소모하며, 스캔 대상 행성에서 일어나는 공격, 운송, 배치 등 모든 함대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 점프 게이트 (Jump Gate): 자원 소모 없이 함대를 다른 달에 있는 점프 게이트로 즉시 이동시킬 수 있다. 한 번 사용하면 다시 사용하기까지 1시간의 대기 시간이 필요하다.


달은 죽음의 별을 이용한 '파괴' 임무를 통해 파괴될 수 있다. 달의 크기가 클수록 파괴될 확률은 낮아진다. 또한 달은 행성보다 건설 및 업그레이드에 사용할 수 있는 공간(필드)이 훨씬 적다는 제약이 있다.

2. 5. 전투 시스템

전투는 행성이나 달에서 벌어진다. 다른 많은 실시간 전략 게임과 달리, ''오게임''에서는 플레이어가 우주선을 직접 제어하지 않고 특정 위치(좌표 체계 사용)로 보내면, 함대가 도착했을 때 전투는 자동으로 진행된다.[4] 전투는 최대 6라운드까지 지속되며, 각 라운드마다 모든 함선과 방어시설은 무작위 목표를 1회 공격한다. 공격 유닛은 특정 목표에 대해 '''속사량'''이 있다면 추가 공격을 할 수도 있다. 서로의 함대나 방어시설이 입힌 피해가 1% 미만일 경우, 1라운드에서 전투가 즉시 종료된다. 한 라운드가 끝나면 모든 유닛의 보호막은 완전히 회복된다.

유닛이 공격받으면 먼저 보호막이 소진되고, 이후 장갑이 손상된다. 장갑이 30% 이상 손상되면 파괴될 가능성이 있으며, 장갑이 모두 손상되면 100% 파괴된다. 파괴된 함선은 생산 비용의 30%가 잔해지대에 자원으로 남아 다른 플레이어가 회수할 수 있다.[4] 파괴된 방어 시설은 전투 후 70% 확률로 수리된다.[4] 전투의 주된 목적은 다른 플레이어의 행성에서 자원을 약탈하거나(레이드), 상대 함대를 파괴하고 생성된 잔해에서 자원을 회수하는 것이다.[4]

2. 5. 1. 속사량

함선이나 방어시설은 특정 대상 유닛을 공격할 때 '''속사량'''을 가질 수 있다. 전투는 최대 6라운드까지 진행되며, 각 라운드마다 모든 유닛은 무작위로 목표를 정해 1회 공격한다. 이때 공격하는 함선이 공격받는 목표에 대해 속사량을 가지고 있다면, 1회 이상 추가 공격을 할 확률이 생긴다.

어떤 함선이 추가 공격을 할지 여부는 그 함선이 공격 목표에 대해 속사량을 가지고 있는가에 달려 있다. 속사량과 추가 공격 확률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표현된다 (r은 속사량):

\textstyle {1 - \frac{1}{r}}

예를 들어, 소형 화물선이 정찰기를 공격할 경우 속사량은 5이다. 따라서 소형 화물선이 정찰기를 공격한 뒤 추가 공격을 할 확률은 \textstyle {1 - \frac{1}{5} = \frac{4}{5} = 80\%}가 된다.

2. 6. 방어 시설

방어 시설은 행성이나 에 건설되며, 행성이 공격받을 경우 적 함대를 공격한다. 방어 시설은 함대와는 달리 파괴되어도 파편이 생기지 않으며, 전투가 끝난 후 파괴된 방어 시설은 70% 확률로 수리가 된다. 방어 시설은 함대 공격에 대해서 피속사량을 가지며, 함선과 달리 행성이나 식민지 간을 이동할 수 없다.

플레이어는 다른 행성의 방어 시설을 공격하기 위해 행성간 미사일(IPM)을 사용할 수 있다. 행성간 미사일은 목표 행성의 방어 시설을 파괴하며, IPM을 통해 파괴된 방어 시설은 복구되지 않는다. 방어 시설을 IPM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미사일 사일로에서 탄도 요격 미사일(ABM)을 만들 수 있다. ABM은 100%의 확률로 IPM을 요격하는데, 예를 들어 10기의 ABM이 있으면 10기의 IPM을 요격할 수 있다.

