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아리 부메디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아리 부메디엔은 알제리의 정치인이자 군인으로, 1965년부터 1978년까지 알제리의 지도자로 활동했다. 그는 알제리 독립 전쟁에 참여하여 군 지휘관으로 활약했으며, 1962년 알제리 독립 이후 아흐메드 벤 벨라 정부에서 국방장관과 부통령을 역임했다. 1965년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장악한 후, 사회주의 노선을 추구하며 산업화와 아랍화를 추진했다. 외교적으로는 비동맹 운동을 주도하고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1978년 사망했으며, 그의 사망 이후 알제리에는 권력 공백이 발생했다.

2. 초기 생애와 독립 전쟁

'''무함마드 이브라힘 부카루바'''(محمد إبراهيم بوخروبة)는 겔마 주 헬리폴리스 근방에서 태어나 콘스탄틴의 이슬람 기관에서 교육을 받았다. 1955년 알제리 독립 전쟁에 참전하여 알제리 국민해방전선에 가입하면서 가명으로 우아리 부메디엔(هواري بومدين)이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대령 계급까지 올랐다. 1960년부터는 알제리 민족 해방군(ALN)의 참모총장을 역임했다.

우아리 부메디엔이 태어난 집 (겔마 주)

2. 1. 초기 생애

부메디엔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그의 출생지는 겔마 주의 겔마, 겔마 근처 클로젤 마을 또는 엘리오폴리스로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으며, 출생일 또한 1925년 8월 16일, 1927년 8월 23일 또는 대부분의 자료에서 1932년으로 기록되어 있다.[2] 그의 아버지는 1965년 인터뷰에서 그의 생일이 1932년 8월 23일이라고 말했다.[3] 출생 이름은 모하메드 벤 브라힘 부케루바(Mohammed ben Brahim Boukherouba)였으며, 그의 아버지는 무일푼 밀 농부이자 프랑스어를 하지 못하는 엄격한 무슬림이었다.[4][5] 이슬람 백과사전에 따르면, 그의 가족은 아랍어를 사용하며 베르베르계통이다.[6] 14세까지 겔마의 코란 학교에서, 그 후 콩스탕틴의 아랍어 고등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3]

1952년 프랑스가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싸우도록 알제리인들을 모병했을 때, 부메디엔은 카이로로 가서 알 아즈하르 대학교에서 공부했다. 바로 그곳에서 아흐메드 벤 벨라를 처음 만났다.[3]

2. 2. 알제리 독립 전쟁

1955년 알제리 독립 전쟁 와중에 알제리 국민해방전선(FLN)에 가입하면서, 서알제리에 있는 틀렘센 시의 수호성인인 시디 부메디엔과 근처 오랑의 수호성인 시디 엘 우아리에서 영감을 얻어 가명으로 우아리 부메디엔(هواري بومدين)이라는 이름을 썼다.[2] 그는 알제리 군사조직에서 가장 높은 계급인 대령에 올랐고,[2] 1960년부터 FLN의 군부대인 ALN의 참모총장을 역임했다. 그는 아니사 알 만살리(Anissa al-Mansali)와 결혼했다.

알제리 독립 전쟁 당시 부메디엔

3. 독립 이후

다른 정치인들과 함께 서 있는 우아리 부메디엔, 1965년


1962년 알제리 독립 이후, 부메디엔은 아흐메드 벤 벨라와 함께 임시 정부를 축출하고 권력을 장악했다. 그는 벤 벨라 대통령에 의해 국방장관에 임명되었고, 1963년 9월에는 알제리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7] 그러나 벤 벨라의 통치 방식에 불만을 품은 부메디엔은 1965년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초기에는 군부 외에 뚜렷한 권력 기반이 없어 약한 지도자로 평가받았으나, 1967년 쿠데타 시도를 진압한 후 1978년 사망할 때까지 알제리를 통치했다.[8]

3. 1. 벤 벨라 정권 축출

1962년 아흐메드 벤 벨라와 부메디엔


1962년, 국민투표 이후 알제리는 독립을 선포하였고, 프랑스 정부는 이를 승인했다. 부메디엔과 아흐메드 벤 벨라는 1962년 임시 정부의 벤유세프 벤케다를 ALN의 지원을 받아 축출했다. 부메디엔은 정부 내 강력한 군부 세력을 이끌었고, 알제리 대통령 아흐메드 벤 벨라는 자신의 권력 장악을 도왔던 참모총장인 부메디엔을 국방장관으로 임명했다. 1963년 9월, 부메디엔은 알제리 부통령으로도 임명되었다.[7] 그는 벤 벨라의 불안정한 통치 스타일과 이념적 순수주의에 대해 점점 불신하게 되었고, 1965년 6월 무혈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했다.

