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공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자력공학은 핵분열 발견 이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과 방사선의 산업적 이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1938년 핵분열 발견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핵무기 개발과 함께 원자력 발전소 건설, 방사성 폐기물 관리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다. 주요 연구 분야는 원자로 물리, 열수력, 안전, 계측 제어, 환경공학, 재료공학, 방사선 계측, 중성자 산란, 양자빔 공학, 원자력에너지 정책, 핵융합로 공학 등이 있다. 원자력공학 관련 교육은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울산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 서울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분야별 공학 - 경영공학
경영공학은 과학적 관리법에서 시작하여 공장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발전해왔으며, 현재는 인간공학, 생산공학, 시스템 공학, 경영학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학문이다. - 분야별 공학 - 방법공학
방법공학은 생산 과정에서 작업자의 효율적인 작업 방법을 설계하여 비용 절감, 신뢰성 및 생산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분야이다. - 핵기술 - 원자로
원자로는 제어된 핵분열을 통해 열에너지를 생산하여 전기 생산, 추진 동력원, 연구 등에 활용되며, 핵분열 연쇄 반응을 제어봉과 감속재로 조절하고, 원자력 안전과 미래 기술 개발이 중요한 과제이다. - 핵기술 - 핵무기 설계
핵무기 설계는 핵분열 및 핵융합 반응을 이용하여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핵무기를 설계하는 복잡한 과정으로, 핵분열성 물질의 임계 질량을 초임계 질량으로 신속하게 조립하는 다양한 방식과 고급 기술이 적용되며, 효율성 증대 및 안전성 확보, 방사능 낙진 최소화 등의 기술적·공학적 도전 과제들이 존재한다.
원자력공학 | |
---|---|
개요 | |
학문 분야 | 응용과학 |
영어 명칭 | Nuclear Engineering |
관련 학회 | 미국 원자력 학회 |
상세 정보 | |
정의 | 핵반응을 제어하고 이용하는 기술을 다루는 공학 분야 |
주요 응용 분야 | 핵분열 및 핵융합 에너지 개발 방사성 동위 원소 생산 및 응용 방사선 이용 기술 개발 |
핵분열 에너지 | 핵분열 반응을 이용, 원자력 발전소에서 전기 에너지 생산 |
핵융합 에너지 | 핵융합 반응을 이용, 미래 에너지원으로 연구 중 |
원자력 발전 | 원자력을 이용한 발전 기술 |
방사성 폐기물 관리 |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 안전 관리 및 처리 기술 |
방사선 이용 | 의료 분야: 암 치료 및 진단 산업 분야: 비파괴 검사, 계측, 살균 등 |
학문적 중요성 | 에너지 문제 해결 환경 보호 의학 발전 산업 발전 기여 |
참고 |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원자력학회에서 관련 학문 연구를 주도 |
2. 역사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추진과 함께, 그동안의 전기공학, 기계공학, 재료공학, 화학공학 등을 기반으로 원자력공학이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최근에는 원자력 산업 이용 정체에 따라 지원하는 학생이 감소하여 도쿄 대학은 "시스템 퀀텀공학과", 교토 대학은 "물리공학과", 도카이 대학은 "에너지공학과"[62] 등과 같이 개편 또는 개칭되었지만, 도쿄 도시 대학은 "원자력 안전공학과"를 신설했다.[63]
2. 1. 세계 원자력 공학의 역사
원자력공학은 1938년 핵분열의 발견과 함께 시작되었다.[7] 최초의 ''인공'' 핵반응로는 CP-1이며, 나치 독일이 핵분열을 기반으로 한 폭탄을 만들려는 시도를 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한 물리학자 팀에 의해 설계되었다.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핵반응로는 17억 년 전 아프리카 가봉의 오클로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했다. 두 번째 인공 핵반응로인 X-10 흑연 반응로 역시 맨해튼 계획의 일부였으며, 플루토늄 생산 반응로인 핸퍼드 공학 단지도 마찬가지였다. 최초의 핵폭탄은 가젯(Gadget)[8]이라는 암호명으로 불렸으며, 트리니티 핵실험에 사용되었다.[9] 이 무기의 위력은 약 20킬로톤의 TNT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최초로 전기를 생산한 핵반응로는 1951년 아이다호주 아르코 인근에서 가동된 실험용 증식로 I (EBR-I)이었다.[10] EBR-I은 전력망에 연결되지 않은 독립 시설이었지만, 이후 BORAX 실험 시리즈의 아이다호 연구용 원자로는 1955년에 아르코 마을에 잠시 전력을 공급했다.
전력망에 연결되어 상업적으로 사용된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는 1954년에 가동을 시작한 옵닌스크 원자력 발전소이다. 두 번째는 1957년에 전기를 생산한 쉬핑포트 원자력 발전소로 보인다.
우라늄 발견에서 현재까지의 간략한 연표는 [https://world-nuclear.org/information-library/current-and-future-generation/outline-history-of-nuclear-energy.aspx 핵에너지의 개요] 또는 원자력 발전의 역사를 참조하면 된다.
원자력 발전소의 종합 목록은 상업용 원자로 목록에서, 전 세계 및 국가별 원자력 발전 통계는 [https://pris.iaea.org/PRIS/WorldStatistics/OperationalReactorsByCountry.aspx IAEA 원자로 정보 시스템 (PRI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추진과 함께, 그동안의 전기공학, 기계공학, 재료공학, 화학공학 등을 기반으로 원자력공학이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1950년대 후반에 시카고 대학교의 아르곤 국립 연구소 유학에서 귀국한 토리카이 킨이치 등 연구자에 의해, 1956년(쇼와 31년)에 이바라키현도카이 촌의 일본원자력연구소에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연구와 원자로의 제조가 시작되었다.
