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로컨트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로컨트롤은 1960년 설립된 유럽의 항공 교통 관리 기구이다. 초기에는 회원국 간의 주권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1997년 협약 개정을 통해 조직의 발전을 도모했다. 유로컨트롤은 유럽 위원회와의 협력을 강화하며, 단일 유럽 하늘 계획(SES) 및 유럽 항공 안전청(EASA) 설립에 기여했다. 주요 기능으로는 마스트리흐트 상공 관제 센터(MUAC) 운영, 네트워크 관리, 항공 정보 제공 등이 있으며, 40개 이상의 유럽 국가와 여러 비유럽 국가가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럽의 항공 - DHL 항공
    DHL 항공은 독일 포스트 DHL 그룹 산하의 화물 항공사 네트워크로, 전 세계 자회사를 통해 유럽,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아메리카를 연결하며 200대 이상의 화물기를 운용하고 있다.
  • 유럽의 항공 - 국제 항공 그룹
    국제 항공 그룹(IAG)은 영국항공과 이베리아 항공의 통합으로 설립된 다국적 항공 지주 회사이며, 원월드 항공 동맹에 가입하여 런던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었고, 여러 자회사를 통해 전 세계 200개 이상의 도시에 취항하며 아비오스 상용 고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유로컨트롤

2. 역사

유로컨트롤은 1960년 브뤼셀에서 체결된 국제 협약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이 협약은 1963년에 비준되어 발효되었다. 설립 초기에는 회원국 간의 주권 문제, 특히 군사 영공 통제와 관련된 이견으로 인해 항공 교통 관제(ATC) 시스템 통합이라는 본래 목표를 완전히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5]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유럽 위원회 등 여러 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유럽 민간 항공 회의(ECAC)의 지지를 바탕으로 역할을 확대해 나갔다. 특히 1990년대 후반 수정된 협약 체결과 단일 유럽 하늘(SES) 계획 추진 등을 통해 유럽 항공 교통 관리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2000년대 발생한 항공 사고들과 9.11 테러는 유럽 차원의 통합된 항공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켰고, 유로컨트롤은 NATO, 유럽 위원회 등과의 협력을 통해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해왔다.[5]

2. 1. 설립 초기 (1960년대)

유로컨트롤 본부, 브뤼셀


유로컨트롤 협약은 1960년에 서명되었고 1963년에 비준되어 발효되었다. 그러나 협약이 발효되기 전인 1962년부터 이미 국가별 주권 문제가 조직의 완전한 설립 목표 달성을 어렵게 만들 것이라는 조짐이 보였다. 항공 교통 관제(ATC) 시스템을 통합하려는 최초의 유럽 계획은 프랑스영국이 자국의 군사 영공 통제와 관련된 이유로 참여를 거부하면서 난관에 부딪혔다. 반면, 다른 창립 회원국인 독일 연방 공화국,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4개국은 1964년에 상부 영공 관리를 위한 단일 국제 항공 교통 관제 센터를 마스트리흐트에 설립하기로 합의했다.[5]

2. 2. 발전과 협력 강화 (1970년대 ~ 1990년대)

1979년, 유로컨트롤은 유럽 위원회와 업무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이는 유로컨트롤의 기술 전문 지식과 유럽 연합(EU)의 규제 기관 간의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시도였다. 이 시기에 시작된 유로컨트롤 예측 서비스(STATFOR로 발전)와 항공 정보 서비스 같은 여러 계획들은 이후 조직의 중요한 일부가 되었다.[5]

1980년대 중반, 유럽의 항공 교통 관제(ATC) 네트워크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지면서 유로컨트롤의 역할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특히 유럽 민간 항공 회의(ECAC)의 교통부 장관들이 이러한 논의를 주도했으며, 1986년 ECAC는 모든 회원국에게 유로컨트롤 가입을 촉구했다.[5]

