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지중해 지진학 센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럽-지중해 지진학 센터(EMSC)는 1975년 유럽 지진 위원회(ESC)의 요청으로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유럽 및 지중해 지역의 지진 위험 평가와 사회 보호를 목표로 한다. 55개국 84개 기관이 참여하며, 지진의 진앙을 신속하게 결정하여 관계 기관 및 대중에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지진 연구 분야의 과학적 협력을 장려하고, 지진학적 데이터 교환을 촉진한다. EMSC는 웹사이트와 LastQuake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진 데이터를 공개하며, 플래시소싱과 시민 지진학을 활용한 지진 감지 및 대응 방식을 개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유럽-지중해 지진학 센터 | |
---|---|
개요 | |
이름 | 유럽-지중해 지진학 센터 |
프랑스어 이름 | Centre Sismologique Euro-Méditerranéen |
약칭 | EMSC / CSEM |
조직 정보 | |
유형 | 비영리 NGO |
설립일 | 1975년 |
설립 장소 | 프랑스 에손 브뤼예르르샤텔 |
본사 위치 | 프랑스 일드프랑스 브뤼예르르샤텔 |
직원 수 | 10명 (2016년) |
회원 수 | 85개 기관 |
분야 | 지진학 |
서비스 | |
주요 서비스 | 신속한 지진 정보 제공 |
관련 정보 | |
웹사이트 | 유럽-지중해 지진학 센터 공식 웹사이트 |
기타 | |
비고 | 이전 명칭 존재 |
2. 역사
1975년 유럽 지진 위원회(ESC)는 유럽 및 지중해 지역의 지진 위험을 평가하고 사회 보호를 위해 학술 단체가 실시간으로 지진을 측정하고 분석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 권고는 국제 지진학 및 지구 내부 물리학 협회와 국제 측지학·지구 물리학 연합의 지원을 받았다.
유럽-지중해 지진학 센터(EMSC)는 이 권고에 따라 1975년 유럽 지진 위원회(ESC)의 요청으로 설립되었으며, 55개국 84개 기관이 참여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1976년 1월 1일 스트라스부르 지구물리연구소에서 운영을 시작했고, 1983년에 공식적으로 규칙이 정해졌다. 1987년에는 유럽 평의회로부터 주요 위협에 대한 공개부문협약(OPA)에 따라 유럽의 지진 경보 체계인 유럽 경보 체계를 운용하는 주요기관으로 인정받았다.
1993년 12월 13일 로마에서 열린 임시 총회에 의해 규칙이 개정되어 EMSC는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같은 해, 본부를 프랑스의 에손주로 이전했다. 조직은 국제 비영리 조직이며, 멤버의 활동은 지진학의 발전을 위해 헌신한다. 이 권고의 틀 내에서, EMSC는 유럽·지중해 지역에서 발생하는 피해가 예상되는 지진의 진원 결정에 의해 성립되는 지진 경보 시스템을 운영한다. 아울러, 지진 발생 후 1시간 이내에 정보를 공지하게 되었다.
2009년에 발생한 라퀼라 지진에서, 지진학자가 형사 책임을 추궁당할 가능성이 나오자, 지진 예측이 극히 어려웠던 점, 현 시점에서는 지진 위험 지도의 정비와 건물의 내진 성능 향상이 더 효과적이며, 연구자나 EMSC 등의 기관도 여기에 힘을 쏟아 왔다는 것을 표명하며, 이탈리아 검찰의 대응에 항의했다.
2. 1. 설립 배경
1975년 유럽 지진 위원회(ESC)는 유럽 및 지중해 지역의 지진 위험을 평가하고 사회 보호를 위해 학술 단체가 실시간으로 지진을 측정하고 분석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 권고는 국제 지진학 및 지구 내부 물리학 협회와 국제 측지학·지구 물리학 연합의 지원을 받았다.유럽-지중해 지진학 센터(EMSC)는 이 권고에 따라 1975년 유럽 지진 위원회(ESC)의 요청으로 설립되었으며, 55개국 84개 기관이 참여하는 비영리 단체이다. 1975년 1월 1일 스트라스부르 지구물리연구소에서 운영을 시작했고, 1983년 최종 승인을 받아 공식 출범했다. 1987년에는 유럽 평의회로부터 주요 위협에 대한 공개부문협약(OPA)에 따라 유럽의 지진 경보 체계인 유럽 경보 체계를 운용하는 주요기관으로 인정받았다.
1993년에는 조직 개편을 통해 본부를 프랑스 원자력 위원회(CEA) 산하 데파르트망 분석, 감시, 환경(DASE) 내 라보라토리 드 데텍시옹 에 드 지오피지크(LDG)로 이전했으며, 위치는 프랑스 에손주의 브뤼에르-르-샤텔이다.
2. 2. 설립 및 발전
유럽-지중해 지진학 센터(EMSC)는 유럽 지진 위원회(ESC)의 요청에 따라 1975년에 설립된 비영리 단체이다. 55개국 84개 회원 기관을 두고 있다.1975년 1월 1일 스트라스부르 지구물리연구소에서 운영을 시작했으며, 1983년에 최종 규정을 받았다. 1987년, 유럽 평의회는 EMSC를 주요 위험에 대한 개방적 부분 협정(OPA)에 따라 유럽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주요 기관으로 임명하였다.
