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몽골 점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외몽골 점령은 1919년 중화민국 군벌 서수정이 외몽골을 무력으로 점령한 사건을 말한다.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한 후 외몽골은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독립을 선포했으나, 중화민국은 청나라의 영토 계승을 주장하며 외몽골에 대한 종주권을 확보했다. 서수정은 군사력을 동원하여 외몽골을 점령하고 몽골 자치권을 폐지하려 했으며, 이는 몽골인들의 반발을 사 몽골 독립운동의 계기가 되었다. 이후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등장과 몽골 인민당의 활동을 거쳐 몽골은 독립을 되찾고 몽골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중화민국은 한때 몽골의 독립을 인정했으나, 중국 국내전의 영향으로 인정을 철회했다가 2002년에 재인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양정부 - 북벌 (국민당)
북벌은 1926년부터 1928년까지 중국 국민당이 북양군벌을 타도하고 중국을 통일하기 위해 벌인 군사 작전이다. - 북양정부 - 21개조 요구
21개조 요구는 일본이 제1차 세계 대전의 틈을 타 중국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려 1915년 중화민국에 제시한 요구 사항으로, 산둥성의 이권, 남만주와 동부 내몽골에서의 특수 권익 등을 포함하며 중국 내 반일 감정 고조 및 중일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 몽골-소련 관계 - 소련-일본 전쟁
소련-일본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하여 만주, 쿠릴 열도, 사할린 등지에서 벌어진 전쟁으로, 소련의 극동 지역 영향력 확대와 일본의 항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동아시아 정세 변화를 초래했다. - 몽골-소련 관계 - 할힌골 전투
할힌골 전투는 1939년 만주국-몽골 국경인 할힌골 강에서 일본과 소련이 충돌한 군사 분쟁으로, 일본의 북진론과 소련의 극동 방어 전략이 맞부딪히며 대규모 전면전으로 확대, 소련군의 승리로 끝맺어 일본의 대외 정책에 영향을 주었다. - 군벌 시대 - 중화제국
중화제국은 위안스카이가 황제 즉위를 선포하며 1915년에 성립되었으나, 호국전쟁과 열강의 압박으로 83일 만에 멸망하고 중화민국은 군벌 시대로 접어들었다. - 군벌 시대 - 중산함 사건
중산함 사건은 1926년 장제스가 중국 국민당 내 공산주의 세력을 숙청하기 위해 일으킨 사건으로, 국공합작 시기 공산당의 영향력 확대를 우려한 장제스가 당내 권력을 강화하고 국공내전으로 이어지는 분기점이 되었다.
외몽골 점령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점령 정보 | |
상태 | 중화민국의 군사 점령 |
수도 | 니슬렐 휘레 (현재 울란바토르) |
공용어 | 몽골어 투바어 |
종교 | 티베트 불교 |
![]() | |
역사 | |
사건 시작 | 중국군, 우르가 점령 |
시작 날짜 | 1919년 10월 |
사건 종료 | 중국군, 마이마친에서 패배 |
종료 날짜 | 1921년 3월 |
종료 원인 | 운게른 남작 휘하의 백군에 의해, 이후 몽골 인민당 및 러시아 붉은 군대에 의해 패배 |
정치 | |
정부 형태 | 중국으로부터의 직접 통치 |
지도자 직함 | 복드 칸 |
입법부 | 정보 없음 |
이전 및 이후 | |
이전 국가 1 | 보그드 칸국 |
이전 국가 2 | 우리앙하이 변경주 |
이후 국가 1 | 보그드 칸국 |
이후 국가 2 | 투바 인민공화국 |
기타 정보 | |
통화 | 정보 없음 |
