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반은 학생이 규정된 학년보다 빠르게 진학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초등학교에서 3회,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각각 3회까지 월반이 허용되지만, 미국은 횟수 제한이 없다. 월반은 학교를 일찍 시작하거나, 학생의 의지와 교사의 수용성, '아이오와 가속도 척도' 설문 조사 등을 통해 결정된다.
일본에서는 습득주의와 연령주의에 근거하여 월반이 이루어지며, 연령에 따른 표준 학년을 초과하는 월반은 고등학교 이하 학교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월반의 대안으로는 능력별 집단, 무학년제 학교, 심화 학습, 심화 프로그램 등이 있다. 월반은 학생의 정서적, 사회적 준비 부족, 지식 격차 등과 관련된 논쟁을 야기하며, 픽션에서도 월반 학생이 등장하기도 한다. 테오도어 카진스키, 셜리 템플, 스티븐 호킹 등 여러 저명인사들이 월반 경험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월반 |
|---|
2. 대한민국의 월반
대한민국에서는 학년별 학생 수의 10% 이내, 초등학교 3회, 중 · 고등학교 3회에 한해 월반을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1] 학년제 또는 등급제를 채택하고 있는 학교에서 한 학년 이상을 뛰어넘어 졸업을 인정받는 경우를 '''조기 졸업'''이라고 부른다.[1]
국가마다 월반 제도가 있는 경우가 많다.
조기 교육, 엘리트 교육, 영재 교육 제도에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월반은 학생을 단순히 윗 학년으로 옮기기만 하면 되므로 학교 측의 부담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다.[1] 학생 측면에서도 학비를 절약할 수 있다는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1]
월반의 반대말은 "정상적인 진급" 또는 "유급"이며, 월반 입학의 반대말은 "현역" 또는 "재수생"이다.[1]
3. 외국의 월반
대한민국에서는 학년별 학생 수의 10% 이내로 월반을 허용하며, 초등학교에서 3회, 중·고등학교에서 3회까지 가능하다.
미국의 경우 대한민국과 달리 월반 횟수에 제한이 없으며, 유럽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의 경우 초·중학교 의무 교육에서는 "연령 상당 학년"을 초과하는 학년으로 재적을 인정하지 않아, 조기 교육이나 영재 교육을 목적으로 한 월반은 인정되지 않는다.
3. 1. 미국
미국에서는 대한민국과 달리 월반 횟수에 제한이 없다. 10세 미만의 어린아이라도 실력만 갖추면 대학 졸업장을 받을 수 있다.[2] 이는 유럽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유급 제도도 병행되기 때문에, 40세가 넘는 고령자라도 실력이 부족하면 상위 학년으로 진급하지 못한다.
미국에서는 학교 내 월반, 학교 간 조기 입학, 조기 취학이 모두 활발하며, 월반의 적절성 여부는 "아이오와 조기 학습 척도"를 통해 판단한다. 이 척도는 학생의 의지와 교사의 수용성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형제자매와 같은 학년이 되거나, 이미 같은 학년에 형제자매가 있는 경우는 월반을 권장하지 않는다.[4]
3. 2. 일본
일본에서의 월반·조기 입학은 습득주의에 근거한 것과 연령주의에 근거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적 우수자가 17세에 대학교에 입학하는 것은 습득주의에 근거한 조기 입학이며, 11세의 초등학교 3학년이 전학 간 곳에서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강제로 초등학교 6학년에 편입되는 것은 연령주의에 근거한 월반이다.
실무상으로는 그 연령에서 소속될 수 있는 표준적인 학년 상한이 정해져 있다. 월반·조기 입학은 그것을 넘는 것과 넘지 않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중학교 1학년이 학년말에 중학교 2학년을 월반하여 중학교 3학년으로 진급하는 경우, 중학교 1학년의 4월 1일 시점에서 12세라면 그것은 연령에 따른 표준적인 학년 상한을 넘는 월반이며, 13세 이상이라면 그것은 연령에 따른 표준적인 학년 상한을 넘지 않는 월반이다.
