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로프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로프인은 세네갈, 감비아, 모리타니에 거주하는 민족 집단으로, 월로프어와 문화를 공유한다. 15세기부터 기록된 역사와 함께 졸로프 제국을 중심으로 세네갈 중북부 지역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해왔다. 대다수는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으며, 전통적인 사회 계층과 관습을 유지하고 있다. 월로프어는 세네갈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며, 농업과 장인 정신을 기반으로 생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감비아의 민족 - 만딩카족
만딩카족은 서아프리카에 거주하며 말리 제국 건설의 중심 역할을 했고, 풍부한 구전 전통, 이슬람 문화와 전통 신앙의 혼합, 독특한 악기를 사용하는 음악 등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 민족 집단이다. - 세네갈의 민족 - 만딩카족
만딩카족은 서아프리카에 거주하며 말리 제국 건설의 중심 역할을 했고, 풍부한 구전 전통, 이슬람 문화와 전통 신앙의 혼합, 독특한 악기를 사용하는 음악 등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 민족 집단이다. - 세네갈의 민족 - 투클로르족
투클로르족은 서아프리카 세네갈강 유역을 중심으로 거주하며 농업, 목축업, 교역 활동에 종사하고 풀라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이슬람교와 토착 애니미즘 신앙이 혼합된 종교를 믿고 엄격한 카스트 제도를 지닌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다. - 모리타니의 민족 - 만딩카족
만딩카족은 서아프리카에 거주하며 말리 제국 건설의 중심 역할을 했고, 풍부한 구전 전통, 이슬람 문화와 전통 신앙의 혼합, 독특한 악기를 사용하는 음악 등 다양한 문화적 특징을 지닌 민족 집단이다. - 모리타니의 민족 - 사하라위인
사하라위인은 서사하라 지역에 주로 거주하며 하사니야 아랍어를 사용하는 아랍, 베르베르, 서아프리카 혈통이 혼합된 유목 민족 집단으로, 20세기 이후 서사하라 지배권을 둘러싼 분쟁으로 인해 많은 수가 난민 캠프에 거주하고 있다.
월로프인 | |
---|---|
개요 | |
![]() | |
총 인구 | 약 7,676,940명 |
주요 거주 지역 | 세네갈 감비아 모리타니 |
언어 | 월로프어 프랑스어 영어 |
종교 | 주로 수니 이슬람 |
관련 민족 | 세레르족 졸라족 레부족 |
명칭 | |
영어 표기 | /ˈwɒlɒf/ |
다른 표기 | Chelofes Galofes Guiolof Gyloffes Ialofes Iolof Jalof Jolof Olof Ouoloff Valaf Volof Wollufs Yaloffs Yolof |
인구 분포 | |
세네갈 | 7,192,000명 |
감비아 | 300,000명 |
모리타니 | 230,000명 |
사회 및 문화 | |
언어 | 월로프어 |
종교 | 주로 수니 이슬람 |
카스트 | 일부 지역에서 카스트 제도 존재 |
2. 명칭
"월로프"라는 용어는 월로프어와 그들의 국가, 문화 및 전통을 지칭하기도 한다. 오래된 프랑스어 출판물에서는 Ouolof|울로프프랑스어 철자를 자주 사용했다. 19세기까지는 'Wolluf', 'Volof', 'Olof'와 같은 철자도 발견되었으며, 'Yolof', 'Dylof', 'Chelof', 'Galof', 'Lolof' 등과 같은 드문 변형도 있었다.[23][14] 영어에서는 특히 감비아의 월로프족을 지칭할 때 'Wollof'와 'Woloff'[15]가 사용된다.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Wollof' 철자가 이름의 원어 발음에 더 가깝다.[14] 'Jolof' 철자도 자주 사용되지만, 특히 14세기부터 19세기까지 세네갈 중부에 존재했던 졸로프 제국과 졸로프 왕국을 지칭한다. 마찬가지로, 서아프리카 쌀 요리는 영어로 졸로프 라이스라고 알려져 있다.[16]
