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버모르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버모르겐은 인터넷, 설치, 비디오, 소프트웨어, 퍼포먼스 등 디지털 미디어를 융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작품을 제작하는 예술가 그룹이다. 초기에는 '미디어 해킹'을 통해 대중에게 다가갔으며, 《Voteauction》(2000)과 같은 프로젝트로 주목받았다. 이후 크리스토프 슐링겐지프와 협업한 《NAZI~LINE》(2001), EKMRZ 3부작(2005), 《TORTURE CLASSICS》(2011) 등 개념적이고 논쟁적인 작품들을 선보였다. 샌프란시스코 현대 미술관, 퐁피두 센터 등 유수의 미술관에서 전시를 가졌으며, 팍스 아트 어워드, 스위스 아트 어워드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술가 집단 - 제1빈악파
  • 예술가 집단 - 힙노시스
    힙노시스는 스톰 소거슨과 오브리 파월이 결성한 영국의 앨범 커버 디자인 팀으로, 핑크 플로이드, 레드 제플린 등 유명 아티스트들의 앨범 커버를 디자인하며 명성을 얻었고, 1983년 해산했다.
위버모르겐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UBERMORGEN.COM lizvlx & Hans Bernhard with Guantanamo Bay Prison Guard Chris Arendt
UBERMORGEN.COM lizvlx & Luzius Bernhard와 관타나모 베이 교도소 경비원 크리스 아렌트
결성일1995년
국적오스트리아/스위스/미국
직업예술가 듀오
활동 분야설치 미술
인터넷 예술
비디오
사진
퍼포먼스
사조미디어 해킹
개념 미술
교육빈 응용미술대학교
빈 경제경영대학교
주요 작품Voteauction
Nazi~Line
EKMRZ-Trilogy
Generator Tetralogy
CLICKISTAN
Asylabwehramt
Superenhanced
WOPPOW
수상ARCO Beep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IBM
스위스 예술상

2. 작품 활동

위버모르겐의 주요 작품은 인터넷 예술/넷 아트, 설치, 비디오 아트,[5][6] 사진, 소프트웨어 아트,[7] 퍼포먼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디지털 미디어[8]의 융합을 활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작품을 제작하고 게시한다.[9][10]

그들의 초기 작품은 매우 많은 대중에게 도달하기 위해 로우테크 도구를 사용한 '미디어 해킹' 프로젝트였다.[11][12] 그들의 가장 잘 알려진 프로젝트인 Voteauction(2000) 작업 중 CNN.com은 그들을 "독립적인 오스트리아 사업가"라고 불렀다.[13] 이 프로젝트로 인해 일리노이, 텍사스, 애리조나, 캘리포니아, 미주리, 매사추세츠, 위스콘신에서 소송이 쇄도했다.[14]

2001년에는 크리스토프 슐링겐지프와 협력하여 취리히에서 햄릿 프로젝트인 NAZI~LINE을 개발하고 연출했다. 이는 실제보다 더 큰 가짜 네오 나치 헬프라인이자 출구 전략 찾기 기관이었다.

2005년에는 개념적 해킹 시리즈인 EKMRZ 3부작(GWEI[15][16]구글 Will Eat Itself, 아마존 느와르, 그리고 eBay의 소리)을 시작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그들의 초점은 연구 기반 작품(Superenhanced, WOPPOW, KRAFT 시리즈)[17]와 TORTURE CLASSICS[18] 및 CLICKISTAN(휘트니 미술관에서 의뢰)과 같은 록 아트 제작에 맞춰졌다.[19] 이 기간 동안 그들은 비디오 작업을 광범위하게 시작했다.

