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렁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렁이는 비바파루스 속의 연체동물로, 난태생이며 논우렁이, 논고둥 등으로 불린다. 껍질은 1~8cm 크기로 오른쪽으로 감겨 있으며,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가진다. 머리에는 촉각과 눈이 있고, 수컷의 촉각은 생식기로 사용된다.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지역의 담수에서 서식하며, 3개의 아과로 분류된다. 한국에는 말조개, 참우렁이, 애기우렁이, 나가타니시 등 4종이 서식한다. 식용으로 사용되며, 수조 청소, 낚시 미끼 등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설류 - 왕우렁이
    왕우렁이는 사과우렁이과에 속하는 대형 담수 복족류로, 둥근 껍질과 다양한 색상 패턴을 가지며, 식용 및 해충, 잡초 제거 등으로 활용된다.
  • 고설류 - 논우렁이상과
    논우렁이상과는 신생복족류에 속하는 복족류 상과의 하나이며, 생태학적 및 형태학적으로 다양한 과들을 포함한다.
  • 연체동물 - 달팽이
    달팽이는 복족류에 속하며 배 전체를 발처럼 써서 느리게 이동하고 껍데기 유무와 서식 환경에 따라 종류가 나뉘며, 자웅동체로 교미하여 번식하고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며 여러 천적에게 포식당하고 인간과 복잡한 관계를 맺으면서 문화적으로 다양한 상징성을 갖는다.
  • 연체동물 - 고둥
    고둥은 석회질 원뿔형 껍데기를 가진 나선형 연체동물로, 식용, 장식용, 화폐 등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조가비 수집 대상이 되고 문화적 의미도 지니지만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받고 있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우렁이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Viviparidae
과 명명자J. E. Gray, 1847년
종 다양성125–150 담수 종
영어 이름river snails (강달팽이)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연체동물문
복족강
원시뉴설목(Architaenioglossa)
하위 분류
아과Bellamyinae
Lioplacinae
Viviparinae
일반 정보
다른 이름たにし (탄이시)

2. 이름

우렁이는 한반도에서 논우렁이, 논고둥, 강우렁, 논고디, 고디 등으로 불리며, 현대 중국어와 한자로는 “전라”(田螺), “토라”(土螺)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강 달팽이”(river snails)나 “신비한 달팽이”(mystery snails) 등으로 불린다.

동의보감 탕액편 충부에는 〈전라〉(田螺)로, 일본에서는 '쓰보', '다쓰보', '고둥', '다쓰부', '논의 소라' 등의 이름으로 불린다.

3. 특징

남미와 남극을 제외한 대륙과 그 주변의 민물에 서식하며, 몇 cm 크기의 거뭇한 껍질을 가진 것이 많다. 물체 표면에 붙어 있는 해조류를 먹는 동시에 물밑 침전물을 먹는 여과섭식자라는 특이한 섭식 방법을 가진다. 이러한 섭식 방법 덕분에 논과 같이 환경 변화가 심한 소규모 수역에서도 대형종이 생식할 수 있다.

아시아에는 특히 종류가 많으며, 벼농사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사람과의 관계가 형성되었다. 주로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다른 담수 동물과 마찬가지로 기생충의 숙주가 되므로 섭취 시 충분히 가열해야 한다. 약재로도 많이 쓰인다. 아시아에서는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캄보디아 등지의 논, 용수로, 연못 등에 분포하지만, 종류에 따라 분포 지역은 다소 차이가 있다.

3. 1. 껍질

껍질 높이는 1cm - 8cm 정도이지만, 5cm 이하의 종이 많다. 껍질은 모든 종이 오른쪽으로 감겨 있으며, 어느 정도 높아진 나층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종의 껍질 본체는 흰색에서 옅은 갈색이지만, 그 표면은 짙은 녹색에서 짙은 갈색의 두꺼운 각피로 덮여 있으며, 게다가 조류나 산화물 등이 부착되어 있어 대부분 검게 보인다. 다른 담수 조개류와 마찬가지로, 화려한 반점을 가진 것은 적고, 갈색의 나선형 줄무늬를 가진 종이 보이는 정도이다.

