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시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어시설은 적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이나 시설을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초기에는 동굴 입구를 막거나 방어벽을 쌓는 것에서 시작하여, 고대에는 도시를 둘러싼 성벽, 중세에는 성과 요새로 발전했다. 화약의 등장 이후에는 흙과 해자를 활용한 요새가 등장했으며, 19세기에는 다각형 요새가 개발되었다. 20세기에는 강철과 콘크리트 요새가 사용되었지만, 현대전의 발전으로 지하 벙커와 야전 요새가 주로 사용된다. 현대에는 주요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항공기 벙커, 탄약 저장 시설, 경비 요새 등 다양한 방어 수단이 활용되며, 저강도 분쟁에서는 돌망태, 모래주머니 등으로 만든 요새가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방어시설 |
---|
2. 용어
많은 미국 육군 기지는 요새로 알려져 있지만, 항상 요새화된 것은 아니다. 북아메리카 개척 시대에는 변경 지역의 많은 전초 기지, 심지어 비군사적 전초 기지조차도 일반적으로 요새라고 불렸다. 더 큰 군사 시설은 요새라고 불릴 수 있고, 더 작은 시설은 한때 작은 요새로 알려졌다. 요새화라는 단어는 방어 시설로 지역의 방어를 개선하는 행위를 지칭할 수 있다. 도시의 방어벽은 요새화이지만 반드시 요새라고 불리지는 않는다.
군대 야영지를 배치하거나 요새를 건설하는 기술은 전통적으로 로마 군단 시대부터 ''카스트라메테이션''이라고 불렸다. 요새를 포위하고 파괴하는 행위는 일반적으로 공성전 또는 공성 전쟁이라고 불리며, 공식적으로는 공성 기술로 알려져 있다.
군대 야영지를 배치하거나 요새를 건설하는 기술은 전통적으로 로마 군단 시대부터 ''카스트라메테이션''이라고 불렸다. 요새를 포위하고 파괴하는 행위는 일반적으로 공성전 또는 공성 전쟁이라고 불리며, 공식적으로는 공성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일부 텍스트에서는 이 후자의 용어가 요새 건설 기술에도 적용된다.
요새화는 일반적으로 영구 요새화와 야전 요새화의 두 가지 분야로 나뉜다. 영구 요새화는 국가가 건설 및 기계적 기술로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사용하여 여유롭게 건설되며,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지어진다. 야전 요새화(예: 참호)는 종종 야전 작업 또는 토공사로 알려져 있으며, 현장의 군대가 즉석에서 만들며, 조달할 수 있는 현지 노동력과 도구, 그리고 토양, 덤불, 가벼운 목재[1] 또는 모래 주머니(상가르 참조)와 같이 많은 준비가 필요하지 않은 재료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야전 요새화의 예[1]는 1754년 조지 워싱턴이 포트 넥세시티를 건설한 것이다.
또한 반영구 요새화라고 알려진 중간 분야가 있다.[2] 이는 캠페인 과정에서 충분한 자원과 숙련된 민간 노동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단기간에 만들 수 있는 최상의 영구 방어 시설을 사용하여 어떤 지역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해질 때 사용된다.[2] 이에 대한 예는 영국의 로마 요새 및 캠프를 얼마 동안 머물 의도로 설치했지만 영구적이지 않은 다른 로마 영토에 로마 요새를 건설한 것이다.
성은 일반적인 요새 또는 요새와 구별되는 요새화로 간주되며, 군주 또는 귀족의 거주지를 설명하고 특정 방어 구역을 지휘한다. 이에 대한 예는 카르카손의 거대한 중세 성이다.
3. 역사
요새화는 일반적으로 영구 요새화와 야전 요새화의 두 가지 분야로 나뉜다. 영구 요새화는 국가가 건설 및 기계적 기술로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사용하여 여유롭게 건설되며, 내구성이 있는 재료로 지어진다. 야전 요새화(예: 참호)는 종종 야전 작업 또는 토공사로 알려져 있으며, 현장의 군대가 즉석에서 만들며, 조달할 수 있는 현지 노동력과 도구, 그리고 토양, 덤불, 가벼운 목재[1] 또는 모래 주머니(상가르 참조)와 같이 많은 준비가 필요하지 않은 재료를 사용한다. 야전 요새화의 예[1]로는 1754년 조지 워싱턴이 포트 넥세시티를 건설한 것이 있다.
반영구 요새화는 캠페인 과정에서 충분한 자원과 숙련된 민간 노동력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단기간에 만들 수 있는 최상의 영구 방어 시설을 사용하여 어떤 지역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해질 때 사용된다.[2] 이에 대한 예는 영국의 로마 요새처럼 얼마 동안 머물 의도로 설치했지만 영구적이지 않은 로마 요새이다.
성은 일반적인 요새와 구별되는 요새화로, 군주 또는 귀족의 거주지를 설명하고 특정 방어 구역을 지휘한다. 카르카손의 거대한 중세 성이 그 예이다.