세네감비아를 전공한 인류학 및 아프리카학 교수 데이비드 갬블은 월로프인의 기원이 불분명하다고 말한다.[17] 세네갈과 감비아에서 선사 시대 도자기, 8세기 석조물, 14세기 분묘와 같은 고고학적 유물이 발견되었지만, 갬블은 이것들이 월로프족과 독점적으로 연결된다는 증거는 제공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월로프라는 이름은 15세기 포르투갈 여행자들의 기록에 처음 등장한다.[17] 15세기부터 기록된 역사는 강력한 가문 간의 경쟁, 전쟁, 쿠데타 및 정복에 대한 복잡한 이야기이다.[19]
3. 역사
3. 1. 졸로프 제국
세네감비아를 전공한 인류학 및 아프리카학 교수 데이비드 갬블은 월로프인의 기원이 불분명하다고 말한다.[17] 1천년대 말 서아프리카의 아랍 정복으로, 월로프족이 세네갈 북부와 동부로 이주하게 되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을과 도시가 바올, 카요르, 살룸, 디마르, 왈로, 신과 같은 자치 국가로 발전했으며, 전반적인 통치 국가는 자발적으로 함께 모여 졸로프 제국을 형성한 졸로프였다는 이론이 있다.[18] 갬블에 따르면, 이러한 이주는 가나 제국이 수단에서 온 무슬림 군대에 의해 멸망한 11세기 말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17]
다른 구전 전통은 왈로의 전설을 전하는데, 호수 근처 두 마을의 분쟁으로 시작된다. 호수에서 한 미스터리한 인물이 나타나 분쟁을 해결했다. 마을 사람들은 그를 붙잡았고, 그는 그들 사이에 정착하여 분쟁을 해결하고 주권을 행사하는 사람이 되었다. 그는 '은디야데 은디아예'(''Ndyadyane Ndyaye'')라고 불렸고, 그의 후손들은 '은디아예'(''Ndiayes'') 또는 '은지에'(''Njie'')라고 불렸으며, 이 신화적 전설에 따르면 월로프, 말리의 지배 가문을 이끌었다.[17]
졸로프 제국 또는 월로프 제국은 대략 1350년부터 1890년까지 세네갈과 감비아 일부 지역을 지배했던 중세 서아프리카 국가였다. 이 기간 동안 단일 국가 구조로 통합된 적은 없었지만, 월로프족의 통치, 카스트, 문화의 전통은 지난 800년 동안 세네갈 중북부 지역의 역사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했다. 1870년대에서 1890년대 사이에 프랑스 식민 세력에 의해 최종적으로 멸망한 것은 통일된 국가로서 세네갈이 형성되기 시작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15세기 말까지 줄로프, 카요르, 바올, 왈로의 월로프 국가들은 줄로프를 중심 세력으로 하는 연방으로 통합되었다. 국왕의 자리는 부르바 월로프가 차지했으며, 다른 구성 국가의 통치자들은 그에게 충성을 맹세하고 조공을 바쳤다. 월로프족은 해안에서 포르투갈 상인들과 상품 및 노예 무역에 관여하기 전에도, 서부 수단 제국, 푸타 토로 이맘국 및 북아프리카의 다른 민족들과 상품과 노예를 오랫동안 거래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20]
3. 2. 노예 제도
