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엔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엔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ECLAC)는 라틴 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의 경제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유엔 산하의 지역 위원회이다. 칠레 산티아고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멕시코시티와 포트오브스페인 등 여러 지역에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앤티가바부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46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앵귘라, 아루바 등 16개 지역이 준회원 자격으로 참여한다. ECLAC은 구조주의 경제학 및 종속 이론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라틴 아메리카 국가의 경제 구조 연구, 차관 제공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 - 유엔 인권 위원회
    유엔 인권 위원회는 1946년 창설되어 인권 증진, 조약 체결 지원, 인권 침해 조사를 수행했으며, 53개국으로 구성되어 특별 절차를 설립했으나, 구성원의 문제와 정치적 편향성으로 비판을 받았다.
  •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 - 유엔 통계국
    유엔 통계국은 유엔 경제사회국 산하 기관으로서, 전 세계 경제, 사회, 환경 통계 데이터를 수집, 분석, 보급하고 SDGs 지표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발전 정책 수립 및 평가를 지원하며, 국제전기통신연합과 협력하여 신뢰할 수 있는 AI 개발을 추진한다.
유엔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
개요
명칭유엔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
영어 명칭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스페인어 명칭Comisión Económica para América Latina y el Caribe
포르투갈어 명칭Comissão Econômica para a América Latina e o Caribe
프랑스어 명칭Commission Economique Pour l'Amérique Latine et les Caraïbes
약칭ECLAC
조직
유형주요 기관 - 지역 지부
설립일1948년
본부산티아고 (칠레)
상위 기관국제 연합 경제 사회 이사회
웹사이트영문 웹사이트
수장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 사무총장 호세 마누엘 살라사르-시리나크스
사무총장 국적코스타리카

2. 회원국

앤티가바부다, 아르헨티나, 바하마, 바베이도스, 벨리즈, 볼리비아, 브라질, 캐나다,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쿠바, 도미니카 연방,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프랑스, 독일, 그레나다, 과테말라, 가이아나, 아이티, 온두라스, 이탈리아, 일본(2006년 6월 27일 가입), 멕시코, 네덜란드, 니카라과,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포르투갈,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대한민국(2007년 5월 5일 가입), 스페인, 수리남, 튀르키예, 트리니다드 토바고, 영국, 미국, 우루과이, 베네수엘라유엔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ECLAC)의 회원국이다.[7]

앵귈라 섬(영국령), 아루바(네덜란드령), 버진아일랜드(영국령), 몬트세랫,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푸에르토리코,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는 준 회원국이다.

2. 1. 정회원

앤티가바부다, 아르헨티나, 바하마, 바베이도스, 벨리즈, 볼리비아, 브라질, 캐나다,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쿠바, 도미니카 연방, 도미니카 공화국,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프랑스, 독일, 그레나다, 과테말라, 가이아나, 아이티, 온두라스, 이탈리아, 자메이카, 일본(2006년 6월 27일 가입), 멕시코, 네덜란드, 니카라과, 노르웨이,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포르투갈,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대한민국(2007년 5월 5일 가입), 스페인, 수리남, 튀르키예, 트리니다드 토바고, 영국, 미국, 우루과이, 베네수엘라는 유엔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ECLAC)의 정회원이다.[7]

2. 2. 준회원

앵귈라(영국령), 아루바(네덜란드령), 버뮤다(영국령),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맨 제도(영국령), 퀴라소(네덜란드령), 과들루프(프랑스령), 마르티니크(프랑스령), 몬트세랫(영국령), 푸에르토리코(미국령), 신트마르턴(네덜란드령),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영국령), 미국령 버진아일랜드가 유엔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의 준회원이다.[7]

3. 사무소

산티아고의 ECLAC 본부


유엔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ECLAC)는 칠레 산티아고에 본부를 두고 있다. 멕시코시티(중앙아메리카 지역 본부)와 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트오브스페인(카리브해 지역 본부)을 비롯하여 여러 지역에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ECLAC의 사무소는 다음과 같다.

4. 역대 사무총장

wikitable

이름국가재임 기간
호세 마누엘 살라사르-시리나치코스타리카2022년 9월 ~ 현재
알리시아 바르세나 이바라멕시코2008년 7월 ~ 2022년 3월
호세 루이스 마키네아아르헨티나2003년 12월 ~ 2008년 6월
호세 안토니오 오캄포콜롬비아1998년 1월 ~ 2003년 8월
게르트 로젠탈과테말라1988년 1월 ~ 1997년 12월
노르베르토 곤잘레스아르헨티나1985년 3월 ~ 1987년 12월
엔리케 V. 이글레시아스우루과이1972년 4월 ~ 1985년 2월
카를로스 킨타나멕시코1967년 1월 ~ 1972년 3월
호세 안토니오 마요브레베네수엘라1963년 8월 ~ 1966년 12월
라울 프레비쉬아르헨티나1950년 5월 ~ 1963년 7월
구스타보 마르티네스 카바냐스멕시코1948년 12월 ~ 1950년 4월


4. 1. 역대 사무총장 목록

wikitable

이름국가재임 기간
호세 마누엘 살라사르-시리나치코스타리카2022년 9월 – 현재
알리시아 바르세나 이바라멕시코2008년 7월 – 2022년 3월
호세 루이스 마키네아아르헨티나2003년 12월 – 2008년 6월
호세 안토니오 오캄포콜롬비아1998년 1월 – 2003년 8월
게르트 로젠탈과테말라1988년 1월 – 1997년 12월
노르베르토 곤잘레스아르헨티나1985년 3월 – 1987년 12월
엔리케 V. 이글레시아스우루과이1972년 4월 – 1985년 2월
카를로스 킨타나멕시코1967년 1월 – 1972년 3월
호세 안토니오 마요브레베네수엘라1963년 8월 – 1966년 12월
라울 프레비쉬아르헨티나1950년 5월 – 1963년 7월
구스타보 마르티네스 카바냐스멕시코1948년 12월 – 1950년 4월