2. 배경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붕괴하자, 외몽골은 1911년 몽골 혁명을 통해 독립을 선포하고 보그드 칸을 지도자로 하는 신정 군주국을 수립했다. 그러나 새로 세워진 중화민국은 청나라의 모든 영토를 계승한다는 명분 아래 외몽골을 자국 영토로 간주했다.[4] 이는 선통제의 퇴위 칙령에 명시된 "만주, 한족, 몽골, 후이족, 티베트족 다섯 민족의 영토를 계속해서 하나의 위대한 중화민국으로 통합한다" ()는 구절[5][6][7]과 1912년 제정된 중화민국 임시헌장에 외몽골을 포함한 국경 지역을 공화국의 불가분한 일부로 규정한 데서도 확인된다.[8]
몽골의 독립을 지지하면서도 중국과의 관계 악화를 원치 않았던 러시아 제국의 중재로, 1915년 러시아 제국, 중화민국, 몽골 보그드 칸국은 3자 캬흐타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으로 외몽골은 독립을 철회하는 대신 중국의 종주권 아래 고도의 자치권을 인정받게 되었다.[93] 중화민국은 쿨룬에 도호사를 파견하여 외몽골의 자치에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종주권을 행사했으며,[94] 1916년에는 보그드 칸을 외몽골의 최고 통치자로 책봉하여 그의 실질적인 지위를 인정했다.[95]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과 10월 혁명(1917년)을 거치며 러시아 제국이 붕괴하고 러시아 내전이 발발하자, 러시아의 아시아 내 영향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외부의 보호막이 사라진 외몽골은 러시아 내전의 여파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었고, 1918년에는 중국에 군사 지원을 요청하여 소규모 중국군이 우르가에 주둔하게 되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시베리아를 거점으로 활동하던 백군 지도자 그리고리 세묘노프는 부랴트족과 내몽골인들을 규합하여 범몽골주의 국가 건설을 시도했다.[9] 이는 외몽골의 독립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었고, 할하 귀족들의 반발을 샀다.[14] 한편, 보그드 칸 중심의 신정 통치에 불만을 품고 있던 일부 몽골 귀족들은 세묘노프의 위협에 자극받아 차라리 중국의 통치를 다시 받아들이는 것을 고려하기 시작했다.[10] 이들은 중국에 외몽골의 자치권 종식을 요청하는 청원을 하기도 했으며[11], 1919년에는 중국 대표와 몽골 자치 폐지 및 중국과의 재통합에 관한 협정을 맺기도 했다.[12][13] 몽골 정부는 일본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의심되던 세묘노프의 범몽골주의 운동에 대응하기 위해 외몽골 주요 지역에 중국군 주둔을 허용했다.[15] 칭하이 출신의 몽고족 라마 지도자였던 6대 장기야 쿠투크투 역시 외몽골의 자치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16][17][18]
2. 1. 몽골의 자치권 상실과 중화민국의 점령


몽골 침공은 당시 중화민국 총리였던 단기서의 주도로 이루어졌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명분으로 일본 정부로부터 니시하라 차관 등 막대한 자금을 빌려 '참전군'이라는 사병화된 군대를 조직했다. 이 군대는 명목상 중앙 연합국과의 전쟁을 위한 것이었으나, 실제로는 단기서가 이끄는 안휘파의 국내 정적 제거를 위한 무력이었다.[19][20][21] 전쟁이 끝나자 참전군 해체 요구가 거세졌고, 단기서는 군대를 유지할 새로운 명분이 필요했다.
이때 여러 요인이 겹치면서 몽골이 목표가 되었다. 파리 강화 회의에서 산둥 문제 해결 실패로 실추된 정치적 위신을 회복하고, 교착 상태에 빠진 남부와의 호법전쟁 대신 손쉬운 승리가 필요했다. 마침 러시아 내전으로 외몽골은 외부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상태였고, 1919년 4월 오랜 기간 총리를 지낸 툭스오치린 남난수렌의 사망으로 몽골 지도층 내부에 분열이 생긴 것도 침공의 기회가 되었다. 일부 몽골 왕족과 한족 상인들은 중국과의 재통합을 원하기도 했다.