1959년에는 일본에서의 원자력공학 분야의 연구 성과 발표의 장으로서 최대 규모인 일본원자력학회가 설립되었다.
2. 2. 한국 원자력 공학의 역사
1950년대 후반 시카고 대학교 아르곤 국립 연구소 유학에서 귀국한 토리카이 킨이치 등 연구자에 의해, 1956년(쇼와 31년) 이바라키현 도카이 촌의 일본원자력연구소에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연구와 원자로 제조가 시작되었다.[62]1959년에는 일본에서의 원자력공학 분야 연구 성과 발표의 장으로서 최대 규모인 일본원자력학회가 설립되었다.
최근에는 원자력 산업 이용 정체에 따라 지원하는 학생이 감소하여 도쿄 대학은 "시스템 퀀텀공학과", 교토 대학은 "물리공학과", 도카이 대학은 "에너지공학과"[62] 등으로 개편 또는 개칭되었지만, 도쿄 도시 대학은 "원자력 안전공학과"를 신설했다.[63]
3. 주요 연구 분야
원자력 공학은 다양한 세부 연구 분야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학문이다. 원자력 공학자들은 원자로 설계, 열수력학 및 열전달, 핵연료 주기 관리, 원자력 추진, 플라스마 물리학, 핵무기 개발 및 관리, 방사성 핵종 생산, 방사성 폐기물 관리, 방사선 보건 물리학, 핵의학 및 의학 물리학, 환경, 보건 및 안전, 계측 및 제어 공학, 공정 공학, 프로젝트 관리, 품질 공학, 원자로 운영, 원자력 안보, 범죄 수사 및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11][12][13]
원자로는 1950년대와 1960년대의 제1세대, 개념 증명 원자로에서[14] 제2세대 원자로, 제3세대 원자로, 제4세대 원자로 개념으로 발전해 왔다. 일반적인 원자력 발전소에서 열은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는 증기 터빈과 발전을 구동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핵연료 주기는 핵분열성 물질의 획득, 핵연료로의 성형, 사용후 핵연료의 제거, 안전한 방사성 폐기물 저장 또는 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다. 원자력 추진은 주로 군사용 해군 선박에 사용되지만, 항공기 및 미사일에 대한 개념도 존재해 왔으며, 우주에서의 원자력은 1960년대부터 우주에서 사용되어 왔다. 플라즈마 물리학은 핵융합 발전 개발에 필수적이다.
원자력공학은 원자력 에너지의 산업적 이용과 방사선의 산업적 이용을 다룬다. 전자는 주로 핵연료 및 원자로의 설계·제조 기술과 안전 평가 기술을, 후자는 주로 산업 기술, 검사 기술 및 의료 기술을 포함한다.
연구 대상이 광범위하고, 다른 다양한 공학 분야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학문 체계는 폭넓고 얕은 경향을 보인다.
많은 화학 공학, 전기 공학, 기계 공학 및 다른 유형의 엔지니어들도 과학자 및 지원 인력과 함께 원자력 산업에서 일한다. 미국에서는 약 10만 명이 원자력 산업에서 직접적으로 일하고 있으며, 2차 산업 일자리를 포함하면 미국의 원자력 산업에 의해 지원되는 사람들의 수는 47만 5천 명이다.[19]
3. 1. 원자로 물리 및 입자수송전산
핵반응과 중성자 수송이론을 기초로 하여 원자로 내의 중성자와 핵반응 산물의 공간-에너지-시간(Space-Energy-Time) 분포 해석과 계측, 원자로 동특성에 관한 교육과 연구를 하며 원자로 핵설계, 노심관리 및 방사선 수송과 차폐의 해석을 위한 방법을 개발, 전산코드화 하고 검증한다.[66] 또한 방사선입자의 나노스케일 시스템에서의 수송현상 시뮬레이션 등도 포함한다.[66]
3. 2. 원자력 열수력 및 안전
원자력 열수력학(Nuclear Thermal-Hydraulics)과 원자로 안전(Nuclear Reactor Safety)에 관한 교육과 관련 기초열수력 실험, 열수력 실증시험 연구, 노심열설계(Core Thermal Design) 및 안전성 분석(Safety Analysis)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의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 등을 포함한다.[67]3. 3. 원자력 계측 제어 및 정보공학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및 최적 운전을 위한 교육과 연구로서, 원자력 발전소와 관련된 공정 계측 및 제어를 주로 다룬다.[68] 또한, 안전 관련 소프트웨어 확인 검증 문제, 디지털 시스템 신뢰도 평가 방법, 인간 기계 연계 시스템의 설계 해석 및 안전 운전을 위한 Simulation에 관한 Computer Program의 연구 개발 등도 포함된다.3. 4. 원자력 환경공학 및 방사성 폐기물 관리
핵연료주기, 방사성산물 관리 및 처분, 처분장 안전성 평가,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 및 중간저장, 냉각재 화학, 동위원소 분리 등 핵화학공학 및 방사선 관리와 보건 물리에 관한 교육과 연구 개발이 포함된다.[69]3. 5. 원자력 재료 및 금속공학
원자력 분야에 이용되는 제반 재료의 내구성과 수명에 관련된 기초 및 응용에 관한 교육과 연구를 한다.[70] 핵연료 및 원자력발전소 구성 요소의 제조, 가공, 시험 평가와 신뢰도 향상에 대한 연구를 하며 핵분열과 핵융합 반응을 효율적으로 유도하고 이용하기 위한 재료적인 연구와 함께 타 분야에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한다.3. 6. 방사선 계측 및 의료영상
엑스선, 감마선 등 전리 방사선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방사선 방호 및 선량측정, 비파괴검사 및 보안검사, 의료진단 등에의 활용을 목표로 방사선 거동 전산 모사법, 센서 신재료, 방사선 영상 계측기 설계, 신호처리 전자회로 및 영상처리 알고리즘 등을 연구한다.[71]3. 7. 중성자 산란 및 나노스케일 물질
중성자 산란은 나노스케일 물질의 구조 및 동역학을 원자 및 나노 단위에서 측정할 수 있는 독보적인 측정 능력을 제공한다.[72] 이를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 및 나노입자의 자기조립 초구조체, 분자 자기조립 현상, 바이오계면과 단백질의 상호작용 등 나노/바이오 소재 기본 특성과 응용을 연구한다.3. 8. 양자빔 공학
입자빔과 광자빔 발생 및 이용에 대한 교육 및 연구를 하며, 전자빔 및 양성자 빔과 같은 하전입자빔 발생장치, 입자가속기, 입자빔을 이용한 고휘도 X-선, 감마선, THz 등 광원 개발, 양자빔을 나노기술, 재료, 환경, 생화학, 의료 등에 이용하는 연구 등을 다룬다.[73]3. 9. 원자력에너지 정책
각종 에너지 및 에너지 계통의 기술 분석과 경제 및 환경적 측면을 포함한 종합적 에너지 기술 분야로서, 각종 에너지 계통(Energy System)과 에너지 전환(Energy Conversion), 핵분열 에너지(Fission Energy), 핵융합 에너지(Fusion Energy) 및 태양열 에너지(Solar Energy) 등 대체 에너지와 에너지 정책(Energy Policy) 등을 다룬다.[74]3. 10. 핵융합로 공학