1999년 이후 그들의 작품은 유럽, 미국, 아프리카, 호주, 아시아의 박물관과 갤러리에서 전시되었으며, 샌프란시스코 현대 미술관 (SFMOMA), 퐁피두 센터, 콘스트할 말뫼, NTT ICC 박물관 도쿄,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ZKM 카를스루에, MUMOK 비엔나,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린츠, WRO 미디어 아트 비엔날레 브로츠와프, 타이페이 현대 미술관 (MoCA Taipei), 비테 데 비트 로테르담, 렌토스 미술관 린츠, 시드니 비엔날레, ARCO 마드리드 및 뉴 뮤지엄 뉴욕과 같은 장소를 포함한다.[20]

그들은 파비오 파리 브레시아, [DAM] 베를린, 캐롤 / 플레처 런던에 의해 대표되었다.

2. 1. 초기 넷 아트

위버모르겐은 초기에는 '미디어 해킹'이라는 전략을 사용하여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51] 2001년에는 크리스토프 슐링겐지프와 협력하여 취리히에서 네오 나치 헬프라인을 가장한 《NAZI~LINE》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연출했다.[51] 《나치~라인》은 독일 내 신나치주의 추종자의 사회화를 돕기 위한 정부 정책이라고 홍보된 가공의 헬프라인이다.[51] 쉴링겐지에프는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고전 《햄릿》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연극을 선보였는데, 실제로 나치주의 운동에 가담했던 인물을 배우로 등장시켰다.[51] 작품은 중립국 지위를 획득한 스위스우파 극단주의를 직접적으로 비판해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켰으며, 스위스의 우파 정당 SVP는 이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기도 했다.[52]

2. 2. EKMRZ 3부작 (2005)

2. 3. Injunction Generator (2002)

《Injunction Generator》는 위버모르겐이 제작한 예술적인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요청 시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오프라인으로 강제하기 위해 법적 금지 명령 및 개인화된 문서를 .rtf/.pdf 형식으로 생성한다고 주장한다.

"급진적인 기업 마케팅 전략" (미디어 해킹)의 원칙을 고수하면서, 중지 및 중단 요구를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인터페이스를 제작했는데, 이는 자동으로 DNS 관리자, 사이트 소유자 및 일부 언론인에게 전송되어 "공개 재판"을 지원하도록 유도한다.

이 프로젝트는 ''ipnic.org''에서 발표되었는데, 이는 공식 프로토콜 (인터넷 프로토콜 - 네트워크 정보 센터)을 "인터넷 콘텐츠 없음 파트너십"으로 재해석한 약어이다.

이 풍자적인 도발("공개 중단 서비스")은 2000년에 미국 시민들에게 투표를 경매에 부치도록 초대한 보트옥션 예술 프로젝트 중에 비슷한 사고를 겪은 후에 구상되었다. 당시 미국 법원의 이메일 금지 명령이 사이트를 호스팅하는 스위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로 전송되었고, 이메일로 전송된 문서는 법적으로 공식적으로 간주되지 않고 스위스가 미국의 관할권 밖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즉시 사이트를 오프라인으로 만들었다.

2. 4. TORTURE CLASSICS (2011)

《TORTURE CLASSICS》는 가공의 음악 앨범과 퍼포먼스 형태로 발표된 작품이다. 저스틴 비버Baby원더걸스2 Different Tears와 같은 음악이 수록되었다. 대한민국 안산시 대부도에 위치한 경기창작센터에서 지정된 인물이 24시간 동안 강제로 노래를 듣는 형식의 퍼포먼스가 열렸다. 작품 설명은 퍼포먼스가 벌어진 대부도의 한 고아원에서 일본 제국군이 고문 행위를 벌였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

2. 5. 기타 작품

3. 주요 전시 및 경력

위버모르겐은 조르주 퐁피두 센터, 모마 PS1, 뉴 뮤지엄, 광주 비엔날레에서 전시에 참여하고 서펜타인 미술관과 휘트니 미술관에서 작품 제작을 의뢰받았다.[50] 람슈타인, 서맨사 폭스, XXX텐타시온, 올란자핀LSD, KFC코코넛 새우의 사회 운동을 영감의 원천으로 꼽았다.[50]