5. 주요 활동 및 이론

유엔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ECLAC)의 창설은 "거대한 발전(Big D development)"의 시작에 매우 중요했으며, 구조주의 경제학과 종속 이론에 대한 이후 논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8] ECLAC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창설되었지만, 그 역사적 뿌리는 전쟁 이전의 정치적 운동에 기반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라틴 아메리카의 경제 개발에 대한 인식은 주로 식민지 이데올로기에서 형성되었다. 먼로 독트린은 라틴 아메리카 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유일한 외국 세력으로 미국을 주장했고, 이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상당한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라틴 아메리카는 상당한 경제력을 가지고 있었고, 산업은 비교적 역동적이었다.[8] 국제 연맹은 경제 구조 조정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스탠리 브루스가 작성한 문서는 1944년 유엔 경제 사회 위원회 창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ECLA의 창설은 이후 수십 년 동안 라틴 아메리카에 심오한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1955년까지 페루는 ECLA 요청에 따라 2,850만 달러의 차관을 받았다.[9] 차관은 외환 비용 충당, 일자리 창출, 수출 무역 증진에 활용되었다. ECLA는 페루의 경제 구조를 연구하고 산업 개발 계획을 지원했다.[8]

미국이 정한 교역 조건은 "불평등 교환" 개념을 도입하여 "북쪽"이 "남쪽"보다 자원으로부터 더 큰 수익을 얻도록 했다. 이 기간 동안 수출 부문이 성장했지만, 실질 소득 분배는 불균등했고, 사회 문제는 만연했으며, 교육 및 의료 시스템은 미흡했다.[8]

5. 1. 구조주의 경제학

유엔 라틴아메리카 카리브 경제 위원회(ECLAC)의 창설은 "거대한 발전(Big D development)"의 시작에 매우 중요했으며, 구조주의 경제학과 종속 이론에 대한 이후 논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8] ECLAC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창설되었지만, 그 역사적 뿌리는 전쟁 이전의 정치적 운동에 기반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라틴 아메리카의 경제 개발에 대한 인식은 주로 식민지 이데올로기에서 형성되었다. 먼로 독트린은 라틴 아메리카 문제에 개입할 수 있는 유일한 외국 세력으로 미국을 주장했고, 이는 라틴 아메리카에서 상당한 반감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라틴 아메리카는 상당한 경제력을 가지고 있었고, 산업은 비교적 역동적이었다.[8] 국제 연맹은 경제 구조 조정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스탠리 브루스가 작성한 문서는 1944년 유엔 경제 사회 위원회 창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ECLA의 창설은 이후 수십 년 동안 라틴 아메리카에 심오한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1955년까지 페루는 ECLA 요청에 따라 2,850만 달러의 차관을 받았다.[9] 차관은 외환 비용 충당, 일자리 창출, 수출 무역 증진에 활용되었다. ECLA는 페루의 경제 구조를 연구하고 산업 개발 계획을 지원했다.[8]

미국이 정한 교역 조건은 "불평등 교환" 개념을 도입하여 "북쪽"이 "남쪽"보다 자원으로부터 더 큰 수익을 얻도록 했다. 이 기간 동안 수출 부문이 성장했지만, 실질 소득 분배는 불균등했고, 사회 문제는 만연했으며, 교육 및 의료 시스템은 미흡했다.[8]

5. 2. 종속 이론

유엔 라틴 아메리카 경제 위원회(ECLAC)의 초기 연구는 종속 이론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8] 종속 이론은 불평등 교환 개념을 도입하여, 소위 "북쪽"이 "남쪽"보다 자원으로부터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도록 가격이 책정되는 구조를 지적한다. 이러한 구조는 라틴 아메리카의 실질 소득 증가에도 불구하고, 소득 분배 불균등, 영양 부족, 무주택, 교육 및 의료 시스템 미비 등 사회 문제가 만연한 상황을 초래했다.[8]

ECLAC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먼로 독트린으로 인해 미국 중심의 식민지 이데올로기가 라틴 아메리카 경제 개발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고 있던 시기에 창설되었다.[8] 이러한 상황에서 국제 연맹은 경제 구조 조정의 필요성을 제기했고, 이는 1944년 유엔 경제 사회 위원회 창설에 영향을 미쳤다.[8] ECLAC는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의 경제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차관을 제공하고 경제 구조를 연구하는 등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예를 들어, 1955년 페루는 ECLAC의 요청에 따라 2,850만 달러의 차관을 받아 외환 비용 충당, 일자리 창출, 수출 무역 증진에 활용했다.[9]

5. 3. 대한민국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ecretary-General appoints Mr. José Manuel Salazar-Xirinachs of Costa Rica as Executive Secretary of the Economic Commission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https://www.cepal.or[...] 2022-09-01
[2] 웹사이트 CEPALSTAT http://www.eclac.org[...]
[3] 웹사이트 ECLAC signed a cooperation agreement to promote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region http://www.eclac.org[...]
[4] 서적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London & New York: Routledge 2009
[5] 학술 논문 CEPAL,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of the Left"? https://doi.org/10.1[...] 2023
[6] 웹사이트 ABOUT ECLAC http://www.eclac.cl/[...]
[7] 웹사이트 Date of Admission of Member States (46) and Associate Members (13) of ECLAC https://www.cepal.or[...] United Nations 2018-12-22
[8] 서적 Foreign Trade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of Peru Iowa State University 1967
[9] 서적 Foreign Debt and Underdevelopment: U.S.-Peru Economic Relations, 1930-1970 Lanham: U of America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