유로컨트롤 회원 회의


1997년에는 수정된 유로컨트롤 협약이 서명되었다. 이는 1960년 처음 체결된 협약의 비전을 넘어, 조직의 역할과 권한을 강화하고 더 큰 정치적 지원을 확보하려는 기대를 반영했다. 이듬해인 1998년 6월, 유로컨트롤은 유럽 우주국(ESA) 및 유럽 위원회(EC)와 위성 항법 시스템 및 서비스 분야에서의 협력을 공식화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1999년에는 유럽 위원회가 단일 유럽 하늘(SES) 계획을 유럽 의회에 제출했으며, 이는 이후 유럽 항공 안전청(EASA) 설립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유로컨트롤은 관련 규정 이행에 필요한 기술적 전문성을 제공하며 유럽 위원회의 단일 유럽 항공 안전 규제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다.[5]

2. 3. 단일 유럽 하늘 계획과 현대화 (2000년대 이후)



수정된 유로컨트롤 협약은 1997년에 서명되어, 1960년 협약의 원래 비전을 넘어선 더 큰 정치적 지원에 대한 조직의 기대를 새롭게 했다. 1998년 6월, 유로컨트롤은 유럽 우주국(ESA) 및 유럽 위원회(EC)와 위성 항법 시스템 및 서비스 분야에서의 협력을 공식화하는 협약을 체결했다.[5]

1999년, 유럽 위원회는 단일 유럽 하늘(Single European Sky, SES) 계획을 유럽 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두 개의 고위급 그룹(HLG) 논의를 거쳐 유럽 항공 안전청(EASA)의 설립으로 이어졌으며, 유로컨트롤은 해당 규정 이행에 필요한 기술 전문성을 인정받으며 유럽 위원회의 단일 유럽 항공 안전 규제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게 되었다.[5]

그러나 2000년대 초반은 유럽 항공 안전에 있어 어려운 시기였다. 2001년 이탈리아에서 발생한 리나테 공항 활주로 충돌 사고와 2002년 독일 상공에서 일어난 위버링겐 상공 공중 충돌 사고는 항공 교통 항법 시스템의 문제점을 드러내며 개선의 시급성을 부각시켰다. 두 사고 모두 항공 교통 관제와 관련된 문제를 원인으로 지목받았다. 또한, 미국에서 발생한 9.11 테러는 항공 보안 및 관제 시스템 전반에 걸쳐 유럽 차원의 신속한 규제 및 조정 기구의 필요성을 더욱 증대시켰다.[5]

이러한 배경 속에서 유로컨트롤은 협력을 강화해 나갔다. 2003년 5월에는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협력 각서를 체결했고, 같은 해 12월에는 유럽 위원회와도 유사한 각서를 체결하며 공조 체제를 구축했다. 2004년 2월, 유로컨트롤은 유럽 위원회로부터 첫 번째 위임 업무를 받아 수행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해 4월에는 단일 유럽 하늘 규정(패키지 1)이 채택되었다. 이후 2006년 3월에는 유럽 위원회의 주도로 단일 유럽 하늘 항공 교통 관리 연구(SESAR) 프로그램이 유로컨트롤의 후원 아래 이해 관계자 협의 그룹(SCG)에 의해 시작되어, 유럽 항공 교통 시스템의 현대화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개발 노력이 본격화되었다.[5]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로컨트롤은 유럽 위원회로부터 단일 유럽 하늘(SES)의 규제 업무 일부를 위임받아 수행하게 되었다.

3. 기능 및 센터

유로컨트롤은 유럽 항공 교통의 안전과 효율성을 위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관련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주요 기능 및 센터는 다음과 같다.


