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제키 도모히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제키 도모히사는 일본의 프로 야구 선수로, 투수이다. 초등학교 때 야구를 시작하여 센다이 대학을 거쳐 2019년 육성 드래프트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지명되었다. 2021년 지배하 선수로 등록되었고, 2022년에는 선발 투수로 첫 승과 완봉승을 기록하며 올스타전에 출전했으며, 2023년에는 개막전 선발 투수로 등판했다. 2024년에는 등번호를 47번으로 변경하고 팀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선수 - 이가라시 료타
이가라시 료타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해외 리그에서 활약하며 핵심 불펜 투수로 명성을 얻었고, 현재는 야구 해설가로 활동 중이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선수 - 마쓰자카 다이스케
마쓰자카 다이스케는 '헤이세이의 괴물'이라 불리며 고시엔에서 활약한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로, NPB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하며 WBC MVP를 두 차례 수상했고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 이바라키현 출신 - 미야모토 카나코
미야모토 카나코는 1989년 이바라키현 출생의 일본 여성 성우이자 가수로, 초등학교 때부터 연기 수업을 받고 2007년 애니메이션 주제가로 데뷔하여 프리큐어 시리즈 음악과 다양한 애니메이션 성우로 활동하며, 건강 문제로 활동을 중단한 후 복귀, 결혼과 출산 후에도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이바라키현 출신 - 누카가 후쿠시로
누카가 후쿠시로는 산케이 신문 기자 출신으로 중의원 의원을 장기간 역임하며 방위청 장관, 경제재정정책 담당 대신, 재무대신 등 주요 요직을 거쳐 2023년 중의원 의장에 선출되었으나 닛폰 카이기와의 관계 및 여러 스캔들 연루 등 논란도 있는 일본의 정치인이다. - 일본 프로 야구 투수 - 다도코로 젠지로
다도코로 젠지로는 시즈오카 상업고등학교 시절 선발 고등학교 야구 대회에서 전 경기 완봉승으로 우승을 이끌었으며, 고쿠테쓰 스왈로스에 입단하여 투수로 활동, 은퇴 후에는 코치, 야구 연맹 임원, 유소년 야구팀 대표를 역임했다. - 일본 프로 야구 투수 - 후지타 모토시
후지타 모토시는 일본의 전 프로 야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선수와 감독으로 활약하며 리그 MVP를 2연패하고 일본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일본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오제키 도모히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 | |
이름 | 오제키 도모히사 |
원어 이름 | 大関 友久 (Ōzeki Tomohisa) |
출생일 | 1997년 12월 14일 (만 26세) |
출생지 | 이바라키현 쓰치우라시 |
신장 | 184cm |
체중 | 94kg |
포지션 | 투수 |
투구 | 좌투 |
타석 | 좌타 |
프로 입단 | 2019년 |
드래프트 순위 | 육성 선수 드래프트 2위 |
첫 출장 | 2021년 6월 4일 |
소속 구단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0년 ~ 현재) |
등번호 | 47 |
연봉 | 9000만 엔 (2025년) |
경력 | |
고등학교 | 이바라키현립 쓰치우라 고쿠호쿠 고등학교 |
대학교 | 센다이 대학 |
프로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0년 ~ 현재) |
NPB 기록 | |
데뷔 리그 | NPB |
데뷔 날짜 | 2021년 6월 4일 |
데뷔 팀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투구 성적 | |
승-패 | 7승 6패 |
평균 자책점 | 2.82 |
홀드 | (정보 없음) |
세이브 | (정보 없음) |
삼진 | 83 |
수상 | |
수상 내역 | 1× NPB 올스타 (2022년) |
2. 프로 입단 전
초등학교 1학년 때 야구를 시작했으며, 쓰치우라 시립 토와 중학교 시절에는 경식 야구 클럽팀 '조소 드림 보이즈'에서 활동했다.[13] 이바라키 현립 쓰치우라 코호쿠 고등학교에서는 1학년 가을부터 에이스로 활약했으나, 3학년 여름에 입은 오른손 피로 골절의 영향으로 고시엔에는 출전하지 못했다.[14] 고교 졸업 후 프로 지망서를 제출했지만 지명받지 못했다.
