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영덕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산영덕고속도로는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출발하여 경상북도 영덕군에 이르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1996년 대전-당진 고속도로 및 청주-상주 고속도로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연장 및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의 서산영덕고속도로가 되었다. 총 연장은 330.8km이며, 당진 분기점 ~ 유성 분기점, 청주 분기점 ~ 낙동 분기점 구간은 최고 110km/h, 최저 50km/h로 제한속도가 설정되어 있다. 주요 통과 지역으로는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경상북도가 있으며, 당진, 예산, 공주, 유성, 청주, 상주, 영덕 등의 나들목 및 분기점을 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양군의 도로 - 한티로 (영양군)
한티로는 경상북도 영양군 일월면과 수비면을 연결하는 도로로, 영양로, 낙동정맥로, 본신로와 교차하며 백암온천로와 직결되고, 주변에는 한티재, 수비면사무소, 수비초등학교 등이 있다. - 영양군의 도로 - 영양창수로
영양창수는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에서 영덕군 창수면을 잇는 도로이며, 농협사거리에서 시작하여 창수령을 지나 창수영해로와 연결된다. - 영덕군의 도로 - 동해대로
동해대로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국도로, 국도 제7호선과 상당 부분 중복되며,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북한과의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 영덕군의 도로 - 경동로
경동로는 경상북도 안동시, 청송군, 영덕군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로, 1975년부터 일부 구간 개통 및 폐지, 2000년대 도로 확장을 거쳐 2009년 2개 이상 시·군에 걸친 도로로 고시되었으며, 주요 경유지로는 안동버스터미널, 안동역, 안동대학교, 임하댐 등이 있다. - 보은군의 도로 - 안내회남로
안내회남로는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과 보은군 회남면을 연결하는 도로이며, 지방도 제571호선과 이어진다. - 보은군의 도로 - 안내수한로
안내수한로는 충청북도 옥천군 안내면과 보은군 수한면을 잇는 지방도로, 국도 제37호선 및 국도 제25호선을 연결하며 일부 구간은 지방도 제575호선과 중복되고 동정보건진료소를 지난다.
서산영덕고속도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서산영덕고속도로 |
대체 이름 | 당진영덕고속도로 |
로마자 표기 | Dangjin Yeongdeok Gosok Doro |
한자 표기 | 唐津盈德高速道路 |
노선 번호 | 고속국도 제30호선 |
총 연장 | 305.5 km |
개통일 | 2007년 11월 28일 |
개통 구간 | 청주 ~ 상주, 당진 ~ 대전, 상주 ~ 영덕 |
노선 정보 | |
기점 | 충청남도 당진시 당진동 |
주요 경유지 | 당진시, 공주시, 세종특별자치시, 대전광역시, 청주시, 상주시, 안동시 |
종점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
연결 노선 | 경부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 서천공주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 영천상주고속도로 |
주요 교차 도로 | |
국도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28호선 국도 제31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5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0호선 국도 제59호선 |
2. 역사
- 1996년 7월 1일 :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 ~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구간을 '''고속국도 제22호선 대전 ~ 당진고속도로(대전 ~ 당진선)'''로,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23호선 청주 ~ 상주고속도로(청주 ~ 상주선)'''로 지정.[8]
- 1997년 4월 24일 : 2003년 12월까지 대전 ~ 당진고속도로 예산 ~ 당진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 입침리 ~ 당진군 당진읍 사기소리 27.2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9]
- 1997년 6월 2일 : 2003년 12월까지 대전 ~ 당진고속도로 대전 ~ 서공주 구간 신설을 위해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동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신웅리 28.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0][11]
- 1997년 7월 25일 : 2004년 12월까지 청주 ~ 상주고속도로 청원 ~ 문의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척북리 ~ 문의면 마구리 13.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2]
- 1998년 3월 21일 : 2004년까지 청주 ~ 상주고속도로 회북 ~ 보은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보은군 화북면 ~ 보은읍 8.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3]