껍질의 표면은 매끄럽거나 약한 나륵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눈에 띄는 돌기 등은 중국의 혹고둥이나 필리핀의 가시달팽이와 같은 극히 일부 종에서만 보인다. 발 뒤쪽 등면에는 갈색의 키틴질 뚜껑이 있으며, 껍질 입구를 꼭 맞게 막을 수 있다. 뚜껑은 껍질 입구와 같은 물방울 모양이며, 핵은 중앙 부근에 있고, 동심원상으로 성장한다. 뚜껑을 닫을 때 껍질 안의 공기가 틈새로 새어 나와 "츄~"하는 소리가 가끔 들린다.

3. 2. 연체

머리 부분에는 잘 발달한 한 쌍의 촉각이 있으며, 그 뿌리 부근 바깥쪽에 이 있다. 수컷의 오른쪽 촉각은 끝까지 정관이 통과하며, 음경으로도 사용된다. 이 때문에 어느 정도 변형되어 있는데, Viviparinae 아과와 Lioplacinae 아과에서는 정상적인 왼쪽 촉각보다 짧고 끝이 굵게 끝나며, Bellamyinae 아과에서는 왼쪽 촉각보다 길고 현저하게 말려 있다. 따라서 오른쪽 촉각을 보면 암수를 구별할 수 있다. 예전부터 여러 종류의 이형 정자의 존재가 알려져 있으며, 그 기능에 대해서는 정상 정자의 운반용, 영양체, 또는 다른 개체의 정자에 대한 공격용 등 여러 설이 있다. 암컷은 교미에 의해 체내 수정하며, 알이 새끼 조개가 될 때까지 체내에서 보호하는 난태생으로, 충분히 자란 어린 조개를 몇 개에서 수십 개 낳는다.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새끼 조개는 4mm - 1cm 정도로 몸의 기본적인 구조는 어미 조개와 같지만, 껍데기의 말린 수가 적고, 껍질이 변화한 털을 가진 경우가 많다. 이 털은 어미 조개에서는 거의 사라진다.

치설은 '''끈설형'''(taenioglossate)으로, 1개의 가운데 이, 1쌍의 옆 이, 2쌍의 가장자리 이의 총 7개가 가로 1열로 늘어선 것을 한 세트로 하며, 그것이 앞뒤로 다수 늘어서 있다. 하나하나의 이는 비교적 유연하며, 조류 등을 깎아내거나 침전된 데트리터스를 건져내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등에는 머리 부분 오른쪽에서 외투강의 안쪽까지 이르는 섬모대를 갖춘 '''식물구'''가 있다. 식물구의 양쪽은 융기되어 있지만, 특히 왼쪽의 융기는 점액선이 풍부하며, 잘 발달하여 등지느러미와 같은 주름이 되어, 오른쪽 촉각의 뒤쪽에서 외투강 안쪽으로 향하여 등을 비스듬히 달리고 있다. 오른쪽의 융기는 훨씬 약하지만, 역시 식물구에 평행하고 있다. 아가미에서 여과된 물속의 부유물은 이 식물구를 점액으로 묶으면서 오른쪽 촉각 머리 근처까지 운반되며, 거기에서 다시 머리 운반구로 입으로 운반되어 먹이가 된다. 이와 같은 치설의 형태와 식물구의 존재로 깎아먹기, 데트리터스 먹기, 여과 식이라는, 다른 예가 없는 트리플 식성을 실현하고 있다. 덧붙여, 근연종인 다슬기과(사과달팽이과)에서는 다슬기의 식물구의 왼쪽 주름에 해당하는 부분이 외투강의 천장까지 닿아 외투막과 유착된 격벽이 되어, 외투강을 폐와 새강으로 이분함으로써 수륙 양용의 구조가 되어 있다.