3. 1. 고대
인류는 문자가 등장하기 훨씬 이전부터 포식자로부터 인간과 가축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 울타리를 사용했다.[3] 아주 초기 역사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방어벽은 많은 도시에게 필수적인 요소였다. 서시베리아의 암냐 요새는 고고학자들에 의해 가장 오래된 요새 정착지 중 하나이자 가장 북쪽에 위치한 석기 시대 요새로 묘사되었다.[4] 불가리아 프로브디아 마을 근처에는 기원전 4700년부터 시작된 솔니차타라는 성벽 요새 정착지가 있는데, 지름이 약 약 91.44m이며 2층 집에 거주하는 350명의 사람들이 살았고 요새화된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 정착지 주변의 거대한 벽은 약 1.83m 높이와 약 1.37m 두께의 석재 블록으로 건설되어 유럽에서 가장 초기의 성벽 정착지 중 하나가 되었다.[5][6] 그러나 이는 기원전 6800년 그리스의 세슬로 성벽 도시보다 더 오래된 것은 아니다.[7][8]
고대 수메르(메소포타미아)의 우루크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성벽 도시 중 하나이다. 고대 이집트인들 또한 나일강 계곡 경계에 요새를 건설하여 인접 지역의 침략자들로부터 보호했으며, 도시 주변에는 원형의 진흙 벽돌 벽을 쌓았다. 고대 세계의 많은 요새는 진흙 벽돌로 지어졌으며, 오늘날의 고고학자들에게는 흙더미로밖에 남지 않은 경우가 많다. 기원전 3200년 스코틀랜드의 네스 오브 브로드거 고대 사원 주변에는 거대한 선사 시대 석벽이 있었다. "브로드거의 거대한 벽"이라고 불린 이 벽은 4m 두께에 4미터 높이였으며, 상징적이거나 의례적인 기능을 했다.[9][10] 고대 아시리아인들은 새로운 궁전, 사원 및 방어벽을 건설하기 위해 대규모 노동력을 동원했다.[11]
후기 석기 시대부터 영국 라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여러 요새가 인도 아대륙 본토(오늘날의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네팔)에서 발견된다. 인도에서 "요새"는 모든 오래된 요새에 사용되는 단어이다. 수많은 인더스 문명 유적지에서 요새화의 증거가 나타난다. 기원전 3500년경에는 수백 개의 작은 농업 마을이 인더스 강 범람원에 점점이 흩어져 있었다. 이 정착지 중 많은 곳에 요새와 계획된 거리가 있었다. 코트 디지의 돌과 진흙 벽돌 집은 주요 농경지 통제를 놓고 끊임없이 다투는 이웃 공동체를 위해 거대한 석조 홍수 제방과 방어벽 뒤에 무리지어 있었다.[20] 요새화는 유적지마다 달랐다. 돌라비라에는 석조 방어벽이 있는 반면, 하라파는 구운 벽돌을 사용하여 요새화되어 있다. 칼리반간과 같은 유적지는 진흙 벽돌 요새와 보루를 보여주며, 로탈은 사각형 요새 배치를 가지고 있다. 모헨조다로에서도 요새화의 증거가 제시되었다. 예를 들어, 정교한 요새와 같은 보루를 보여주는 코타다 바들리와 같은 작은 마을조차도 인더스 문명의 거의 모든 주요 및 소규모 도시가 요새화되었음을 보여준다.[21] 요새는 또한 기원전 600년에서 200년 사이의 두 번째 도시화 기간 동안 갠지스 계곡의 도시에서도 나타났으며, 코삼비, 마하스타앙, 파탈리푸트라, 마투라, 아히차트라, 라지기르, 로리아 난단가르와 같이 갠지스 계곡 전체에서 고고학자들이 15개나 되는 요새 유적지를 확인했다. 가장 초기의 마우리아 제국 시대의 벽돌 요새는 로리아 난단가르의 탑 언덕 중 하나에서 발견되며, 둘레가 1.6 km이고 타원형 평면으로 주거 지역을 둘러싸고 있다.[22] 오늘날 남동부 아프가니스탄의 문디가크에는 방어벽과 햇볕에 말린 벽돌로 만든 사각형 보루가 있다.[23]
인도는 현재 180개 이상의 요새를 보유하고 있으며, 마하라슈트라 주에만 70개 이상의 요새가 있다. 이 요새들은 ''두르그''라고도 불리며,[24][26][25] 이 중 많은 수가 마라타 제국의 창시자인 시바지에 의해 건설되었다.
인도의 요새는 대부분 북인도에 위치해 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요새는 구 델리의 레드 포트, 아그라의 레드 포트, 라자스탄의 치토르 요새와 메르항가르 요새, 란탐보르 요새, 아메르 요새 및 자이살메르 요새 (역시 라자스탄)와 마디아프라데시의 고왈리오르 요새이다.[26]
군사 전략에 관한 인도의 논문인 아르타샤스트라는 주요 방어 방식에 따라 6가지 주요 유형의 요새를 설명한다.
3. 2. 청동기 시대 및 철기 시대
청동기 시대 몰타에서는 일부 정착지가 요새화되기 시작했는데, 가장 주목할 만한 현존하는 예는 보르그 인-나두르이다. 보르그 인-나두르에서는 기원전 1500년경에 건설된 보루가 발견되었다.[12] 고대 스파르타와 고대 로마는 예외적으로 오랫동안 성벽을 갖지 않고 군대에 의존하여 방어했다. 초기에 이러한 요새는 나무와 흙으로 만든 단순한 구조물이었지만, 나중에는 모르타르 없이 돌을 서로 쌓아 혼합된 구조로 대체되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미케네 그리스에서 미케네의 고대 유적지(거대한 돌 블록으로 된 '키클롭스' 성벽으로 유명)와 같이 거대한 석조 성벽이 건설되었다. 고전 그리스 시대의 아테네는 수 마일 떨어진 요새화된 항구인 피레우스에 이르는 두 개의 평행한 석조 성벽인 긴 벽을 건설했다.
중앙 유럽에서 켈트족은 오피둠으로 알려진 대규모 요새 정착지를 건설했는데, 그 성벽은 지중해에서 건설된 성벽의 영향을 일부 받은 것으로 보인다. 요새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개선되었다. 기원전 600년경, 독일 호이네부르크에서는 석회암 기초 위에 약 4미터 높이의 흙벽돌 벽으로 지어진 요새가 건설되었으며, 아마도 지붕이 덮인 통로로 덮여 전체 높이가 6미터에 달했다. 벽은 석회 석고로 덮여 정기적으로 갱신되었다. 탑이 밖으로 튀어나왔다.[12][13]
만칭 오피둠(독일어: Oppidum von Manching)은 현대 만칭(잉골슈타트 근처), 바이에른(독일)에 있는 대규모 켈트족의 원시 도시 또는 도시와 같은 정착지였다. 이 정착지는 기원전 3세기에 설립되어 기원전 50-30년경까지 존재했다. 후기 라텐 시대(기원전 2세기 후반)에 380헥타르 규모로 가장 넓게 확장되었다. 당시 7.2km 길이의 성벽 안에는 5,000명에서 10,000명이 살았다. 비브락테 오피둠은 또 다른 갈리아 요새 정착지의 예이다.