- 1998년 12월 11일 : 2003년 12월까지 대전 ~ 당진고속도로 서공주 ~ 예산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신웅리 ~ 예산군 응봉면 입침리 36.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4]
- 1999년 10월 15일 : 2006년까지 청주 ~ 상주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신촌리 ~ 낙동면 상촌리 18.16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5]
- 2001년 4월 14일 : 2006년까지 청주 ~ 상주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금굴리 ~ 마로면 수문리와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지산리 ~ 내서면 신촌리 19.5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6]
- 2001년 8월 21일 : 2006년까지 청주 ~ 상주고속도로 가덕 ~ 화북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마구리 ~ 보은군 회북면 건천리 8.607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7]
- 2001년 8월 25일 : 대전 ~ 당진고속도로와 청주 ~ 상주고속도로를 통합해 '''고속국도 제30호선 당진상주고속도로'''(당진 ~ 상주선)로 변경.[18]
- 2002년 2월 18일 : 2006년까지 청원 ~ 상주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수문리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지산리 1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19]
- 2002년 12월 21일 : 2007년까지 회북 나들목 변경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마구리 ~ 보은군 회북면 건천리 8.607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0]
- 2005년 3월 26일: 대전 ~ 당진 고속도로 건설 공사 사업시행기간을 2009년 12월로 연기.[21]
- 2006년 4월 24일 : 청원 ~ 상주 고속도로 건설 공사 사업시행기간을 2007년 12월로 연기.[22]
- 2007년 6월 21일 : 2009년 12월까지 마곡사 나들목 신설을 위해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동 ~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사기소리 91.5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3]
- 2007년 11월 8일 : 청원 분기점 ~ 낙동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24]
- 2007년 11월 28일 : 청원 분기점 ~ 낙동 분기점 79.4km 구간 개통.[1][25]
- 2009년 5월 21일 : 2009년 12월까지 북유성 나들목 설계 변경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사기소리 ~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동 91.5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6]
- 2009년 5월 27일 : 청원 분기점 ~ 낙동 분기점 구간과 당진 분기점 ~ 유성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60km/h 로 지정.[27]
- 2009년 5월 28일 : 마곡사 나들목, 북유성 나들목을 제외한 당진 분기점 ~ 유성 분기점 91.58km 구간 개통.[28][29]
- 2009년 8월 27일 : 마곡사 나들목 개통.[2][30]
- 2009년 12월 18일 : 낙동 분기점 ~ 영덕 나들목 구간 (107.6 km) 착공.[3][31]
- 2009년 12월 21일 : 종점을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서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으로 연장. 이에 따라 '당진상주고속도로(당진 ~ 상주선)'에서 '''당진영덕고속도로'''(당진 ~ 영덕선)가 됨.[32]
- 2009년 12월 23일 : 북유성 나들목 개통.[4][33]
- 2009년 12월 30일 : 상주 ~ 영덕 구간 상주 분기점, 동상주, 동안동, 영덕 나들목 3개소 신설을 위해 총 4.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4]
- 2010년 5월 11일 : 상주 ~ 영덕 구간 안동 분기점, 서의성, 북의성, 청송, 영양 나들목 4개소, 의성, 점곡, 청송휴게소 3개소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구잠리 ~ 영덕군 강구면 원직리 103.7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5]
- 2010년 9월 1일 : 청원 분기점 ~ 낙동 분기점 구간과 당진 분기점 ~ 유성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36]
- 2010년 12월 28일 : 도로명주소에 당진 분기점부터 영덕 나들목까지 278.65 km 구간을 '''당진영덕고속도로'''로 고시.[37]
- 2012년 6월 28일 : 낙동 분기점 ~ 상주 분기점 착공.
- 2012년 7월 1일 : 북유성 나들목이 남세종 나들목으로, 동공주 나들목이 서세종 나들목으로 명칭 변경.[5][38]
- 2014년 1월 28일 : 2015년 12월까지 상주 ~ 영덕 구간 설계 변경으로 인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구잠리 ~ 영덕군 강구면 원직리 107.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9]
- 2014년 12월 1일 : 청원 나들목이 남청주 나들목으로, 청원 분기점이 청주 분기점으로 변경, 기존 '청원상주고속도로'로 불리던 구간의 명칭을 '''청주상주고속도로'''로 개칭.