월로프족 사회에서 노예제도는 노예제도는 월로프 문화의 가장 초기 기록된 역사부터 존재해 왔다. 유럽인이 월로프족이 거주하는 지역에 도착하기 전, 그곳의 노예들은 노예로 태어나거나, 구매 또는 전쟁 포로로 노예가 되었다.[21] 16세기부터 포르투갈 노예 상인들은 세네감비아 항구에서 대서양 노예 무역을 통해 노예를 사들여 아메리카 포르투갈 식민지로 수송하기 시작했다. 이 노예들은 해안에 도착하기 전에 월로프족 영토를 자주 거쳐 갔다. 17세기와 18세기에 유럽의 노예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포로를 확보하여 해안으로 수송하기 위한 월로프족의 노예 습격 또한 증가했다.[22]
대서양 노예 무역으로 월로프족은 유럽산 화기를 획득했으며, 이 화기는 서아프리카 해안에서 노예와 흔히 교환되었다. 이 화기를 사용하여 월로프족의 노예 습격 (그리고 일반적으로 다른 민족과의 갈등)의 강도와 폭력이 증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예 습격은 유럽 및 미국 정부가 자국 국민의 노예 무역 참여를 점차 금지하면서 결국 잦아들었다.[22] 신제국주의 시대에 아프리카 분할로 월로프족이 거주하는 땅을 포함한 대부분의 아프리카 영토가 유럽의 식민 통치 하에 놓였다. 이 새로운 식민 정권은 노예 제도를 금지하려고 했고, 1890년대까지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프랑스 당국은 이 제도를 대대적으로 폐지했다.[21] 그러나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자유롭게 태어난 월로프족과 노예 사이의 사회적 구별은 여전히 존재했으며, 20세기 중반 아프리카 탈식민화 이후에도 지속되었다.[21]
4. 인구 분포
월로프인은 세네갈에서 가장 큰 민족 집단으로, 특히 세네갈강과 감비아강 인근 북서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5][23] 감비아 인구의 약 16%가 월로프인이다. 감비아에서는 소수 민족이지만, 감비아의 수도인 반줄에서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월로프 언어와 문화는 불균형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모리타니 인구의 약 8%가 월로프인이다. 이 세 국가에서 그들의 총 인구는 600만 명이 넘는다.
5. 종교
대다수의 월로프족은 수니파 이슬람교 신자이다. 그러나 종교적 관습에는 종종 지역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6] 이러한 복잡한 관계는 역사적으로 지배적인 수니파 이슬람 환경에서 수피교 전통이 나타나게 했다.[24]
월로프족의 이슬람 이전 종교 전통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들의 전통 종교에 대한 기록이나 구전 전통도 존재하지 않는다. 월로프족의 구전 설화에는 그들이 졸로프 왕국 건국 이래 이슬람교를 믿어왔다고 주장하는 전설이 있다. 그러나 이슬람 학자들과 유럽 여행가들이 남긴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월로프 왕과 전사들은 초기에 이슬람으로 개종하지 않았으며, 수세기 동안 이슬람 성직자를 조언자이자 행정관으로 받아들이고 의존했다.
데이비드 갬블에 따르면, 월로프족의 이슬람 이전 신념은 수피교의 선과 악의 영(''진''), 부적, 춤, 기타 의례에 반영되고 흡수되었을 수 있다.[25]
18세기와 그 이후에, 월로프족은 서아프리카에서 발생한 폭력적인 지하드의 영향을 받아 이슬람에 대한 월로프족 내부의 갈등을 촉발했다. 이라 M. 라피두스 중동 및 이슬람 역사 교수는 19세기 초 세네감비아 전사들이 "마을을 불태우고, 이교도를 살해하고, 적을 노예로 만들면서 세네감비아를 휩쓸고 지나갔다"고 말하며, 상당수의 월로프족을 이슬람으로 개종시키는 데 책임이 있었다고 말한다.[26] 월로프족과 다른 민족이 연루된 서아프리카 지하드는 일찍 시작되었으며, 15세기와 같은 과격한 개혁가들에게 영감을 받은 경우가 많았다.[27] 라피두스는 18세기와 19세기 지하드의 공격이 이슬람으로의 대규모 개종을 위한 길을 열었지만, 거의 보편적인 개종은 아니라고 말한다.[6]