  • 마스트리흐트 상공 관제 센터(MUAC):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북서 독일 상공의 고고도 항공 교통 관제를 담당한다. 상세 내용은 해당 문단 참조.
  • 네트워크 관리자 운영 센터(NMOC): 유럽 전역의 비행 계획과 실제 항공 교통 흐름을 조정하고 관리한다. 상세 내용은 해당 문단 참조.
  • 유럽 항공 정보 데이터베이스(EAD): 항공 정보(AIS)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접근을 제공한다. 상세 내용은 해당 문단 참조.
  • 중앙 경로 사용료 징수 사무소(CRCO): ANSP를 대신하여 항로 및 공항 접근 사용료를 징수한다. 상세 내용은 해당 문단 참조.
  • 유로컨트롤 혁신 허브(EIH): 항공 교통 관리 분야의 연구, 시뮬레이션, 드론UAM(Urban Air Mobility) 관련 활동을 수행한다. 상세 내용은 해당 문단 참조.
  • 유로컨트롤 항공 학습 센터(ALC): 항공 분야 전문가를 위한 훈련 및 e-러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세 내용은 해당 문단 참조.
  • 유로컨트롤 안전 규제 요건(ESARR): EC 지령 2096/2005에 기초한 인증 및 지정을 받기 위한 기본 요건이다.

3. 1. 마스트리흐트 상공 관제 센터(MUAC)

마스트리흐트 아헨 공항에 위치한 유로컨트롤(Eurocontrol)의 마스트리흐트 상공 관제 센터(Maastricht Upper Area Control Centre, MUAC)는 ICAO 코드 EDYY[6]를 사용하며,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그리고 북서 독일 상공 약 7467.60m 이상의 고도에서 항공 교통 관제를 담당한다. 1972년에 운영을 시작했으며,[13] 2017년에는 독일과 네덜란드의 상공 군사 항공 교통 관제를 통합하여 최초의 다국적, 국경 간, 민군 통합 항공 항행 서비스 제공업체가 되었다.

교통량 측면에서는 런던 지역 관제 센터와 카를스루에 ACC 다음으로 유럽에서 세 번째로 분주한 상공 지역 관제소(ACC)이지만, 비행 시간과 비행 거리 기준으로는 첫 번째이다.[6]

MUAC는 시간당 55편 이상의 항공기를 처리할 수 있으며, 평균 비행 시간은 약 21분이다. 일반적으로 교통량의 약 80%는 런던, 브뤼셀, 파리, 프랑크푸르트, 암스테르담, 베를린 등 주요 유럽 공항에서 이륙하거나 착륙하는 항공기이다. 주변의 많은 군사 공역으로 인해 영공 구조가 복잡하며, 하루 최대 5,670대의 항공기 교통 흐름을 관리하기도 한다.

MUAC는 혁신적인 기술과 생산성 향상을 도입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주요 도입 기술로는 차세대 비행 데이터 처리 시스템(FDPS)[7][14], 통합 흐름 관리 위치[8], 단기 충돌 경고(STCA), 중기 충돌 감지(MTCD), 관제사-조종사 데이터 링크 통신(CPDLC), 그리고 스트립리스(종이 비행 계획서 없는) 관제사 작업 위치 등이 있다.

3. 2. 네트워크 관리자 운영 센터(NMOC)

네트워크 관리자 운영 센터(NMOC)는 비행 계획과 실제 항공 교통량을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전에는 중앙 흐름 관리 유닛(CFMU)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동일하게 비행 계획 및 실제 항공 교통 관리 기능을 담당했다.

3. 3. 유럽 항공 정보 데이터베이스(EAD)

EAD는 항공 정보 서비스(AIS)에 대한 일원적인 접근을 제공한다.

3. 4. 중앙 경로 사용료 징수 사무소(CRCO)

중앙 경로 사용료 징수 사무소(Central Route Charges Office|CRCOeng)는 ANSP를 대신하여 항로 사용료와 공항 접근 사용료를 징수하는 역할을 한다.

3. 5. 유로컨트롤 혁신 허브(EIH)

유로컨트롤 혁신 허브(EIH)는 항공 교통 관제에 관한 연구와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특히 드론UAM(Urban Air Mobility)과 관련된 연구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3. 6. 유로컨트롤 항공 학습 센터(ALC)

유로컨트롤 항공 학습 센터(ALC)는 항공 분야 전문 인력을 위한 훈련 및 e-러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4. 회원국

유로컨트롤 회원 간 조직 가입 중첩 – 유로컨트롤 회원은 파란색 계열로 표시.