과년도생에 대해서는 연령주의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월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고등학교 이하의 학교(초등학교·중학교의 의무교육 9년 및 고등학교 등 3년)에서는, "'''학생은 평등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연령에 따른 표준적인 학년 상한을 넘는 월반은 절대로 인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유급이나 취학 유예나 과년도생(재수 등)도 드물고, 가령 자발적인 유급을 희망하더라도, 특별한 일이 없는 한 거의 진급하게 된다. 한편, 대학교(학부·대학원)에서는 한정적으로, 연령에 따른 표준적인 학년 상한을 넘는 월반·조기 입학도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의 학교 제도는 초·중학교의 의무 교육에서는 "연령 상당 학년(연령주의와 과정주의 참조)"을 초과하는 학년으로의 재적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조기 교육이나 영재 교육을 목적으로 월반을 실시하는 것은 인정되지 않는다. 학년제를 채택하는 고등학교에서도 마찬가지이며, 해당 연령에서 소속 가능한 최고 학년을 초과할 수 없다.
다만, 학적 변동 없이 실질적으로 윗 학년에서 수업이 진행되는 운용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에도가와 학원 토리데 중학교·고등학교에서는 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특정 교과만 월반하여 재적 학년은 그대로 1년 위의 학년에서 수업을 받을 수 있다.
교육 개혁에 따라 영재 교육으로서의 월반 제도 도입이 논의되고 있지만, 고등학교 이상의 학교에서는 문부과학성령으로 연령의 하한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문부과학성만의 판단으로 연령을 낮출 수 있다(덧붙여, 연령의 상한은 성령 등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 초·중학교의 의무 교육에서는 교육 기본법·학교 교육법에 의해 학령과 수업 연한이 정해져 있으므로, 월반 제도의 도입에는 법 개정이 필요하며, 또한 학교 교육법에 규정되는 의무 교육 학교에의 취학 유예도 건강한 학생에게 사실상 운용되지 않으므로, 상급 학교로의 조기 취학의 경우도 법 운용의 개정이 필요하다.
학령에 미달하는 자녀가 실수로 초등학교에 취학하여, 그대로 표준 연령보다 낮은 연령으로 재학을 계속하는 것을 추인받은 사례(학령 참조)도 있었지만 이는 예외적인 것이다.
또한, 취학 유예와 취학 면제를 받아 상당한 연령에 도달한 경우에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가 아니라 2학년 이후에 편입학할 수 있는 제도도 있다.
중학교 졸업 정도 인정 시험의 합격자는 중학교를 졸업하지 않고 고등학교의 응시 자격이 부여된다. 다만, 15세 이상이라는 연령 제한이 있다. 초등학교를 졸업하지 않고 중학교에 입학하기 위한 공적인 자격 시험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특수 교육 학교에서는 초등부에 일시적으로 편입하여 졸업 증서를 받게 하는 등의 방법으로, 야간 중학교에서는 초등학교로의 편입은 하지 않고 직접 입학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처치한다고 한다.
정확히는, [수득주의]에 기반한 조기 졸업에 관한 제도로, [월반]은 아니지만, 정시제 고등학교・통신제 고등학교에서의 '''3수제'''라고 불리는 제도도 여기서 기술한다.
고등학교에서 졸업에 필요한 단위는 74단위이며, 통상의 정시제 고등학교나 스쿨링을 월 2~3회 실시하는 구래식 통신제 고등학교의 교육 과정에서는, 이수할 수 있는 수업 시수의 사정상 입학에서 졸업까지 4년 이상이 소요되지만, 다른 과정이나 다른 시간대의 수업을 병행 이수하거나, 고졸 검정고시나 각종 검정 합격으로 단위 대체가 인정됨으로써, 정시제 고등학교・통신제 고등학교에서도 3년간의 재학 기간으로 졸업할 수 있는 제도가 있으며 '''3수제'''라고 불리고 있다. 3수제는 현재 거의 모든 통신제 고등학교와 일부 정시제 고등학교에서 채택되고 있다.