4. 협업 및 네트워크

위버모르겐은 지난 15년 동안 세계적인 현대 기술 예술계에서 활동하며 다양한 예술가들과 협력 관계를 맺어왔다. 넷 아티스트 알렉세이 슐긴,[41] 히스 번팅,[42] 올리아 리알리나, 부크 코시치 등과 교류했다.[43] 현대 예술가 아람 바솔, 파올로 치리오, 제임스 파우더리, 에반 로스 등과 협력했다. 또한 자유 예술 기술 연구소와 그래피티 연구소에서 활동했고, 프랑코와 에바 마테스 (0100101110101101.org), IRWIN, 프란츠 베스트, 야네즈 얀샤, 요하네스 그렌츠퍼트너 (모노크롬), 카르스텐 니콜라이, 미네르바 쿠에바스, 예스 멘,[44] 장 페일리, 조디, 밀토스 마네타스, 라파엘 로자노-헤머, 트레버 파글렌, 더글러스 러시코프, 레프 마노비치, 올가 고리우노바, 니콜라 부리오 등과도 협력했다.

5. 수상 내역

위버모르겐은 2023년 팍스 아트 어워드를 수상했다.[45] 2011년에는 TORTURE CLASSICS로 스위스 아트 어워드를,[46] 2009년에는 EKMRZ-Trilogy로 ARCO 비프 어워드를 수상했다.[47] 2007년에는 Amazon Noir로 IBM 어워드를 수상하였다. 2005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에서 Vote-Auction으로 우수상을 받았고, 2003년과 2005년에는 각각 Injunction Generator와 GWEI – Google Will Eat Itself로 특별언급상을 받았다. 1996년에는 etoy/디지털 하이재킹(Luzius Bernhard)으로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골든 니카를 수상했다.

6. 예술가 배경 및 철학

리즈브이엘엑스(Lizvlx)는 린츠 (오스트리아) 출신이며, 루치우스 베른하르트(Luzius Bernhard)는 예일 대학교 병원 (미국)에서 태어났다.[21][22] 루치우스 베른하르트는 2002년 케이프타운에서 약물 남용과 조증 에피소드로 인해 양극성 장애 진단을 받았다.[24][25][26] 이들의 초기 작품은 아방가르드 넷 아트 운동의 일부였으며,[27][28] 인터넷 아트와 디지털 아트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32][33][34]

1980년대 바젤 예술계에서 장 팅겔리, 요제프 보이스, 다니엘 스포에리 및 에버하르트 W. 콘펠트, 또한 생모리츠에서 니키 드 생팔과의 만남은 이들에게 개인적, 예술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루치우스 베른하르트의 증조부모가 조반니 자코메티의 그림을 구매하면서 시작된 자코메티 가문(조반니 자코메티, 알베르토 자코메티)과의 오랜 관계(1916년, 제1차 세계 대전)또한 이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이 관계는 스위스 그라우뷘덴주의 인근 산악 계곡인 발 브레갈리아와 엔가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40]

자녀와의 협업, 루치우스의 정신 질환, 사생활과 공적 생활의 융합은 일부 비평가들로 하여금 UBERMORGEN.COM을 총체적 예술 작품으로 간주하게 했다.[38]

7. 출판

도메니코 콰란타(Domenico Quaranta)가 편집한 "UBERMORGEN.COM"은 FPEditions에서 브레시아에서 2009년에 출판되었다. 알레산드로 루도비코가 편집한 "UBERMORGEN.COM – 미디어 해킹 vs. 개념미술"은 크리스토프 메리안 출판사에서 바젤에서 2009년에 출판되었다. 2011년에는 "코드화된 문화 - 다양성에서 비롯된 새로운 창작 활동"이 출판되었는데, 이 책은 SpringerWienNewYork 출판사에서 출판되었으며, "누군가의 욕망에서 모두의 책임으로"라는 내용이 포함되어있다. "This is a magazine"의 Pink Laser Beam, Compendium #6은 2009년에 출판되었으며, "Amazon Noir project"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참조