촉각 후방의 목 부분은 지느러미 모양으로 좌우로 뻗어 있으며, 활동 시에는 이것을 말아서 수관으로 한다. 왼쪽이 입수관으로, 그 내부에는 아가미가 있으며, 오른쪽이 출수관으로 내부에는 항문 등이 있다. 보통은 오른쪽의 수관이 더 크고 눈에 띈다. 이처럼 목 부분이 뻗어 수관을 형성하는 것은, 과거 중복족목으로 함께 분류되었던 흡강목의 조개가 외투막으로 수관을 형성하는 것과는 다른 점이다.

4. 생태

남미와 남극을 제외한 대륙과 그 주변의 민물에 서식하며, 몇 cm의 거뭇하게 보이는 껍질을 가진 것이 많다. 특이한 것은 섭식 방법으로, 물건 표면에 붙어 있는 조류를 먹고 살며, 물밑 침전물을 먹는 여과섭식자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논과 같은 환경 변화가 심한 소규모 수역에도 대형종이 생식하는 것이 가능하다.[14]

아시아에는 특히 종류가 많아, 벼농사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식용으로 하는 사람과의 관계가 형성되었다. 다른 담수 동물과 마찬가지로 기생충의 숙주가 되므로 식용 시에는 충분히 가열해야 한다. 약재로도 쓰인다. 아시아에서 분포 지역은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캄보디아 등지의 논, 용수로, 연못 등이다. 분포 지역은 종류에 따라 다소 다르다.

머리 부분에는 잘 발달한 한 쌍의 촉각이 있으며, 그 뿌리 부근 바깥쪽에 이 있다. 수컷의 오른쪽 촉각은 끝까지 정관이 통과하며, 음경으로도 사용된다. 암컷은 교미에 의해 체내 수정하며, 알이 새끼 조개가 될 때까지 체내에서 보호하는 난태생으로, 충분히 자란 어린 조개를 몇 개에서 수십 개 낳는다.

치설은 끈설형으로, 1개의 가운데 이, 1쌍의 옆 이, 2쌍의 가장자리 이의 총 7개가 가로 1열로 늘어선 것을 한 세트로 하여, 그것이 앞뒤로 다수 늘어서 있다. 또한, 등에는 머리 부분 오른쪽에서 외투강의 안쪽까지 이르는 섬모대를 갖춘 식물구를 갖추고 있다. 아가미에서 여과된 물속의 부유물은 이 식물구를 점액으로 묶으면서 오른쪽 촉각 머리 근처까지 운반되며, 거기에서 더 머리 운반구로 입으로 운반되어 먹이가 된다.

5. 분포

남미와 남극을 제외한 대륙과 그 주변의 민물에 서식하고 있으며, 몇 cm의 거뭇하게 보이는 껍질을 가지는 것이 많다. 아시아에는 특히 종류가 많아, 벼농사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으며, 식용을 주로 하는 사람과의 관계가 형성되었다.[13]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캄보디아 등 아시아 지역의 논, 용수로, 연못 등에 분포하지만, 분포 지역은 종류에 따라서 다소 다르다. 이 과는 남아메리카를 제외하고 온대 및 열대 지역에서 거의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유라시아 대륙, 아프리카 대륙,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와 그 주변 지역의 강, 호수, 연못 등의 담수역에 널리 서식한다. 그러나 남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소수의 화석종만이 알려져 있으며, 현생종은 알려져 있지 않고, 남극 대륙에도 서식하지 않는다.

6. 분류

왕우렁이과(Viviparidae)는 부셰 & 로크루아(Bouchet & Rocroi, 2005)의 복족류 분류법에 따라 3개의 아과로 나뉜다.