- 2015년 3월 27일 : 국토교통부고시로 기점을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 종점을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남산리'로 명시.[40]
- 2016년 9월 1일 : 당진 분기점 ~ 유성 분기점 구간과 청주 분기점 ~ 낙동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를 최고 110km/h, 최저 50km/h 로 지정.[41]
- 2016년 12월 23일 : 낙동 분기점 ~ 영덕 나들목 111.7km 구간 개통일을 12월 26일로 연기.[6][42]
- 2016년 12월 26일 : 낙동 분기점 ~ 영덕 나들목 111.7km 구간 개통.[7][43]
- 2017년 5월 16일 : 2017년 12월까지 속리산 하이패스 나들목 신설 공사로 인해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적암리 2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4]
- 2017년 12월 28일 : 청주방향 43.3km 위치 속리산휴게소 내에 구병산 나들목 개통.[45]
- 2020년 3월 23일 : 2020년 12월 31일까지 탄부졸음쉼터(영덕 방향) 시설 개량을 위해 충청북도 보은군 탄부면 매화리 8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6]
- 2021년 5월 31일 : 2022년 12월 31일까지 졸음쉼터 설치를 위해 충청북도 보은군 수한면 동정리 1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7]
- 2021년 10월 22일 : 문의 나들목이 문의청남대 나들목으로 변경.[48]
- 2021년 12월 14일 : 문의휴게소가 정식 휴게소로 재개장 및 문의청남대휴게소로 변경
- 2022년 2월 7일 : 기점을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변경. 이에 따라 '당진영덕고속도로(당진 ~ 영덕선)'에서 '''서산영덕고속도로'''(서산 ~ 영덕선)가 됨.[49]
- 2023년 11월 27일 : 서산 ~ 당진 구간 착공.[50]
2. 1. 당진 ~ 대전 구간
1996년 7월 1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 ~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구간이 '''고속국도 제22호선 대전 ~ 당진고속도로(대전 ~ 당진선)'''로 지정되었다.[8] 1997년 4월 24일에는 2003년 12월까지 대전 ~ 당진고속도로 예산 ~ 당진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 입침리 ~ 당진군 당진읍 사기소리 27.28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고,[9] 같은 해 6월 2일에는 2003년 12월까지 대전 ~ 당진고속도로 대전 ~ 서공주 구간 신설을 위해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동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신웅리 28.2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0][11] 1998년 12월 11일에는 2003년 12월까지 대전 ~ 당진고속도로 서공주 ~ 예산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신웅리 ~ 예산군 응봉면 입침리 36.1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4]2001년 8월 25일 대전 ~ 당진고속도로와 청주 ~ 상주고속도로가 통합되어 '''고속국도 제30호선 당진상주고속도로'''(당진 ~ 상주선)로 변경되었다.[18] 2005년 3월 26일, 대전 ~ 당진 고속도로 건설 공사 사업시행기간이 2009년 12월로 연기되었다.[21] 2007년 6월 21일에는 마곡사 나들목 신설을 위해 대전광역시 유성구 자운동 ~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사기소리 91.58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23]
2009년 5월 28일, 마곡사 나들목과 북유성 나들목을 제외한 당진 분기점 ~ 유성 분기점 91.58km 구간이 개통되었고,[28][29] 같은 해 8월 27일 마곡사 나들목이 개통되었다.[2][30] 이어서 12월 23일에는 북유성 나들목이 개통되었다.[4][33] 2012년 7월 1일, '''북유성 나들목'''이 남세종 나들목으로, '''동공주 나들목'''이 서세종 나들목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38]
2. 2. 청주 ~ 상주 구간
1996년 7월 1일,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에서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구간이 고속국도 제23호선 청주 ~ 상주고속도로(청주 ~ 상주선)로 지정되었다.[8] 1997년 7월 25일에는 2004년 12월까지 청주 ~ 상주고속도로 청원 ~ 문의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척북리에서 문의면 마구리까지 13.4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고,[12] 1998년 3월 21일에는 2004년까지 청주 ~ 상주고속도로 회북 ~ 보은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보은군 화북면에서 보은읍까지 8.8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3] 1999년 10월 15일에는 2006년까지 청주 ~ 상주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신촌리에서 낙동면 상촌리 구간(18.16km)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5]2001년 4월 14일에는 2006년까지 청주 ~ 상주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보은군 보은읍 금굴리 ~ 마로면 수문리와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지산리 ~ 내서면 신촌리 19.58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으며,[16] 같은 해 8월 21일에는 2006년까지 청주 ~ 상주고속도로 가덕 ~ 화북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마구리에서 보은군 회북면 건천리 8.607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7]
2001년 8월 25일, 대전 ~ 당진고속도로와 청주 ~ 상주고속도로가 통합되어 고속국도 제30호선 당진상주고속도로(당진 ~ 상주선)로 변경되었다.[18] 2002년 2월 18일에는 2006년까지 청원 ~ 상주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북도 보은군 마로면 수문리에서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지산리 11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19] 2002년 12월 21일에는 2007년까지 회북 나들목 변경을 위해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마구리에서 보은군 회북면 건천리 8.607km 구간 도로구역이 변경되었다.[20]
2006년 4월 24일, 청원 ~ 상주 고속도로 건설 공사 사업시행기간이 2007년 12월로 연기되었다.[22] 2007년 11월 8일, 청원 분기점 ~ 낙동 분기점 구간 제한속도가 최고 110km/h, 최저 60km/h로 지정되었고,[24] 2007년 11월 28일, 청원 분기점에서 낙동 분기점 79.4km 구간이 개통되었다.[25][1] 2014년 12월 1일, 청원 분기점의 명칭이 청주 분기점으로 변경되었으며, '청원상주고속도로'로 불리던 구간의 명칭이 청주상주고속도로로 개칭되었다.