[1] 서적 Futurologischer Kongress http://www.westfaeli[...] Westfälischer Kunstverein (ed) 2006
[2] 서적 Leaving Reality Behind: etoy vs eToys.com & other battles to control cyberspace https://www.amazon.c[...] Ecco 2003
[3] 웹사이트 Haas, Liz Univ.-Prof. Mag. rer. soc. oec. - Contact - dieAngewandte https://www.dieangew[...]
[4] 웹사이트 Bernhard, Luzius Univ.-Prof. Mag.art. - Contact - dieAngewandte https://www.dieangew[...]
[5] 서적 GameScenes. Art in the Age of Videogames http://newmediafix.n[...] Johan & Levi Editore 2006
[6] 서적 Holy Fire. Art of the Digital Age FPEditions 2008
[7] 서적 THE READ_ME Software Art & Cultures Aarhus 2004
[8] 웹사이트 UBERMORGEN.COM at CRE/Chaos Radio with Tim Pritlove http://cre.fm/cre132[...]
[9] 웹사이트 WMMNA/we-make-money-not-art UBERMORGEN.COM Interview http://we-make-money[...]
[10] 서적 Literatur im Netz Triton Verlag 2001
[11] 서적 Just do it! Lentos Museum of Modern Art 2005
[12] 웹사이트 Netzpiraten. Die Kultur des elektronischen Verbrechens https://www.scribd.c[...] Heise / Telepolis
[13] 웹사이트 Vote-selling Web site to be revived, possibly offshore http://transcripts.c[...] 2000-08
[14] 논문 Coercive Disobedience: Art and Simulated Transgression https://doi.org/10.1[...] 2021-07-03
[15] 웹사이트 Will Google Eat Itself? http://www.springeri[...] Springerin.at
[16] 웹사이트 Culture Jamming – Interview with Hans Bernhard http://www.culture-j[...]
[17] 웹사이트 UBERMORGEN.COM Manifesto http://ubermorgen.co[...]
[18] 웹사이트 TORTURE CLASSICS PROJECT 2010 http://tortureclassi[...]
[19] 웹사이트 CLICKISTAN PROJECT 2010 http://clickistan.or[...]
[20] 서적 UBERMORGEN.COM – MEDIA HACKING VS. CONCEPTUAL ART http://ubermorgen.co[...] Christoph Merian Verlag 2009
[21] 웹사이트 Artist Duo Ubermorgen.com Celebrate Tenth Anniversary with New Book http://www.artdaily.[...] Art Daily
[22] 서적 BORDERLINE – Strategien u. Taktiken f. Kunst u. soziale Praxis https://books.google[...] AG Borderline-Kongress (ed) 2002
[23] 웹사이트 Media Art Net / Medienkunstnetz, artist biography UBERMORGEN.COM http://www.medienkun[...]
[24] 웹사이트 HOLY FIRE, Art at the digital age, Psych|OS project, Courtesy Fabio Paris Art Gallery, Brescia http://www.imal.org/[...]
[25] 웹사이트 Scriptum, first UM.COM/Hans Bernhard lecture on "Drugs&Art" after the manic episode 2002 http://ubermorgen.co[...] University of Applied Arts Vienna
[26] 웹사이트 Psych|OS Cycle by UBERMORGEN.COM, 2001–2010 http://ubermorgen.co[...]
[27] 웹사이트 The Guardian, Excerpted from Leaving Reality Behind by Adam Wishart and Regula Bochsler (Fourth Estate) https://www.theguard[...]
[28] 서적 BORDERLINE – Strategien u. Taktiken f. Kunst u. soziale Praxis https://books.google[...] AG Borderline-Kongress (ed) 2002
[29] 웹사이트 Authorized copy of 194.152.164.137, a collaborative project by lizvlx and Andrea Mayr http://www.ubermorge[...]
[30] 서적 Interface Criticism. Aesthetics Beyond Buttons http://www.transmedi[...] Aarhus University Press 2011
[31] 간행물 Exhibition Catalogue Connessioni Leggendarie, Net.Art 1995–2005 ftp://afrolinux.org/[...] ready+made publisher