단기서는 자신의 오른팔이자 친일 성향[22]으로 알려진 안휘파의 핵심 인물 서수정에게 참전군을 개편한 북서변방군의 지휘를 맡겼다. 서수정은 1919년 10월, 볼셰비키의 위협으로부터 몽골을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군대를 이끌고 별다른 저항 없이 수도 우르가를 점령했다. 이후 1만 명의 병력을 추가 투입하여 몽골 전역을 장악했다. 이 침공은 손문을 포함한 중국 내 여러 세력으로부터 표면적인 찬사를 받았으나,[26] 일각에서는 일본이 친일 성향의 안휘파를 사주하여 러시아 혁명의 확산을 막으려 했다는 의혹도 제기되었다.[27] 하지만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할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며, 러시아의 혼란을 틈탄 중국 정부의 독자적인 행동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28]



점령 후 서수정은 기존에 진의 등이 몽골 귀족들과 맺었던 협정을 무시하고[13][23] 강압적인 통치를 시작했다. 1919년 10월 29일, 군대 시찰 명목으로 외몽골에 도착한 서수정은 '자치 철회'를 명분으로 보그드 칸을 가택 연금했다. 이후 11월 17일, 그는 몽골 의회의 반대를 묵살하고 내각 총리대신 곤치그자르잔긴 바담도르지와 외무대신 바린긴 체렌돌지 등에게 외몽골의 자치권을 완전히 철폐하고 모든 권한을 북양 정부에 넘기는 '개선몽고미래지위육십사조(改善蒙古未來地位六十四條)'에 서명하도록 강요했다. 11월 22일, 서세창 총통은 이를 근거로 외몽골의 자치 철폐를 공식 선포하고 차흐타 조약 파기를 선언했다.[99] 1920년 1월 1일에는 쿠룬에서 책봉 의식을 거행하여 기존 외몽골 정부를 해체하고 북서척변사공서 산하의 3개 청으로 재편했다.
특히 1920년 2월, 서수정은 보그드 칸을 비롯한 몽골 지도자들에게 자신과 오족공화 깃발 앞에서 고두를 하도록 강요하는 굴욕적인 의식을 거행했다.[29] 이러한 강압적이고 모욕적인 조치들은 몽골인들의 격렬한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서수정은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 만라이바트르 담딘수렌, 카탄바트르 마그사르자프 등 민족 지도자들을 체포하고 고문했지만,[101][102] 이는 오히려 도그소민 보도, 호르로그인 초이발산, 담딘 수흐바타르 등이 공산주의 조직을 결성하고 무장 저항을 준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들은 몽골 인민당의 모태가 되어 적극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게 된다.[103]
한편, 서수정의 독단적인 몽골 점령과 군사력 강화는 중국 내부의 군벌들에게도 경계심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만주의 강력한 군벌 장작림은 자신의 세력권 인근에 대규모 군대가 주둔하는 것을 위협으로 간주했다. 장작림은 조곤, 오패부 등 다른 군벌들과 연합하여 서수정의 해임을 요구했고, 1920년 7월 서세창 총통은 압력에 굴복하여 서수정을 해임했다. 이에 반발한 서수정은 몽골 주둔 병력 대부분을 중국 본토로 이동시켜 직안전쟁을 일으켰으나 패배했다. 이로 인해 외몽골에는 소수의 중국군만이 남게 되어 통제력이 크게 약화되었다.[30]
점령 기간 동안 외몽골 주둔 중국군 내부의 문제도 심각했다. 병사 중 상당수는 차하르 몽골 출신의 내몽골인들이었는데, 이는 외몽골인(할하)과의 민족적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었다.[31] 또한 중국 정부로부터 제대로 된 급료를 받지 못한 병사들은 우르가를 비롯한 각지에서 몽골인들을 대상으로 약탈과 살해를 자행하여 극심한 반감을 샀다.[32][33] 특히 중국 고등판무관 우친라오(吳振lao)는 차하르 출신 내몽골인들이 약탈에 가담할 것을 알면서도 이들을 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41] 이러한 혼란 속에서 일부 외몽골 귀족(투셰트 칸 아이막의 다이친 친왕 등)은 중국 통치를 지지하기도 했으나, 대다수 몽골인들의 저항 의지는 더욱 커져갔다.[34]