2. 3. 상주 ~ 영덕 구간
1996년 7월 1일,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에서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구간이 '''고속국도 제23호선 청주 ~ 상주고속도로(청주 ~ 상주선)'''로 지정되었다.[8] 2001년 8월 25일, 대전 ~ 당진고속도로와 통합되어 '''고속국도 제30호선 당진상주고속도로'''(당진 ~ 상주선)로 변경되었다.[18]2007년 11월 28일, 청원 분기점 ~ 낙동 분기점 79.4km 구간이 개통되었으며,[25] 제한속도는 최고 110km/h, 최저 60km/h로 지정되었다.[24] 2009년 12월 18일 낙동 분기점 ~ 영덕 나들목 구간(107.6 km)이 착공되었고,[31] 12월 21일 종점이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에서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으로 연장되면서 '''당진영덕고속도로'''(당진 ~ 영덕선)로 명칭이 변경되었다.[32]
2012년 6월 28일 낙동 분기점 ~ 상주 분기점 구간이 착공되었다. 2014년 12월 1일, 청원 분기점이 청주 분기점으로 변경되었고, 기존 '청원상주고속도로'는 '''청주상주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6년 12월 26일, 낙동 분기점 ~ 영덕 나들목 111.7km 구간이 개통되었다.[43] 당초 12월 23일 개통 예정이었으나, 안전 문제로 인해 개통이 연기되었다.[42]
2. 4. 서산 ~ 당진 구간 (연장)
1996년 7월 1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신성동에서 충청남도 당진군 당진읍 구간이 고속국도 제22호선 대전 ~ 당진고속도로(대전 ~ 당진선)로 지정되었다.[8] 1997년 4월 24일에는 2003년 12월까지 대전 ~ 당진고속도로 예산 ~ 당진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예산군 응봉면 입침리에서 당진군 당진읍 사기소리까지 27.28km 구간 도로구역이 결정되었다.[9] 2001년 8월 25일, 대전 ~ 당진고속도로와 청주 ~ 상주고속도로가 통합되어 '''고속국도 제30호선 당진상주고속도로'''(당진 ~ 상주선)로 변경되었다.[18]2022년 2월 7일, 기점이 '충청남도 당진시 사기소동'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변경되면서 '''서산영덕고속도로'''(서산 ~ 영덕선)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9] 서산시는 기존 기점인 당진 분기점에서 서산시 대산읍의 대산항까지 총 연장 24.3 km 구간을 연장해 줄 것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하였으며,[53][54] 최근 대산당진고속도로는 기획재정부의 국가 재정사업평가자문회의에서 2015년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선정되어 사업 진행에 탄력을 받게 되었다.[55] 예비 타당성 조사가 통과되어 실시설계 후[56] 2023년 11월 27일에 착공되었다.[50]
3. 구성
'''차로수'''
당진 분기점 ~ 회덕 분기점(유성 분기점 ~ 회덕 분기점 구간은 호남고속도로지선과 중첩), 청주 분기점 ~ 영덕 나들목(낙동 분기점 ~ 상주 분기점 구간은 영천상주고속도로와 중첩) 구간은 왕복 4차로이다. 회덕 분기점 ~ 청주 분기점(경부고속도로 중첩 구간)은 왕복 8차로이다.