3. 2. 권력 장악과 통치

1965년 6월, 부메디엔은 벤 벨라의 불안정한 통치 스타일과 이념적 순수주의에 대한 불신이 커져 무혈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했다.[7]

부메디엔은 국가의 헌법과 정치 제도를 폐지하고, 주로 군부 지지자들로 구성된 혁명평의회를 통해 통치했다. 혁명평의회 구성원 대다수는 그가 모로코 국경 도시 우즈다에 주둔했을 때부터 함께 한 전쟁 동지들이었으며, 이 때문에 분석가들은 이들을 "우즈다 그룹"이라고 불렀다. 우즈다 그룹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한 명은 부메디엔 정부에서 오랫동안 외무장관을 역임한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였으며, 그는 1999년부터 2019년까지 알제리 대통령을 역임했다.

부메디엔은 초기에는 군대 내부를 제외하고는 뚜렷한 권력 기반이 없어 취약한 지도자로 여겨졌고, 그가 장교단을 어느 정도 통솔하는지도 불분명했다. 그러나 1967년 쿠데타 시도 이후 정부 내부에서 뚜렷한 도전 세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1978년 사망할 때까지 알제리의 확고한 지도자로 남았다. 쿠데타 이후 그는 집단 지배 체제를 표방했다.[8]

4. 국내 정책

1972년 부메디엔 통치 하의 알제리에 관한 뉴스릴


1972년 쿠바 공산당 지도자 피델 카스트로와 함께한 부메디엔


부메디엔은 경제, 사회,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개혁을 추진했다.

그는 아랍 사회주의를 국가 이데올로기로, 이슬람을 국교로 선포하고,[9] 아랍화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벤 벨라보다 알제리 아랍화에 더 적극적이었으며, 1970년부터 1977년 사이에 1971년을 아랍화의 해로 선포했다.[10]

1970년대에는 국가 산업 확장과 석유 국유화와 더불어 일련의 사회주의 혁명을 선포하고, 억압받던 알제리 공산당(PAGS) 잔당과 화해하여 그들을 정부에 편입시켰다. 그러나 FLN 하의 일당 국가 체제는 유지되었다.

1970년대에는 헌법 통치를 점차 부활시키고 민간 정치 기관을 복원 및 재편했다. FLN 내 활동을 활성화하고, 지방 의회부터 국가 의회까지 의회 선거를 통해 국가 기관을 체계적으로 재건했다. 이러한 과정은 1976년 헌법 채택으로 절정에 달했으며, 대통령직을 재도입하여 부메디엔이 단독 후보로 출마, 국민투표를 통해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그러나 부메디엔 시대에도 군부는 여전히 정치에서 지배적인 세력이었으며, 군사적 영향력은 FLN, 의회, 정부와 같은 민간 기관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었다. 군부와 정치 세력 간의 경쟁은 계속되었지만, 부메디엔의 강력한 개인적 지배력으로 인해 정부가 불안정해지는 것은 막을 수 있었다.

4. 1. 경제 정책

부메디엔은 벤 벨라가 중점을 두었던 농촌 지역 중심의 사회주의적 협동조합 기업(''오토제스티옹'')에서 벗어나, 국가 주도의 산업화를 위한 더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당시 알제리는 고급 생산 시설이 거의 없었지만, 1971년 부메디엔은 알제리 석유 산업을 국유화하여 정부 수입을 크게 증가시켰다(프랑스 정부의 강력한 항의를 불러일으켰다).[9] 그는 급증하는 석유 및 가스 자원을 활용하여 중공업을 육성하고, 알제리를 마그레브 지역의 산업 중심지로 만들고자 했다. 그의 집권 기간은 믿을 수 있고 지속적인 경제 성장으로 특징지어졌지만, 1980년대 그의 사후 석유 가격 하락과 국가 운영 산업의 비효율성으로 인해 점진적인 경제 자유화 정책이 추진되었다.[9]