대학교 정규 과정 입학 연령은 기본적으로 18세 이상이지만 (학교교육법 제90조 제1항에 따라 고등학교 등을 졸업. "대학 입시#응시 자격" 참조), 특정 분야에서 특히 뛰어난 자질을 가진 자는 18세 미만이라도 입학할 수 있다 (동조 제2항). 단, 월반 후 대학교를 중퇴한 경우에는 최종 학력이 고등학교 중퇴가 되어 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을 잃게 되며, 다시 대학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정도 인정 심사 규칙에 따른 고등학교 졸업 정도 인정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8]。
지바 대학이나 메이조 대학 등에서는 수학, 일본체육대학 등에서는 체육 (스포츠에서 뛰어난 자질을 가진 자·올림픽-국제 대회 상위 입상자) 분야에서 특히 재능이 있다고 여겨지는 고등학생 등을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하여, 17세 이하의 고교 등의 1학년 및 2학년이 2, 3학년을 이수하지 않고 대학교 1학년이 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단, 고등학교에서의 학교 내신 등에 따라, 응시 자격에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다.
2006년도까지의 누계 입학 실적이 있는 곳은 이상 3개교뿐이며 인원은 지바 대학 41명, 메이조 대학 20명, 아이즈 대학 1명으로 총 62명이다[9]。
2005년도부터 세이조 대학, 쇼와 여자 대학교, 엘리자베트 음악대학 (설립: 1948년, 구 명칭: 히로시마 음악학교)이 월반 입학 제도에 의한 학생 수용을 시작했다. 엘리자베트 음악대학 및 세이조 대학에서는 2007년도에 첫 입학자가 있었지만, 쇼와 여자 대학교에서는 현재까지 입학자가 없다.
대학교 월반 입학은 1997년 (헤이세이 9년)에 법 개정으로 수학 및 물리 분야에 한해 해금되었고, 1998년 (헤이세이 10년)에 지바 대학이 시작했다. 2001년도 (헤이세이 13년도)부터 전 분야에서 해금되었다. 대학원이 있는 대학교만 월반 입학을 실시할 수 있다.
쇼와 여자 대학교에서는 부속 고등학교의 3학년 중 일부가 대학교에서 공부할 수 있다. 그러나 학적은 고등학교에 있으며, 대학교에서는 5년간 공부하게 되므로, 고교-대학 연계의 일환으로 여겨지며, 월반이 되지 않는다. 현재는 고등학교 3학년의 약 절반이 이 제도를 이용하고 있는 듯하다 (상기의 월반 입학과는 별도의 제도).
고등학교 졸업 정도 인정 시험(대학 입학 자격 검정)이나 국제 바칼로레아 자격 등의 자격을 취득한 자가, 고등학교 졸업이라는 학력이 없어도 대학에 입학할 수 있다. 단, 고등학교 졸업 정도 인정 시험에 관해서는 18세 이상이라는 연령 제한이 있다.[10]
1977년 3월, 국립대학협회 제2상임위원회에서 졸업에 필요한 학점을 취득하고 우수한 학생에게는 3년차 종료 후 대학원 입학 시험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 승인되었다.[11]
일부 대학에서는 특히 우수한 학생을 대상으로 3년 조기 졸업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일부 대학원에서는 학부 3년차 수료 후 입학할 수 있는 제도가 있다. 이 경우, 대학의 3년차 졸업 제도를 병용하면 대학 졸업으로 간주되지만, 제도가 없는 경우에는 중도 퇴학으로 처리된다. 젊은 층뿐만 아니라, 정년 퇴직 후 입학한 사람의 조기 입학도 있다고 한다. 대학원에서는 석사 과정, 박사 과정 모두 조기 수료가 가능하다.