  • '''로켓 런처''': 기본적인 방위 시설로 로켓 런처를 사용한다.
  • '''라이트 레이저''': 기본적인 방위 시설로 레이저 무기를 사용한다.
  • '''헤비 레이저''': 라이트 레이저를 개량하여 발전시킨 방위 시설.
  • '''가우스 캐논''': 입자 가속기를 사용하여 고속으로 탄환을 발사하는 대포.
  • '''이온 캐논''': 전자기 펄스를 사용한 방위 시설.
  • '''플라즈마포''': 플라즈마를 전자기 가속하여 초고속으로 사출하는 방위 장치.
  • '''소형 쉴드 돔''': 식민지 주위에 배리어를 전개하여 식민지에 일정 방어력을 부가하는 방위 장치.
  • '''대형 쉴드 돔''': 소형 쉴드 돔보다 강력한 배리어를 전개할 수 있다.
  • '''요격 미사일''' (ABM): 성간 미사일(IPM)을 요격할 수 있는 미사일.
  • '''성간 미사일''' (IPM): 자신의 행성이나 식민지에서 직접 다른 플레이어의 행성이나 식민지를 공격할 수 있는 미사일. 요격 미사일(ABM)로만 방어할 수 있다.

2. 7. 연구

연구는 연구소를 통해 진행되며, 비교적 많은 양의 자원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어떤 연구의 레벨을 한 단계 올리기 위해서는 이전 레벨에서보다 두 배의 자원과 두 배의 시간을 필요로 한다. 연구를 진행하면 더욱 발전된 함선이나 방어시설, 건물 등을 만들 수 있다.

연구 중에는 '정탐 기술'이나 '컴퓨터 공학', '무기 공학'처럼 업그레이드할 때마다 직접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있다. 반면, '초공간 기술', '레이저 공학', '이온 공학', '플라즈마 공학', '중력자 기술' 등은 직접적인 효과는 없지만 다른 연구나 기술 개발을 위해 필요한 선행 조건이 된다.

에너지 공학의 레벨이 올라갈수록 핵융합로의 효율이 높아지는 등 특정 연구는 특정 기능 향상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기술 개발을 통해 생산 가능한 함선, 병기, 각종 시설의 종류를 늘리고 방어 및 공격 병기의 레벨을 올릴 수 있다.

다만, 일부 연구는 특정 레벨을 초과하여 올려도 점수 상승 외에는 아무런 이득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해당 연구와 최대 유효 레벨은 다음과 같다.

연구최대 유효 레벨
에너지 공학12
레이저 공학12
이온 공학5
플라즈마 공학7
초공간 기술8
은하간 연구망8
중력자 기술1


3. 동맹

동맹은 오게임 내에서 플레이어들이 모여 만든 집단으로, 친목 도모나 상호 보호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진다.[1] 일반적으로 동맹에 가입하면 자원 지원, 정탐 정보 공유, 연합 공격방어 등 게임 플레이에 도움이 되는 여러 혜택을 받을 수 있다.[1]

동맹은 구성원들이 서로의 공격을 막아주고, 다른 행성을 함께 공격하며, 구성원 간의 자유로운 무역을 돕기 위해 만들어지기도 한다.[2] 일부 우주에서는 동맹 전투 시스템을 이용하여 같은 동맹원의 함대 이동 및 임무 수행을 조율하고, 일시적으로 동맹원의 행성에 자신의 함대를 배치할 수도 있다.[2]

동맹을 만드는 데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1] 동맹들은 게시판의 특정 포럼을 통해 서로 전쟁을 선포하거나 휴전을 맺을 수 있으며, 게임 안에서 동맹 고유의 페이지를 만들어 운영할 수도 있다.[2] 동맹 간 전쟁을 선포하면 집중 공격 제한 규칙의 적용을 받지 않게 된다.[1]

4. 유료 기능

암흑 물질을 사용하여 다양한 유료 기능을 구매할 수 있다. 결제는 신용카드, 페이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장교 및 사령관 기능은 1주일 사용에 암흑 물질 10,000, 3개월(12주) 사용에 암흑 물질 100,000이 필요하다.