"카제메이트 벽"이라는 용어는 이스라엘(Land of Israel)과 더 넓은 근동의 고고학에서 사용되며, 도시[14] 또는 요새[15]를 보호하는 이중 벽을 의미하며, 횡단 벽이 벽 사이의 공간을 방으로 분리한다.[14] 이러한 공간은 창고나 주거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공성전 동안 토양과 암석으로 채워져 외부 벽의 저항력을 공성퇴에 대해 높일 수 있었다.[14] 원래 히타이트인에 의해 이 지역에 도입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그들의 도착보다 앞선 사례가 발견되면서 이는 입증되지 않았는데, 가장 초기의 예는 티이닉(타아나크)에서 발견되었으며, 이 벽은 기원전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16] 카제메이트 벽은 청동기 중기(MB)와 철기 시대 II 사이의 남부 레반트에서 흔한 유형의 요새가 되었으며, 철기 시대에 더 많았고 철기 시대 II(기원전 10-6세기)에 정점을 찍었다.[14] 그러나 카제메이트 벽의 건설은 기원전 9세기에 보다 튼튼한 견고한 벽으로 대체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아마도 신아시리아 제국에 의해 더 효과적인 공성퇴가 개발되었기 때문일 것이다.[14][17] 카제메이트 벽은 정착지 전체를 둘러쌀 수 있지만, 대부분은 그 일부만을 보호했다.[18] 세 가지 다른 유형에는 독립형 카제메이트 벽, 내부 벽이 정착지의 외부 건물 일부인 통합형 카제메이트 벽, 그리고 벽 사이의 방이 바로 흙으로 채워져 높지만 안정적인 벽을 신속하게 건설할 수 있었던 채움형 카제메이트 벽이 있었다.[19]
3. 3. 고대 로마
고대 로마인들은 모르타르로 묶인 거대한 석조 벽으로 도시를 요새화했다. 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로마의 아우렐리아누스 성벽과 콘스탄티노플의 테오도시우스 성벽이며, 다른 곳에서도 부분적인 잔해가 남아 있다. 이것들은 대부분 트리어의 포르타 니그라 또는 링컨셔 링컨의 뉴포트 아치와 같은 도시 문이다.
하드리아누스 장벽은 로마 황제 하드리아누스 (재위: 서기 76년–138년)가 서기 122년에 방문한 후 현재 잉글랜드 북부 지역을 가로질러 로마 제국에 의해 건설되었다.
3. 4. 중국
견고한 흙(성토)으로 만들어진 대규모 성벽은 고대 중국에서 상 왕조(기원전 1600–1050년경)부터 건설되었다. 고대 아오의 수도는 이러한 방식으로 건설된 거대한 성벽을 가지고 있었다.[1] 전국 시대(기원전 481–221년) 동안 중국에서 석조 성벽이 건설되었지만, 석조 건축물로의 대규모 전환은 당나라(618–907년)에 이르러서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1] 만리장성은 진나라(기원전 221–207년)부터 건설되었지만, 현재의 모습은 대부분 명나라(1368–1644년) 시대에 이루어진 토목 공사 및 개축의 결과이다.[1]
만리장성 외에도, 많은 중국 도시들이 도시를 방어하기 위해 방어벽을 사용했다. 주목할 만한 중국 성벽으로는 항저우 성벽, 난징 성벽, 상하이 구시가지, 쑤저우 성벽, 시안 성벽 및 홍콩의 옹벽 마을 등이 있다.[1] 베이징의 자금성의 유명한 성벽은 영락제에 의해 15세기 초에 건설되었다.[1] 자금성은 베이징 성곽의 내부 부분을 구성했다.[1]
3. 5. 필리핀
스페인령 동인도 시대에 군도 전역에 걸쳐 여러 요새와 전초 기지가 건설되었다. 가장 유명한 곳은 인트라무로스로, 파시그강 남쪽 강변에 위치한 마닐라의 오래된 성벽 도시이다.[27] 이 역사적인 도시에는 수 세기에 걸친 교회, 학교, 수녀원, 정부 건물, 주택이 있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의 폭탄으로 많은 부분이 파괴되기 전까지 스페인 식민지 건축물의 최고의 컬렉션을 보유하고 있었다. 67에이커에 달하는 도시 내 모든 건물 중 전쟁에서 살아남은 건물은 산 아구스틴 교회 단 하나였다.
스페인 요새 목록은 다음과 같다.
요새 이름 | 위치 |
---|---|
인트라무로스 | 마닐라 |
쿠아르텔 데 산토 도밍고 | 산타 로사, 라구나 |
푸에르자 데 쿠요 | 쿠요, 팔라완 |
푸에르자 데 카가얀실로 | 카가얀실로, 팔라완 |
레알 푸에르자 데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필라르 데 사라고사 | 삼보앙가 시 |
푸에르자 데 산 펠리페 | 카비테 시 |
푸에르자 데 산 페드로 | 세부 |
푸에르테 델라 콘셉시온 이 델 트리운포 | 오자미스, 미사미스옥시덴탈 |
푸에르자 데 산 안토니오 아바드 | 마닐라 |
푸에르자 데 피키트 | 피키트, 코타바토 |
푸에르자 데 산티아고 | 롬블론, 롬블론 |
푸에르자 데 홀로 | 홀로, 술루 |
푸에르자 데 마스바테 | 마스바테 |
푸에르자 데 봉가봉 | 봉가봉, 오리엔탈 민도로 |
코타 데 다피탄 | 다피탄, 삼보앙가델노르테 |
푸에르테 데 알폰소 12세 | 투쿠란, 삼보앙가델수르 |
푸에르자 데 바콜로드 | 바콜로드, 라나오델노르테 |
긴실리반 감시탑 | 긴실리반, 카미긴 |
라구인딘간 감시탑 | 라구인딘간, 미사미스오리엔탈 |
쿠탕 산 디에고 | 구마카, 케손 |
발루아르테 루나 | 루나, 라유니온 |
바타네스 북부 섬에 사는 이바탄족은 전쟁 시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언덕과 고지대에 소위 ''idjang''을 건설했다.[28] 이 요새들은 그 목적 때문에 유럽의 성과 유사했다. 일반적으로 성의 유일한 입구는 마을 사람들을 위해 밧줄 사다리를 통해서만 접근 가능했으며, 침략자가 도착하면 밧줄 사다리를 치워 접근을 막았다.