미래의 궁극적 에너지원으로 예측되는 핵융합로에 관련된 기초이론, 공학적 문제 등을 종합적으로 다룬다. 핵융합 반응, 핵융합로 내의 플라즈마 및 에너지 균형, 핵융합로 시스템 연구, 방사선의 영향, 에너지 추출과 동력주기에 관한 연구 등 핵융합로 개발에 관련된 중요 공학적 문제에 대한 연구 및 교육이 포함된다.[75]4. 세부 분야
원자력 공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동한다:[11][12][13]
- 원자로 설계: 1950년대와 1960년대의 제1세대, 개념 증명 원자로에서[14] 제2세대 원자로, 제3세대 원자로, 제4세대 원자로 개념으로 발전해 왔다.
- 열수력학 및 열전달: 일반적인 원자력 발전소에서 열은 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증기는 증기 터빈과 발전을 구동하여 전기를 생산한다.
- 원자력 발전에 관련된 재료 과학.
- 핵연료 주기 관리: 핵분열성 물질의 획득, 핵연료로의 성형, 사용후 핵연료의 제거, 안전한 방사성 폐기물 저장 또는 핵연료 재처리를 포함한다.
- 원자력 추진: 주로 군사용 해군 선박에 사용되지만, 항공기 및 미사일에 대한 개념도 존재해 왔다. 우주에서의 원자력은 1960년대부터 우주에서 사용되어 왔다.
- 플라즈마 물리학: 핵융합 발전 개발에 필수적이다.
- 핵무기 개발 및 관리
- 방사성 핵종의 생산: 산업, 의학 및 다른 많은 분야에 적용된다.
- 방사성 폐기물 관리
- 방사선 보건 물리학
- 핵의학 및 의학 물리학
- 보건 및 안전
- 계측 및 제어 공학
- 공정 공학
- 프로젝트 관리
- 품질 공학
- 원자로 운영[15]
- 원자력 안보 (은밀한 핵 물질 탐지)[16]
- 원자력 공학은 범죄 수사[17] 및 농업에도 역할을 한다.[18]
많은 화학 공학, 전기 공학, 기계 공학 및 다른 유형의 엔지니어들도 과학자 및 지원 인력과 함께 원자력 산업에서 일한다. 미국에서는 약 10만 명이 원자력 산업에서 직접적으로 일하고 있다. 2차 산업 일자리를 포함하면, 미국의 원자력 산업에 의해 지원되는 사람들의 수는 47만 5천 명이다.[19]
5. 원자력 공학과가 있는 대학
원자력 공학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원자력 공학자에 대한 수요는 원자력 기술을 활발하게 사용하거나 탐구하는 국가에서 높게 나타난다. 원자력 공학자의 고용 현황은 다음과 같다.[20]
- 전력 생산: 25%
- 연방 정부: 18%
- 과학 연구 및 개발: 15%
- 엔지니어링 서비스: 5%
- 제조: 10%
- 기타 분야: 27%
원자력 공학 교육 및 훈련은 여러 국가와 기관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국가별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지역/국가 | 원자력 능력 | 학교 및 훈련 |
---|---|---|
알제리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아르헨티나 | 아르헨티나의 원자력 발전 | [https://www.unraf.edu.ar] |
아르메니아 | 아르메니아의 원자력 발전 | 국제 원자력 기구 기술 통신 프로그램.[24] |
호주 | 호주의 우라늄 | UNSW 원자력 공학.[26] |
오스트리아 | Nuclear Engineering Seibersdorf GmbH (NES) 운영.[21][22] | |
아제르바이잔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방글라데시 | 방글라데시의 원자력 발전 | 다카 대학교.[28] |
벨라루스 | 벨라루스의 원자력 발전 | 벨라루스 국립 대학교.[29] |
벨기에 | 벨기에의 원자력 발전 | |
볼리비아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보츠와나 | 아프리카의 우라늄 | |
브라질 | 브라질의 원자력 발전 | [https://www.coppe.ufrj.br/en/node/4178 COPPE UFRJ]. |
불가리아 | 불가리아의 원자력 발전 | |
부룬디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캄보디아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참조: https://www.khmertimeskh.com/50896212/pride-of-cambodia-students-graduate-with-degrees-in-civil-nuclear-science/. |
캐나다 | 캐나다의 원자력 발전 | 참조: [https://www.canadian-universities.net/Universities/Programs/Nuclear_Engineering.html Canadian-Universities.net]. |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 아프리카의 우라늄 | |
칠레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https://uchile.cl] |
중국 | 중국의 원자력 발전 | 하얼빈 공업 대학교 (https://english.hrbeu.edu.cn/School/Schools_A_Z/College_of_Nuclear_Science_and_Technology.htm), 화북 전력 대학교(https://english.ncepu.edu.cn/xygk/29667.html), 칭화 대학교(https://fbe.yildiz.edu.tr/images/files/TUNEM%202018%20Bilgi%20Notu%20(ENG).pdf). |
콩고 민주 공화국 | 아프리카의 우라늄 | |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의 원자력 발전 | |
체코 | 체코의 원자력 발전 | |
쿠바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덴마크 | 덴마크의 원자력 발전 | |
에콰도르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이집트 | 알다바 원자력 발전소 | |
적도 기니 | 아프리카의 우라늄 | |
에스토니아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에티오피아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핀란드 | 핀란드의 원자력 발전 | |
프랑스 | 프랑스의 원자력 발전 | |
가봉 | 아프리카의 우라늄 | |
조지아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독일 | 독일의 원자력 발전 | |
가나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기니 | 아프리카의 우라늄 | |
가이아나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헝가리 | 헝가리의 원자력 발전 | |
인도 | 인도의 원자력 발전 | IIT 칸푸르(https://www.iitk.ac.in/net/old/onp.htm). |