이후 센다이 대학에 진학하여 1학년 봄부터 리그전에 등판했다.[15] 대학 4학년 때인 2019년 다시 프로 지망서를 제출했고[16], 같은 해 10월 17일에 열린 2019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부터 육성 2순위 지명을 받았다.[17] 계약금 300만엔, 연봉 400만엔(추정)의 조건으로 입단했으며, 등번호는 '''122'''번을 받았다.[18]
2. 1. 유소년 시절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야구를 시작했고, 쓰치우라 시립 토와 중학교 시절에는 경식 야구 클럽팀 '조소 드림 보이즈'에서 활동했다.[13] 이바라키 현립 쓰치우라 코호쿠 고등학교에 진학해서는 1학년 가을부터 팀의 에이스 투수로 활약했다. 하지만 3학년 여름에는 오른손 피로 골절의 영향으로 소속팀이 3회전에서 패배했고, 고시엔 출전 경험은 없다.[14] 고교 졸업 후 프로 지망서를 제출했지만 지명받지 못했다.이후 센다이 대학에 진학하여 1학년 봄부터 리그전에 등판했다. 대학 리그 통산 성적은 19경기에 등판하여 4승 3패, 54와 3분의 1이닝 투구, 평균자책점 3.15를 기록했다.[15] 2019년 9월 24일, 다시 프로 지망서를 제출했으나[16], 당시 팀의 주력 투수는 아니었기에 드래프트 전 조사서를 보낸 구단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뿐이었다.
같은 해 10월 17일에 열린 2019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소프트뱅크로부터 육성 2순위 지명을 받았다.[17] 계약금 300만엔, 연봉 400만엔(금액은 추정치)의 조건으로 가계약하고 입단했으며, 등번호는 '''122'''번을 받았다.[18]
2. 2. 고등학교 시절
이바라키 현립 쓰치우라 코호쿠 고등학교에서는 1학년 가을부터 팀의 에이스가 되었지만, 3학년 여름에는 오른손 피로 골절의 영향도 있어 3회전에서 패배했다. 프로 지망서를 제출했지만 지명을 받지 못했고, 고시엔 출전 경험은 없다.[14]2. 3. 대학교 시절
센다이 대학에 진학하여 1학년 봄부터 리그전에 출전했다. 리그전에서는 통산 19경기에 등판하여 4승 3패, 54와 1/3이닝을 던져 방어율 3.15의 성적을 남겼다.[15] 2019년 9월 24일자로 프로 지망서를 제출했지만[16], 팀의 에이스급 선수는 아니었고 드래프트 전 조사서를 보낸 구단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뿐이었다.10월 17일에 열린 2019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소프트뱅크로부터 육성 2순위 지명을 받았다.[17] 이후 계약금 300만엔, 연봉 400만엔(금액은 추정)으로 가계약하고 입단했으며, 등번호는 '''122'''번을 받았다.[18]
3. 프로 경력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소속 (2020년 ~ 현재)
2019년 10월 17일 2019년 일본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육성 선수로 지명되었다.[1][2]
2020년에는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팀 및 아마추어 팀과의 연습 경기, 웨스턴 리그 등 2군에서 경험을 쌓았다.