19세기 말, 프랑스 식민군이 월로프 왕국에 대한 전쟁을 시작하면서, 월로프족은 프랑스에 저항했고, 세네감비아 지역 월로프족의 거의 보편적인 이슬람 개종을 촉발했다. 월로프족은 20세기에 다양한 경쟁 수피교 이슬람 운동에 참여했으며, 특히 무리디야와 티자니야 이슬람 형제단에 속했다.[23]
세네갈의 수피 무슬림 형제단은 19세기에 월로프족 공동체에 나타났으며 20세기에 성장했다. 수피 지도자들과 마라부들은 대부분의 무슬림 공동체에서 문화적,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특히 ''무리디야''의 지도자, 즉 무리드 형제단이 두드러진다.[28]
20세기에 아흐마디야와 감리교 선교사들이 현대 세네감비아에 사무실을 열었지만, 월로프족 중 이 종교의 신자가 된 사람은 극소수이다.[29]
6. 문화
월로프인의 전통 문화와 관습은 식민지 시대를 거쳐 살아남았으며 세네갈 문화의 강력한 요소이다. 세네감비아를 전공한 인류학 및 아프리카학 교수 데이비드 갬블에 따르면, 월로프족의 기원은 불분명하며, 세네갈과 감비아에서 발견된 선사 시대 유물들은 월로프족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입증하지 못한다.[17] 월로프라는 이름은 15세기 포르투갈 여행자들의 기록에 처음 등장한다.[17]
1천년대 말 서아프리카의 아랍 정복으로 월로프족은 세네갈 북부와 동부로 이주하게 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졸로프 제국을 형성하여 바올, 카요르, 살룸 등 여러 자치 국가로 발전했다.[18] 갬블은 이러한 이주가 11세기 말 가나 제국이 멸망하면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17] 왈로의 전설에 따르면, 호수 근처 두 마을 간의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나타난 신비로운 인물 '은디야데 은디아예'(''Ndyadyane Ndyaye'')가 마을 사람들에게 붙잡혀 정착하면서 분쟁을 해결하고 주권을 행사하게 되었고, 그의 후손들이 월로프와 말리의 지배 가문을 이끌었다고 전해진다.[17]
줄로프 제국(월로프 제국)은 1350년부터 1890년까지 세네갈과 감비아 일부 지역을 지배했던 중세 서아프리카 국가였다. 15세기 말까지 줄로프, 카요르, 바올, 왈로는 줄로프를 중심 세력으로 하는 연방으로 통합되었다. 월로프족은 대서양 노예 무역에 관여하기 전에도 서부 수단 제국 등 다른 민족들과 상품과 노예를 오랫동안 거래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었다.[20]
6. 1. 언어
월로프어는 세네갈, 감비아, 모리타니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월로프족의 모국어이다. 이웃 언어인 세레르어와 풀라어와 마찬가지로 니제르-콩고어족의 세네감비아어파에 속한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다른 언어들과 달리, 월로프어는 성조 언어가 아니다.월로프어는 레부족의 언어에서 유래되었다.[30][31] 세네갈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로, 월로프족(인구의 40%)의 모국어이며, 다른 대부분의 세네갈인들도 제2 언어로 사용한다. 월로프어 방언은 지역에 따라, 그리고 농촌과 도시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 들어, "다카르-월로프어"는 월로프어, 프랑스어, 아랍어가 혼합된 도시 언어이다. 세네갈 전체 인구의 80%가 월로프어를 사용하며, 월로프 문화와 월로프어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6. 2. 사회 계층