부메디엔 정권은 농업을 소홀히 한 산업 개발을 우선시했다.[11] 알제리는 그의 정부 하에서 상당한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경험했다. 1962년에서 1982년 사이에 알제리 인구는 1,000만 명에서 2,000만 명으로 증가했고, 독립 전 대부분 농촌 지역이었던 알제리는 인구의 45%가 도시화되었다. 1962년 2000프랑을 넘지 않았던 1인당 연간 소득은 20년 후 11000프랑을 초과했으며, 등록률은 지역에 따라 75~95%로 다양하여 프랑스령 알제리의 10%와는 거리가 멀다.[11]

4. 2. 사회 정책

부메디엔은 아랍 사회주의를 국가 이데올로기로, 이슬람을 국교로 선포했다.[9] 그는 아랍화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벤 벨라보다 알제리 아랍화에 더 적극적이었다. 특히 1970년에서 1977년 사이에 1971년을 아랍화의 해로 선포했다.[10]

1970년대, 국가 산업 확장과 석유 국유화와 함께 부메디엔은 일련의 사회주의 혁명을 선포하고 그의 행정부의 좌파적 측면을 강화했다. 이로 인해 억압받던 알제리 공산당(PAGS) 잔당과 화해하고, 그들을 정부에 편입시켰다. 그러나 당은 공식적으로 합법화되지 않았고, 알제리는 FLN 하의 일당 국가로 남아 있었다.

그의 정부 하에서 알제리는 상당한 경제적, 사회적 발전을 경험했지만, 부메디엔 정권은 농업을 소홀히 한 산업 개발을 우선시했다.[11]

4. 3. 정치 개혁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부메디엔은 점진적으로 헌법 통치를 부활시키고 민간 정치 기관을 복원 및 재편하는 정치 개혁을 추진했다.[9] FLN 내 활동을 부활시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지방 의회부터 시작하여 지역 의회를 거쳐 국가 수준까지 의회 선거를 통해 국가 기관을 체계적으로 재건했다.[9]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1976년 헌법 채택으로 절정에 달했다.[9] 이 헌법은 알제리의 정치 구조를 명시했으며, 정부가 지지하는 제안의 장점에 대한 비교적 개방적인 논쟁 기간을 거쳐 국민투표에서 채택되었다.[9] 헌법은 대통령직을 재도입했고, FLN의 지도자였던 부메디엔은 단독 후보로 출마하여 국민투표를 통해 대통령으로 취임했다.[9]

그러나 부메디엔 시대에도 군부는 여전히 정치에서 지배적인 세력이었으며, 군사적 영향력은 FLN, 의회, 정부와 같은 민간 기관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었다.[9] 군부와 정치 세력 간의 경쟁은 계속되었지만, 부메디엔의 강력한 개인적 지배력으로 인해 정부가 불안정해지는 것은 막을 수 있었다.[9]

5. 외교 정책

부메디엔은 비동맹 운동을 중심으로 한 외교 정책을 펼치며, 사회주의 국가와 자본주의 국가 양측 모두와 관계를 유지하면서 제3세계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했다.[12]

알제리는 대부분의 무기를 소련에서 구입했다.

1975년 서사하라의 자결을 지지한 것은 중요한 지역적 사건이었다.[12] 모로코모리타니가 서사하라 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주장한 후, 알제리는 사하라위 난민과 폴리사리오 전선이라는 국가 해방 운동을 알제리 영토로 받아들였다. 이로 인해 1963년 모래 전쟁 이후 이미 악화된 모로코와의 관계 개선 가능성이 사라졌다. 비록 부메디엔 집권 초기에는 관계가 다소 개선되었지만, 고조된 모로코-알제리의 경쟁 관계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서사하라 문제는 그 이후로 알제리 외교 정책의 중요한 특징이 되었고 오늘날까지도 그러하다.