3.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의 등장과 몽골의 혼란
1920년 여름, 중국 내부의 직안전쟁(直皖戰爭) 발발로 서수정이 주력 부대를 이끌고 외몽골에서 철수하면서 몽골의 상황은 급변했다.[30][104] 서수정의 패배 후, 8월 15일 진의가 북서척변사로 임명되었으나[104], 몽골에 남겨진 소수의 중국군은 지휘 체계가 불안정했고, 제대로 된 급여를 받지 못해 우르가(Urga) 등지에서 몽골인들을 상대로 약탈과 살해를 일삼았다.[32][33] 특히, 이들 중 다수는 차하르 출신 내몽골인들이었으며, 이들의 약탈 행위는 외몽골인들의 극심한 반감을 샀다.[31][39][40] 중국 고등판무관 우친라오(吳振lao)는 차하르인들이 약탈에 가담할 것을 알면서도 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41] 이러한 혼란 속에서 쿠룬(우르가) 성방 사령관 저기상(褚其祥)은 보그드 칸의 배반을 우려하여 그를 사령부 내에 가택 연금하는 조치를 취했고, 이는 몽골 승려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다.[104][105]
이러한 혼란을 틈타 1920년 10월, 러시아 내전의 백군(白軍)[44] 세력인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남작이 이끄는 부대가 북쪽에서 외몽골로 진입했다. 운게른은 우르가에 주둔한 중국군과 여러 차례 전투를 벌인 끝에, 1921년 2월 우르가를 점령하고 중국군을 패퇴시켰다.[106][107] 이 과정에서 중국군 내부의 분열(고재전의 반란[104])도 운게른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 중국군의 횡포에 시달리던 많은 몽골인들과[105] 심지어 패퇴한 중국군 일부(약 2,000명)까지 운게른의 군대에 합류했다.[45][46][47][48][49] 운게른은 1921년 2월 22일, 보그드 칸을 복위시켜 몽골국을 부활시켰고[106][107], 자신은 달한석친왕에 봉해졌다. 그러나 실질적인 권력은 운게른이 장악하여 보그드 칸은 괴뢰 군주에 불과했다.[106] 운게른의 통치는 잔혹했으며, 그의 부대(차하르 내몽골 병사 포함) 역시 약탈을 자행하여 몽골인들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39][40][42]
한편, 중국의 지배와 이어진 운게른의 점령에 맞서 몽골 인민당의 저항 활동이 본격화되었다. 몽골 인민당은 운게른이 우르가를 점령할 무렵 이미 중국군과 첫 전투를 치렀으며[45], 소련 적군의 지원을 받아 세력을 키웠다. 1921년 3월 13일, 몽골 인민당은 극동 공화국에서 몽골인민임시정부를 수립했고[108], 3월 18일에는 담딘 수흐바타르가 이끄는 인민군이 중국군이 주둔하고 있던 매매성(캬흐타)을 점령했다.[108]
중국 북양 정부는 장작림에게 외몽골 재정복을 맡겼으나[50][51][52], 제1차 직봉전쟁으로 이어지는 내부 갈등과 러시아 내전에서 볼셰비키의 우세가 명확해지면서 실질적인 군사 개입은 이루어지지 못했다.[53] 결국 1921년 여름, 담딘 수흐바타르가 이끄는 몽골 인민군과 콘스탄틴 로코소프스키 등이 지휘하는 소련 적군 연합 부대가 운게른 군대를 공격하여 8월에 그를 최종적으로 패퇴시켰다.[53] 이후 몽골에서는 소련의 영향력 아래 몽골 인민 공화국 수립의 기반이 마련되었다.
4. 몽골 인민 공화국의 수립과 독립
1921년 2월, 운게른이 이끄는 아시아 기병 사단이 우르가를 점령하고 있던 중국군을 몰아내면서 몽골은 독립을 되찾았다.[79] 운게른은 2월 22일 보그드 칸을 복위시켜 몽골국을 부활시켰으나,[106][107] 실권은 운게른이 장악하고 있었다.