월로프인들은 최소 15세기부터 엄격하고 가부장적이며 동족 결혼적인 사회 계층 구조를 이루어 왔다.[33][32]사회 계층은 ''geer''라고 불리는 자유 계층, ''nyeenyo'' 또는 ''neeno''라고 불리는 카스트 계층, 그리고 ''jaam''이라고 불리는 노예 계층으로 나뉜다.[33][34] 카스트 지위는 세습되며, 레오나르도 빌라론 정치학 및 아프리카 연구 교수에 따르면 특정 카스트 지위의 남성과 여성 간의 동족 결혼은 월로프인들 사이에서 지속적인 특징이었다.[35] 빌라론은 월로프의 카스트 지위가 세네갈에서 민족성이나 종교보다 더 큰 혼인 장벽이라고 말한다.[35]
카스트는 또한 계층적이었으며, 최하위 계층은 그리오였다.[37][36] 그들의 세습된 열등함은 문화적으로 노예(''jaams'' 또는 ''kaals'')와 가까운 것으로 여겨졌다.[37] 데이비드 갬블은 카스트가 상대적 순수/불순의 개념과 관련되어 있다고 말한다.[39] 예를 들어, 가죽 세공인은 동물 가죽을 사용하는 직업이 더럽다고 여겨져 ''nyenyo'' 중에서 가장 낮은 계층으로 여겨졌다.[39]
노예는 역사적으로 월로프 사회에서 분리된 동족 결혼 집단이었다.[33] 노예는 출생으로 세습되거나, 기근과 같은 어려운 시기에 절박한 부모로부터 아이를 납치, 구매하거나, 범죄에 대한 처벌로 마을 장로에 의해 강요되었다. 18세기 초에는 모든 종류의 혐의와 사소한 범죄로 기소된 사람이 노예 계층으로 처벌받는 결과가 초래되었다. 납치, 구매 또는 전쟁 포로로 획득한 노예는 월로프 사회에서 jaam saywo라고 불렸다.[38]
geerwo 또는 "자유인" 또한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최상위에는 왕족 통치자가 있었고, 그 아래에는 영토를 통제하고 조세를 징수하는 지역 또는 지역 지배 귀족 가문이 있었으며, 그 아래에는 baadoolowo 또는 "힘이 없는"이라고 불리는 평민 자유인이 있었다.[39]
카스트와 노예 제도에 기반한 사회 계층의 연대기적 기원은 불분명하며,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파리 국립과학연구센터(CNRS)의 인류학 연구원인 탈 타마리는 노예 제도의 부상에 대한 부록으로, 15세기까지 월로프인들 사이에, 그리고 약 13세기까지 다른 아프리카 민족 집단 사이에 카스트 제도가 발전하고 성장했다고 제안한다.[40][41] 그러나 아프리카 사회를 전문으로 하는 인류학 교수인 수잔 맥킨토시에 따르면, 월로프, 만데, 말린케, 세레르, 그리고 손케와 같은 서아프리카 사회에서 카스트 제도의 출현은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녀는 이 사회에서 카스트의 발전과 확산을 약 10세기 경으로 추정하는데, 이는 노예 사냥, 노예 무역, 그리고 사헬, 서아프리카 및 북아프리카 전역의 엘리트 가문의 노예 소유가 당시에는 확립된 제도였고, 노예 제도가 종속 관계와 사회 계층의 틀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계 미국 및 아프리카 연구 교수인 빅토리아 B. 코이프만에 따르면, 역사적 증거는 월로프인들이 14세기 이전에는 모계 사회였다는 것을 시사한다. 나중에 월로프 제국 시대에 가져온 것과 같은 정치-종교적 변화는 월로프와 많은 다른 민족 집단 사이에 사회 구조에 주요 변화를 가져왔고, 부계 사회로의 전환을 포함했다.[33]
월로프 카스트, 사회 및 정치 집단 간의 분열과 동족 결혼은 식민지 이후 독립 세네갈까지 지속되었다.[42][43]
6. 3. 생활 양식