이고로트족은 기원전 2000년경에 폭이 여러 미터이고 높이가 폭의 두세 배인 돌담으로 된 요새를 건설했다.[29]
남부 필리핀 무슬림들은 그들의 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해 ''코타'' 또는 ''뭉''이라고 불리는 강력한 요새를 건설했다. 코타는 단순한 군사 시설이 아니라 지역 영주의 궁전 역할도 겸했으며, 전사뿐만 아니라 전체 가족이 거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마귄다나오 술탄국의 권력이 절정에 달했을 때, 서부 민다나오 주변 지역을 코타와 기타 요새로 덮어 스페인군의 진입을 막았다. 이 코타는 주로 돌과 대나무 또는 기타 가벼운 재료로 만들어졌으며 참호 네트워크로 둘러싸여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쉽게 불에 타거나 파괴될 수 있었고, 스페인의 추가적인 군사 작전으로 술탄국이 진압되면서 대부분의 코타는 해체되거나 파괴되었다. 코타는 무슬림이 스페인과 다른 외국인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반역자와 반란군도 이 지역의 다른 족장에게 반항하기 위해 요새를 건설했다. 미국 점령 기간 동안에도 반군은 요새를 건설했고, 다투스, 라자, 또는 술탄들은 신하와 토지에 대한 지배권을 유지하기 위해 코타를 건설하고 강화했다.[30] 하지만 이러한 요새 중 많은 수가 미국 원정에 의해 파괴되어,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코타는 극히 소수에 불과하다.
주목할 만한 코타는 다음과 같다.
- 코타 셀롱: 루손에 있는 브루나이 제국의 전초 기지로, 나중에 마닐라 시가 되었다.
- 쿠타 와토/코타 바토: 문자 그대로 "돌 요새"를 의미하며, 필리핀에서 최초로 알려진 석조 요새로, 그 유적은 "쿠타와토 동굴 단지"로 존재한다.[31]
- 코타 수그/홀로: 술루 술탄국의 수도이자 주도. 1870년대에 스페인군이 점령했을 때 이 코타를 세계에서 가장 작은 성벽 도시로 개조했다.
3. 6. 아라비아

아라비아에서 무함마드 시대에 많은 부족들이 요새를 이용했다. 참호 전투에서, 주로 이슬람교의 예언자 무함마드가 이끄는 메디나의 수비군은 압도적으로 수적으로 불리했으나, 참호전을 파서 메디나의 자연 요새와 함께 연합군의 기병대(말과 낙타 기병대로 구성)를 무력하게 만들었고, 양측을 교착 상태에 빠뜨렸다. 여러 번의 공격을 한꺼번에 시도하려던 연합군은 메디나와 동맹 관계에 있던 바누 쿠라이자에게 도시 남쪽에서 공격하도록 설득했다. 그러나 무함마드의 외교는 협상을 방해했고, 그를 대적하는 연합을 와해시켰다. 잘 조직된 수비군, 연합군의 사기 저하, 그리고 좋지 않은 기상 조건으로 인해 포위 공격은 실패로 끝났다.[32]
630년 1월 타이프 포위전 동안,[33] 무함마드는 그의 추종자들에게 후나인 전투에서 도망쳐 타이프 요새로 피신한 적들을 공격하라고 명령했다.[34]
3. 7. 아프리카
누비아(현재의 수단)에 위치한 도시 케르마는 도랑으로 둘러싸인 요새화된 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고고학 발굴을 통해 구운 벽돌이나 굽지 않은 벽돌과 함께 다양한 청동기 시대의 보루와 석조 기초가 발견되었다.[35]베닌 성벽은 "기네스북, 1974"에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인공 구조물이자 가장 광범위한 토공사로 묘사된다.[36][37] 이 성벽은 13세기에서 15세기 중반 사이,[38] 또는 서기 1천년 동안 건설되었을 수 있다.[38][39] 요루바랜드에는 토공사와 성벽으로 둘러싸인 여러 장소가 있었고, 언덕과 능선과 같은 지형을 이용하여 방어력을 높였다. 요루바족의 요새는 종종 참호와 성벽으로 된 이중 벽으로 보호되었고, 콩고 숲에서는 주요 시설과 함께 참호와 길을 숨겨 날카롭게 깎은 말뚝이 늘어섰다. 내부는 적의 침투를 막기 위해 미로 같은 방어벽을 설치하여 적군을 가두고 십자포화를 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40]
아샨티의 군사 전술은 주요 지점에 강력한 통나무 울타리를 만드는 것이었다. 이것은 영국과의 전쟁에서 영국군의 진격을 막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요새 중 일부는 길이가 100야드 이상이었고, 굵은 평행 나무 기둥으로 되어 있어 포격에도 파괴되지 않았다. 이 울타리 뒤에는 수많은 아샨티 병사들이 동원되어 적의 이동을 막았다. 그러나 아샨티의 총, 화약, 총알의 품질이 좋지 않아 방어에 지속적인 살상력을 제공하지 못했기 때문에 많은 요새가 실패했다. 영국군은 여러 차례에 걸쳐 엄호 사격을 가한 후 구식 총검 돌격을 감행하여 울타리를 극복하거나 우회했다.[41]
방어 시설은 열대 아프리카 왕국에서 중요했다. 콩고 왕국에서는 참호와 낮은 토루가 야전 요새의 특징이었다. 이러한 요새는 더 높고 위압적인 구조물보다 유럽의 대포에 더 잘 견딜 수 있었다.[42]
3. 8. 중세 유럽
로마 요새와 언덕 요새는 9세기에 카롤링거 제국에서 등장한 성의 주요 선구자였다. 중세 초에는 성을 중심으로 건설된 몇몇 도시가 등장했다. 이러한 도시들은 단순한 돌담으로 보호되는 경우는 드물었고, 벽과 해자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더 일반적이었다. 12세기부터 유럽 전역에서 다양한 규모의 수백 개의 정착지가 건설되었고, 이들은 곧 요새화 권리를 얻었다.[1]