  • 왕우렁이아과(Viviparinae) Gray, 1847 (1833) - 동의어: Paludinidae Fitzinger, 1833 (inv.); Kosoviinae Atanackovic, 1859 (n.a.)
  • Bellamyinae Rohrbach, 1937 - 동의어: Amuropaludinidae Starobogatov, Prozorova, Bogatov & Sayenko, 2004 (n.a.)
  • Lioplacinae Gill, 1863 - 동의어: Campelomatinae Thiele, 1929


왕우렁이과(Viviparidae) 내 속(Genera)은 다음과 같다.
아과(subfamily) 왕우렁이아과(Viviparinae) Gray, 1847

속(Genus)학명( binomial name)비고
갈리즈지아(Galizgia)미하일롭스키(Mikhaylovskiy), 1903
코소비아(Kosovia) †아타나코비치(Atanacković), 1959
리불라리아(Rivularia)Heude, 1890[5]
트로코팔루디나(Trochopaludina)스타로보가토프(Starobogatov), 1985
툴로토마(Tulotoma)할데만(Haldeman), 1840
비비파루스(Viviparus)몽포르(Montfort), 1810기준 속


아과 벨라미나에(Bellamyinae) 로르바흐(Rohrbach), 1937

속(Genus)학명( binomial name)비고
아무로팔루디나(Amuropaludina)모스크비체바(Moskvicheva), 1979
앙굴리아그라(Angulyagra)라오(Rao), 1931[6]
아눌로타이아(Anulotaia)브란트(Brandt), 1968
아눌라리아(Anularya)장(Zhang) & 첸(Chen), 2015[7]
아파메우스(Apameaus) †시반(Sivan), 헬러(Heller) & 반 담(van Damme), 2006[8]플라이오세-플레토세(Pliocene-Pleistocene) 속, 단일 종 아파메우스 아파메아이(Apameaus apameae) 포함
벨라미아(Bellamya)주셈(Jousseame), 1886아과의 기준 속
보간마르가리아(Boganmargarya)탁(Thach), 2018
치팡고팔루디나(Cipangopaludina)애니발(Hannibal), 1912[6]
아이리에시아(Eyriesia)P. 피셔(Fischer), 1885
필로팔루디나(Filopaludina)하베(Habe), 1964
헤테로젠(Heterogen)애넌데일(Annandale), 1921유일한 종 헤테로젠 롱기스피라(Heterogen longispira) 포함
이디오포마(Idiopoma)
아과 리오플라키나에(Lioplacinae) 길(Gill), 1863

속(Genus)학명( binomial name)비고
캄펠로마(Campeloma)라피네스크(Rafinesque), 1819
리오플락스(Lioplax)트로셸(Troschel), 1856


아과 ?

속(Genus)학명( binomial name)비고
알비아노팔린(Albianopalin) †해밀턴-브루스(Hamilton-Bruce), 스미스(Smith) & 골렛-홈즈(Gowlett-Holmes), 2002[12]알비아(Albian), 뉴사우스웨일스(New South Wales)
네오타우마(Neothauma)E. A. 스미스(Smith), 1880[13]
시암오팔루디나(Siamopaludina)브란트(Brandt), 1968



;동의어로 병합된 속:

속(Genus)동의어비고
센트라팔라(Centrapala)라리나(Larina) A. 아담스(Adams), 1855[9]
콘테키아나(Contectiana)비비파루스(Viviparus) 몽포르(Montfort), 1810
유라리나(Eularina)라리나(Larina) A. 아담스(Adams), 1855
아과 코소비이나에(Kosoviinae) †왕우렁이과(Viviparidae) 그레이(Gray), 1847
레키토콘카(Lecythoconcha)치팡고팔루디나(Cipangopaludina) 애니발(Hannibal), 1912
메토히아(Metohia)(주니어 동음이의어, 2014년에는 대체 이름 없음)
노토팔레나(Notopalena)노토팔라(Notopala) 코튼(Cotton), 1935
팔루디나(Paludina)비비파루스(Viviparus) 몽포르(Montfort), 1810
시암팔루디나(Siamopaludina)필로팔루디나(Filopaludina) (Siamopaludina) 브란트(Brandt), 1968필로팔루디나(Filopaludina) 하베(Habe), 1964로 표시됨
비비파라(Vivipara)비비파루스(Viviparus) 몽포르(Montfort), 1810



유라시아 대륙, 아프리카 대륙, 북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와 그 주변 지역의 강, 호수, 연못 등의 담수역에 널리 서식한다. 그러나 남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소수의 화석종만이 알려져 있으며, 현생종은 알려져 있지 않고, 남극 대륙에도 서식하지 않는다.