월로프족은 주로 시골 지역에 거주하며(약 75%), 작은 마을에 산다. 데이비드 갬블에 따르면, 역사적 증거는 월로프족이 지파 전쟁과 노예 습격 이전에는 대규모 정착지에서 살았다는 것을 시사한다.[44]월로프 마을은 구획의 집합체로 구성된다. 일부는 중앙 광장이 없이 무작위로 흩어져 있으며, 많은 수는 중앙에 모스크가 있는 광장을 중심으로 모여 있다. 각 구획에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오두막이 있으며, 흙과 수수 줄기로 만든 벽과 원뿔 모양의 초가지붕이 있다. 구획은 때때로 갈대나 수수 줄기로 만든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다.[44][45]
단일 구획에는 여러 개의 오두막이 있을 수 있으며, 부계 친족의 남자가 가구주가 된다. 일부다처제 가정에서는 각 오두막에 다른 아내와 자녀들이 거주한다. 구획은 전통적으로 공동 부엌을 운영하지만, 내부 분쟁이 있는 경우 각 가족 단위는 별도로 요리한다.[45]
마을은 '보롬 데크'(borom dekk)라고 불리는 족장이 이끈다. 이 역할은 카스트에 속하며 세습되어 왔다. 족장은 조공(세금) 징수자이자 왕국 관리와 마을 사람들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해왔다. 일반적으로 족장은 '세린'(seriñ)이라고 불리는 이슬람 종교 지도자(마라부트)이기도 하다. 더 큰 마을에는 '옐리만'(yélimaan)이라고 불리는 이맘과 '살티게'(saltigé)라고 불리는 사냥 또는 전사 지도자가 있다. 두 사람 모두 전통적으로 세습 카스트였다. 마을 내의 사회적 관계는 계층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분쟁은 일반적으로 중재자와 '카디'라고 불리는 이슬람 재판관이 이끄는 이슬람 재판소에서 해결된다.[45][46]
6. 4. 생계
월로프족은 주로 시골 지역에 거주하며(약 75%), 작은 마을에 산다. 역사적 증거에 따르면 지파 전쟁과 노예 습격 이전에는 대규모 정착지에서 살았다.[44]월로프 마을은 구획의 집합체로 구성된다. 일부는 중앙 광장이 없이 무작위로 흩어져 있으며, 많은 경우 중앙에 모스크가 있는 광장을 중심으로 모여 있다. 각 구획에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오두막이 있으며, 흙과 수수 줄기로 만든 벽과 원뿔 모양의 초가지붕이 있다. 구획은 때때로 갈대나 수수 줄기로 만든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다.[44][45]
단일 구획에는 여러 개의 오두막이 있을 수 있다. 부계 친족의 남자가 가구주가 되며, 일부다처제 가정에서는 각 오두막에 다른 아내와 자녀들이 거주한다. 구획은 전통적으로 공동 부엌을 운영하지만, 내부 분쟁이 있는 경우 각 가족 단위는 별도로 요리한다.[45]
마을은 '보롬 데크'(borom dekk)라고 불리는 족장이 이끈다. 이 역할은 카스트에 속하며 세습되어 왔다. 족장은 조공(세금) 징수자이자 왕국 관리와 마을 사람들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해왔다. 일반적으로 족장은 '세린'(seriñ)이라고 불리는 이슬람 종교 지도자(마라부트)이기도 하다. 더 큰 마을에는 '옐리만'(yélimaan)이라고 불리는 이맘과 '살티게'(saltigé)라고 불리는 사냥 또는 전사 지도자가 있는데, 두 사람 모두 전통적으로 세습 카스트였다. 마을 내의 사회적 관계는 계층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분쟁은 일반적으로 중재자와 '카디'라고 불리는 이슬람 재판관이 이끄는 이슬람 재판소에서 해결된다.[45][46]
결혼은 내혼적이다. 선호되는 일반적인 결혼 형태는 양측 교차 사촌 형태이며, 가장 선호되는 결혼은 남성과 어머니의 남동생의 딸 간의 결혼이다. 일부다처제는 흔하며, 많은 월로프 가구에서는 두 명의 아내를 두는 경우가 많다.[45][47] 월로프족 사이에서 지참금은 신부 가격 형태로 지불된다.[48] 지참금은 결혼 성립 시 여성의 재산이 된다. 이혼은 월로프 사회에서 상당히 흔하며 이슬람 율법에 따른다.[45]