3. 9. 화기 도입 이후의 발전 (16세기~18세기)
흑색 화약 시대의 요새는 해자와 흙 성벽을 더 많이 사용하여 대포 사격의 에너지를 흡수하고 분산시키는 등, 훨씬 낮아진 구조로 진화하였다. 대포의 직사 화기에 노출된 벽은 매우 취약했으므로 흙 경사로가 앞을 가로막는 해자 속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이로 인해 방어 대포가 상호 연결된 사격 범위를 갖도록 요새의 기하학에 큰 비중을 두게 되었다.[43][44]
1492년에서 1502년 사이에 건설된 이탈리아 북서부의 사르자넬로(Sarzanello)와 같은 과도기적 요새에서 이 새로운 스타일의 요새의 진화를 볼 수 있다. 사르자넬로는 중세 시대 전형적인 성벽과 탑이 있는 동시에 본 요새의 탑에서 측면 사격을 받지 않도록 튼튼한 성벽 중 하나를 가리는 각진 포대와 같은 라블랭을 갖추고 있다. 로도스 요새는 1522년에 ''고정''되어 로도스는 고전적인 중세 요새와 현대 요새 사이의 과도기를 여전히 보여주는 유일한 유럽의 성벽 도시이다. 조반니 바티스타 잔키(Giovanni Battista Zanchi)는 1554년에 요새 건설에 대한 매뉴얼을 출판했다.[43][44]
요새는 또한 깊이도 확장되어 방어 대포를 위한 보호된 포대를 갖추어 공격 대포를 교전시켜 거리를 유지하고 취약한 벽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았다. 그 결과 별 모양의 요새가 생겨났으며, 포트 부르탕이 그 좋은 예이다. 이 시대의 광범위한 요새는 북유럽 국가와 영국에도 있으며, 버윅어폰트위드의 요새와 헬싱키의 항구 군도인 수오멘린나가 좋은 예이다.[43][44]

3. 10. 19세기
19세기에 폭발성 포탄의 등장은 요새화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별 모양 요새는 고성능 폭탄에 취약했고, 복잡한 배치와 사격 라인은 쉽게 파괴될 수 있었다. 넓은 해자와 역경사면 가장자리의 엄폐된 길도 포격에 취약했다.
이에 대응하여 군사 기술자들은 다각형 스타일의 요새화를 개발했다. 해자는 깊고 수직적인 면을 가지게 되었으며, 자연 암석이나 토양에 직접 깎였다. 해자는 공격하는 병력에게는 통과할 수 없는 장벽이 될 만큼 넓지만, 적의 포격에는 어려운 표적이 될 만큼 좁게 설계되었다. 해자 방어는 보루와 해자 외부면에 깎아 놓은 사격 위치에서 발사되는 사격으로 이루어졌다.
요새의 윤곽은 매우 낮아졌고, 완만하게 경사진 개방 지역으로 둘러싸여 적군이 숨을 수 없도록 했다. 요새 자체는 적의 사격에 대한 최소한의 표적을 제공했다. 출입구는 해자 내부에 있는 함몰된 문간으로, 구불구불한 경사로와 롤링 브리지를 통해 접근할 수 있었다.

요새의 많은 부분이 지하로 옮겨졌다. 깊은 통로와 터널 네트워크가 해자의 보루와 사격 지점을 요새와 연결했으며, 탄약고와 기계실은 표면 아래 깊숙이 위치했다. 대포는 종종 개방된 포좌에 장착되었고 참호로만 보호되었다. 이는 닫힌 반원형 포대의 대포가 잔해에 의해 작동 불능이 되는 경험 때문이었다.
새로운 요새는 보루의 원칙을 포기하고, 해자로 둘러싸인 단순화된 다각형 윤곽을 가졌다. 벽돌과 모양의 돌로 지어진 이 요새는 포격으로부터 주둔지를 보호하도록 설계되었다. 새로운 시스템은 외부 요새선과 내부 링의 두 개의 방어 커튼을 건설하는 특징을 가졌다(예: 프랑스의 세레 드 리비에르 시스템).
그러나 전통적인 요새화는 가벼운 무기를 갖춘 토착 인구로부터 아프리카에 세워진 식민지에서 전쟁에 참여한 유럽 군대에 의해 계속 적용되었다. 원시 무기에 강한 요새의 소수 수비대는 탄약 공급만 제한되는 높은 확률에 맞서 버틸 수 있었다.
3. 11. 20세기 및 21세기

강철과 콘크리트 요새는 19세기와 20세기 초에 흔했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현대전의 발전으로 인해 대규모 요새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쓸모없게 되었다. 1930년대와 1940년대에는 몰타의 포트 캠벨과 같이 항공전의 새로운 위협을 고려하여 설계된 요새가 건설되었다.[46]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전에서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지하 벙커뿐이다. 많은 역사적인 요새가 현대에 철거되었지만, 상당수는 오늘날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자 중요한 지역 랜드마크로 남아 있다.
영구적인 요새의 쇠퇴에는 두 가지 원인이 있었다.
- 점점 더 확대되는 포병과 공군의 위력, 속도 및 사거리는 발견될 수 있는 거의 모든 목표가 충분한 병력이 투입되면 파괴될 수 있음을 의미했다. 따라서 방어자가 요새 강화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할수록, 요새 파괴가 공격자의 전략에 의해 요구될 경우, 그 요새를 파괴하는 데 더 많은 전투력이 투입되는 것을 정당화했다. 제2차 세계 대전부터 벙커 버스터가 요새에 사용되었다. 1950년까지 핵무기는 도시 전체를 파괴하고 위험한 방사능을 생성할 수 있었다. 이것은 민간 핵 방공호의 창설로 이어졌다.