귀국 자녀의 경우 일본에서의 연령주의에 따른 "연령 해당 학년"과 본인의 학습 단계가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일본의 대부분의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연령주의를 기준으로 하고 있어 학습 단계보다 윗 학년에 소속되는 경우[12]가 있으며, 어학·학업·환경·정서적인 면에서 아동에게 부담을 주는 것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영재 교육으로서의 월반과는 성격이 다른 원치 않는 월반이라고 한다[13]。
원칙적으로는 각종 통달에 의해 연령주의에 의한 월반도 수득주의에 의한 월반과 마찬가지로 불가능하다고 되어 있지만, 실태로는 위와 같은 일도 일어나고 있다. 또한, 자치체(각 교육 위원회)에 따라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일본 국내에서의 전학에서도 전출처의 연령주의가 강하면, 전출에 따라 월반이나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의 조기 입학을 시키거나, 학령 초과로 인해 전학이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있다.
1947년(쇼와 22년)의 연합군 최고사령부(GHQ/SCAP)의 점령 정책의 일환으로 실시된 학제 개혁 이전에는 어느 정도 제도적으로 월반이 가능했다. 본래는 5년제인 구제 중학교에서 4년 수료로 구제 고등학교, 3년제인 대학 예과에 입학할 수 있는 시스템(소위 '''4수''') 및 6년제의 심상 소학교 5년 수료로 구제 중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시스템(소위 '''5수''')이 있었다. 또한 심상과를 병설한 7년제의 구제 고등학교는 자동적으로 월반을 약속하는 존재였다고 할 수 있다.
4수자는 학력 면에서 우월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구제 고등학생의 교양주의적 가치관 속에서는 체격이나 인격, 독서량 면에서 얕잡아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몇 년이나 재수를 반복하거나, 혹은 사회인 생활을 거쳐 구제 고등학교에 입학한 학생일수록 존경받았다"는 것을 구제 우라와 고등학교 출신의 진다이치 하루히코는 자전에서 기록하고 있다.
심상 소학교 5년부터의 월반은 1931년 1월 10일의 "쇼와 6.1.10 문부성령 2 중학교령 시행 규칙 39조 2항 단서"에서 가능했다.
4. 월반의 대안
- 능력별 집단 – 학생들을 동일한 학급에 유지하면서 성취도에 따라 소규모 그룹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어린 학생들을 대상으로 공식적인 학년 수준보다 높은 수준의 읽기 기술을 가르칠 수 있다.
- 무학년제 학교 – 연령에 따른 학년을 거부하고 각 과목별 개인의 성취도를 바탕으로 혼합 연령 학급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학교 시스템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2학년 수준으로 간주되는 글쓰기를 가르치는 학급에는 이미 글쓰기 능력이 뛰어난 어린 학생, 해당 연령의 일반적인 학생, 그리고 아직 글쓰기 능력을 키우고 있는 나이 많은 학생 등 모든 연령의 학생들이 있을 수 있다. 다음 수업 시간에는 다른 과목을 위해 다른 그룹의 학생들이 모일 것이다.
- 심화 학습 – 특정 과목에서 눈에 띄게 뛰어난 학생들을 위한 방식이다. 이는 해당 과목에 한해 학생의 수업 배정을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8학년 학생이 9학년 학생들과 함께 수학 수업을 들을 수 있지만, 나머지 수업은 해당 연령의 일반적인 또래들과 함께 듣는다.
- 심화 프로그램 – 더 빠르게 진도를 나가는 대신, 학생은 표준 커리큘럼을 심화하거나 추가 프로젝트를 추가하여 풍부하게 만드는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5. 월반 관련 논쟁
월반은 학생의 능력에 맞춰 교육 과정을 조정하는 제도이지만, 이에 대한 논쟁은 여러 측면에서 존재한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월반 횟수에 제한이 없어, 어린 나이에도 실력만 있다면 대학 졸업이 가능하다. 이는 유급 제도와 함께 운영되어, 나이가 많더라도 실력이 부족하면 상위 학년으로 진급할 수 없다.[2]
월반이 성공하려면 학생의 의지와 교사의 수용성이 중요하다. '아이오와 가속도 척도(IAS)'라는 설문 조사를 통해 학생의 월반 적합성을 평가한다. IAS는 다음 네 가지 상황에서는 월반을 권장하지 않는다.
