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스트레일리아악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레일리아악어는 1873년 제라드 크레프트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호주의 아마추어 박물학자 로버트 아서 존스톤을 기리기 위해 이름이 붙여졌다. 이 종은 비교적 작은 악어로, 수컷은 최대 3m, 암컷은 2.1m까지 자란다. 주로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퀸즐랜드주, 노던 준주 등 호주 북부의 민물 습지, 강, 개울에 서식하며, 바다악어와 경쟁 관계에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악어는 다양한 무척추동물과 척추동물을 먹이로 삼으며, 건기에 알을 낳고 우기 초에 부화한다. 인간을 공격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사탕수수 두꺼비 섭취로 인한 개체 수 감소와 기생충 감염 등의 위협을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3년 기재된 파충류 - 구렁이
    구렁이는 동북아시아 고유종으로, 습한 환경에 서식하며 작은 포유류 등을 먹고, 중국에서는 취약종, 러시아와 한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 1873년 기재된 파충류 - 뭉뚝주둥이큰도마뱀붙이
    뭉뚝주둥이큰도마뱀붙이는 뭉뚝한 주둥이와 점박이 무늬를 가진 야행성 잡식성 도마뱀붙이류로, 누벨칼레도니에 분포하며 서식지 감소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취약종으로 등재되어 있다.
  • 크로커다일과 - 크로커다일속
    크로커다일속은 1768년에 명명된 악어 속으로, 현존하는 13~14종과 멸종된 5종을 포함하며,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육식 생활을 한다.
  • 크로커다일과 - 오리노코악어
    오리노코악어는 남아메리카 오리노코 강 유역에 서식하는 대형 악어로, 한때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현재는 보호를 받고 있으며 서식지 파괴, 오염, 먹이 경쟁 등의 위협에도 직면하여 개체 수 회복을 위한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파충류 - 바다거북
    푸른바다거북은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양에 서식하며, 어린 개체는 육식, 성체는 초식으로 잘피밭 등 얕은 연안 해역을 주요 서식지로 삼지만, 남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으며 불법 포획, 혼획,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의 위협이 여전히 존재한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파충류 - 돼지코거북
    돼지코거북은 측경아목 바다거북과에 속하는 유일한 종으로, 돼지코와 지느러미 모양의 발을 가지며, 오세아니아에 분포하고 잡식성을 띠며,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멸종위기에 놓여 국제 거래가 규제된다.
오스트레일리아악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록햄프턴 동물원의 민물 악어
록햄프턴 동물원의 모습
학명Crocodylus johnstoni
명명자Krefft, 1873
이명Crocodilus johnsoni Krefft, 1873
Crocodilus (Philas) johnstoni — Gray, 1874
Philas johnstoni — Wells & Wellington, 1984
Crocodylus johnstoni — Cogger, 2000
영명freshwater crocodile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Johnston's crocodile
freshie
분포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와니목
크로커다일과
크로커다일속
보존 상태
IUCNLC - Least Concern (최소 관심)
CITES부속서 II
생태 및 습성
서식지호주 북부의 담수 환경
먹이물고기, 작은 파충류, 갑각류, 곤충 등
형태
크기평균 2.5~3m
특징좁고 긴 주둥이, 비교적 작은 크기
기타
화석 기록플라이스토세 - 홀로세

2. 분류 및 명칭

제라드 크레프트는 1873년에 이 종을 로버트 아서 존스톤에게 헌명하여 명명했다.[35][32][36] 그러나 크레프트의 철자 오류로 인해 오랫동안 ''C. johnsoni''라는 학명으로 불렸다. 이후 올바른 철자가 밝혀져 종소명이 갱신되었지만, 여전히 두 가지 학명이 모두 사용되고 있다. 국제동물명명규약에 따르면 ''johnstoni''가 정식 학명이다.[31][37][38]

2. 1. 학명

제라드 크레프트는 1873년에 이 종의 이름을 명명하면서, 자신에게 처음으로 보존된 표본을 보낸 호주 원주민 경찰 장교이자 아마추어 박물학자인 로버트 아서 존스톤(1843–1905)을 기리고자 했다.[7][6][8] 그러나 크레프트는 이름을 쓰는 데 실수를 하여, 수년 동안 이 종은 ''C. johnsoni''로 알려져 왔다. 최근 크레프트의 논문에 대한 연구에서 이름의 올바른 철자가 결정되었고, 많은 문헌이 올바른 사용법으로 업데이트되었지만, 두 가지 버전이 모두 존재한다. 국제 동물 명명 규약에 따르면, 원래의 ''johnsoni''가 아닌 종명 ''johnstoni''가 올바르다.[14][9][10]