한편, 1921년 3월 13일 몽골 인민당은 극동 공화국에서 몽골인민임시정부를 수립했고, 3월 18일에는 캬흐타의 매매성을 점령했다. 볼셰비키의 지원을 받은 몽골 혁명가들은 소련 적군과 연합하여 러시아 백군과 중국군을 차례로 몰아내고 새로운 인민 정부를 수립했다.[79]
짧은 기간의 입헌 군주제를 거쳐 1924년 몽골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이 체제는 1992년까지 지속되었다.
중화민국 정부는 몽골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계속해서 종주권을 주장했으나, 1945년 몽골 독립 국민투표 결과에 따라 1946년 1월 몽골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80] 그러나 국공 내전에서 소련이 중국 공산당을 지원한 것에 대한 항의로 중국 국민당 정부는 1953년 몽골 독립에 대한 인정을 철회했다.[81]
2002년, 타이완 정부는 몽골을 다시 독립국으로 인정한다고 발표했으며,[81] 이후 양측은 공식적인 외교 관계는 없지만 울란바토르와 타이베이에 무역 사무소를 통해 비공식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82] 하나의 중국 원칙에 따라 몽골은 중화인민공화국만을 승인하고 있다. 2012년 대륙위원회는 몽골이 헌법적으로 주장하는 영토의 일부가 된 적이 없다고 발표했다.[83]
5. 여파 및 현재 상황
중화민국은 1945년 몽골 독립 국민투표 결과를 바탕으로 1946년 몽골의 독립을 공식 인정했으나,[80] 국공 내전 이후 대만으로 이전하면서 소련의 중국 공산당 지원을 이유로 1953년 독립 승인을 철회하는 등 복잡한 관계 변화를 겪었다.[81] 이후 2002년, 중화민국 정부는 몽골을 다시 독립 국가로 인정하고[81] 2012년에는 몽골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공식적으로 포기했다.[83] 현재 몽골은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과 공식 외교 관계를 맺고 있으며, 대만과는 울란바토르와 타이베이에 설치된 대표 사무소를 통해 비공식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82]
5. 1. 몽골과 중화민국(대만)의 관계
중화민국은 1946년까지 몽골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했다. 국민당 정부는 1945년 몽골 독립 국민투표 결과를 받아들여 1946년 1월 몽골의 독립을 공식 인정했다.[80] 그러나 국공 내전 이후 대만으로 이전한 중국 국민당 정부는 소련이 중국 공산당을 지원했다는 이유로 1953년 몽골 독립 승인을 철회했다.[81]시간이 흘러 2002년, 중화민국 정부 (대만)는 몽골을 다시 독립 국가로 인정한다고 발표했다.[81] 이에 따라 중화민국 공식 지도에서 몽골을 제외했으며, 대만을 방문하는 몽골 시민에게 여권 제시를 요구하기 시작했다.[82] 현재 몽골과 대만은 공식적인 외교 관계는 없지만, 울란바토르와 타이베이에 각각 무역 대표 사무소를 설치하여 비공식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몽골은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2012년 대만의 대륙위원회는 "몽골(과거 대만에서 외몽골로 불림)은 헌법상 중화민국 영토의 일부였던 적이 없다"고 공식 발표하여 몽골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명확히 정리했다.[83]
5. 2. 몽골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관계
중화민국은 1946년까지 몽골을 자국 영토의 일부로 간주했다. 국민당 정부는 1945년 몽골 독립 국민투표에서 압도적인 찬성 결과가 나오자 1946년 1월 몽골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80] 그러나 중국 내전에서 소련이 공산주의자들을 지원했다는 이유를 들어, 대만으로 이전한 중화민국 정부는 1953년에 몽골 독립에 대한 인정을 철회하는 입장을 보였다.[81]시간이 흘러 2002년, 중화민국 정부는 몽골을 다시 독립국으로 인정한다고 발표했다.[81] 이에 따라 중화민국 공식 지도에서 몽골을 제외하고, 대만을 방문하는 몽골 시민에게 여권을 요구하는 등 실질적인 조치가 이루어졌다.[82] 현재 몽골과 대만 사이에는 울란바토르와 타이베이에 각각 무역 및 경제 대표 사무소가 설치되어 비공식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공식적인 외교 관계는 수립되지 않았다. 이는 몽골이 하나의 중국 정책 원칙에 따라 중화인민공화국만을 중국의 유일한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2년, 대만의 대륙위원회는 "몽골(과거 대만에서 외몽골로 불림)은 헌법적으로 중화민국 영토의 일부였던 적이 없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기도 했다.[83]
참조
[1]
서적
Stalin: Volume I: Paradoxes of Power, 1878–1928
https://books.google[...]