'''총연장'''
서산영덕고속도로의 총연장은 330.8km이다. 다른 자료에서는 총 연장이 197.88km로 명시되어 있다.
'''제한속도'''
당진 분기점 ~ 유성 분기점, 청주 분기점 ~ 낙동 분기점 구간은 최고 110 km/h, 최저 50 km/h로 제한속도가 설정되어 있다. 호남고속도로지선 중첩 구간 및 경부고속도로 중첩 구간, 낙동 분기점 ~ 영덕 나들목 구간은 최고 100 km/h, 최저 50 km/h이다.
'''터널'''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대흥터널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 556m | 2009년 | 영덕 방면 |
562m | 서산 방면 | |||
차동터널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 363m | 2009년 | 영덕 방면 |
315m | 서산 방면 | |||
신영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 686m | 2009년 | 영덕 방면 |
680m | 서산 방면 | |||
화흥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 신풍면 | 305m | 2009년 | |
해월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 500m | 2009년 | 영덕 방면 |
440m | 서산 방면 | |||
호계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 562m | 2009년 | 영덕 방면 |
550m | 서산 방면 | |||
유성터널 |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 | 315m | 2009년 | |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문의1터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마구리 | 421m | 2007년 | 서산 방면 |
429m | 영덕 방면 | |||
문의2터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마구리 | 128m | 서산 방면 | |
217m | 영덕 방면 | |||
피반령터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마구리 | 2,014m | 서산 방면 | |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오동리 | 1,952m | 영덕 방면 | ||
회인터널 |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건천리 | 227m | 서산 방면 | |
243m | 영덕 방면 | |||
수리티터널 |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건천리 | 837m | 서산 방면 | |
충청북도 보은군 수한면 차정리 | 914m | 영덕 방면 | ||
수한터널 | 충청북도 보은군 수한면 교암리 | 233m | ||
탄부터널 | 충청북도 보은군 탄부면 고승리 | 239m | ||
화서1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 | 210m | ||
화서2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상곡리 | 124m | ||
내서1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고곡리 | 141m | ||
내서2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고곡리 | 445m | 서산 방면 | |
455m | 영덕 방면 | |||
내서3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능암리 | 508m | 서산 방면 | |
498m | 영덕 방면 | |||
내서4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지사리 | 1,340m | ||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나각산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 | 240m | 2016년 | |
단밀1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 373m | 2016년 | 서산 방면 |
393m | 영덕 방면 | |||
단밀2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 421m | 2016년 | 서산 방면 |
434m | 영덕 방면 | |||
단밀3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 470m | 2016년 | 서산 방면 |
491m | 영덕 방면 | |||
단밀4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 312m | 2016년 | 서산 방면 |
350m | 영덕 방면 | |||
안사1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중하리 | 870m | 2016년 | 서산 방면 |
830m | 영덕 방면 | |||
안사2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중하리 | 1,474m | 2016년 | 서산 방면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금곡리 | 1,467m | 영덕 방면 | ||
안평1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삼춘리 | 2,643m | 2016년 | 서산 방면 |
2,654m | 영덕 방면 | |||
안평2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삼춘리 | 395m | 2016년 | 서산 방면 |
402m | 영덕 방면 | |||
안평3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삼춘리 | 1,470m | 2016년 | 서산 방면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평팔리 | 1,420m | 영덕 방면 | ||
단촌1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 800m | 2016년 | 서산 방면 |
718m | 영덕 방면 | |||
단촌2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 | 227m | 2016년 | 서산 방면 |
206m | 영덕 방면 | |||
단촌3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병방리 | 267m | 2016년 | 서산 방면 |
262m | 영덕 방면 | |||
단촌4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병방리 | 1,815m | 2016년 | 서산 방면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 1,763m | 영덕 방면 | ||