인도네시아 | 인도네시아의 원자력 발전 | 참조: https://tf.ugm.ac.id/2014/04/19/developing-nuclear-education-in-indonesia/ |
이란 | 이란의 원자력 발전 | 이스파한 공과 대학교 등 13개의 원자력 초등학교/고등학교(더 많은 학교가 건설 중).[42][43] 참조: https://www.nti.org/education-center/facilities/amir-kabir-university-of-technology-2/ |
이스라엘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참조: https://in.bgu.ac.il/en/engn/nuclear/Pages/default.aspx |
이탈리아 | 이탈리아의 원자력 발전 | |
일본 | 일본의 원자력 발전 | https://www.ne.t.kyoto-u.ac.jp/en, https://www.nuclear.sci.waseda.ac.jp/index_en.html |
요르단 | 요르단의 원자력 발전 | https://www.just.edu.jo/FacultiesandDepartments/FacultyofEngineering/Departments/NuclearEngineering/Pages/Nuclear%20Engineering.aspx |
카자흐스탄 | 카자흐스탄의 원자력 발전 | |
케냐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북한 | 북한의 원자력 발전 |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원자력 발전 | |
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스탄의 우라늄 | |
라오스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라트비아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리투아니아 | 리투아니아의 원자력 발전 | |
말라위 | 아프리카의 우라늄 | |
말레이시아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말레이시아 공과 대학교[49][50] |
말리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모리타니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멕시코 | 멕시코의 원자력 발전 | https://inis.iaea.org/collection/NCLCollectionStore/_Public/41/133/41133846.pdf |
몽골 | 몽골의 우라늄 | |
모로코 | 아프리카의 우라늄 | |
미얀마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나미비아 | 나미비아의 우라늄 | |
네덜란드 | 네덜란드의 원자력 발전 | |
뉴질랜드 | 뉴질랜드의 원자력 에너지 전망 | |
니제르 | 니제르의 우라늄 | |
나이지리아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노르웨이 | 노르웨이의 원자력 발전 | https://www.ntnu.edu/ |
오만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파키스탄 | 파키스탄의 원자력 발전 | |
파라과이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페루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필리핀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https://ansn.iaea.org/Common/topics/OpenTopic.aspx?ID=13280 |
폴란드 | 폴란드의 원자력 발전 | |
루마니아 | 루마니아의 원자력 발전 | |
러시아 | 러시아의 원자력 발전 |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Research_Nuclear_University_MEPhI_(Moscow_Engineering_Physics_Institute), https://tpu.ru/en/about/department_links_and_administration/department/view/?id=7863 |
르완다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사우디 아라비아 | 사우디 아라비아의 원자력 발전 | https://ne.kau.edu.sa/Default-135008-EN |
세네갈 | 아프리카의 우라늄 | |
세르비아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https://www.bg.ac.rs/en/members/institutes/Vinca.php |
싱가포르 | 싱가포르는 에너지 전환을 위해 원자력 옵션을 다시 고려하고 있습니다 | |
슬로바키아 | 슬로바키아의 원자력 발전 | |
슬로베니아 | 슬로베니아의 원자력 발전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원자력 발전 | |
스페인 | 스페인의 원자력 발전 | |
스리랑카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수단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스웨덴 | 스웨덴의 원자력 발전 | |
스위스 | 스위스의 원자력 발전 | https://ethz.ch/en/studies/master/degree-programmes/engineering-sciences/nuclear-engineering.html |
시리아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대만 | 대만의 원자력 발전 | https://www.studyintaiwan.org/university/program/2565 |
타지키스탄 | 타지키스탄의 우라늄 | |
탄자니아 | 아프리카의 우라늄 | |
태국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https://www.eng.chula.ac.th/en/department/department-of-nuclear-technology |
튀니지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터키 | 터키의 원자력 발전 | https://nuke.hacettepe.edu.tr/en/department-69, http://nukbilimler.ankara.edu.tr/en/nuclear-research-and-technologies-department/, http://www.nuce.boun.edu.tr/ |
우간다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우크라이나 | 우크라이나의 원자력 발전 | https://www.uatom.org/en/training-of-nuclear-specialists |