Penguin Publishing Group
2014-11-06
[2]
서적
The Baron's Cloak: A History of the Russian Empire in War and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4-05-09
[3]
서적
Stalin and the Struggle for Supremacy in Eur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08-25
[4]
서적
China: A History
https://books.google[...]
Hackett
[5]
서적
Empire to Nation: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6]
서적
憲法何以中國
https://books.google[...]
City University of HK Press
[7]
서적
政治憲法與未來憲制
https://books.google[...]
City University of HK Press
[8]
서적
A Nation-state by Construction: Dynamics of Modern Chinese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Mongolia: Travels in the Untamed Land
https://books.google[...]
Jasper Becker
2008-06-15
[10]
간행물
Russia, China, and the Origins of the Mongolian People's Republic, 1911-1921: A Reappraisal
1980-07
[11]
뉴스
Outer Mongolia, Tired of Autonomy, Asks China to Pay Her Princes and Take Her Back.
https://query.nytime[...]
1919-10-31
[12]
서적
The Bloody White Baron: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Russian Nobleman Who Became the Last Khan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1-06
[13]
서적
Recent Outer Mongolian International Relations: A Time Capsule
https://books.google[...]
Lulu.com
2015-01-16
[14]
서적
The Baron's Cloak: A History of the Russian Empire in War and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4-05-09
[15]
서적
Historical Atlas of Northeast Asia, 1590–2010: Korea, Manchuria, Mongolia, Eastern Siberia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06-17
[16]
서적
Proceedings of the Tenth Seminar of the IATS, 2003. Volume 9: The Mongolia-Tibet Interface: Opening New Research Terrains in Inner Asia
https://books.google[...]
BRILL
2007-09-11
[17]
서적
Empire to Nation: Historical Perspectives o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06-01-01
[18]
서적
Collaborative Nationalism: The Politics of Friendship on China's Mongolian Frontier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0-07-16
[19]
서적
A History of Land Use in Mongolia: The Thir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2-11-13
[20]
서적
Asia and Africa Today
https://books.google[...]
Asia and Africa Today
[21]
서적
Arming the Chinese: The Western Armaments Trade in Warlord China, 1920-28, Second Edition
https://books.google[...]
UBC Press
2010-10-01
[22]
서적
Fred Barton and the Warlords' Horses of China: How an American Cowboy Brought the Old West to the Far East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5-11-11
[23]
서적
The Bloody White Baron: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Russian Nobleman Who Became the Last Khan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1-06
[24]
서적
Herdsman to Statesman: The Autobiography of Jamsrangiin Sambuu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5]
서적
Journey to Tuva
https://books.google[...]
Ethnographics Press,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1992-01-01
[26]
서적
Ethnic China: Identity, Assimilation, and Resistance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15-10-16
[27]
서적
The land and people of Mongolia
https://archive.org/[...]
Harper and Row
[28]
서적
The History of Baron Ungern. An Experience of Reconstruction
KMK Sci. Press
[29]
서적
The Baron's Cloak: A History of the Russian Empire in War and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4-05-09
[30]
서적
Documents on British Foreign Policy, 1919-1939
https://books.google[...]