1993년, EMSC의 규정과 조직이 개정되었다. 본부는 프랑스 에손주 브뤼에르-르-샤텔에 위치한 프랑스 원자력 위원회(CEA) 산하 데파르트망 분석, 감시, 환경(DASE) 내 라보라토리 드 데텍시옹 에 드 지오피지크(LDG)로 이전했다.
EMSC는 국제적, 비정부적, 비영리 기구로서 지역 사회 안팎에서 지진학 연구를 장려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2. 3. 라퀼라 지진 관련 논란 (2009년)
3. 활동 내용
EMSC는 유럽 및 지진해 지역에서 발생하는 주요 지진의 진앙(위치, 깊이, 규모, 단층 메커니즘 등)을 신속하게(약 1시간 이내) 결정하여, 관계 기관 및 대중에 제공한다. 수집된 지진 데이터는 국제 지진 센터(ISC), 미국 지질 조사소 지진 정보 센터(USGS-NEIC) 등과 같은 다른 국제, 지역 또는 국가 데이터 센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EMSC는 지진 연구 분야에서 유럽 및 지중해 국가 간의 과학적 협력을 장려하고, 진앙 위치 결정 방법, 지역 및 지역별 주시표 작성, 규모 결정 등과 같은 공통 관심 연구를 지원한다. 또한, 유럽-지중해 지역 연구소 간의 지진학적 데이터 교환을 촉진하고, 특정 지진에 대한 상세한 연구를 제공한다.
유럽 지진학 데이터 뱅크를 구축 및 관리하며, 유럽-지중해 지역의 지진 관측 시스템 개선을 위해 관측 범위를 검토하고, 관측 품질 및 EMSC로의 데이터 전송 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4. 참여국
wikitext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프랑스는 유럽-지중해 지진학 센터 (EMSC)에서 중심적으로 활동하는 국가들이다.
기타 회원국 |
---|
4. 1. 중심 회원국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프랑스는 유럽-지중해 지진학 센터 (EMSC)에서 중심적으로 활동하는 국가들이다.기타 회원국 |
---|
4. 2. 기타 회원국
유럽-지중해 지진학 센터(EMSC)에는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 프랑스 외에도 다양한 국가들이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다음과 같다: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아랍에미리트, 알제리, 알바니아, 아르메니아, 예멘, 영국, 이스라엘, 우크라이나, 이집트,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키프로스, 그리스, 조지아, 크로아티아, 코소보, 사우디아라비아, 지부티, 스위스, 스웨덴,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세르비아, 튀니지, 체코, 덴마크, 튀르키예, 노르웨이, 핀란드, 불가리아, 벨라루스, 벨기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폴란드, 포르투갈, 북마케도니아, 몰타, 모나코, 몰도바, 모로코, 몬테네그로, 요르단, 리비아, 룩셈부르크, 루마니아, 레바논, 러시아.5. 지진 데이터 공개
EMSC는 웹 사이트와 LastQuake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진 데이터를 공개한다.[5] LastQuake는 안드로이드 OS와 iOS 모두 지원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42개 언어를 지원한다.[5]
5. 1. LastQuake 어플리케이션
EMSC는 웹 사이트와 LastQuake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진 데이터를 공개한다.[5] LastQuake는 안드로이드 OS와 iOS 모두 지원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42개 언어를 지원한다.[5]6. 특정 접근 방식
6. 1. 플래시소싱 (Flashsourcing)
EMSC는 인터넷 트래픽 분석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지진 감지 접근 방식인 플래시소싱을 개발했다.[2] 지진이 발생하면 목격자들이 EMSC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를 찾으면서 트래픽이 급증하게 된다. 이러한 트래픽 급증은 지진학 연구소에서 데이터를 받기도 전에 지진 발생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웹사이트 방문자의 지리적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지진 발생 후 몇 분 안에 지진 감지 지역을 매핑한다.[2]6. 2. 시민 지진학 (Citizen seismology)
EMSC는 시민을 실시간 지진 감지의 주요 정보원으로 활용한다.[3] 지진 목격자로부터 설문 조사, 사진, 비디오 등 지진 영향에 대한 현장 정보를 직접 수집하여 지진 대응에 시민을 참여시킨다.[3] 결과적으로, EMSC는 시민 참여를 통해 지진 위험 인식을 높이는 효율적인 전략을 구축한다.[3]7. 연구 프로젝트 참여
참조
[1]
웹사이트
European Earthquake Risk Concentrated Around the Mediterranean {{!}} GISetc
https://www.gisetc.c[...]
2020-12-23
[2]
간행물
Flash sourcing, or rapid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arthquake effects through website traffic analysis
https://www.annalsof[...]
2012-01-14
[3]
웹사이트
LastQuake: Felt an earthquake? Share your testimony and become a citizen seismologist!
https://m.emsc.eu/
2020-12-23
[4]
웹인용
European Earthquake Risk Concentrated Around the Mediterranean {{!}} GISetc
https://www.gisetc.c[...]
2020-12-23
[5]
웹인용
LastQuake, the App
https://www.emsc-cse[...]
EMSC
2023-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