2021년 5월 28일, 지배하 선수로 등록되었고[3], 6월 4일 한신 타이거스를 상대로 교류전에서 1군 데뷔전을 치렀다.[4]
2022년 3월 31일 지바 롯데 마린스전에서 선발 등판하여 프로 첫 승을 기록했으며[5], 같은 해 7월에는 마이 네비 올스타전 2022에 처음 출전했다.[6] 그러나 8월 초 고환 종양 제거 수술을 받고 요양에 들어갔다가[7], 9월 말에 복귀했다.[8]
2023년에는 처음으로 시즌 개막전 선발 투수로 등판하여 승리를 거두었다.[9] 시즌 종료 후인 12월 13일, 등번호가 '''42'''번에서 '''47'''번으로 변경됨이 발표되었다.[10]
3. 1. 2019년 드래프트
2019년 10월 17일, 2019년 일본 프로 야구 드래프트에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 육성 선수로 지명되었다.[1][2]3. 2. 2020 시즌
시코쿠 아일랜드 리그 플러스 팀과 아마추어 야구팀과의 연습 경기에 출전했으며, 일본 프로 야구 2군 리그인 웨스턴 리그에서도 뛰었다. 웨스턴 리그에서는 5경기에 등판하여 총 5이닝을 던져 무실점을 기록했고,[19] 3군 경기에서는 23경기에 등판하여 63과 1/3이닝을 던져 2승 3패, 평균자책점 3.98을 기록했다.[20]3. 3. 2021 시즌
2021년 시즌에는 스프링 캠프를 B조에서 시작했지만, 2월 23일에 A조로 승격되었고[21], 같은 날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스와의 연습 경기에서 2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했으며[22], 이후에도 계속 좋은 모습을 보였다.[23] 하지만, 시범 경기 최종 등판에서 1이닝 2안타 2볼넷 2실점으로 부진하여 개막을 2군에서 맞이했다.[24] 웨스턴 리그에서는 15경기에 등판하여 1승 1패 3세이브, 평균자책점 1.66을 기록했고[25], 5월 28일에 지배하 선수로 등록되었다.[3][26] 추정 연봉은 800만엔이었고, 등번호는 '''42'''번이었다. 같은 날 1군 선수로 등록되었으며[27], 6월 4일 한신 타이거스전에서 구원 투수로 프로 데뷔 첫 등판을 했다.[4][28] 그 후 7월 14일에 1군 선수 등록이 말소되었고[29], 10월 2일에 다시 1군으로 등록되어[30] 시즌을 마쳤다. 이 해 정규 시즌에서는 구원 투수로서 12경기에 등판하여 0승 0패, 평균자책점 2.35, 23이닝 동안 13개의 탈삼진을 기록했다.[31] 시즌 종료 후에는 300만엔 인상된 추정 연봉 11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32]3. 4. 2022 시즌
2022년에는 선발 전향을 목표로 스프링 캠프를 A조에서 시작하여 첫날부터 적극적으로 투구했다.[33] 3월 4일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오픈전에서는 선발 예정이었던 센가 코다이가 코로나19 밀접 접촉자로 의심되어 등판을 회피하게 되자[34], 급히 선발로 등판하여 3이닝 2안타 무실점으로 호투했다.[35] 개막 로테이션 경쟁에 합류했지만, 원래 5선발은 마쓰모토 유키, 6선발은 다나카 마사요시가 유력했다.[36] 그러나 다나카가 3월 20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 오른쪽 어깨 통증으로 긴급 강판되어 2군으로 내려갔고[37], 마쓰모토는 사적으로 받은 침 치료 중 사고로 체내에 남은 침 제거 수술을 받아 개막 직전 재활조에 합류하게 되었다.[38] 이러한 상황 덕분에 개막 로테이션에 들어가[39], 3월 31일 롯데전에서 프로 첫 선발 등판하여 7이닝 6안타 무사사구 1실점의 호투로 프로 첫 승리를 거두었다.[40] 이어진 4월 10일 세이부전에서는 4와 3분의 2이닝 5실점(4자책)으로 프로 첫 패전을 기록했고[41], 수호신 모리 유이토의 2군 재조정 등 팀 사정이 겹쳐 구원 투수로 보직이 변경되었다.[42] 같은 달 23일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스전에서 프로 첫 구원 승리를 기록했다.[43] 3경기의 구원 등판을 거쳐[44], 5월 1일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전에 선발 등판했고[45], 이어진 7일 롯데전에서는 9이닝 3안타 1볼넷 6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프로 첫 완투 완봉 승리를 거두었다.