# 학습자가 지능 검사에서 115점 미만을 받은 경우
# 나이 많은 형제자매와 같은 학년으로 올라가는 경우 (형제 관계 갈등 유발 가능성)
# 현재 형제자매와 같은 학년에 있는 경우
# 학습자가 월반을 원하지 않는 경우[4]
월반은 추가적인 자원 투입 없이 학생의 학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비용 효율적인 방법이다.[5] 특별한 자료나 프로그램 없이 학생을 상위 학년 교실에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며, 이는 학교에 추가적인 비용 부담을 주지 않는다.[6]
그러나 월반에 대한 반대 의견도 있다. 학생이 학업적으로는 준비되었지만 정서적, 사회적으로 미성숙한 상태에서 상위 학년으로 진급하여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2] 또한, 동료 학생들에 비해 지식 격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된다.[2]
월반으로 인해 학생은 기존 학급에서 나와 새로운 학급에 적응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이전 급우들과의 관계가 단절되고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2] 하지만, 많은 영재 학생들은 자신과 비슷한 지적 수준을 가진 나이 많은 학생들과 더 쉽게 친구가 되는 경향이 있다.[2]
일본에서는 월반 및 조기 입학이 습득주의와 연령주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성적 우수자가 17세에 대학교에 입학하는 것은 습득주의에 기반한 조기 입학이며, 11세 초등학생이 나이를 이유로 상위 학년에 편입되는 것은 연령주의에 따른 월반이다.
일본에서는 원칙적으로 연령주의에 따른 월반은 불가능하지만, 귀국 자녀의 경우 학습 단계와 "연령 해당 학년"이 맞지 않아 원치 않는 월반이 발생할 수 있다.[12] 이는 어학, 학업, 환경, 정서적인 면에서 학생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13]
현재 일본에서는 유년기 월반은 거의 선택되지 않지만, 대학교 학부 입학 후에는 사실상 월반이 허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속 가능한 최고 학년을 대폭 초과하는 월반 제도 도입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이 강하다.
6. 픽션에서의 월반
픽션에서도 월반 학생이 등장하는 경우가 있지만, 반드시 무대가 되는 국가의 교육 제도를 따르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15세 미만으로 고등학교에 입학한 인물의 예시이지만, 모두 현행 일본의 법 제도에서는 불가능하다.
- 동급생은 13세 - 주인공인 휴가 나츠코(배우: 고토 쿠미코)는 13세에 고등학교로 전학했다는 설정이다.[14]
- 아즈망가 대왕 - 주인공인 미하마 치요는 월반으로 10세에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에 입학했다는 설정이다.[15]
- 하야테처럼! - 히로인인 산젠인 나기와 친구인 사기노미야 이스미, 타치바나 와타루는 13세, 나기의 전속 메이드인 마리아는 10세에 하쿠오 학원 고등부에 입학한다.
또한, 입학한 학교가 특별히 고도의 교육을 하는 것처럼 묘사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7. 저명한 월반 경험자
- 테오도어 카진스키: 미국의 수학자. 16세에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전 수학조교수였으며, "유나바머"로 불리는 연쇄 폭탄 사건을 일으켜 종신형을 선고받았다.[16]
- 셜리 템플: 미국의 여배우・외교관. 12세에 미국 최난관 사립 중고등학교 중 하나인 웨스트레이크 여자고등학교에 입학하여 17세에 졸업했다.
- 찰스 M. 슐츠: 미국의 만화가. 만화 『피너츠』의 작가이다. 초등학교 시절 2학년 월반을 했다.
- 스티븐 호킹: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17세에 옥스퍼드 대학교에 입학했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을 앓았지만, 양자 우주론을 중심으로 많은 업적을 남겼다.
- 아이작 아시모프: 미국의 SF 작가・생화학자. 15세에 컬럼비아 대학교에 입학하여 19세에 졸업했다.
- 그레고리 클라크: 다마 대학교 총장. 호주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한 번씩 월반했다.