유로컨트롤의 회원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국가는 다음의 모든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9]

  • 유럽에 속할 것
  • 유럽 평의회 회원국일 것
  • ICAO와 ECAC에 대한 기존 인증을 보유할 것

4. 1. 회원국 목록

회원국가입 연도유럽 연합과의 관계
벨기에1963년EU 회원국
프랑스1963년EU 회원국
독일1963년EU 회원국
룩셈부르크1963년EU 회원국
네덜란드1963년EU 회원국
영국1963년前 EU 회원국
아일랜드1965년EU 회원국
포르투갈1986년EU 회원국
그리스1988년EU 회원국
몰타1989년EU 회원국
튀르키예1989년EU 후보국
키프로스1991년EU 회원국
헝가리1992년EU 회원국
스위스1992년EU와 양자 조약 체결, 솅겐 조약 및 EU 여객 권리 시행 포함
오스트리아1993년EU 회원국
덴마크1994년EU 회원국
노르웨이1994년유럽 경제 지역(EEA) 회원국
슬로베니아1995년EU 회원국
스웨덴1995년EU 회원국
체코1996년EU 회원국
루마니아1996년EU 회원국
이탈리아1996년EU 회원국
슬로바키아1997년EU 회원국
스페인1997년EU 회원국
모나코1997년
불가리아1997년EU 회원국
크로아티아1997년EU 회원국
북마케도니아1998년EU 후보국
몰도바2000년EU 후보국
핀란드2001년EU 회원국
유럽 연합2002년회원국과 병행
알바니아2002년EU 후보국
우크라이나2004년EU 후보국
폴란드2004년EU 회원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004년EU 후보국
세르비아2005년EU 후보국
리투아니아2006년EU 회원국
아르메니아2006년
몬테네그로2007년EU 후보국
라트비아2011년EU 회원국
조지아[10]2012년EU 후보국
에스토니아[11]2015년EU 회원국


참조

[1] 간행물 Eurocontrol: Annual Report 2014 http://www.eurocontr[...] Eurocontrol
[2] 웹사이트 member states by accession date http://www.eurocontr[...]
[3] 웹사이트 SES mandate on Standardised European Rules of the Air (SERA) implementing rule for airspace – Part A - COMPLETED http://www.eurocontr[...] Eurocontrol 2011-01-31
[4]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FAQ) on Eurocontrol http://www.eurocontr[...] Eurocontrol 2016-05-04
[5] 웹사이트 Eurocontrol History Book https://www.eurocont[...] Eurocontrol 2010-12
[6] 웹사이트 Controller-Pilot Data-Link Communications at Maastricht UAC https://web.archive.[...] 2018-09-08
[7] 웹사이트 MUAC'S New generation FDPS https://www.eurocont[...]
[8] 간행물 Integrated flow management position - Enhancing air traffic flow and capacity management https://www.eurocont[...] Eurocontrol 2017-02-22
[9] 웹사이트 EUROCONTROL: Models for future cooperation http://www.euromedtr[...] EUROCONTROL 2013-11-27
[10] 웹사이트 Georgia became a member of EUROCONTROL https://web.archive.[...] Civil Aviation Agency of Georgia 2012-12-09
[11] 웹사이트 Estonia set to join EUROCONTROL https://www.eurocont[...]
[12] 웹사이트 Comprehensive Agreement States https://web.archive.[...] EUROCONTROL website 2016-06-03
[13] 웹사이트 Eurocontrol MUAC / About Us http://www.eurocontr[...] 2010-02-06
[14] 웹사이트 EUROCONTROL PIONEERS NEXT-GENERATION OF INTEROPERABLE FLIGHT DATA PROCESSING SYSTEM http://www.eurocontr[...] 欧州航空航法安全機構 2008-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