주로 생식기 계통의 해부학적 특징에 따라 3개의 아과로 나뉜다. Lioplacinae 아과와 Viviparinae 아과는 비교적 근연 관계에 있지만, 일본의 논고둥류가 포함된 아프리카히메타니시 아과(Bellamyinae)는 다소 특이하여 러시아의 연구자 등은 독립적인 아프리카히메타니시과(Bellamyidae)로 취급하기도 한다.


  • '''아프리카논고둥 아과(Bellamyinae)''': 아프리카,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까지 널리 분포하며, 속과 종이 많고 형태의 다양성도 높다. 특히 동양구에서의 다양성이 높지만, 충분히 조사되지 않은 것도 많다. 대표적인 속은 ''Bellamya'' (아프리카 - 아시아), ''Filopaludina'' (인도・동남아시아), ''Larina'' (호주 북부), 곱추논고둥속 ''Margarya'' (중국 윈난성), ''Mekongia'' (동남아시아), ''Notopala'' (호주 동부), ''Taia'' (동남아시아) 등이다.
  • '''Lioplacinae 아과''' (=Campelominae 아과): 북미에만 분포하며, ''Campeloma'' 와 ''Lioplax''의 2속이 알려져 있다. 종류 수는 그다지 많지 않지만, ''Campeloma'' 속의 분류에는 미정리된 부분이 있다.
  • '''논고둥 아과(Viviparinae)''': ''Viviparus'' (유럽・북미)와 ''Tulotoma'' (북미 앨라배마주의 쿠사강 수계의 고유속)의 2속이 주된 것으로, 현생종의 수는 그다지 많지 않지만, ''Viviparus'' 속에는 화석종이 많다. 매끄럽고 단순한 껍질을 가진 현생종에 비해 화석종은 나사 능선이나 사마귀가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


다음은 WoRMS에 따른 아과와 속의 분류이다. "†"가 붙은 것은 화석만 존재하는 속을 나타낸다.

  • 아프리카우렁이아과(아프리카고둥아과)
  • * 아무로팔루디나속 ''Amuropaludina''
  • * ''Angulyagra''
  • * ''Anularya''
  • * ''Anulotaia''
  • * 벨라미아속 ''Bellamya''
  • * 말조개속 ''Cipangopaludina''
  • * ''Eyriesia''
  • * ''Filopaludina''
  • ** ''Filopaludina'' 와 ''Siamopaludina''의 2개 아속으로 분류된다.
  • * 긴고둥속 ''Heterogen''
  • * ''Idiopoma''
  • * † 이가우렁이속 ''Igapaludina''
  • * ''Larina''
  • * 혹고둥속 ''Margarya''
  • * ''Mekongia''
  • * ''Neclarina''
  • * ''Notopala''
  • * ''Siamopaludina''는 ''Filopaludina'' 의 아속(상기)
  • * ''Sinotaia''
  • * ''Taia''
  • * 요우소우카이고둥속 ''Tchangmargarya''
  • * † ''Temnotaia''
  • * ''Torotaia''
  • * 고둥달팽이속 ''Trochotaia''
  • ** ''Centrapala''는 ''Larina'' A. Adams, 1855의 이명
  • ** ''Dactylochlamys''는 ''Angulyagra'' Rao, 1931의 이명
  • ** ''Eularina''는 ''Larina'' A. Adams, 1855의 이명
  • ** ''Lecythoconcha''는 ''Cipangopaludina'' Hannibal, 1912의 이명
  • ** ''Notopalena''는 ''Notopala'' Cotton, 1935의 이명
  • ** ''Robinsonia''는 ''Neclarina'' Iredale, 1943의 이명

  • Lioplacinae (학명 불명의 아과)
  • * ''Campeloma''
  • * ''Lioplax''
  • ** 아과 Campelomatinae는 아과 Lioplacinae Gill, 1863의 이명