아랍 에미리트 | 아랍 에미리트의 원자력 발전 | https://www.ku.ac.ae/academics/college-of-engineering/department/department-of-nuclear-engineering#about |
영국[60] | 영국의 원자력 발전 | 버밍엄 대학교, 브리스톨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중앙 랭커셔 대학교, 컴브리아 대학교, 영국 국방 아카데미, 던디 대학교,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랭커스터 대학교, 리즈 대학교, 리버풀 대학교, 맨체스터 대학교, 노팅엄 트렌트 대학교, [https://www.ntec.ac.uk/ 핵 기술 교육 컨소시엄 (NTEC)], 열린 대학교, 셰필드 대학교, 서리 대학교, 스코틀랜드 서부 대학교 |
미국[61] | 미국의 원자력 발전 | 공군 기술 연구소, 애빌린 기독교 대학교, 클렘슨 대학교, 콜로라도 광산 대학교, 조지아 공과대학교, 아이다호 주립 대학교, 캔자스 주립 대학교, 루이지애나 주립 대학교,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미주리 과학 기술 대학교,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교,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 오리건 주립 대학교,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 퍼듀 대학교, 렌셀러 폴리텍 연구소, 사우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교, 텍사스 A&M 대학교, 웨스트포인트 육군 사관학교,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플로리다 대학교, 아이다호 대학교,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메릴랜드 대학교, 매사추세츠 대학교 로웰, 미시간 대학교, 미주리 대학교, 네바다 대학교 라스베이거스, 뉴멕시코 대학교, 피츠버그 대학교,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 테네시 대학교, 텍사스 대학교, 유타 대학교, 위스콘신 대학교-매디슨, 버지니아 커먼웰스 대학교,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키스탄의 우라늄 | |
베네수엘라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베트남 | 베트남의 원자력 발전 | |
예멘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잠비아 | 원자력 발전의 잠재력을 가진 국가 | |
짐바브웨 | 아프리카의 우라늄 |
국제 원자력 기구(IAEA)는 아프리카에 45개 회원국을 두고 있으며, 기술 협력(TC) 프로그램을 통해 회원국의 원자력 과학 및 기술의 평화적이고 안전하며 보안적인 적용을 지원한다.[23] 아시아에서는 아시아 원자력 기술 교육 네트워크(ANENT)가 운영 중이다.[25]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라틴 아메리카 원자력 기술 교육 네트워크(LANENT)가 있다.
유럽 연합(EU)에서는 EU 과학 허브를 통해 원자력 공학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한다.
IAEA는 또한 STAR-NET이라는 원자력 기술 교육 및 훈련을 위한 지역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여기에는 아르메니아 국립 이공과 대학교, 바쿠 국립 대학교, 벨라루스 정보통신 및 전파전자공학 국립 대학교, 벨라루스 국립 기술 대학교, 벨라루스 국립 대학교, L.N. 구밀료프 유라시아 국립 대학교, 사르센 아만졸로프 동카자흐스탄 국립 대학교, D. 세릭바예프 동카자흐스탄 기술 대학교, AGH 과학 기술 대학교, 국립 연구 원자력 대학교 «MEPhI», 니즈니노브고로드 국립 기술 대학교 n.a. R.E. 알렉세예프, 국립 연구 톰스크 폴리텍 대학교, 오데사 국립 폴리텍 대학교, 사마르칸트 국립 대학교 등이 참여한다. IAEA는 원자력 공학 커리큘럼에 대한 지침도 제공한다.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추진과 함께, 전기공학, 기계공학, 재료공학, 화학공학 등을 기반으로 원자력공학이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1950년대 후반, 시카고 대학교의 아르곤 국립 연구소 유학에서 귀국한 토리카이 킨이치 등의 연구자에 의해 1956년 (쇼와 31년) 이바라키현도카이 촌의 일본원자력연구소에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연구와 원자로 제조가 시작되었다. 1959년에는 일본원자력학회가 설립되었다. 최근에는 원자력 산업 이용 정체로 지원 학생이 감소하여 도쿄 대학은 "시스템 퀀텀공학과", 교토 대학은 "물리공학과", 도카이 대학은 "에너지공학과"[62] 등으로 개편 또는 개칭되었지만, 도쿄 도시 대학은 "원자력 안전공학과"를 신설했다.[63]
5. 1. 국내
대한민국에서는 울산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을 비롯한 여러 대학에서 원자력공학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 기관은 과학기술원, 국립 대학, 사립 대학으로 분류할 수 있다.5. 1. 1. 과학기술원
다음은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원 및 대학의 원자력공학 관련 학과 목록이다.학교 | 학과명 | 비고 |
---|---|---|
울산과학기술원 | 원자력공학과 | [https://nuclear.unist.ac.kr/kor/ 원자력공학과] |
한국과학기술원 |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 [https://nuclear.kaist.ac.kr/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
5. 1. 2. 국립 대학
- 경북대학교 [https://energy.knu.ac.kr/ 에너지공학부 신재생에너지전공]
- 부산대학교 [https://me.pusan.ac.kr/new/sub04/sub01_05.asp 기계공학부 원자력시스템전공]
- 서울대학교 [https://nucleng.snu.ac.kr/ 원자핵공학과]
- 전북대학교 [https://atom.jbnu.ac.kr/atom/index.do 양자시스템공학과]
- 제주대학교 [https://energy.jejunu.ac.kr/ 기계메카에너지화학공학부 에너지공학전공]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5. 1. 3. 사립 대학
경일대학교 [https://www.kiu.ac.kr/HOME/energy/index.htm 원자력에너지융합학과]경희대학교 [https://eng.khu.ac.kr/ne 원자력공학과]