H.M. Stationery Office
[31]
서적
Nationalism and Hybridity in Mongolia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2014-02-01
[32]
서적
The History of Baron Ungern. An Experience of Reconstruction
KMK Sci. Press
[33]
서적
Theocratic Statehood and the Buddhist Church in Mongolia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KMK Sci. Press
[34]
서적
Nationalism and Revolution in Mongolia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35]
서적
Beasts, Men and Gods
https://archive.org/[...]
E. P. Dutton
[36]
서적
Bestie, Uomini, Dei: Il mistero del Re del Mondo
https://books.google[...]
Edizioni Mediterranee
2014-05-19
[37]
서적
White Terror: Cossack Warlords of the Trans-Siberi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16
[38]
서적
Beasts, Men and Gods
https://archive.org/[...]
E. P. Dutton
[39]
서적
Nationalism and Hybridity in Mongolia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98-01-01
[40]
서적
Tsongol Folklore: Translation of the Collection The Language and Collective Farm Poetry of the Buriat Mongols of the Selenga Region
https://books.google[...]
Harrassowitz
[41]
서적
Devil Drums
https://books.google[...]
Brewer & Warren, Incorporated; Payson & Clarke Limited
[42]
서적
The Bloody White Baron: El Sicario (large print 16 points)
https://books.google[...]
ReadHowYouWant.com
2011-06-13
[43]
서적
Mongolia: Travels in the Untamed Land
https://books.google[...]
Jasper Becker
2008-06-15
[44]
서적
Mongolian People's Republic: Outer Mongolia
https://books.google[...]
Human Relations Area Files
[45]
서적
Beasts, Men and Gods
https://archive.org/[...]
E. P. Dutton
[46]
서적
Asia and the Americas
https://books.google[...]
[47]
서적
Shanghai on the Métro: Spies, Intrigue, and the French Between the Wa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8]
서적
White Terror: Cossack Warlords of the Trans-Siberi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16
[49]
서적
White Terror: Cossack Warlords of the Trans-Siberi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16
[50]
서적
Soviet Policies in China, 1917-1924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4-01-01
[51]
서적
Papers Relating to Pacific and Far Eastern Affairs
https://books.google[...]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52]
서적
China Review
https://books.google[...]
China Trade Bureau, Incorporated
[53]
서적
How Mongolia is really ruled: a political history of the Mongolian People's Republic, 1900–1978
https://books.google[...]
Hoover Institution Press, Stanford University
[54]
서적
Current History
https://books.google[...]
The Times.
[55]
서적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China, 1899–1991: The Rise, Fall, and Restoration of the Open Door Polic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4-10
[56]
서적
Money of the Russian Revolution: 1917–19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4-11-19
[57]
서적
The Russian Civil War (2): White Armies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58]
서적
Dawn in Siberia: The Mongols of Lake Baikal
https://books.google[...]
F. Muller, Limited
[59]
서적
Science, Technology, Imperialism, and War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60]
서적
The Rise Of Russia In Asia
https://books.google[...]
Read Books Ltd
2013-04-16
[61]
서적
Theocratic Statehood and the Buddhist Church in Mongolia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KMK Sci. Press
[62]
서적
Soviet Literature
https://books.google[...]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1950-09
[63]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09-08
[64]
서적
Sacred Geography: Shamanism Among the Buddhist Peoples of Russia
https://books.google[...]
Akadémiai Kiadó
2004-01-01
[65]
서적
The Baron's Cloak: A History of the Russian Empire in War and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4-05-09
[66]
서적
White Terror: Cossack Warlords of the Trans-Siberi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16
[67]
서적
Sacred Geography: Shamanism Among the Buddhist Peoples of Russia
https://books.google[...]
Akadémiai Kiadó
2004-01-01
[68]
서적
Radical Sociology of Durkheim and Maus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01-31
[69]
서적
White Eagle, Red Star: The Polish-Soviet War 1919-20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011-04-30
[70]
서적
Journal de la Société Finno-Ougrienne
https://books.google[...]