옥산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신계리 | 680m | 2016년 | 서산 방면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 | 671m | 영덕 방면 | ||
길안1터널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만음리 | 368m | 2016년 | 서산 방면 |
398m | 영덕 방면 | |||
길안2터널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 757m | 2016년 | 서산 방면 |
797m | 영덕 방면 | |||
길안3터널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배방리 | 1,220m | 2016년 | 서산 방면 |
1,237m | 영덕 방면 | |||
길안4터널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배방리 | 613m | 2016년 | 서산 방면 |
658m | 영덕 방면 | |||
사일산터널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지경리 | 2,487m | 2016년 | 서산 방면 |
2,562m | 영덕 방면 | |||
파천1터널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관리 | 781m | 2016년 | 서산 방면 |
912m | 영덕 방면 | |||
파천2터널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옹점리 | 920m | 2016년 | 서산 방면 |
876m | 영덕 방면 | |||
파천3터널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옹점리 | 939m | 2016년 | 서산 방면 |
945m | 영덕 방면 | |||
진보터널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신촌리 | 1,961m | 2016년 | 서산 방면 |
1,872m | 영덕 방면 | |||
지품1터널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괴정리 | 981m | 2016년 | 서산 방면 |
985m | 영덕 방면 | |||
지품2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지품리 | 700m | 2016년 | |
지품3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지품리 | 632m | 2016년 | 서산 방면 |
624m | 영덕 방면 | |||
지품4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복곡리 | 362m | 2016년 | 서산 방면 |
352m | 영덕 방면 | |||
지품5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수암리 | 67m | 2016년 | 영덕 방면 |
지품6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낙평리 | 1,193m | 2016년 | 서산 방면 |
1,140m | 영덕 방면 | |||
지품7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 | 145m | 2016년 | 서산 방면 |
174m | 영덕 방면 | |||
지품8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 | 83m | 2016년 | 서산 방면 |
121m | 영덕 방면 | |||
지품9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 | 323m | 2016년 | 서산 방면 |
339m | 영덕 방면 | |||
지품10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용덕리 | 423m | 2016년 | 서산 방면 |
403m | 영덕 방면 | |||
달산1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용덕리 | 727m | 2016년 | 서산 방면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인곡리 | 753m | 영덕 방면 | ||
달산2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리 | 1,624m | 2016년 | 서산 방면 |
1,612m | 영덕 방면 | |||
달산3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리 | 1,370m | 2016년 | 서산 방면 |
1,357m | 영덕 방면 | |||
영덕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흥기리 | 2,860m | 2016년 | 서산 방면 |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상직리 | 2,813m | 영덕 방면 |
'''교량'''
; 당진 ~ 청주 구간(호남고속도로지선, 경부고속도로 중첩 구간 포함)
사기소교, 삼웅교, 성하2교, 원동1교, 원동2교, 몽곡교, 자개2교, 고덕2교, 고덕3교, 대천천교, 석곡1교, 용리1교, 용리2교, 삽교천교, 하포교, 분천1교, 분천2교, 분천3교, 좌방1교, 좌방2교, 신석육교, 월곡교, 신장1교, 신장2교, 신장3교, 예산군의 예산대교, 손지교, 탄방교, 서계양교, 녹문교, 신양1교, 신양2교, 대덕교, 차동1교, 차동2교, 녹천1교, 녹천2교, 승지교, 유구1교, 유구2교, 화흥1교, 화흥2교, 화흥3교, 해월교, 해월1교, 호계교, 새들교, 홍천교, 동대교, 방문교, 상서교, 도천1교, 도천2교, 신웅대교, 귀산교, 정안천교, 청룡1교, 청룡2교, 하봉2교, 은용교, 산악3교, 대교천교, 송원교, 금강을 지나는 금강교, 용수천교, 안산1교, 안산2교, 유성교, 하기1교, 하기2교, 하기3교, 탄동교, 장동교, 설목육교, 화암교, 갑천대교, 상서1교, 석봉육교, 금강1교, 매봉철육교, 매봉1육교, 선동교, 시동교, 죽전교, 죽암교, 남이교, 남이육교가 있다.
; 청주 ~ 영덕 구간(영천상주고속도로 중첩 구간 포함)
척산2교, 척산3교, 척산4교, 남계1교, 남계2교, 남계3교, 국전교, 삼항1교, 문의교, 노현교, 용촌교, 회인교, 부수1교, 부수2교, 회인대교, 건천교, 수리티교, 차정교, 동정교, 보청교, 교암1교, 교암2교, 성리교, 소계교, 금굴교, 보청천교, 상장1교, 상장2교, 삼가천교, 봉비교, 불목1교, 수문교, 갈평교, 구병산교, 평온교, 상릉교, 금산교, 달천1교, 달천2교, 달천3교, 지산1교, 지산2교, 화서교, 삼곡교, 서원1교, 서원2교, 서원3교, 서원4교, 고곡1교, 고곡2교, 내서1교, 내서2교, 능암교, 지사교, 가장교, 병성천1교, 병성천2교, 지천2교, 지천3교, 지천4교, 운평1교, 운평2교, 서제교, 도덕1교, 도덕2교, 삼춘1교, 장림천교, 길안천교, 묵계1교, 용계천교, 용전천교, 서시천교, 지품2교, 오십천1교, 오십천2교, 용덕천교, 소서천교, 대서천교가 있다.