고려대학교 [https://hes.korea.ac.kr/hes/index.do 보건환경융합과학부]
단국대학교 [https://cms.dankook.ac.kr/web/nuclear 원자력융합공학과]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https://energy.dongguk.ac.kr/HOME/energy/index.htm 창의융합공학부 에너지·전기공학전공]
세종대학교 [http://home.sejong.ac.kr/~nuedpt/ 원자력공학과]
위덕대학교 [http://energy.uu.ac.kr/xe/home 에너지전기공학부 원전·제어시스템공학전공]
인제대학교 [https://www.inje.ac.kr/kor/academics/academics-view-s.asp?Tname=Kor_Second_Major&S_code=000008&d1n=2&d2n=10&d3n=5&d4n=0 원자력응용공학전공]
조선대학교 [https://nuclear.chosun.ac.kr/nuclear/index.do 원자력공학과]
중앙대학교 [http://ese.cau.ac.kr/wordpress/ 에너지시스템공학부 원자력전공]
포항공과대학교 [https://dane.postech.ac.kr/ 첨단원자력공학부]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https://www.kings.ac.kr/home.do?lang=ko 원자력산업학과]
한양대학교 [http://nuclear.hanyang.ac.kr/ 원자력공학과]
5. 2. 해외
국제 원자력 기구(IAEA)는 아프리카에 45개 회원국을 두고 있으며, 기술 협력(TC) 프로그램을 통해 회원국의 원자력 과학 및 기술의 평화적이고 안전하며 보안적인 적용을 지원한다.[23] 아시아에서는 아시아 원자력 기술 교육 네트워크(ANENT)가 운영 중이다.[25]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라틴 아메리카 원자력 기술 교육 네트워크(LANENT)가 있다.유럽 연합(EU)에서는 EU 과학 허브를 통해 원자력 공학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한다.[27]
IAEA는 또한 STAR-NET이라는 원자력 기술 교육 및 훈련을 위한 지역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여기에는 아르메니아 국립 이공과 대학교, 바쿠 국립 대학교, 벨라루스 정보통신 및 전파전자공학 국립 대학교, 벨라루스 국립 기술 대학교, 벨라루스 국립 대학교, L.N. 구밀료프 유라시아 국립 대학교, 사르센 아만졸로프 동카자흐스탄 국립 대학교, D. 세릭바예프 동카자흐스탄 기술 대학교, AGH 과학 기술 대학교, 국립 연구 원자력 대학교 «MEPhI», 니즈니노브고로드 국립 기술 대학교 n.a. R.E. 알렉세예프, 국립 연구 톰스크 폴리텍 대학교, 오데사 국립 폴리텍 대학교, 사마르칸트 국립 대학교 등이 참여한다. IAEA는 원자력 공학 커리큘럼에 대한 지침도 제공한다.
다음은 원자력 공학 분야의 교육 및 훈련을 제공하는 기관이다.
지역/국가 | 학교 및 훈련 |
---|---|
아르헨티나 | [https://www.unraf.edu.ar] |
아르메니아 | IAEA 기술 통신 프로그램.[24] |
호주 | UNSW 원자력 공학.[26] |
방글라데시 | 다카 대학교.[28] |
벨라루스 | 벨라루스 국립 대학교.[29] |
브라질 | [https://www.coppe.ufrj.br/en/node/4178 COPPE UFRJ]. |
브루나이 | 참조: https://www-pub.iaea.org/mtcd/publications/pdf/pub1626web-52229977.pdf |
불가리아 | EU 과학 허브.[31] |
캄보디아 | 참조: https://www.khmertimeskh.com/50896212/pride-of-cambodia-students-graduate-with-degrees-in-civil-nuclear-science/. |
캐나다 | 참조: [https://www.canadian-universities.net/Universities/Programs/Nuclear_Engineering.html Canadian-Universities.net]. |
칠레 | [https://uchile.cl] |
중국 | 하얼빈 공업 대학교 (https://english.hrbeu.edu.cn/School/Schools_A_Z/College_of_Nuclear_Science_and_Technology.htm), 화북 전력 대학교(https://english.ncepu.edu.cn/xygk/29667.html), 칭화 대학교(https://fbe.yildiz.edu.tr/images/files/TUNEM%202018%20Bilgi%20Notu%20(ENG).pdf). |
인도 | IIT 칸푸르(https://www.iitk.ac.in/net/old/onp.htm). |
인도네시아 | 참조: https://tf.ugm.ac.id/2014/04/19/developing-nuclear-education-in-indonesia/ |
이란 | 이스파한 공과 대학교 등 13개의 원자력 초등학교/고등학교(더 많은 학교가 건설 중).[42][43] 참조: https://www.nti.org/education-center/facilities/amir-kabir-university-of-technology-2/ |
이스라엘 | 참조: https://in.bgu.ac.il/en/engn/nuclear/Pages/default.aspx |
일본 | https://www.ne.t.kyoto-u.ac.jp/en, https://www.nuclear.sci.waseda.ac.jp/index_en.html |
요르단 | https://www.just.edu.jo/FacultiesandDepartments/FacultyofEngineering/Departments/NuclearEngineering/Pages/Nuclear%20Engineering.aspx |
말레이시아 | 말레이시아 공과 대학교[49][50] |
멕시코 | https://inis.iaea.org/collection/NCLCollectionStore/_Public/41/133/41133846.pdf |
노르웨이 | https://www.ntnu.edu/ |
필리핀 | https://ansn.iaea.org/Common/topics/OpenTopic.aspx?ID=13280 |
루마니아 | EU 과학 허브.[55] |
러시아 | https://en.wikipedia.org/wiki/National_Research_Nuclear_University_MEPhI_(Moscow_Engineering_Physics_Institute), https://tpu.ru/en/about/department_links_and_administration/department/view/?id=7863 |
사우디 아라비아 | https://ne.kau.edu.sa/Default-135008-EN |
세르비아 | https://www.bg.ac.rs/en/members/institutes/Vinca.php |
대한민국 | TBA |