2. 2. 진화 및 계통

크로커다일속(''Crocodylus'')은 아프리카에서 기원하여 동남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으로 방산했을 가능성이 높다.[12] 호주/아시아 기원설도 제기되었었다.[11] 계통 발생 증거에 따르면, ''크로커다일루스''는 약 2천 5백만 년 전 올리고세/마이오세 경계 부근에서 최근 근연종인 멸종된 보이(Voay)와 갈라졌다.[12]

Lee & Yates의 2018년 팁 데이팅 연구와, 2021년 Hekkala 외의 연구에서 멸종된 ''보이''에서 추출한 DNA를 사용해 수정된 분기도는 다음과 같다. 이 분기도는 형태학, 분자 (DNA 염기서열 분석), 지층학 (화석 연대) 데이터를 동시에 사용했다.[13][12]

{| class="wikitable"

|-

! 크로커다일아과

|-

|

{| class="wikitable"

|-

| ''보이''

|-

! 크로커다일속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Crocodylus anthropophagus
Crocodylus thorbjarnarsoni



|-

|

Crocodylus palaeindicus
Crocodylus 티라리 사막



|}

|-

! 아시아+오스트레일리아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Crocodylus johnstoni'' '''오스트레일리아악어'''

70 px


|-

|

Crocodylus novaeguineae 뉴기니악어
Crocodylus mindorensis 필리핀악어



|}

|-

|

{| class="wikitable"

|-

| ''Crocodylus porosus'' 바다악어

80 px


|-

|

Crocodylus siamensis 샴악어
50 px
Crocodylus palustris 머거악어
70 px



|}

|}

|-

! 아프리카+신세계

|-

|

{| class="wikitable"

|-

|

Crocodylus checchiai
Crocodylus falconensis



|-

|

{| class="wikitable"

|-

| ''Crocodylus suchus'' 서아프리카악어

|-

|

{| class="wikitable"

|-

| ''Crocodylus niloticus'' 나일악어

70 px


|-

! 신세계

|-

|

{| class="wikitable"

|-

|

Crocodylus moreletii 모렐렛악어
Crocodylus rhombifer 쿠바악어
50 px



|-

|

Crocodylus intermedius 오리노코악어
Crocodylus acutus 아메리카악어
70 px



|}

|}

|}

|}

|}

|}

|}

|}

3. 형태

오스트레일리아악어는 비교적 작은 악어이다. 일반적으로 수컷은 최대 2.3~3.0m까지 자랄 수 있으며, 암컷은 최대 크기가 2.1m에 달한다.[64] 아가일호와 캐서린 협곡과 같은 지역에는 4m 개체가 확인되기도 한다. 수컷의 몸무게는 일반적으로 약 70kg이며 큰 표본은 100kg 이상이지만, 암컷의 몸무게는 40kg이다.[65]

머리


이 종은 수줍음이 많고 주둥이가 길며 이빨이 위험한 바다악어보다 약간 작다. 몸 색깔은 밝은 갈색이며 몸과 꼬리에 어두운 띠가 있다. 이 띠들은 목 근처에서 부러지는 경향이 있다. 일부 개체는 주둥이에 뚜렷한 띠나 얼룩이 있다. 몸통 비늘은 비교적 크고 등쪽에 넓고 밀착된 장갑판이 있다. 둥글고 자갈이 많은 비늘은 옆구리와 다리 바깥쪽을 덮는다.[64] 앞다리에는 물갈퀴가 없지만, 뒷다리에는 물갈퀴가 발달해 있다.

4. 분포 및 서식지

오스트레일리아악어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퀸즐랜드주, 노던 준주에서 발견된다. 주요 서식지는 민물 습지, 빌라봉, 강, 개울 등이다. 이 종은 바다악어가 살 수 없는 지역과 카카두 국립공원의 절벽 위, 매우 건조하고 바위가 많은 지역(캐서린 협곡과 같이 흔하고 건기에 바다악어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곳)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6] 그러나 이들은 여전히 강의 조수 간만 지역 근처에서 바다악어와 함께 서식하는 낮은 수준의 빌라봉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된다.