Seura
[71]
서적
The Shamans Coat: A Native History of Siber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09-05-26
[72]
서적
The Bloody White Baron: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Russian Nobleman Who Became the Last Khan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1-06-01
[73]
서적
The Bloody White Baron: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Russian Nobleman Who Became the Last Khan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1-06-01
[74]
서적
The Bloody White Baron: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Russian Nobleman Who Became the Last Khan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1-06-01
[75]
서적
The Bloody White Baron: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Russian Nobleman Who Became the Last Khan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1-06-01
[76]
서적
The History of Baron Ungern. An Experience of Reconstruction
KMK Sci. Press
2011-01-01
[77]
서적
The Bloody White Baron: The Extraordinary Story of the Russian Nobleman Who Became the Last Khan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2011-06-01
[78]
서적
White Terror: Cossack Warlords of the Trans-Siberi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16
[79]
웹사이트
China/Mongolia (1911-1946)
https://uca.edu/poli[...]
Department of Government, Public Service, and International Studies
2024-02-14
[80]
웹사이트
蒙古不是中華民國固有之疆域
https://features.ltn[...]
2021-02-06
[81]
웹사이트
Mongolian office to ride into Taipei by end of the year
http://www.taipeitim[...]
2002-10-11
[82]
뉴스
Taiwan 'embassy' changes anger China
http://news.bbc.co.u[...]
2002-02-26
[83]
웹사이트
有關外蒙古是否為中華民國領土問題說明新聞參考資料
http://www.mac.gov.t[...]
2012-05-22
[84]
서적
Tragic Spirits: Shamanism, Memory, and Gender in Contemporary Mongol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3-11-01
[85]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03-04-09
[86]
서적
Red Shambhala: Magic, Prophecy, and Geopolitics in the Heart of Asia
https://books.google[...]
Quest Books
2012-12-19
[87]
서적
Marx Went Away--but Karl Stayed Behind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88]
서적
Chö-yang
https://books.google[...]
Council for Religious and Cultural Affairs of H.H. the Dalai Lama
[89]
서적
Red Shambhala: Magic, Prophecy, and Geopolitics in the Heart of Asia
https://books.google[...]
Quest Books
2012-12-19
[90]
서적
White Terror: Cossack Warlords of the Trans-Siberia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1-16
[91]
서적
The Jews in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92]
서적
The socialist way of life in Siberia : transformation in Buryatia
https://www.worldcat[...]
2014-01-01
[93]
서적
蒙古逸史
http://vdisk.weibo.c[...]
商务印书馆
1917-01-01
[94]
학술지
外蒙古的「独立」「自治」和「撤治」
https://blog.boxun.c[...]
[95]
학술지
中俄蒙协约
签订后中国政府与自治外蒙古的关系
[96]
학술지
北京政府废除《中俄蒙协约》的努力
2013-01-01
[97]
서적
外蒙政教制度考
[98]
웹사이트
一座消失的召庙与一任消失的活佛背后
https://dajia.qq.com[...]
[99]
서적
中华民国史事日志
中央研究院近代史研究所
[100]
서적
外蒙古近世史
[101]
학술지
Historical dictionary of Mongolia
MD: Scarecrow
[102]
서적
From world power to Soviet satellite: History of Mongolia
Cambridge: University of Cambridge
[103]
학술지
The Origin of the Mongolian People's Revolutionary Party: 1920
Bloomington, Ind.
[104]
학술지
外蒙古见闻纪略
中国政协文史资料委员会
[105]
학술지
Буддизм и революция в Монголии
https://www.academia[...]
[106]
서적
Легендарный барон : неизвестные страницы гражданской войны
KMK Sci
[107]
서적
События в Монголии-Халхе в 1920-1921 гг. - Легендарный барон : неизвестные страницы гражданской войны.
KMK Sci
[108]
웹사이트
张作霖与苏俄入侵外蒙
http://60.6.205.61:2[...]
2019-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