- 영구적인 요새의 두 번째 약점은 바로 그 영구성이었다. 이 때문에 요새를 우회하는 것이 더 쉬웠고,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기동전이 등장하면서 이것은 실행 가능한 공격 선택이 되었다. 방어선이 너무 광범위하여 완전히 우회할 수 없을 때, 방어선의 한 부분에 대규모 공격력을 집중시켜 돌파구를 만들 수 있었고, 그 후 나머지 방어선은 우회할 수 있었다. 이것이 지크프리트 선, 스탈린 선, 대서양 방벽과 같이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에 건설된 많은 방어선의 운명이이었다. 마지노 선의 경우는 달랐는데, 독일군이 이를 우회하기 위해 다른 국가(벨기에 또는 스위스)를 침공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그 의미에서 성공적이었습니다.[47]

대신 야전 요새가 방어 작전을 지배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을 지배했던 참호전과는 달리, 이러한 방어는 본질적으로 더 임시적이이었다. 이것은 장점이 있었는데, 더 광범위하지 않기 때문에 적군이 집중해야 할 명확한 목표물을 덜 형성했기 때문이다.
만약 충분한 힘이 한 지점에 집중되어 돌파할 수 있다면, 그곳에 주둔한 병력은 철수할 수 있고, 방어선은 비교적 빠르게 재설치될 수 있었다. 침투할 수 없는 방어선 대신, 이러한 요새는 종심 방어를 강조하여 방어자가 후퇴하거나 함락될 때, 그 뒤에 있는 방어선이 방어를 인수할 수 있도록 했다.
양측에서 수행된 기동 공격은 일반적으로 방어선의 가장 강력한 지점을 피하는 데 집중했기 때문에, 이러한 방어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얇고 방어선의 길이를 따라 분산되었다. 그러나 방어는 일반적으로 전체적으로 똑같이 강력하지는 않았다.
어떤 지역의 방어선의 강도는 공격 부대가 방어되는 지형에서 얼마나 빠르게 진격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달라졌다. 즉, 방어선이 건설된 지형과 공격자가 돌파를 희망할 수 있는 그 뒤의 지형 모두에 따라 달라졌다. 이는 지형의 전략적 가치와 방어적 가치 모두에 기인했다.
이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공격 전술이 기동성에 초점을 맞추는 동안, 방어 전술도 기동성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다. 참호 방어는 주로 보병과 대전차포로 구성되었다. 방어 전차와 전차 구축함은 방어선 뒤에 있는 기동 여단에 집중되었다. 만약 방어선의 한 지점에 대한 주요 공격이 시작되면, 실패의 위험에 처한 그 지점을 강화하기 위해 기동 증원군이 파견되었다.
따라서 방어선은 비교적 얇을 수 있었는데, 이는 방어자의 전투력의 대부분이 방어선 자체에 집중된 것이 아니라 기동 예비대에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이 규칙의 주목할 만한 예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쿠르스크 전투의 방어선에서 볼 수 있었는데, 독일군은 의도적으로 소련 방어의 가장 강력한 부분을 공격하여 완전히 분쇄하려 했다.
방어되는 지형은 매우 중요했는데, 전차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개활지는 방어자의 후방 지역으로의 신속한 진격을 가능하게 하여 방어자에게 매우 위험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러한 지형은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방어해야 했다.

또한 이론적으로 방어선은 기동 예비군이 이를 강화할 때까지 충분히 오래 버티기만 하면 되었기 때문에, 빠른 진격이 허용되지 않는 지형은 적의 진격이 더 느려져 방어자에게 방어선의 그 지점을 강화할 시간을 더 많이 주기 때문에 더 약하게 유지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독일에서의 위르트겐 숲 전투는 어려운 지형을 방어자의 이점으로 사용할 수 있었던 훌륭한 예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전 세계의 많은 지역에 도달할 수 있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이 개발되어 속도는 가장 강력한 군대와 방어의 필수적인 특징이 되었다. 미사일 사일로가 개발되어 미사일이 국가 중심부에서 발사되어 다른 국가의 도시와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었고, 비행기(및 항공모함)는 주요 방어 및 공격 무기가 되었다(공항 및 활주로의 요새화 사용 확대로 이어짐). 이동식 방어는 탄도 미사일 잠수함에서 발사할 수 있는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의 형태로 수중에서도 가능했다. 20세기 중후반의 일부 벙커는 지브롤터와 샤이엔 산 기지와 같은 산과 눈에 띄는 바위 깊숙이 묻히게 되었다. 지상 자체에서는 지뢰밭이 현대전에서 숨겨진 방어로 사용되어 전쟁이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았다.
국경을 따라 있는 비무장 지대는 잠재적으로 적대적인 군대 간의 완충 역할을 제공하는, 수동적인 종류이긴 하지만, 또 다른 유형의 요새라고 할 수 있다.
군사 비행장은 비교적 소규모의 적군에게도 고정된 "표적 풍부" 환경을 제공하며, 지상군의 기습 전술, 원거리 공격(박격포 및 로켓), 공습 또는 탄도 미사일을 사용할 수 있다. 항공기, 탄약, 연료 및 핵심 기술 인력과 같은 주요 목표물은 요새화로 보호할 수 있다.
항공기는 여러 유형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항공기용 토류벽, 헤스코 방어벽, 경화 항공기 벙커 및 지하 격납고로 보호할 수 있다. 대형 항공기는 작전 지역 외부에 배치되는 경향이 있다.
탄약 저장 시설은 사고 및 연쇄 반응(동조 폭발)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요새(벙커 및 방벽)를 사용하는 안전 규칙을 따른다. 항공기 재무장을 위한 무기는 항공기에 더 가까운 소규모 요새화된 "비용" 저장소에 보관할 수 있다. 1965년 5월 16일 아침 베트남 남부 비엔호아에서 항공기가 재급유 및 무장하는 동안 연쇄 폭발로 항공기 13대가 파괴되고 34명이 사망했으며 1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다. 이로 인해 적의 공격(침투 전술 및 원거리 공격)으로 인한 항공기의 손상 및 손실과 함께 남베트남 전역의 항공기를 보호하기 위해 토류벽과 벙커를 건설하게 되었다.