2013년 5월, 사막 마을 버즈빌 근처의 강에서 정상 범위에서 남쪽으로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오스트레일리아악어가 목격되었다. 지역 경비대는 수년간의 홍수로 인해 이 악어가 남쪽으로 떠내려갔거나 어린 시절에 버려졌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16]

타운즈빌을 통과하는 로스 강에서 수십 년 동안 담수 악어 개체군이 반복적으로 목격되었다.[17] 주된 이론은 이 지역에 흔한 심한 홍수로 인해 많은 수의 동물들이 로스 강 유역으로 휩쓸려 들어갔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2019년 1월, 타운즈빌수해를 입었을 때에는, 침수를 틈타 오스트레일리아악어가 시가지로 침입할 가능성이 우려되었다.[46]

5. 생태

오스트레일리아악어는 주로 어류를 먹지만, 소형 포유류, 곤충류, 갑각류 등도 먹는다.[33] 어린 개체는 무척추동물이나 개구리를 주로 먹지만, 성장하면서 어류, 거북이, 등으로 먹이를 바꾼다. 바다악어와의 경쟁 때문에 대형 동물보다는 소형 동물을 주식으로 한다.[48] 또한 몸이 커짐에 따라 육상보다는 물가 동물을 먹는 비율이 높아진다.[49]

천적으로는 바다악어와 알을 포식하는 왕도마뱀이 있다. 올리브비단뱀영어에게 통째로 삼켜진 예도 보고되고 있다.[51][52]

5. 1. 행동

바다악어와 경쟁이 치열하지만 바닷물에 잘 견디지 못한다.[67]

올리브비단뱀에게 잡아먹히는 한 개체가 촬영되었는데, 약 5시간의 고군분투 끝에 굴복한 것으로 알려졌다.[68] 악어 중에서는 민첩하며, 몸을 들어 올려 단거리라면 뛰어오르듯이 달린다. 그 속도는 최고 시속 16km 정도에 달하며, 통나무 같은 장애물도 가볍게 뛰어넘는다.[34] 이러한 갤럽 주법에는 신체의 유연성이 관계있는 것으로 보이며, 바운드 시의 힘을 이용하여 보폭이 커지기도 한다.[47] 이는 족제비치타와 같은 민첩한 포유류 일부와 공통되며, 현재는 멸종된 육상 악어류(세베쿠스 등)의 신체 능력을 탐구하는 단서이기도 하다.

5. 2. 먹이

야생에서 오스트레일리아악어는 다양한 무척추동물척추동물을 먹이로 삼는다. 여기에는 갑각류, 곤충, 거미, 물고기, 개구리, 거북이, , , 다양한 포유류가 포함된다. 곤충이 가장 흔한 먹이이며, 물고기가 그 뒤를 잇는다.[33]

작은 먹이는 보통 '앉아서 기다리는' 방식으로 얻는다. 악어는 얕은 물에 움직이지 않고 누워서 물고기와 곤충이 가까이 오기를 기다렸다가 옆으로 낚아챈다. 그러나 왈라비물새와 같은 큰 먹이는 바다악어와 비슷한 방식으로 몰래 접근하여 매복 공격을 할 수 있다.[33]

주로 어류를 먹고, 그 외에도 소형 포유류, 곤충류, 갑각류 등을 먹는다.[33] 성장 정도에 따라 먹이가 달라지는데, 전체 길이 60cm 이하의 어린 시기에는 무척추동물이나 개구리 등을 적극적으로 사냥하지만, 커지면 어류, 거북이, 등으로 목표를 바꾼다. 조류나 중·대형 포유류와 같은 대형 동물은 바다악어 등에 의해 먹히기 때문에, 소형 동물을 주식으로 한다.[48] 또한 몸이 커짐에 따라 육상보다는 물가의 동물을 먹이로 하는 비율이 높아진다.[49] 이와 비슷한 변화는 다른 악어류(남아메리카의 종)에서도 알려져 있다.[50]

얕은 곳에서 매복하여, 물고기나 곤충이 가까이 오는 것을 기다려 옆으로 공격하여 잡는다. 왈라비나 물새 등의 대형 사냥감은 바다악어와 마찬가지로 살금살금 다가가 잡기도 한다.[33]

천적으로는 바다악어나 알을 포식하는 왕도마뱀이 있다. 또한 올리브비단뱀영어에 의해 통째로 삼켜진 예도 보고되고 있다.[51][52]

5. 3. 소화 기관

악어의 이빨은 먹이를 포획하고 붙잡는 데 적합하며, 먹이는 씹지 않고 삼킨다. 먹이는 비교적 삼키고 소화하기 쉽기 때문에 소화관은 짧다. 위는 먹이를 갈아주는 근육질의 전어와 먹이에 효소가 작용하는 소화실이라는 두 가지 구획으로 나뉜다. 악어의 위는 다른 어떤 척추동물보다 비교적 산성을 띠고 있으며 먹이의 기계적 분해로 이어지는 능선을 포함하고 있다. 소화는 고온에서 더 빠른 속도로 이루어진다.