- 야노 쇼: 영재. 9세에 미국 로욜라 대학교 시카고, 12세에 시카고 대학교 메디컬 스쿨에 입학하여 18세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아버지는 일본인, 어머니는 한국인이다. IQ 200.[17]
- 모치즈키 신이치: 수학자. 교토 대학 교수. 프린스턴 대학교에 16세에 입학하여 19세에 졸업했다. ABC 추측의 증명으로 독창적인 "우주제 타이히뮬러 이론"을 발표했다.
-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전 국무장관,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 15세에 덴버 대학교에 입학했다. IQ 136 (6세 때 측정).[18]
- 레이디 가가: 미국 가수. 뉴욕 대학교 예술 학부에 17세 때 입학했다.
- 테렌스 타오: 필즈상 수상 수학자, UCLA 교수. 영재. 9세에 플린더스 대학교로 월반했다. 10세에 수학 올림피아드에 출전하여 동메달, 다음 해에 은메달, 그 다음 해에 사상 최연소로 금메달(세계 기록)을 땄다.
- 우타다 히카루: 싱어송라이터. 뉴욕의 초등학교에 다니던 시절 2학년에서 4학년으로 월반했다. 컬럼비아 대학교에 진학했으나 졸업하지 않고 중퇴했다.
- 오카 기요시: 일본의 수학자. 보통 학교에 1년 빨리 입학했다.
- 단후지 시게미쓰: 일본의 법학자.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월반으로 졸업했다.
- 이고리 로스티슬라보비치 샤파레비치: 17세에 모스크바 대학교 졸업 자격을 얻어, 19세에 석사 학위, 23세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19]
- 임동혁: 14세에 모스크바 음악원에 입학하여, 19세에 석사 상당으로 인정받아 졸업했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Educational Psychology
SAGE Publications
2008
[2]
간행물
"A Nation Deceived: How Schools Hold Back America's Brightest Students"
University of Iowa
[3]
웹사이트
The Benefits of Skipping a Grade
http://www.perfectin[...]
Perfecting Parenthood
2012-08-29
[4]
서적
Re-forming Gifted Education: Matching the Program to the Child
Great Potential Press, Inc.
2002
[5]
서적
A History of American Gifted Education
Routledge
2018
[6]
뉴스
Are We Failing Our Geniuses?
https://web.archive.[...]
Time
2007-08-16
[7]
문서
20歳での大学院所属は、17歳での大学入学と、大学早期卒業あるいは大学院飛び入学の組み合わせで実現可能である。
[8]
PDF
高等学校卒業程度認定審査の概要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9]
뉴스
朝日新聞
2007-05-14
[10]
웹사이트
入学資格に関するQ&A(平成31年1月31日現在)【Q&A regarding university admissions qualifications (as of January 31, 2019) 】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9-01-31
[11]
뉴스
「飛び級」復活を検討
朝日新聞
1977-03-08
[12]
문서
日本の学校教育制度に基づいた年齢と学年の定義に一致させること。
[13]
웹사이트
望まざる「飛び級」 …子どもの編入学年問題を巡る事例調査報告
https://web.archive.[...]
www.kikokusha-center.or.jp
2019-05-11
[14]
문서
学校教育法第17条第2項では、「保護者は、子が小学校の課程(中略)を修了した日の翌日以後における最初の学年の初めから、満15歳に達した日の属する学年の終わりまで、これを中学校(中略)に就学させる義務を負う」と規定されているため、13歳での高校入学は不可能である。
[15]
문서
学校教育法第17条第1項では、「保護者は、子の満6歳に達した日の翌日以後における最初の学年の初めから、満12歳に達した日の属する学年の終わりまで、これを小学校(中略)に就学させる義務を負う」と規定されているため、10歳での高校入学は不可能である。
[16]
뉴스
アメリカ揺るがした「ユナボマー」が死亡 連続爆発で終身刑の受刑者
https://www.asahi.co[...]
2023-06-11
[17]
웹사이트
Boy Wonder
https://web.archive.[...]
uttm.com
2019-05-11
[18]
서적
コンドリーザ・ライス自伝
扶桑社
2012
[19]
웹사이트
イーゴリ・ロスチスラヴォヴィッチ・シャファレヴィッチ
https://web.archive.[...]
kanielabo.org
2019-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