스위스 | https://ethz.ch/en/studies/master/degree-programmes/engineering-sciences/nuclear-engineering.html |
대만 | https://www.studyintaiwan.org/university/program/2565 |
태국 | https://www.eng.chula.ac.th/en/department/department-of-nuclear-technology |
터키 | https://nuke.hacettepe.edu.tr/en/department-69, |
우크라이나 | https://www.uatom.org/en/training-of-nuclear-specialists |
아랍 에미리트 | https://www.ku.ac.ae/academics/college-of-engineering/department/department-of-nuclear-engineering#about |
영국[60] | |
미국[61] |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추진과 함께, 전기공학, 기계공학, 재료공학, 화학공학 등을 기반으로 원자력공학이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1950년대 후반, 시카고 대학교의 아르곤 국립 연구소 유학에서 귀국한 토리카이 킨이치 등의 연구자에 의해 1956년 (쇼와 31년) 이바라키현도카이 촌의 일본원자력연구소에서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연구와 원자로 제조가 시작되었다. 1959년에는 일본원자력학회가 설립되었다. 최근에는 원자력 산업 이용 정체로 지원 학생이 감소하여 도쿄 대학은 "시스템 퀀텀공학과", 교토 대학은 "물리공학과", 도카이 대학은 "에너지공학과"[62] 등으로 개편 또는 개칭되었지만, 도쿄 도시 대학은 "원자력 안전공학과"를 신설했다.[63]
6. 관련 단체
- 미국 원자력 학회(American Nuclear Society)
- 아시아 원자력 기술 교육 네트워크(ANENT, Asian Network for Education in Nuclear Technology)
- 캐나다 원자력 협회(Canadian Nuclear Association)
- 중국 원자력 학회(Chinese Nuclear Society)
- 국제 원자력 기구(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 국제 에너지 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 일본 원자력 산업 회의(JAIF, Japan Atomic Industrial Forum)
- 한국원자력에너지기구(KNEA, Korea Nuclear Energy Agency)
- 라틴 아메리카 원자력 기술 교육 네트워크(LANENT, Latin American Network for Education in Nuclear Technology)
- 호주 광물 위원회(Minerals Council of Australia)
- 유럽 원자력(Nucleareurope)
- 원자력 연구소(Nuclear Institute)
- 원자력 에너지 연구소(NEI, Nuclear Energy Institute)
- 남아프리카 원자력 산업 협회(NIASA, Nuclear Industry Association of South Africa)
- 원자력 기술 교육 컨소시엄(Nuclear Technology Education Consortion)
- OECD 원자력 기구(NEA, OECD Nuclear Energy Agency)
- 원자력 기술 교육 및 훈련 지역 네트워크(STAR-NET, Regional Network for Education and Training in Nuclear Technology)
- 세계 원자력 협회(World Nuclear Association)
- 세계 원자력 수송 연구소(World Nuclear Transport Institute)
- 일본원자력학회
참조
[1]
웹사이트
Nuclear engineering, going forward
https://www.ans.org/[...]
American Nuclear Society
2023-04-21
[2]
웹사이트
Nuclear Engineering
https://www.britanni[...]
2023-04-19
[3]
웹사이트
Nuclear Power in the World Today
https://world-nuclea[...]
2023-04-06
[4]
뉴스
When Can We Expect Nuclear Fusion?
https://www.newsweek[...]
Newsweek
2023-04-06
[5]
웹사이트
Nuclear Fission Energy
https://www2.lbl.gov[...]
Lawrence Livermore
2023-04-06
[6]
웹사이트
Nuclear power and the environment
https://www.eia.gov/[...]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23-04-07
[7]
웹사이트
The Discovery of Fission
https://www.osti.gov[...]
US Department of Energy
2023-04-07
[8]
간행물
Trinity (nuclear test)
https://en.wikipedia[...]
2024-05-04
[9]
간행물
Trinity (nuclear test)
https://en.wikipedia[...]
2024-05-04
[10]
웹사이트
The World's First Nuclear Power Plant
https://inl.gov/expe[...]
US Department of Energy
2023-04-07
[11]
뉴스
Nuclear Engineering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3-04-06
[12]
웹사이트
Nuclear engineer job profile {{!}} Prospects.ac.uk
https://www.prospect[...]
2019-12-13
[13]
웹사이트
What Nuclear Engineers Do
https://www.bls.gov/[...]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23-04-16
[14]
웹사이트
The History of Reactor Generations
https://www.amacad.o[...]
2023-04-09
[15]
웹사이트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nuclear power plants
https://www.iaea.org[...]
2016-04-13
[16]
웹사이트
Environmental Detection of Clandestine Nuclear Weapon Programs
https://dspace.mit.e[...]
MIT
2023-04-21
[17]
웹사이트
Nuclear Techniques Help to Solve Crimes
https://www.iaea.org[...]
2003-12-23
[18]
웹사이트
5 Incredible Ways Nuclear Powers Our Lives
https://www.energy.g[...]