5. 4. 순환계

다른 파충류의 심장은 2개의 심방과 1개의 심실을 포함하여 3개의 구획으로 설계되어 있다. 정맥혈이 모이는 우심방과, 폐동맥에서 산소화된 혈액을 모으는 좌심방이 하나의 심실로 혈액을 보낸다. 산소화된 혈액과 산소가 제거된 혈액을 받아 혼합하고 이를 신체로 내보내는 데 심실이 하나만 있으면 신체가 받는 혈액 혼합물은 산소가 비교적 적다.

악어는 2개의 심실을 포함하는 4개의 방으로 구성된 더 복잡한 척추동물 순환계를 가지고 있다. 조류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악어는 심장 내에서 혈액 흐름을 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심장 판막을 가지고 있다.

수중에서 악어의 심박수는 분당 1~2회로 느려지고 근육은 혈류 공급이 줄어든다. 물 밖으로 나와 숨을 쉬면 심박수가 순식간에 빨라지고 근육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받는다. 많은 해양 포유류와 달리 악어는 근육에 산소를 저장할 수 있는 미오글로빈이 소량만 존재한다.

5. 5. 번식

오스트레일리아악어는 오스트레일리아 건기(보통 8월)에 구멍에 알을 낳고, 우기 초(11월/12월)에 부화한다. 악어는 부화하는 동안 둥지를 방어하지 않는다. 부화 1~5일 전부터 알 속에서 새끼 악어가 소리를 내기 시작하는데, 이는 형제들의 부화를 유도하고 동기화하며, 어미 악어가 둥지를 열도록 자극한다. 둥지를 여는 어미가 알을 낳은 암컷인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새끼 악어가 둥지에서 나오면, 어미는 새끼들을 하나씩 입 가장자리로 물어 물가로 옮긴다. 어미는 또한 알 껍질을 깨는 것을 돕기 위해 입으로 알을 씹거나 조작할 수 있다.[69]

둥지는 물가에 파인 깊이 12cm~20cm 정도의 구멍이며, 암컷은 7~9월에 4~20개의 알을 낳는다. 기본적으로 어미는 둥지를 지키지만, 둥지를 떠나 부화 시기에 돌아오는 경우도 있다.[33] 11~12월에 부화하며, 부화 1~5일 전 알 속의 어린 개체가 울기 시작하면, 형제들의 부화를 유발하고 어미는 울음소리를 듣고 둥지를 파낸다. 이 과정에서 어미 외의 암컷이 부화를 돕기도 한다. 어린 개체가 둥지에서 나오면 어미는 입으로 어린 개체를 집어 물가로 옮긴다. 또한 어미는 입 안에서 알을 깨물거나 움직여 부화를 돕기도 한다.[53] 10~15년이면 성적 성숙에 이른다.[33]

6. 인간과의 관계

오스트레일리아악어는 인간을 잠재적인 먹잇감으로 생각하여 공격하지는 않지만, 심각한 상처을 입힐 수 있다. 짧고 빠르게 끝나는 공격은 주로 사람의 일부를 먹잇감으로 오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70][71] 악어를 만지거나 너무 가까이 접근했을 때 자기 방어를 위해 공격하는 경우도 있다.[72] 이 종에 의한 인명 피해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다.[72]

카카두 국립공원의 바라문디 협곡(마국)에서 담수악어가 인간을 공격하여 경미한 부상을 입힌 사건이 기록되었는데, 피해자는 악어 위를 직접 지나간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담수악어를 자극하지 않는다면 함께 수영하는 것은 안전하다고 여겨진다.[26] 하지만, 아르가일 호수에서 담수악어의 공격이 보고된 사례가 있다.[27] 1970년대까지는 가죽 제품을 만들기 위해 이용되기도 했다.[29]

7. 보전 상태

호주 동물원의 민물악어


최근까지 민물악어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특히 바다악어가 없는 지역(예: 더 건조한 내륙 지역 및 고지대)에서 흔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이 종은 침입종인 사탕수수 두꺼비를 섭취하면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했다. 사탕수수 두꺼비는 바다악어에게는 무해하지만 민물악어에게는 독성이 있으며, 호주 북부의 덤불 전역에 만연해 있다.[21] 이 악어는 또한 다윈과 같은 지역에서 기생 흡충류인 ''Griphobilharzia amoena''에 감염된다.[22]