노예 제도는 현대 아프리카 사회에서는 불법이지만, 월로프족의 역사와 엘리트 계급 사이에서는 흔했다.[49] 노예는 주인의 허락 없이는 결혼할 수 없었고, 노예의 결혼을 주선하는 것은 보통 노예 주인의 책임이었다. 노예 주인과 그 후손은 또한 가구에 소유된 노예 여성과 성관계를 가질 권리가 있었다.[49][50]
월로프족은 전통적으로 정착 농부이자 장인이었다. 기장은 전형적인 주식이었으며, 비가 많이 올 때는 쌀이 보조 주식이었다. 카사바도 재배되었지만 월로프 농부들에게는 수입원 역할을 해왔다. 식민지 시대 이후로 땅콩이 주요 현금 작물이었다.[45]
월로프 사회는 부계 사회이며, 농지는 토지 소유 카스트가 상속받는다. 마을의 전형적인 농부들은 자신의 토지를 경작할 권리에 대한 임대료(''waref'')를 토지 소유주에게 지불한다.[45][51] 월로프 농부들은 닭과 염소를 키우고, 말린 생선이나 훈제 생선을 구입하는데, 이들은 모두 식단의 일부이다. 소도 사육되는데, 식용이 아니라 우유, 토지 경작, 그리고 재산의 비축 수단으로 사용된다. 시골의 월로프족은 소고기를 거의 먹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의례적인 잔치의 일부로 먹는다. 현대 시대의 일부 마을에서는 농업 기계를 공유하고 협동조합으로 땅콩 수확물을 판매한다.[45]
장인 카스트에 속하는 월로프족은 금속 작업을 하고, 직물을 짜고 염색하며, 가죽 제품을 생산하고, 도자기와 바구니를 만들고, 옷을 재단하고, 짚을 생산하며 기타 경제 활동을 수행한다. 월로프 대장장이는 농업용 도구를 생산하고, 다른 그룹은 금 장신구를 제작한다.[45][52]
직업은 전통적으로 성별과 상속된 카스트에 따라 결정된다. 특정 카스트의 남성은 대장장이, 가죽 세공인, 직조공(현재는 이전 노예의 후손의 직업)이다. 종교적 및 정치적 기능은 남성의 영역이었으며, 여성은 일반적으로 가정을 돌보고, 우물이나 가까운 강과 같은 수원지에서 물을 가져온다. 여성은 또한 작물을 심고, 잡초를 뽑고, 수확하며, 장작을 수집한다. 도자기 카스트 그룹의 여성은 도자기를 만드는 과정에도 참여한다.[45]
7. 저명한 월로프족 인물
- 아마두 오나나
- 라민 디아크
- 고르기 디엥
- 엘 하지 말리크 디우프
- 알라산 디오프
- 셰이크 안타 디오프
- 데사가나 디오프
- 파파 부바 디오프
- 소피아네 디오프
- 파피 질로보지
- 무사 지테
- 요로 디아오
- 바예 팔(Battling Siki)
- 마이사 비궤 응고네 팔(Maissa Bigué Ngoné Fall)
- 압둘라예 파예(Abdoulaye Faye)
- 아므디 파예(Amdy Faye)
- 미카일 파예(Mikayil Faye)
- 자이납 B. 팔(Zainab B. Faal)
- 이브라힘 무하마두 가르바-자훔파(Ibrahim Muhammadu Garba-Jahumpa) (정치인)
- 이드리사 게예
- 압둘 인자이
- 파투 칸
- 안타 마지겐 은디아예 킹슬리
- 마마두 룸
- 지브릴 디오프 맘베티(영화 감독)
- 카라 음보지
- 은다테 얄라 음보지
- 넴보트 음보지
- 알프레드 은디아예
- 셰리프 은디아예(Cherif N'Diaye)
- 담 은도예
- 오마르 응곰
- 조르주 니앙
- 마마두 니앙
- 마모르 니앙
- 이브라힘 니아스
- 압달라 S
- 테테
- 뎀바 티암
- 이드리사 티암
- 압둘라예 와데
- 파파 와이고
- 셈베느 우스만
- 조제프 불로뉴 슈발리에 드 생 조르주 - 어머니가 월로프족
참조
[1]
웹사이트
Senegal Population 2019
http://worldpopulati[...]
2019-06-17
[2]
웹사이트
2013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Spatial Distribution
https://www.gbos.gov[...]
The Republic of The Gambia
2005-04-30
[3]
웹사이트
What Is The Ethnic Composition Of Mauritania?
https://www.worldatl[...]