5. 1. 비동맹 운동 주도

부메디엔은 비동맹 운동을 통해 강력한 제3세계 블록을 구축하려고 노력했으며, 이 운동에서 중요한 인물이 되었다. 그는 유엔에서 서구 국가와 옛 식민지 국가의 평등한 지위를 기반으로 하는 통합을 촉구하고, 정치 및 무역 관계의 사회주의적 변화를 통해 이를 달성하고자 했다. 그는 무조건적으로 자유 투사, 정의와 평등 추구자들을 지지했다.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아프리카 민족회의(ANC), 스와포(SWAPO) 등 아프리카와 아랍 세계 전역의 반식민 운동 및 기타 무장 단체에 물류 지원을 제공했다.[12]

5. 2. 반 이스라엘, 친 팔레스타인 정책

부메디엔은 비동맹 운동을 통해 강력한 제3세계 블록을 구축하고자 노력했으며, 이 과정에서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를 비롯한 여러 무장 단체에 물류 지원을 제공했다.[12] 알제리는 이스라엘에 대한 강력한 반대 입장을 유지하며 팔레스타인의 주장을 강력하게 지지했다.[12] 그는 "우리는 팔레스타인인들이 억압받는 자이든 억압하는 자이든 그들과 함께한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기도 했다.

1967년 6일 전쟁 당시 알제리는 아랍 연합군에 공군을 지원했고, 1973년 욤 키푸르 전쟁에는 기갑 여단과 전투기를 파병했다. 또한 소련에 2억달러를 예치하여 이집트와 시리아의 무기 구매를 지원했다.[13] 6일 전쟁에서 미국이 이스라엘을 지원한 것에 대응하여 알제리는 미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고, 욤 키푸르 전쟁 이후 1973년 석유 금수 조치에 참여했다.[14] 이집트가 이스라엘과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자, 알제리는 다른 아랍 국가들과 함께 안와르 사다트 이집트 대통령을 규탄하고 1977년 이집트와 단교했다.[15]

5. 3. 기타 외교 관계

부메디엔은 비동맹 정책을 추구하며 공산권과 자본주의 국가 모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제3세계 협력을 증진시켰다. 그는 유엔에서 서구 국가와 옛 식민지 국가가 평등한 지위를 기반으로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정치 및 무역 관계에서 사회주의적 변화를 통해 이를 달성하고자 했다.[12] 그는 비동맹 운동을 통해 강력한 제3세계 블록을 구축하려고 노력했으며, 이 운동에서 중요한 인물이 되었다.[12] 그는 자유, 정의, 평등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했다.[12] 그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아프리카 민족회의(ANC), 스와포(SWAPO) 등 아프리카와 아랍 세계 전역의 반식민 운동 및 기타 무장 단체에 물류 지원을 제공했다.[12]

알제리는 이스라엘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하며 팔레스타인의 주장을 지지했다. 1970년대 초 부메디엔은 "우리는 팔레스타인인들이 억압받는 자이든 억압하는 자이든 그들과 함께한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12] 알제리는 1967년 6일 전쟁에서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아랍 연합에 공군을 지원했고, 1973년 욤 키푸르 전쟁에는 150대의 전차로 구성된 기갑 여단을 파병했으며 알제리 전투기는 이집트와 이라크 전투기와 함께 공격에 참가했다.[13] 또한 이집트와 시리아의 무기 구매 자금을 위해 소련에 2억달러를 예치했다.[13] 6일 전쟁에서 미국이 이스라엘을 지원하자 알제리는 미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했다.[14] 욤 키푸르 전쟁에서 미국이 이스라엘을 지원한 후 1973년 석유 금수 조치에 참여했다.[14] 이집트가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에 나서자 알제리는 다른 아랍 국가들과 함께 안와르 사다트를 규탄하고 1977년 이집트와의 관계를 단절했다.[15]

알제리는 대부분의 무기를 소련에서 구입했다.

1975년 서사하라의 자결을 지지한 것은 중요한 지역적 사건이었다.[12] 모로코모리타니가 서사하라 영토에 대한 통제권을 주장한 후, 알제리는 사하라위 난민과 폴리사리오 전선이라는 국가 해방 운동을 알제리 영토로 받아들였다. 이로 인해 1963년 모래 전쟁 이후 이미 악화된 모로코와의 관계 개선 가능성이 사라졌다. 비록 부메디엔 집권 초기에는 관계가 다소 개선되었지만, 고조된 모로코-알제리의 경쟁 관계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서사하라 문제는 그 이후로 알제리 외교 정책의 중요한 특징이 되었고 오늘날까지도 그러하다.