3. 1. 차로수
당진 분기점 ~ 회덕 분기점(유성 분기점 ~ 회덕 분기점 구간은 호남고속도로지선과 중첩), 청주 분기점 ~ 영덕 나들목(낙동 분기점 ~ 상주 분기점 구간은 영천상주고속도로와 중첩) 구간은 왕복 4차로이다. 회덕 분기점 ~ 청주 분기점(경부고속도로 중첩 구간)은 왕복 8차로이다.3. 2. 총연장
서산영덕고속도로의 총연장은 330.8km이다. 다른 자료에서는 총 연장이 197.88km로 명시되어 있다.3. 3. 제한속도
당진 분기점 ~ 유성 분기점, 청주 분기점 ~ 낙동 분기점 구간은 최고 110 km/h, 최저 50 km/h로 제한속도가 설정되어 있다. 호남고속도로지선 중첩 구간 및 경부고속도로 중첩 구간, 낙동 분기점 ~ 영덕 나들목 구간은 최고 100 km/h, 최저 50 km/h이다.3. 4. 터널
wikitable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대흥터널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 556m | 2009년 | 영덕 방면 |
562m | 서산 방면 | |||
차동터널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 363m | 2009년 | 영덕 방면 |
315m | 서산 방면 | |||
신영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 686m | 2009년 | 영덕 방면 |
680m | 서산 방면 | |||
화흥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 신풍면 | 305m | 2009년 | |
해월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 500m | 2009년 | 영덕 방면 |
440m | 서산 방면 | |||
호계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 562m | 2009년 | 영덕 방면 |
550m | 서산 방면 | |||
유성터널 |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 | 315m | 2009년 | |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문의1터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마구리 | 421m | 2007년 | 서산 방면 |
429m | 영덕 방면 | |||
문의2터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마구리 | 128m | 서산 방면 | |
217m | 영덕 방면 | |||
피반령터널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마구리 | 2,014m | 서산 방면 | |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오동리 | 1,952m | 영덕 방면 | ||
회인터널 |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건천리 | 227m | 서산 방면 | |
243m | 영덕 방면 | |||
수리티터널 |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건천리 | 837m | 서산 방면 | |
충청북도 보은군 수한면 차정리 | 914m | 영덕 방면 | ||
수한터널 | 충청북도 보은군 수한면 교암리 | 233m | ||
탄부터널 | 충청북도 보은군 탄부면 고승리 | 239m | ||
화서1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신봉리 | 210m | ||
화서2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화서면 상곡리 | 124m | ||
내서1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고곡리 | 141m | ||
내서2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고곡리 | 445m | 서산 방면 | |
455m | 영덕 방면 | |||
내서3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능암리 | 508m | 서산 방면 | |
498m | 영덕 방면 | |||
내서4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지사리 | 1,340m | ||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나각산터널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낙동리 | 240m | 2016년 | |
단밀1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 373m | 2016년 | 서산 방면 |
393m | 영덕 방면 | |||
단밀2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 421m | 2016년 | 서산 방면 |
434m | 영덕 방면 | |||
단밀3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 470m | 2016년 | 서산 방면 |
491m | 영덕 방면 | |||
단밀4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 312m | 2016년 | 서산 방면 |
350m | 영덕 방면 | |||
안사1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중하리 | 870m | 2016년 | 서산 방면 |
830m | 영덕 방면 | |||
안사2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중하리 | 1,474m | 2016년 | 서산 방면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금곡리 | 1,467m | 영덕 방면 | ||
안평1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삼춘리 | 2,643m | 2016년 | 서산 방면 |
2,654m | 영덕 방면 | |||
안평2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삼춘리 | 395m | 2016년 | 서산 방면 |
402m | 영덕 방면 | |||
안평3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안평면 삼춘리 | 1,470m | 2016년 | 서산 방면 |
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평팔리 | 1,420m | 영덕 방면 | ||
단촌1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세촌리 | 800m | 2016년 | 서산 방면 |
718m | 영덕 방면 | |||
단촌2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 | 227m | 2016년 | 서산 방면 |
206m | 영덕 방면 | |||
단촌3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병방리 | 267m | 2016년 | 서산 방면 |