2019-08-16
[4]
웹사이트
Wolof
https://en.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3-10
[5]
웹사이트
Africa: Senegal
https://www.cia.gov/[...]
US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2-11-14
[6]
서적
The History of Islam in Africa
https://books.google[...]
Ohio University Press
2000
[7]
서적
Senegal
https://books.google[...]
Infobase
2005
[8]
서적
Shi'i Cosmopolitanisms in Africa: Lebanese Migration and Religious Conversion in Senegal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5
[9]
간행물
The Development of Caste Systems in West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10]
서적
Pragmatism in the Age of Jihad: The Precolonial State of Bundu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11]
서적
Encyclopedia of Af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2]
서적
Wollof - English Dictionary
https://fsi-language[...]
Peace Corps The Gambia
1995
[13]
웹사이트
Cultural Summary: Wolof
https://ehrafworldcu[...]
Human Relations Area Files
[14]
웹사이트
Wolof
http://www.lrc.colum[...]
Language Resource Center, Columbia University
2009
[15]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16]
서적
The Diner's Dictionary: Word Origins of Food and Drink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7]
서적
Peoples of the Gambia: The Wolof
http://www.smcm.edu/[...]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Press
1985
[18]
서적
wollof empire
ancient history encyclopedia
[19]
서적
Peoples of the Gambia: The Wolof
http://www.smcm.edu/[...]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Press
1985
[20]
서적
Slavery in Africa: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77
[21]
서적
Peoples of the Gambia: The Wol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Press
1985
[22]
서적
Slavery in Africa: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77
[23]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Culture, Volume 9: Africa and the Middle East
G. K. Hall
1996
[24]
서적
New Perspectives on Islam in Senegal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09
[25]
서적
Peoples of the Gambia: The Wol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Press
1985
[26]
서적
A History of Islamic Societ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7]
서적
A History of Islamic Societ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8]
서적
Peoples of the Gambia: The Wol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Press
1985
[29]
서적
Peoples of the Gambia: The Wol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Press
1985
[30]
서적
Urbanization and African cultures
Carolina Academic Press
2005
[31]
서적
Wolof
Lincom
2003
[32]
서적
Creativity of Power: Cosmology and Action in African Societies
Smithsonian Institution
1989
[33]
서적
Migration and Membership Regimes in Glob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2013
[34]
서적
Pragmatism in the Age of Jihad: The Precolonial State of Bundu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35]
서적
Islamic Society and State Power in Senegal: Disciples and Citizens in Fatic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36]
간행물
When Talk Isn't Cheap: Language and Political Economy
https://www.jstor.or[...]
Vol. 16, No. 2 (May, 1989), pages 253–254
1989
[37]
서적
Islamic Society and State Power in Senegal: Disciples and Citizens in Fatick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38]
서적
Slavery in Africa: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77
[39]
서적
Peoples of the Gambia: The Wolof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Press
1985
[40]
논문
The Development of Caste Systems in West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41]
서적
West Africa During the Atlantic Slave Trade: Archaeologic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01
[42]
논문
Persistance des castes dans la société wolof contemporaine
1966
[43]
논문
When Talk Isn't Cheap: Language and Political Economy
1989
[44]
서적
Peoples of the Gambia: The Wolof
http://www.smcm.edu/[...]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Press
1985
[45]
서적
HRAF Study: Culture of Wolof in Senegal and the Gambia
http://ehrafworldcul[...]
Yale University Press
1999
[46]
논문
Shaikh Amadu Ba and Jihad in Jolof
1975
[47]
간행물
The Economic Base of Wolof Polygyny
https://www.jstor.or[...]
Vol. 11, No. 4 (Winter, 1955), pages 391-403
1955
[48]
논문
The Perverse Effects of High Brideprices
2007
[49]
논문
Aristocrats, Slaves, and Peasants: Power and Dependency in the Wolof States, 1700–1850
1988
[50]
서적
Slavery in Africa: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77
[51]
논문
The Role of Slave Labor in Groundnut Production in Early Colonial Kano
2010
[52]
서적
Slavery in Africa: Historical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7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