승무원과 지상 인력은 적의 공격 시 보호가 필요하며, 요새는 암거 섹션 "엎드려 엄폐" 벙커에서 영구적인 공습 대피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숙소 및 식당과 같이 인구 밀도가 높은 취약한 장소는 조립식 콘크리트 벽이나 장벽을 배치하여 제한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장벽의 예로는 저지 방호벽, T 방호벽 또는 파편 방호 장치(SPU)가 있다. 오래된 요새는 1980년대에 건설된 구 유고 피라미드 대피소와 같이 유용할 수 있다. 이 대피소는 2020년 1월 8일 이란이 이라크의 아인 알 아사드 공군기지에 11발의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 미국 인력이 사용했다.
연료는 휘발성이 있으며 사고로부터 보호를 제공하는 저장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지하 대량 연료 시설의 연료는 밸브 및 제어가 적의 공격에 취약하지만 잘 보호된다. 지상 탱크는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
지상 지원 장비는 적의 공격 후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요새로 보호해야 한다.
영구적인 (콘크리트) 경비 요새는 모래주머니 요새보다 안전하고, 튼튼하며, 오래 지속되며, 비용 효율적이다. 조립식 위치는 콘크리트 암거 섹션으로 만들 수 있다. 영국 Yarnold 벙커는 콘크리트 파이프 섹션으로 만들어졌다.
경비탑은 시야를 넓히지만 보호 수준은 낮다.
자산 분산 및 위장은 일부 형태의 비행장 공격에 대한 요새화를 보완할 수 있다.
4. 일본의 축성
일본의 축성은 성을 축조하는 목적을 명확히 하고 축조할 토지를 선정하는 선지(選址)를 거쳐, 구조 및 건물의 설계와 계획인 나와바리를 진행한다. 이후 토목 공사에 해당하는 후신과 건축 공사인 사쿠지 순서로 건설 공사가 이루어진다.
4. 1. 선지 (選地)
축성을 위해서는 먼저 장소를 정하는 '선지(選地)'를 한다. 가능한 한 적은 토목 공사로 목적에 적합한 성을 축성하는 것이 중요했다. 자연 지형을 이용하여, 방어하기 쉽고 출격하기 쉬운 장소를 선택했다. 성주와 성병의 거처와 물자 저장 장소, 교통로(길과 하천)에 대한 접근성도 중요했다. 정청의 기능을 가진 성에서는 시가지와의 접근성도 고려되었다. 평지에 지은 성(평성과 평산성)에서는 하천이 천연의 해자가 되었다. 산성에서는 산 자체의 험준함과 계곡이 이용되었다.4. 2. 나와바리 (縄張)
일반적으로 일본의 성은 해자와 보루로 구획된 구루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성의 중심이 되는 주곽 (혼마루)을 지키도록 구루와의 배치와 크기, 평면의 형태, 높이, 해자의 깊이와 폭 외에도 건물의 위치, 규모, 형태도 설계한다. 이 작업을 '''나와바리'''(縄張, 줄 긋기)라고 한다.[50]성터의 지도 기호는 이 나와바리에서 유래되었다. 동물의 영역(테리토리)에도 이 용어가 전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4. 3. 부신 (普請)
부신(普請)은 일반적으로 토목 공사를 가리키는 단어이며, 성의 토목 공사를 특히 '''성부신'''(城普請)이라고도 한다.먼저, 해자나 보루의 계획을 실제 장소에 밧줄로 선을 그리는 것을 '''나와우치'''(縄打ち|나와우치일본어)라고 한다. 현대 일본 건축 공사에서 행해지는 '야리카타'(遣り方)와 목적은 같다. 부신의 단계에서는 지형을 정비하고, 각종 해자를 파고, 토루를 쌓으며, 때로는 석축을 쌓는다. 석축 공사는 석축 장인이 기술이 없는 작업자에게 기술적인 지시를 내려 공사를 진행했다.[49]
4. 4. 작사 (作事)
루(壘) 위에 망루를 올리고, 담을 설치한다. 곡륜의 출입구인 호구에는 성문을 세운다. 이러한 건축 공사를 '''작사'''(作事|작사일본어)라고 한다. 천수각이나 어전 등의 주택 건축도 작사 공사이다.성곽의 배치에 기초하여, 구체적인 치수를 기록한 '''지시'''(指図|지시일본어)라는 도면을 그리고, 이것을 바탕으로 "성 대목"이라고 불리는 성곽 건축 전문 목수들이 시공을 한다. 평면도 등 시공에 필수적인 지시 외에, 입면도를 모습도(すがたず), 기둥이나 보 등 뼈대만 그린 것을 건지할도(たてじわりず)라고 한다. 모습도와 건지할도가 있는 예는 적으며, 도쿠가와 씨의 에도성 천수각이나 오카야마 성천수각 등에 예가 있다.[49]
5. 현대의 요새
현대의 요새는 일반적으로 작고 반영구적인 요새이다. 도시 전투에서는 주택이나 공공 건물과 같은 기존 구조물을 개선하여 건설되며, 야전 전투에서는 통나무, 모래주머니 또는 개비온 유형의 구조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요새는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대치와 같이 낮은 수준의 분쟁, 즉 대반란 작전이나 매우 낮은 수준의 재래식 분쟁에서만 사용된다. 이 분쟁에서는 전방 소대 및 중대에서 사용하기 위해 통나무 요새가 사용되었다. 이는 지상에 고정된 요새는 박격포, RPG 및 소화기보다 큰 현대식 직사 또는 간접 사격 무기에서 생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식민지 시대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구식 요새가 여전히 저강도 분쟁에 사용된다. 이러한 요새는 소규모 초소 또는 전진작전기지에서 아프가니스탄의 캠프 바스티온/캠프 레더넥과 같은 거대한 공군기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모를 가진다. 18세기와 19세기와 마찬가지로, 적이 요새를 파괴할 수 있는 중화기를 갖춘 강력한 군대가 아니기 때문에, 돌망태, 모래주머니 또는 심지어 단순한 진흙으로 만든 벽은 소화기 및 대전차 무기에 대한 방어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비록 그러한 요새는 박격포와 포병 사격에 여전히 취약하지만 말이다.