[46] 5월 28일 히로시마전에서 시즌 4승을 거둔[47] 이후 3경기 연속 승리 투수 요건을 갖추고 강판되었지만 승리를 얻지 못했으나[48], 6월 25일 닛폰햄전에서는 9이닝 4안타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약 1개월 만에 승리를 거두었고, 본인 첫 무사사구 완봉으로 장식했다.[49] 7월 12일 기준으로 팀 내 공동 1위인 6승을 거두었고, 다음 날 13일에 감독 추천으로 올스타에 처음으로 선출되었다.[50] 홈구장인 후쿠오카 PayPay 돔에서 개최된다는 점도 고려되어 제1경기 선발 투수로 발탁되었고[51], 1이닝 1실점을 기록했다.[52]7월 30일 세이부전에서 후반기 첫 등판을 했지만[53], 그 무렵부터 왼쪽 고환에 덩어리를 느껴 8월 1일 후쿠오카 시내 병원에서 진찰한 결과 종양이 발견되어 왼쪽 고환암 의심 진단을 받았다.[54] 다음 날 2일, 같은 시내의 다른 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은 후 왼쪽 고환 고위 정소 절제술을 받았다. 8월 3일 구단은 오제키가 암 의심 증세가 있었고 절제 수술을 받았으며 복귀 시기가 미정임을 공표했고[55], 같은 날짜로 출전 선수 등록이 말소되었다.[56] 절제된 종양을 검사한 결과, 종양 외 암세포는 전이되지 않은 것이 확인되었고[57], 당초 남은 시즌을 휴식에 충당할 예정이었지만[58], 8월 24일에 훈련을 재개하고 컨디션에 문제가 없어 9월 10일 3군 경기에서 실전 복귀했다.[59] 1이닝을 삼자범퇴로 막았으며[60], 이후 구원 투수로 조정하며[61], 9월 24일에 출전 선수 등록되었다.[62] 다음 날 25일 롯데전에서 1군 복귀 등판하여 2이닝을 2안타 1탈삼진 무실점으로 막았다.[63] 1군 복귀 후에는 포스트 시즌을 포함하여 구원 투수로 기용되었으며[64], 정규 시즌에서는 22경기(15선발[65])에 등판하여 7승 6패, 평균자책점 2.93을 기록했고, 양대 리그 공동 1위인 2완봉을 기록했다.[66] 시즌 종료 후에는 3400만엔이 인상된 추정 연봉 4500만엔으로 계약을 갱신했다.[67]
3. 5. 2023 시즌
에이스 센가 코다이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뉴욕 메츠로 이적한[68] 가운데, 2월 21일 후지모토 히로시 감독은 오제키를 개막 선발 투수로 지명했다고 발표했다.[69] 3월 31일 지바 롯데 마린스와의 개막전에 선발 등판하여 6회 1사까지 퍼펙트 피칭을 이어갔으며[70], 7이닝 2안타 2볼넷 7탈삼진 무실점의 호투로 승리 투수가 되었다.[71] 육성 드래프트 출신 투수가 개막전 선발로 나선 것은 센가 코다이, 이시카와 슈타에 이어 NPB 사상 3번째였으며, 개막전에서 승리 투수가 된 것은 2021년 이시카와 이후 두 번째였다. 좌완 투수로는 모두 처음 있는 기록이었다.[72]이후에도 좋은 투구를 이어갔지만 패전 투수가 되거나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해 승리를 놓치는 경기가 많았다.[73][74] 특히 4월 16일 라쿠텐전 이후에는 오제키가 마운드에 있는 동안 타선의 득점 지원이 전무했다.[75] 평균자책점 1점대를 기록했음에도 개막전 이후 승리에서 멀어졌다.[76] 5월 9일 닛폰햄전에서는 여전히 타선의 지원을 받지 못했지만, 9이닝 동안 1안타 2볼넷 무실점으로 역투하며 팀의 9회말 끝내기 승리를 이끌었다.[77] 이 경기는 본인의 세 번째 완봉승이었으며, 개인 최다인 13개의 탈삼진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두 자릿수 탈삼진을 달성했다.[78]
이 경기를 포함하여 5주 연속 화요일 경기 첫 등판을 맡아[79] 9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4승 4패, 평균자책점 2.21을 기록했으나, 컨디션 난조로 특례 2023 규정에 따라 6월 6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80] 당시 오제키는 "목이 아파서 밥도 먹기 힘들 때가 있었다"고 밝혔으며[81], 훈련 재개 시 체중이 4kg 감소하기도 했다.[82] 6월 17일 2군 경기에서 실전에 복귀했고, 순조로운 회복세를 보여 6월 29일 라쿠텐전에서 1군에 복귀했다.[83]