  • 우렁이 아과 Gray, 1847
  • * ''Galizgia''
  • * † ''Kosovia''
  • * † ''Popovicia''
  • * 강고둥속 ''Rivularia''
  • * ''Trochopaludina''
  • * ''Tulotoma''
  • * ''Viviparus''
  • ** ''Contectiana''는 ''Viviparus'' Montfort, 1810의 이명
  • ** ''Metohia'' † 는 ''Popovicia'' Neubauer & Harzhauser in Neubauer et al., 2015의 이명
  • ** ''Paludina''는 ''Viviparus'' Montfort, 1810의 이명
  • ** ''Vivipara'' (관용)는 ''Viviparus'' Montfort, 1810의 이명
  • ** 아과 Kosoviinae † 는 우렁이 아과 Gray, 1847의 이명


일본에는 후술할 4종이 서식한다. 종래에는 말조개나 말조개과 등에는 말조개를 타입 종으로 하는 ''Cipangopaludina'' Hannibal, 1912라는 속명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연체를 비교 연구한 는 ''Cipangopaludina'' 속은 구세계에 널리 분포하는 ''Bellamya'' 속과 아무런 차이가 없으며, 그 중에서 단순히 대형이 되고 어린 조개에 색띠가 나오지 않는 종류를 ''Cipangopaludina''라고 말할 뿐이며, 말조개나 참달팽이도 ''Bellamya'' 속으로 하고, ''Cipangopaludina''는 기껏해야 아속 수준에서 사용해야 한다고 했다. 이 때문에 2000년 이후에는 이 두 종의 속명을 종래대로 ''Cipangopaludina''로 하는 사람과 ''Bellamya''로 하는 사람이 있다. 또한 중국의 연구자들은 일본에서 ''Sinotaia'' 속으로 여겨지는 애기달팽이류도 ''Bellamya''로 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서는 검색의 편리성과 중용의 의미에서 ''Cipangopaludina''나 ''Sinotaia''를 ''Bellamya'' 속의 아속으로 학명에 포함했지만, 더 오래된 시대에 일본의 말조개에도 사용된 ''Idiopoma'' 속 등도 포함하여 아시아의 말조개류 속에는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도 많다.

7. 한국의 논우렁이

라고도 불리는 말조개는 둥근 형태와 껍데기 표면에 여러 줄의 점각상 조각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껍데기 높이는 4.5cm에서 6cm 사이이다. 겉모습만으로는 왕우렁이와 구별이 어려울 수 있지만, 암컷은 체내 태아의 형태, 수컷은 해부를 통해 더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15] 과거에는 논에서 자주 볼 수 있었으나, 농약 사용과 농지 뒤집기 등의 영향으로 20세기 후반부터 급격히 감소하여 2012년에는 위기종 II류로 지정되었다.[17]

8. 인간과의 관계

우렁이는 남미와 남극을 제외한 전 세계 민물에 서식하며, 아시아 지역에서는 특히 벼농사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식용을 주된 목적으로 인간과 관계를 맺어왔다. 다른 담수 동물과 마찬가지로 기생충의 숙주가 될 수 있으므로 식용할 때는 충분히 가열해야 하며, 약재로도 쓰인다.[18]

몇몇 우렁이 종은 식용 외에도 수질 정화나 낚시 미끼 등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다슬기는 수조를 깨끗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잉어 등의 낚시 미끼로 사용될 수 있다.[19] 과거 민간 요법에서는 여행 시 우렁이 살 가루를 복용하면 물갈이를 예방한다고 믿었다.[18]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캄보디아 등 아시아 각국의 논, 용수로, 연못 등에 분포하지만, 종류에 따라 분포 지역은 다소 차이가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쓰보', '다쓰보', '고둥', '다쓰부', 또는 '논의 소라'라는 이름으로 식용된다.