참조

[1]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a new morphological dataset elucidates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rocodylia and resolves the long-standing gharial problem 2021-09-06
[2] 간행물 "''Crocodylus johnstoni''" 2021-11-13
[3]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4] 문서 Crocodylus johnstoni
[5] 문서 "... ''johnstoni'' means "of Johnstone", derived from the name of the first European to discover and report it to Krefft. Unfortunately Krefft misspelled the name "''johnsoni'' " in his initial description and his subsequent correction was ignored until 1983 when the nomenclature was reviewed thoroughly by [[Harold Cogger|Hal Cogger]] (Cogger 1983). Although the majority of scientific literature, including all Australian Federal, State and Territory legislation has been using "''johnstoni'' " correctly since then, the uncorrected version is still popular especially in the US on the basis of a later taxonomic review (King and Burke 1989) that ignored Cogger's revision. http://crocodilian.com/cnhc/csp_cjoh.htm Crocodilian Species List, ''Crocodylus johnstoni'' (KREFFT, 1873)."
[6] 문서 www.reptile-database.org
[7] 웹사이트 Crocodylus johnsoni Krefft 1873 (crocodile) https://paleobiodb.o[...]
[8] 서적 "''Crocodylus johnstoni''"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9]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mmission on Zoological Nomenclature https://www.iczn.org[...]
[10] 서적 Reptiles and Amphibians of Australia Reed
[11] 논문 A time-calibrated species tree of Crocodylia reveals a recent radiation of the true crocodiles
[12] 논문 Paleogenomics illuminates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extinct Holocene "horned" crocodile of Madagascar, Voay robustus 2021-04-27
[13] 논문 Tip-dating and homoplasy: reconciling the shallow molecular divergences of modern gharials with their long fossil 2018-06-27
[14] 웹사이트 "''Crocodylus johnstoni ''"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9-06-16
[15] 웹사이트 26 fresh water crocodiles hatched at Vandalur zoo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22-01-12
[16] 웹사이트 Crocodile turns up in river near Birdsville http://www.abc.net.a[...] 2013-05-25
[17] 뉴스 "'Scared the crap out of each other': Freshwater croc that attacked woman accidentally hit with oar" https://www.abc.net.[...] 2022-05-19
[18] 논문 Osmoregulation in Crocodilians https://crocdoc.ifas[...] 1989-08
[19] 뉴스 Snake eats crocodile in battle at Australian lake http://www.telegraph[...] 2014-03-06
[20] 논문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s (''Crocodylus johnstoni'' ) transport their hatchlings to the water 2012-09
[21] 뉴스 Crocodiles falling victim to cane toads http://www.abc.net.a[...] 2008-12-29
[22] 논문 "''Griphobilharzia amoena'' n. gen., n. sp. (Digenea: Schistosomatidae), a parasite of the freshwater crocodile ''Crocodylus johnstoni'' (Reptilia: Crocodylia) from Australia, with the erection of a new subfamily, Griphobilharziinae"
[23] 웹사이트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1 November 2013 http://www.crocodile[...] Charles Darwin University,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24] 웹사이트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6 April 2006 http://www.crocodile[...] Charles Darwin University, Northern Territory, Australia.
[25] 논문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Crocodylus johnstoni'') attacks on humans https://www.research[...]
[26] 웹사이트 How Embarressing http://aebrain.blogs[...] aebrain.blogspot.com 2003-09-26
[27] 논문 A report of a probable unprovoked attack by an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at Lake Argyle in Western Australia https://publications[...]
[28] 논문 Phylogenetic analysis of a new morphological dataset elucidates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rocodylia and resolves the long-standing gharial problem 2021
[29] 간행물 "''Crocodylus johnstoni''" 2024-11-25
[30]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4-11-25
[31] 웹사이트 Crocodilian Species List, ''Crocodylus johnstoni'' (KREFFT, 1873) http://crocodilian.c[...] Adam Britton 2024-11-25
[32] 웹사이트 Crocodylus johnstoni KREFFT, 1873 https://reptile-data[...] 2024-11-25
[33] 서적 ディスカバリー 生き物再発見 ワニ大図鑑 誠文堂新光社 2023-04-15
[34] 문서 Galloping in Crocodylus johnstoni-a reflection of terrestrial activity?