'''장교 및 사령관'''

네 명의 장교(엔지니어, 지질 학자, 전문 기술자, 함대 제독)와 사령관은 게임 내 탐험이나 현금 결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암흑 물질로 1주일 또는 3개월 단위로 고용할 수 있다. 각 장교는 특정 능력치나 자원 생산을 향상시킨다.


  • '''사령관''': 건물 건설 예약 기능, 추가 정보가 포함된 개선된 은하계 보기, 메시지 필터, 게임 플레이 편의성을 높이는 추가 단축키, '제국 보기' 메뉴를 제공한다. 제국 보기는 모든 행성의 광산 및 발전소 레벨, 현재 정박 중인 함선 정보 등을 한눈에 보여주며, 이를 통해 건물 업그레이드도 가능하다. 또한, 은하 보기를 통해 다양한 함대 미션 수행이 가능하고 함대 구성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게임 내 광고가 제거된다.
  • '''함대 제독''': 최대 함대 슬롯을 2개 늘려준다.
  • '''엔지니어''': 전투 시 방어 시설의 손실을 절반으로 줄여주고, 에너지 생산량을 10% 향상시킨다.
  • '''지질 학자''': 광업소의 생산 능력을 10% 향상시킨다.
  • '''전문 기술자''': 정탐 레벨을 2레벨 높여주고, 연구 시간을 25% 단축시킨다.


'''상인'''

상인은 한 종류의 자원을 다른 종류의 자원으로 교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거래 비율은 3:2:1을 기준으로 약간씩 변동될 수 있다. 상인을 부르는 데는 암흑 물질 2,500이 필요하며, 이는 일회성 기능이다. 교환 가능한 자원의 양은 플레이어의 저장 건물 용량과 보유한 암흑 물질 양에 따라 제한된다. 상인은 원정 미션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원정은 시스템 밖으로 함대를 보내는 활동으로, 천체물리학 연구가 필요하며 자원이나 암흑 물질을 발견할 기회를 제공한다.

5. 이용 약관 논란

게임포지 AG의 이용 약관에는 이용자에게 불리하다고 판단될 수 있는 조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이용자는 유료 서비스의 결제에 대한 환불을 요청할 수 없다는 점이 지적된다. 약관에는 "사용자는 회원 자격이 Gameforge에 의해 종료되었으며 사용자가 조항 및 조건, 게임/게시판 규칙 및 해당 법률의 위반으로 종료를 유발하지 않았더라도, 환불을 요청할 권리를 가지지는 않습니다."[8]라고 명시되어 있어, 소비자 권리 보호 측면에서 논란의 소지가 있다.

6. 기타

플레이어는 행성에서 각종 자원을 채취하고, 그 자원을 사용하여 지상 시설·우주 함선·기술을 개발하여 지배 행성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른 플레이어의 행성을 공격하여 자원을 빼앗는 것으로 성장을 가속할 수도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는 5개의 게임 서버가 운영되고 있으며, 각 서버는 "우주"라고 칭한다. 서버 간의 자원 등의 거래는 불가능하며, 또한 하나의 서버에서 복수의 계정 등록은 금지되어 있다.

플레이 자체는 무료이지만, 일부 기능 및 특전에 대해서는 유료로 제공된다.

참조

[1] 웹사이트 OGame Game Review https://mmos.com/rev[...] 2015-05-25
[2] 웹사이트 OGame EN https://board.en.oga[...] 2019-05-12
[3] 웹사이트 OGame Game Review https://mmos.com/rev[...] 2019-05-12
[4] 웹사이트 How a fight works - FAQ's / Guides - OGame.org http://board.ogame.o[...] 2012-06-26
[5] 문서 なお、16個目のスロットは外宇宙に繋がっており、惑星やコロニーを割り当てる事はできない。
[6] 웹인용 OGame http://www.labusines[...] 2016-01-18
[7] 문서 SENSOR PHALANX:페일링스 센서. 고유명사로 취급해야 하므로 밀집센서라는 말은 사실 틀린 말이다.
[8] 웹인용 약관 Gameforge Productions GmbH http://impressum.gam[...] 2008-09-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