US Department of Energy
2023-04-06
[19]
웹사이트
Jobs
https://www.nei.org/[...]
2023-04-09
[20]
학술지
Nuclear engineering workforce in the United States
[21]
웹사이트
Austria JRC Report
https://www.iaea.org[...]
2023-04-10
[22]
웹사이트
Experience Creates Safety
https://www.nes.at/e[...]
2023-04-10
[23]
웹사이트
IAEA Technical Cooperation in Africa
https://www.iaea.org[...]
2023-04-19
[24]
웹사이트
IAEA Technical Communication Program
https://www.iaea.org[...]
2023-04-19
[25]
웹사이트
IAEA Banner Asian Network for Education in Nuclear Technology (ANENT)
https://www.iaea.org[...]
2019-04-18
[26]
웹사이트
Nuclear Engineering Help create the technologies of the future
https://www.unsw.edu[...]
2023-04-19
[27]
웹사이트
Austria
https://joint-resear[...]
2023-04-19
[28]
웹사이트
Department of Nuclear Engineering
https://du.ac.bd/und[...]
2023-04-19
[29]
웹사이트
Department of Nuclear Physics
https://bsu.by/en/st[...]
2023-04-19
[30]
웹사이트
Belgium
https://joint-resear[...]
2023-04-19
[31]
웹사이트
Bulgaria
https://joint-resear[...]
2023-04-19
[32]
웹사이트
Croatia
https://joint-resear[...]
2023-04-19
[33]
웹사이트
Cyprus
https://joint-resear[...]
2023-04-19
[34]
웹사이트
Czech Republic
https://joint-resear[...]
2023-04-19
[35]
웹사이트
Denmark
https://joint-resear[...]
2023-04-19
[36]
웹사이트
Estonia
https://joint-resear[...]
2023-04-19
[37]
웹사이트
Finland
https://joint-resear[...]
2023-04-19
[38]
웹사이트
France
https://joint-resear[...]
2023-04-19
[39]
웹사이트
Germany
https://joint-resear[...]
2023-04-19
[40]
웹사이트
Greece
https://joint-resear[...]
2023-04-19
[41]
웹사이트
Hungary
https://joint-resear[...]
2023-04-19
[42]
뉴스
۱۳ مدرسه اتمی در کشور داریم/ برنامه ریزی برای احداث مدارس جدید
https://www.ilna.ir/[...]
2023-08-02
[43]
웹사이트
طرح محققان دانشگاه صنعتی اصفهان در بزرگترین پروژه علمی دنیا پذیرفته شد
https://www.imna.ir/[...]
2020-11-22
[44]
웹사이트
Ireland
https://joint-resear[...]
2023-04-19
[45]
웹사이트
Italy
https://joint-resear[...]
2023-04-19
[46]
웹사이트
Latvia
https://joint-resear[...]
2023-04-19
[47]
웹사이트
Lithuania
https://joint-resear[...]
2023-04-19
[48]
웹사이트
Luxembourg
https://joint-resear[...]
2023-04-19
[49]
웹사이트
BACHELOR OF ENGINEERING (NUCLEAR)
https://fkt.utm.my/b[...]
2017-06-07
[50]
웹사이트
Universiti Teknologi Malaysia (UTM)
https://www2.mqa.gov[...]
2023-05-19
[51]
웹사이트
Malta
https://joint-resear[...]
2023-04-19
[52]
웹사이트
Netherlands
https://joint-resear[...]
2023-04-19
[53]
웹사이트
Poland
https://joint-resear[...]
2023-04-19
[54]
웹사이트
Portugal
https://joint-resear[...]
2023-04-19
[55]
웹사이트
Romania
https://joint-resear[...]
2023-04-19
[56]
웹사이트
Slovakia
https://joint-resear[...]
2023-04-19
[57]
웹사이트
Slovenia
https://joint-resear[...]
2023-04-19
[58]
웹사이트
Spain
https://joint-resear[...]
2023-04-19
[59]
웹사이트
Sweden
https://joint-resear[...]
2023-04-19
[60]
웹사이트
Universities
https://www.nucleari[...]
2023-04-19
[61]
웹사이트
Nuclear Engineering Department Heads
https://nedho.org/me[...]
2023-04-19
[62]
문서
その後、2010年4月より、再び「原子力工学科」へと改称した。
[63]
문서
武蔵工業大学時代の1981年に、大学院工学研究科にて原子力工学専攻が独立した専攻として設置(2002年にエネルギー量子工学専攻と改称を経て、2010年にエネルギー化学専攻と共同原子力専攻へ改組)されたことをもととして、1997年に工学部内にエネルギー基礎学科を設置(2003年に環境エネルギー工学科と改称を経て、2008年にエネルギー化学科への改称と、一部教員の異動によって原子力安全工学科を新設)している。
[64]
웹사이트
깨진 링크
http://100.naver.com[...]
[65]
웹사이트
http://nuclear.kaist[...]
[66]
웹사이트
http://nuclear.kaist[...]
[67]
웹사이트
http://nuclear.kaist[...]
[68]
웹사이트
http://nuclear.kaist[...]
[69]
웹사이트
http://nuclear.kaist[...]
[70]
웹사이트
http://nuclear.kaist[...]
[71]
웹사이트
http://nuclear.kaist[...]
[72]
웹사이트
http://nuclear.kaist[...]
[73]
웹사이트
http://nuclear.kaist[...]
[74]
웹사이트
http://nuclear.kaist[...]
[75]
웹사이트
http://nuclear.kaist[...]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울먹이며 "서울대 방폐장" 건의…강창순 초대 원안위원장 별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