현대 미국의 용어에서 요새는 종종 정부가 영구적인 군사 시설을 위해 지정한 공간을 지칭하며, 실제 요새가 없는 경우가 많고 전문화된 시설(군 병영, 행정, 의료 시설 또는 정보 시설)을 갖출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Field fortification ! warfare
https://www.britanni[...]
2021-01-23
[2]
간행물
The Defence of Places: Fortifications as Architecture [part 1]
https://www.jstor.or[...]
1997
[3]
웹사이트
THE USE OF FENCES FOR PREDATOR DAMAGE CONTROL
https://core.ac.uk/r[...]
Wade, Dale A., "THE USE OF FENCES FOR PREDATOR DAMAGE CONTROL" (1982). Proceedings of the Tenth Vertebrate Pest Conference (1982). 47.
2024-09-19
[4]
간행물
The world's oldest-known promontory fort: Amnya and the acceleration of hunter-gatherer diversity in Siberia 8000 years ago
https://www.cambridg[...]
2023-12-01
[5]
웹사이트
Bulgaria claims to find Europe's oldest town
http://www.nbcnews.c[...]
2012-11-01
[6]
뉴스
Europe's oldest prehistoric town unearthed in Bulgaria
https://www.bbc.co.u[...]
Bbc.co.uk
2012-10-31
[7]
웹사이트
Organization of neolithic settlements:house construction
http://www.greek-the[...]
Greek-thesaurus.gr
[8]
웹사이트
'Hellenic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 Sesklo'
http://odysseus.cult[...]
Odysseus.culture.gr
[9]
웹사이트
The Ness of Brodgar Excavations – The 'Great Wall of Brodgar'
http://www.orkneyjar[...]
Orkneyjar.com
[10]
웹사이트
The Ness of Brodgar
http://www.ancient-w[...]
Ancient-wisdom.co.uk
[11]
서적
Sir Banister Fletcher's A History of Architecture
Architectural Press
1996
[12]
웹사이트
Die Heuneburg an der oberen Donau: Die Siedlungsstrukturen
http://www.isentosam[...]
2006
[13]
웹사이트
Erforschung und Geschichte der Heuneburg
http://www.heuneburg[...]
[14]
웹사이트
The Casemate Wall System of Khirbat Safra
https://digitalcommo[...]
Andrews University
2020
[15]
사전
Casemate wall
https://encyclopedia[...]
McGraw-Hill
2022-07-16
[16]
문서
Emswiler (2020), pp. 7–9.
[17]
백과사전
Syro-Palestinian art and architecture
https://www.britanni[...]
2022-07-16
[18]
문서
Emswiler (2020), p. 4.
[19]
문서
Emswiler (2020), pp. 4–5.
[20]
서적
The Encyclopedia of World History: ancient, medieval, and modern, chronologically arranged
Houghton Mifflin Books
2001
[21]
웹사이트
Agressive Architecture: Fortifications of the Indus Valley in the Mature Harappan phase | Student Repository
https://openaccess.l[...]
[22]
간행물
The Fortified Cities of the Ganges Plain in the First Millennium B.C.
2004
[23]
서적
Sir Banister Fletcher's A History of Architecture
Architectural Press
1996
[24]
문서
Durga is the Sanskrit word for "inaccessible place", hence "fort"
[25]
서적
The Cult of Draupadī: Mythologies: From Gingee to Kurukserta
Motilal Banarsidass
[26]
서적
Indian Castles 1206–1526: The Rise and Fall of the Delhi Sultanate
Osprey Publishing
[27]
문서
Luengo, Pedro. Intramuros: Arquitectura en Manila, 1739–1762. Madrid: Fundacion Universitaria Española, 2012
[28]
웹사이트
15 Most Intense Archaeological Discoveries in Philippine History
http://www.filipikno[...]
2015-03-17
[29]
웹사이트
Ancient and Pre-Spanish Era of the Philippines
http://www.livecebu.[...]
[30]
웹사이트
The Battle of Bayan
http://www.morolandh[...]
2015-03-17
[31]
웹사이트
The Kutawato Caves
http://www.cotabatoc[...]
2015-03-17
[32]
서적
Muhammad: Prophet and Statesma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 sealed nectar: biography of the Noble Prophet
https://books.google[...]
Darussalam Publications
[34]
서적
The life of Mahomet and history of Islam to the era of the Hegira
[35]
서적
Daily Life of the Nubians
Greenwood Publishing Group
[36]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Basic Civitas Books
1999
[37]
문서
Osadolor
[38]
간행물
Four Millennia of Cultural History in Nigeria (ca. 2000 B.C.–A.D. 1900): Archaeological Perspectives
2005-06
[39]
간행물
Two thousand years of West African history
https://www.academia[...]
Academia
2005-01
[40]
문서
July
[41]
문서
The Ashanti campaign of 1900
Sands and Co.
1908
[42]
문서
Thornton
[43]
웹인용
Sarzana and Sarzanello – Transitional Design and Renaissance Designers
http://www.fsgfort.c[...]
Fortress Study Group
2009
[44]
서적
Medieval Town of Rhodes – Restoration Works (1985–2000) – Part One
Ministry of Culture – Works supervision committee for the monuments of the medieval town of Rhodes
[45]
문서
The Forts and Fortifications of Europe 1815-1945
https://prussia.onli[...]
[46]
웹사이트
Fort Campbell
http://www.militarya[...]
2015-03-15
[47]
서적
History of the Maginot Line
Moselle River
2011
[48]
웹사이트
Colonial City of Santo Domingo. Outstanding Universal Value
https://whc.unesco.o[...]
[49]
서적
歴群[図解]マスター 城
学習研究社
[50]
서적
城のつくり方図典
小学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