[32] 웹사이트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2010 Annual Fund Project, About the artists http://whitney.org/M[...]
[33] 학위논문 (Selbst-)Inszenierung – Praxis – Kunst. Eine kulturwissenschaftliche Annäherung an das „hybrid Gesamtkunstwerk ubermorgen.com“ about the relation of the "Gesamtkunstwerk" and Richard Wagner "Das Kunstwerk der Zukunft" http://www.ubermorge[...] Universität Hamburg 2009
[34] 웹사이트 Interview with Wolf Lieser about: "WOLF LIESER – DIGITAL ART – NEUE WEGE IN DER KUNST/THE WORLD OF DIGITAL ART" http://www.art-in-be[...] h.f. ullmann publisher / DAM Berlin – Galerie für Digitale Kunst 2010
[35] 웹사이트 Superenhanced project http://ipnic.org/sup[...]
[36] 간행물 Keynote & Superenhanced Installation at ISEA09 in Belfast, Northern Ireland http://www.isea2009.[...]
[37] 웹사이트 Project website and images, Installation exhibited 18.2. – 29.2.2004 at Kunsthaus Graz http://ubermorgen.co[...]
[38] 논문 Das Genie von übermorgen http://artwarez.org/[...] 2009
[39] 웹사이트 Niki de Saint Phalle 29.10.1930 Neuilly – 21.5.2002 San Diego http://www.g26.ch/be[...]
[40] 문서 Letters, photos, sales contract and the painting are in the ownership of the Bernhard/Pernisch/Plattner family, archived in S-Chanf and Basel/Switzerland
[41] 웹사이트 Bringing Capitalism and Democracy Closer Together, HANS BERNHARD / Ubermorgen Interviewed by Olga Goriunova and Alexei Shulgin http://www.m-cult.or[...]
[42] 웹사이트 OVERGADEN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 in collaboration with Artnode, parallel solo exhibitions Heath Bunting/UBERMORGEN.COM http://rhizome.org/e[...]
[43] 웹사이트 TORTURECLASSICS.COM, UBERMORGEN.COM feat. James Powderly, Korea music torture performance 2010 and Beerboarding Performance Ars Electronica Linz http://tortureclassi[...]
[44] 웹사이트 Funding and collaboration "Salzburg" WTO/GATT.ORG Stunt, 2000 http://theyesmen.org[...]
[45] 간행물 Art Foundation Pax, “Award Winners”. HEK (Haus der Elektronischen Künste), Münchenstein/Basel, “PAX Art Awards 2023” https://www.artfound[...]
[46] 간행물 Oldest and most prestigious Award for Swiss Artists, exhibition and award ceremony during ART Basel http://www.news.admi[...]
[47] 뉴스 .NewArt { foundation;}, “ARCO – BEEP Electronic Art Award”, Fourth edition.„Am Kunstmarkt von Übermorgen“, in: ''Der Standard,'' 15.05.2009. https://www.newartfo[...]
[48] 서적 Leaving Reality Behind: etoy vs eToys.com & other battles to control cyberspace Ecco 2003
[49] 웹인용 Prof. Liz Haas https://www.khm.de/l[...]
[50] 웹인용 Prof. Luzius Bernhard https://www.khm.de/l[...]
[51] 웹인용 NAZI~LINE https://www.naziline[...]
[52] 뉴스 "Nazi-Hamlet": Schlingensiefs Aktionismus provoziert Zürich https://www.spiegel.[...] 2001-04-26
[53] 웹인용 TIME LIFE MUSIC presents TORTURECLASSICS - Infomercial https://vimeo.com/22[...]
[54] 문서 이는 [[선감학원]]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55] 웹인용 Homepage https://tortureclas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