262m | 영덕 방면 | |||
단촌4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병방리 | 1,815m | 2016년 | 서산 방면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 1,763m | 영덕 방면 | ||
옥산터널 |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 신계리 | 680m | 2016년 | 서산 방면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현하리 | 671m | 영덕 방면 | ||
길안1터널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만음리 | 368m | 2016년 | 서산 방면 |
398m | 영덕 방면 | |||
길안2터널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리 | 757m | 2016년 | 서산 방면 |
797m | 영덕 방면 | |||
길안3터널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배방리 | 1,220m | 2016년 | 서산 방면 |
1,237m | 영덕 방면 | |||
길안4터널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배방리 | 613m | 2016년 | 서산 방면 |
658m | 영덕 방면 | |||
사일산터널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지경리 | 2,487m | 2016년 | 서산 방면 |
2,562m | 영덕 방면 | |||
파천1터널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관리 | 781m | 2016년 | 서산 방면 |
912m | 영덕 방면 | |||
파천2터널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옹점리 | 920m | 2016년 | 서산 방면 |
876m | 영덕 방면 | |||
파천3터널 |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 옹점리 | 939m | 2016년 | 서산 방면 |
945m | 영덕 방면 | |||
진보터널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신촌리 | 1,961m | 2016년 | 서산 방면 |
1,872m | 영덕 방면 | |||
지품1터널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괴정리 | 981m | 2016년 | 서산 방면 |
985m | 영덕 방면 | |||
지품2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지품리 | 700m | 2016년 | |
지품3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지품리 | 632m | 2016년 | 서산 방면 |
624m | 영덕 방면 | |||
지품4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복곡리 | 362m | 2016년 | 서산 방면 |
352m | 영덕 방면 | |||
지품5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수암리 | 67m | 2016년 | 영덕 방면 |
지품6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낙평리 | 1,193m | 2016년 | 서산 방면 |
1,140m | 영덕 방면 | |||
지품7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 | 145m | 2016년 | 서산 방면 |
174m | 영덕 방면 | |||
지품8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 | 83m | 2016년 | 서산 방면 |
121m | 영덕 방면 | |||
지품9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송천리 | 323m | 2016년 | 서산 방면 |
339m | 영덕 방면 | |||
지품10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용덕리 | 423m | 2016년 | 서산 방면 |
403m | 영덕 방면 | |||
달산1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지품면 용덕리 | 727m | 2016년 | 서산 방면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인곡리 | 753m | 영덕 방면 | ||
달산2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리 | 1,624m | 2016년 | 서산 방면 |
1,612m | 영덕 방면 | |||
달산3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대지리 | 1,370m | 2016년 | 서산 방면 |
1,357m | 영덕 방면 | |||
영덕터널 | 경상북도 영덕군 달산면 흥기리 | 2,860m | 2016년 | 서산 방면 |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상직리 | 2,813m | 영덕 방면 |
3. 4. 1. 당진 ~ 대전 구간
터널 이름 | 소재지 | 길이 | 준공 년도 | 비고 |
---|---|---|---|---|
대흥터널 |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 556m | 2009년 | 영덕 방면 |
562m | 서산 방면 | |||
차동터널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 363m | 2009년 | 영덕 방면 |
315m | 서산 방면 | |||
신영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 686m | 2009년 | 영덕 방면 |
680m | 서산 방면 | |||
화흥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 신풍면 | 305m | 2009년 | |
해월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 500m | 2009년 | 영덕 방면 |
440m | 서산 방면 | |||
호계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 562m | 2009년 | 영덕 방면 |
550m | 서산 방면 | |||
유성터널 |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 | 315m | 2009년 | |
3. 4. 2. 청주 ~ 상주 구간
421m (서산 방면)128m (서산 방면)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오동리 (서산 방면)
2,014m (서산 방면)
227m (서산 방면)
충청북도 보은군 수한면 차정리 (영덕 방면)
837m (서산 방면)
445m (서산 방면)
508m (서산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