[35] 웹사이트 Crocodylus johnsoni Krefft 1873 (crocodile) https://paleobiodb.o[...] 2024-11-26
[36] 서적 "''Crocodylus johnstoni''", p. 136 in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37] 웹사이트 International Commission on Zoological Nomenclature https://www.iczn.org[...] 2024-11-26
[38] 서적 Reptiles and Amphibians of Australia Reed 1983
[39] 논문 Paleogenomics illuminates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extinct Holocene "horned" crocodile of Madagascar, Voay robustus 2021-04-27
[40] 논문 A time-calibrated species tree of Crocodylia reveals a recent radiation of the true crocodiles
[41] 논문 Tip-dating and homoplasy: reconciling the shallow molecular divergences of modern gharials with their long fossil 2018-06-27
[42] 웹사이트 26 fresh water crocodiles hatched at Vandalur zoo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24-11-26
[43] 논문 Osmoregulation in Crocodilians https://crocdoc.ifas[...] 1989-08
[44] 웹사이트 Crocodile turns up in river near Birdsville http://www.abc.net.a[...] 2013-05-23
[45] 뉴스 'Scared the crap out of each other': Freshwater croc that attacked woman accidentally hit with oar https://www.abc.net.[...] 2022-02-28
[46] 웹사이트 "「100年に1度」の洪水で2万世帯に浸水危機、ワニやヘビも街へ" https://www.cnn.co.j[...] CNN 2019-02-04
[47] 문서 Asymmetrical gaits of juvenile Crocodylus johnstoni, galloping Australian crocodiles 2002
[48] 문서 Ontogenetic dietary partitioning by Crocodylus johnstoni during the dry season 1996
[49] 문서 Crocodylus johnstoni in the McKinlay River Area, NTI Variation in the diet, and a new method of assess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prey. 1982
[50] 문서 Food habits, ontogenetic dietary partitioning and observations of foraging behaviour of Morelet's crocodile (Crocodylus moreletii) in northern Belize 2006
[51] 뉴스 Snake eats crocodile in battle at Australian lake http://www.telegraph[...] 2014-03-06
[52] 웹사이트 See a python swallow an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whole https://www.australi[...] 2020-07-16
[53] 논문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s (''Crocodylus johnstoni'' ) transport their hatchlings to the water 2012-09
[54] 웹사이트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1 November 2013 http://www.crocodile[...] 2021-01-28
[55] 웹사이트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6 April 2006 http://www.crocodile[...] 2022-03-10
[56] 논문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Crocodylus johnstoni'') attacks on humans https://www.research[...]
[57] 웹사이트 How Embarressing http://aebrain.blogs[...] aebrain.blogspot.com 2003-09-26
[58] 논문 A report of a probable unprovoked attack by an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at Lake Argyle in Western Australia https://publications[...]
[59] 문서 Invasive cane toads (Bufo marinus) cause mass mortality of freshwater crocodiles (Crocodylus johnstoni) in tropical 2008
[60] 뉴스 Crocodiles falling victim to cane toads http://www.abc.net.a[...] 2008-12-29
[61] 논문 "''Griphobilharzia amoena'' n. gen., n. sp. (Digenea: Schistosomatidae), a parasite of the freshwater crocodile ''Crocodylus johnstoni'' (Reptilia: Crocodylia) from Australia, with the erection of a new subfamily, Griphobilharziinae"
[62] 간행물 "''Crocodylus johnstoni''" 2017
[63] 웹인용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64] 웹인용 "''Crocodylus johnstoni ''" http://www.flmnh.ufl[...]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9-06-16
[65] 웹인용 26 fresh water crocodiles hatched at Vandalur zoo - Times of India http://articles.time[...] 2022-01-12
[66] 웹인용 Crocodile turns up in river near Birdsville http://www.abc.net.a[...] 2013-05-23
[67] 논문 Osmoregulation in Crocodilians https://crocdoc.ifas[...] 1989-08
[68] 뉴스 Snake eats crocodile in battle at Australian lake http://www.telegraph[...] 2014-03-06
[69] 논문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s (''Crocodylus johnstoni'' ) transport their hatchlings to the water 2012-09
[70] 웹사이트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1 November 2013 http://www.crocodile[...] Charles Darwin University 2021-01-28
[71] 데이터베이스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6 April 2006 http://www.crocodile[...] Charles Darwin University 2006-04-06
[72] 저널 Australian Freshwater Crocodile (''Crocodylus johnstoni'') attacks on humans https://www.resear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