하지만 복귀 후 6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0승 2패, 평균자책점 4.46으로 부진했고[84], 8월 13일에 다시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85] 2군에서도 좀처럼 컨디션을 회복하지 못했으며[86], 9월 이후 1군 등판은 2경기에 그쳤다.[87][88]
2023 시즌 최종 성적은 17경기 선발 등판하여 5승 7패, 평균자책점 2.92를 기록했다. 시즌 종료 후 12월 13일 계약 갱신 협상에서 1000만엔 인상된 추정 연봉 5500만엔에 계약했다.[89] 계약 후 기자회견에서 등번호가 기존 '''42'''번에서 '''47'''번으로 변경되었음을 발표했으며[90], 같은 날 구단에서도 공식 발표했다.[91][92]
3. 6. 2024 시즌
3년 연속 개막 로테이션에 포함되었다. 처음에는 개막 2번째 경기에 선발 등판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93], 스튜어트 Jr.가 막판에 개막 로테이션에 들어가면서 개막 6번째 경기에 등판하게 되었다.[94] 그러나 와다 쓰요시가 개막 전 최종 조정 등판에서 타구에 맞아 왼손(주로 사용하는 손) 중지에 부상을 입었고[95], 게다가 왼손 물집 상태가 좋지 않아 개막 로테이션에서 제외되면서[96], 최종적으로 오제키는 개막 4번째 경기인 롯데와의 홈 개막전에 선발 등판했다. 오제키는 사전에 다양한 가능성을 전달받았다고 하며, 쿠라노 신지 투수 코치는 "어떤 상황, 일정, 환경이든 대응할 수 있는 강인함이 있는 투수"라고 평가했다.[97] 3월 23일 오픈전에서 2이닝을 투구한 이후, 조정 등판 없이 9일 간격으로 선발 등판했음에도 불구하고[98][99], 7이닝 무실점 호투로 시즌 첫 승리를 거두었다.[100]그 후 선발 로테이션을 소화했지만, 5월 1일 라쿠텐전에서는 4이닝 5안타 4볼넷 3실점으로 강판되었고[101], 다음 날 2일에 등록 말소되었다.[102] 17일 간격으로 선발 등판한 5월 19일 세이부전[103]에서는 8이닝 1실점으로 호투했지만, 승패는 기록되지 않았다.[104] 이어진 5월 29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는 첫 타석에서 프로 첫 안타를 기록했다.[105] 투구에서는 7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했지만, 또 승패는 기록되지 않았다.[106] 6월 13일 야쿠르트전에서 5이닝 2실점에도 승리 투수가 되었다.[107]
개막 이후 9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4승 0패, 평균자책점 2.08을 기록했지만, 쿠라노 신지 투수 코치는 "아직 오제키의 본래 컨디션에서 맥스 상태는 아니기 때문에"라고 말했고[108], 같은 달 16일에 출전 선수 등록이 말소되었다.[109] 그 후 재등록[110][111]과 말소를 두 번 반복했지만[112][113], 후반기 3번째 경기(오릭스전[114])인 7월 28일에 출전 선수 등록이 되어[115] 이후 말소되지 않고 선발 로테이션을 소화했다. 하지만, 9월 18일 닛폰햄전에서는 5이닝 1실점으로 막고 있었지만, 6회초 시작 전 투구 연습 중에 등 쪽에 이상을 느껴 긴급 강판되었다.[116] 다음 날 19일에 출전 선수 등록이 말소되었고[117], 다음 날 20일에는 사가 시내 병원에서 MRI 검사를 받아 '왼쪽 대원근 손상' 진단을 받았다.[118]
그대로 정규 시즌을 마치게 되었지만, 이 해에는 20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8승 4패, 평균자책점 2.50을 기록했고, 팀 4년 만의 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포스트 시즌에서는,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와의 일본 시리즈 5차전에 복귀 등판하여[119], 1회초는 2사 1, 2루, 2회초는 2사 만루의 위기를 넘겼지만[120], 3회초는 2사 1, 2루에서 쓰쓰고 요시토모에게 선제 적시타를 허용하고 강판되어, 2이닝 2/3을 4안타 4사사구 1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되었다.[121]
4. 투구 스타일
최고 구속 152km/h의 속구와 커브, 슬라이더, 체인지업, 포크볼[122], 투심[123] 등을 던진다.
5. 상세 정보
wikitext
5. 1. 연도별 투수 성적
4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