1890년대에 일본인 노동자들이 왕우렁이를 식용으로 북미에 가져갔는데, 천적이 거의 없는 북미 대륙에서 말우렁이와 함께 생태계를 교란하는 것으로 문제시되고 있다.[15] [17] 말우렁이는 북미에서 "Chinese mystery snail"로 불리며, 19세기 말경 일본인이 왕우렁이와 함께 북미에 반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현지 호수의 수초를 대량으로 먹어 생태계를 교란하고 있다. 북미에서는 수환경을 조합한 워터 가드닝(:en:Water garden)이 자주 행해지는데, 홈 센터 등에서 우렁이 종류를 탱크 메이트로 판매하는 경우가 있어 분포 확대를 조장하고 있다고 한다. 북미산 우렁이는 일본산보다 대형이 되는 경향이 있다.

8. 1. 식용

아시아에는 특히 우렁이 종류가 많고, 벼농사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식용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사람과의 관계가 형성되었다. 다른 담수 동물과 마찬가지로 기생충의 숙주가 되므로 식용할 때는 충분히 가열하는 것이 중요하다. 약재로도 많이 쓰인다.[18]

일본에서도 '쓰보', '다쓰보', '고둥', '다쓰부', 또는 '논의 소라'라는 이름으로 우렁이를 식용한다. 그러나 다른 담수 동물과 마찬가지로 기생충의 숙주가 될 수 있으므로 식용 시에는 충분한 가열이 필요하다.

깨끗한 물에 담가 흙을 토하게 한 후 삶아, 대나무 꼬치 등으로 속을 꺼내 그대로 먹거나 된장 조림이나 무침으로 만들어 먹는다. 야마나시현, 나가노현, 기후현 일부 지역에서는 껍질째 된장국(쓰보지루・쓰부지루)으로 끓여 먹으며, 야마나시현에서는 맞선 자리에서 빠질 수 없는 음식으로 여겨졌다. 효고현탄바사사야마시에서는 "탄바의 문어"라고 불리며, 누타무침으로 먹었다.[18] 간흡충(구칭 간장 디스토마)의 중간 숙주로 여겨지는 것은 비교적 관련이 없는 콩우렁이류와 우렁이를 혼동한 속설이지만, 간질 등 다른 기생충의 메타세르카리아 유충이 우발적으로 부착되어 있을 가능성을 부정할 수 없으므로, 먹을 때는 충분히 가열하여 조리해야 한다.

과거 민간요법에서는 여행을 떠날 때 자신의 고향에서 채취한 우렁이의 살을 가루로 만들어 가지고 나가, 여행지에서 복용하면 낯선 물에 탈이 나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중국 등에서는 껍질째 고추 등을 넣어 기름에 볶아 매콤한 맛으로 요리해 먹는 경우가 많다. 광시 좡족 자치구의 향토 요리 "뤄쓰펀"은 우렁이와 쌀국수를 맵게 끓인 면 요리이다. 베트남에서는 Bún ốcvi (우렁이를 고명으로 한 쌀국수)이나 볶음 요리로 먹는다. 태국에서는 호이컴 (หอยขมth) 등으로 불리며 삶아서 그린 칠리 소스에 찍어 먹거나, 이라고 불리는 국물 요리에 넣거나 랍이라고 불리는 샐러드 또는 무침으로도 먹는다.

8. 2. 기타 이용

다슬기를 수조에 넣으면 시간이 걸리지만 거의 깨끗해진다. 다슬기는 이끼 외에도 생물의 배설물, 오니, 식물성 플랑크톤, 다른 생물의 먹다 남은 것 등을 먹어준다.[19] 이 외에도 잉어 등의 낚시 미끼로 사용되기도 한다.

8. 3. 민간 요법

과거 민간 요법에서는 여행을 떠날 때 자신의 고향에서 채취한 우렁이의 살을 가루로 만들어 가지고 나가, 여행지에서 복용하면 낯선 물에 탈이 나지 않는다고 여겨졌다.[18]

8. 4. 우렁이 농법

아시아에서 우렁이는 벼농사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주로 식용을 목적으로 사람과 관계를 맺어왔다. 다른 담수 동물과 마찬가지로 기생충의 숙주가 될 수 있으므로, 우렁이를 식용할 때는 충분히 가열해야 한다. 약재로도 많이 쓰인다. 우렁이는 한국, 일본, 대만, 중국, 캄보디아 등 아시아 각국의 논, 용수로, 연못 등에 분포하지만, 종류에 따라 분포 지역은 다소 차이가 있다.