6. 사망과 장례

1978년, 그는 공개 활동이 점점 드물어졌다. 39일간의 혼수상태 끝에 알제에서 희귀 혈액 질환인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으로 사망했으며, 모스크바에서의 치료는 실패했다. 알제리 정계에서는 그가 암살당하거나 독살당했다는 소문이 종종 제기되었다.[16] 부메디엔의 사망으로 알제리에는 쉽게 메울 수 없는 권력 공백이 생겼다. 일련의 군사 회의 끝에 최고위급 군 장교인 샤들리 벤제디드 대령을 타협안으로 지명하기로 결정했다.[16]

1978년 12월 29일, 알제에서 부메디엔의 국장이 거행되었다. 200만 명의 조문객들이 참석했다.[17] 알제리 정부는 그의 사회주의 혁명을 계속할 것을 약속하고 90일간의 공식적인 애도 기간을 선포했다. 캠프 데이비드 협정에 대한 의견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집트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은 부메디엔에게 경의를 표하며 조문단을 파견했다.[1]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지도자 야세르 아라파트는 그의 파타(Fatah) 게릴라 조직의 2인자였던 살라 칼라프(아부 이야드)와 함께 장례식에 참석했다.[18] 미국 지미 카터 대통령은 "부메디엔이 알제리의 오랜 독립 투쟁에서 뛰어난 역할을 했다"라며 깊은 유감을 표했다.[1] 무하마드 알리를 포함한 대규모 미국 대표단이 참석했다.[18] 소련 언론은 부메디엔을 "소련의 위대한 친구"라고 칭찬하며 "알제리의 사회적, 경제적 진보에 큰 공헌을 했다"고 평가했다.[1]

7.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76년 알제리 대통령 선거알제리 대통령2대국민해방전선99.46%7,976,568표1위


8. 수상 및 영예


  • 알제리 국가 공훈 훈장
    국가 공훈 훈장
  • 호세 마르티 훈장
    호세 마르티 훈장 (1974)[19]
  • 위쌈 알아위트 훈장 대십자훈장
    위쌈 알아위트 훈장 대십자훈장[20]

참조

[1] 뉴스 Algerians Mourn Death of Boumediene https://www.washingt[...] 2023-03-28
[2] 서적 Encyclopedia of the Developing World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3-10-18
[3] 뉴스 Houari Boumediene: Ideologue and Pragmatist https://www.washingt[...] 1978-12-28
[4] 서적 A Savage War of Peace: Algeria 1954–1962 https://books.google[...] Pan Macmillan 2012-08-09
[5] 서적 Algeria: Anger of the Dispossessed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6] 백과사전 Boumedienne, Houari https://referencewor[...] Brill Publishers 2013-06
[7] 서적 Algeria: The Politics of a Socialist Revolutio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0-12-15
[8] 학술지 Independent Algeria from Ben Bella to Boumédienne: I. The Counter-Revolution and Its Consequences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9] 서적 Interpreting Islamic Political Part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9-09-28
[10] 서적 Multiculturalism and Democracy in North Africa: Aftermath of the Arab Spr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4-16
[11] 서적 L'Algérie 2000
[12] 뉴스 What is behind Algeria and Palestine's footballing love affair? https://www.aljazeer[...] 2021-12-20
[13] 서적 The crossing of the Suez https://www.worldcat[...] American Mideast Research 2003
[14] 서적 Transportation of Liquefied Natural Gas https://books.google[...] Congress, Office of Technology Assessment 1977
[15] 뉴스 Hard-Line Arab Bloc Is Formed at Tripoli https://www.nytimes.[...] 1977-12-06
[16] 잡지 New Leader http://www.time.com/[...] 1979-02-12
[17] 웹사이트 ALGERIA: ABOUT ONE MILLION MOURNERS DISRUPT FUNERAL OF LATE PRESIDENT HOUARI BOUMEDIENNE. https://www.britishp[...]
[18] 뉴스 Algerians Mourn at Boumediene's Bier https://www.nytimes.[...] 1978-12-29
[19] 서적 Cuba, 1953-1978: A Bibliographic Guide to the Literature Kraus International Publications 1986
[20] 뉴스 لمَّا اعترف "هواري بومدين" بفضل المغرب في انتصار الجزائر على الاستعمار https://assafir24.ma[...] 2020
[21] 웹사이트 Houari Boumediène biography http://www.elmouradi[...]
[22] 웹사이트 Boumedienne, Houari (also spelled Boumédiène) http://www.rulers.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