8. 5. 외래종 문제

'''왕우렁이''' (가나가와현산)


1890년대에 일본인 노동자들이 왕우렁이를 식용으로 북미에 가져갔다. 이 우렁이는 천적이 거의 없는 북미 대륙에서 말우렁이와 함께 생태계를 교란하는 것으로 문제시되고 있다.[15] [17]

말우렁이는 북미에서 "Chinese mystery snail"로 불리며, 19세기 말경 일본인이 왕우렁이와 함께 북미에 반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현지 호수의 수초를 대량으로 먹어 생태계를 교란하고 있다. 북미에서는 수환경을 조합한 워터 가드닝(:en:Water garden)이 자주 행해지는데, 홈 센터 등에서 우렁이 종류를 탱크 메이트로 판매하는 경우가 있어 분포 확대를 조장하고 있다고 한다. 북미산 우렁이는 일본산보다 대형이 되는 경향이 있다.

참조

[1] 간행물 A list of genera of Recent Mollusca, their synonyma and types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in London 1847-11
[2] 논문 Global Diversity of Gastropods (Gastropoda; Mollusca) in Freshwater 2008
[3] 논문 Global Diversification Dynamics Since the Jurassic: Low Dispersal and Habitat-Dependent Evolution Explain Hotspots of Diversity and Shell Disparity in River Snails (Viviparidae) https://doi.org/10.1[...] 2020-02-15
[4] 논문 Proviviparus talbragarensis gen. et sp. nov., the first viviparid snail from the Late Jurassic of Australia https://www.tandfonl[...] 2021-07-03
[5] 논문 Anatomical and genetic data reveal that Rivularia Heude, 1890 belongs to Viviparinae (Gastropoda: Viviparidae) 2017-12-14
[6] 문서 FRESH WATER MOLLUSCAN SPECIES IN INDIA http://zsi.gov.in/zo[...] 2010-07-29
[7] 논문 Systematic revision of the freshwater snail Nevill, 1877 (Mollusca: Viviparidae) endemic to the ancient lakes of Yunnan, China, with description of new taxa
[8] 논문 Fossil Viviparidae (Mollusca: Gastropoda) of the Levant http://www.conchsoc.[...]
[9] 논문 Reassessment of Australia's oldest freshwater snail, Viviparus (?) albascopularis Etheridge, 1902 (Mollusca : Gastropoda : Viviparidae), from the Lower Cretaceous (Aptian, Wallumbilla Formation) of White Cliffs, New South Wales
[10] 웹사이트 River Snail (Notopala sublineata) http://www.environme[...]
[11] 논문 A new species of Trochotaia (Caenogastropoda: Viviparidae) from Yunnan, China http://www.mapress.c[...] 2011
[12] 간행물 Descriptions of a new genus and two new species of viviparid snails (Mollusca: Gastropoda: Viviparidae) from the Early Cretaceous (middle-late Albian) Griman Creek Formation of Lightning Ridge, northern New South Wales http://www.samuseum.[...] 2002
[13] 서적 Freshwater Snails of Africa and their Medical Importance Taylor & Francis 1994
[14] 논문 Longevity in molluscs
[15] 웹사이트 環境省_環境省レッドリスト2020の公表について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 マルタニシ http://jpnrdb.com/se[...]
[17]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 オオタニシ http://jpnrdb.com/se[...]
[18] 서적 子どもたちへ伝えたいささやまの郷土料理 篠山市いずみ会・篠山市 2014-12-01
[19] 웹사이트 お魚図鑑 ヒメタニシ https://t-aquagarden[...] 東京アクアガーデン 2024-06-23
[20] 간행물 A list of genera of Recent Mollusca, their synonyma and types Proceedings of the Zoological Society in London 1847-11
[21] 논문 Global Diversity of Gastropods (Gastropoda; Mollusca) in Freshwater http://hdl.handle.ne[...]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