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는 고대부터 시작된 문화 교류를 거쳐, 1973년 공식 외교 관계 수립 이후 군사적 협력으로 발전했다. 특히 이란-이라크 전쟁을 계기로 무기 거래가 활발해졌으며, 북한은 이란에 미사일 기술을 제공하고 핵 개발에 기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두 나라는 미국의 외교 정책에 대한 적대감을 공유하며 군사적, 기술적 협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상호 대사관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양국 관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쿠바 관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쿠바는 사회주의 이념을 공유하며 냉전 시대부터 정치적 연대를 맺어 상호 지지하고 고위급 인사 방문을 통해 관계를 다져왔으나, 청천강호 사건과 대한민국과의 수교 가능성 제기 등 외교적 변화를 겪으며 핵 개발 및 인권 문제로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양국 관계 - 인도네시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인도네시아와 북한은 1964년 수교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했으나, 수하르토 정권 시기 소원해졌다가 메가와티 수카르노푸트리 대통령 방북을 계기로 관계 회복을 모색하며, 아시아 아프리카 정상회의 참석, 아시안 게임 남북 공동 입장 등으로 긍정적 관계를 유지하려 노력하고, 비동맹 운동 참여와 아세안 지역 안보 포럼 협력, 인도네시아의 팜유 지원 등이 있었다.
이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개요
공식 관계 명칭이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한글 표기이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한자 표기이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정보 없음)
영어 표기Iran–North Korea relations
페르시아어 표기روابط ایران و کره شمالی (Ravābet-e Irān va Koreh-ye Shomālī)
조선어 표기이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계 (Iran-Joseonminjujuuiinmin Gonghwaguk Gwangye)
외교 공관
이란평양 주재 이란 대사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테헤란 주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관
주요 인물
이란 대사세예드 모흐센 에마디 (Seyed Mohsen Emadi)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사강삼현 (Kang Sam-hyon), 한성우 (Han Seong-woo)
관계
협력 분야핵 개발, 군사 협력 (추정)
우호 관계반미, 반서방 공동 전선
역사적 관계1980년대부터 지속된 관계
논란핵 개발 지원 의혹, 미사일 기술 이전 의혹
경제
교역 규모미미함 (제재로 인한 제한)
주요 교역 품목무기, 군사 장비 (추정)
기타
공통점권위주의 체제, 국제적 고립
잠재적 협력 분야에너지, 자원 개발

2. 역사

이란과 한반도의 관계는 고대 삼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 교류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5]

현대에 들어 냉전 시기 이란 제국은 대한민국과 우호 관계를 유지했으나, 1973년 4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도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7] 그러나 초기 관계는 제한적이었다.[8]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양국 관계는 급격히 발전했다.[8][39] 북한은 새로운 이란 정권을 지지했으며[9], 특히 이란-이라크 전쟁(1980-1988) 기간 동안 이란의 주요 무기 공급국으로 부상하며 군사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0][71] 이란은 이 전쟁 당시 북한으로부터 총 26억달러 상당의 무기를 도입했으며[71], 북한의 화성 5호 미사일 기술을 이전받아 자체적으로 샤하브-1 미사일을 개발하기도 했다.[72] 북한의 적극적인 지원은 이라크와의 단교로 이어지기도 했다.[11][40]

1989년 5월, 당시 이란의 대통령이었던 알리 하메네이 최고 지도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김일성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고, 이 회담을 통해 양국은 반미·반제국주의 노선을 재확인하며 협력 관계를 공고히 했다.[73]

냉전 종식 이후에도 양국은 미국의 제재와 국제사회의 압박 속에서 관계를 유지, 발전시켜왔다. 특히 미사일 기술 및 핵 개발과 관련한 협력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44][46], 이는 국제적인 우려를 낳기도 했다. 2013년 북한의 3차 핵 실험 당시 이란 과학자들이 참관했다는 보도[74][50]나, 양국 간 탄도미사일 관련 부품 거래 및 기술 협력 정황[75] 등이 포착되기도 했다.

2. 1. 고대 교류

페르시아와 한반도의 관계는 문화 교류로 시작되어 고대 삼국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는 1600년 이상 전 실크로드를 통해 이루어졌다. 신라 시대의 유물 중 이러한 교류의 증거들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경주에 있는 신라 왕릉 중 하나인 천마총에서는 짙은 남색 유리잔이 발굴되었고, 계림로에서는 이국적인 모습의 금제 칼인 계림로 보검이 발견되었다. 이 유물들은 고대 이란(페르시아)에서 실크로드를 통해 신라로 전해진 것으로 추정된다.[5]

또한 페르시아 여신 아나히타의 모습이 새겨진 은제 그릇, 페르시아 양식의 금 칼, 점토로 만든 흉상, 중동 상인을 묘사한 조각상 등도 발견되었다.[6]

고려 현종 시대에 페르시아와의 무역이 한국 역사에 공식적으로 기록되기도 했다. 그러나 학계에서는 이미 7세기 신라 시대에 두 지역 간 활발한 문화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며, 이는 한국과 이란의 관계가 1500년 이상 되었음을 시사한다.[5] 페르시아의 학자 이븐 쿠르다드베는 역사책에 신라중국 동쪽 끝에 위치하며, '이 아름다운 나라 신라에는 금이 많고, 웅장한 도시와 근면한 사람들이 있으며, 그들의 문화는 페르시아와 비교할 만하다'고 기록하기도 했다.[5] 1145년에 편찬된 삼국 시대의 공식 역사서인 ''삼국사기''에도 중동 상인들이 판매하고 신라 사회에서 널리 사용된 상품들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6]

2. 2. 현대사

냉전 시기 이란 제국은 대한민국과 수교하고 서방 진영에 속해 있었기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제한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1973년 양국이 공식 수교[7]했지만, 실질적인 교류는 미미했다.[8]

1979년 이란 혁명으로 팔레비 왕조가 무너지고 반미 성향의 이슬람 공화국이 들어서면서 양국 관계는 극적인 전환점을 맞았다.[8][39] 북한은 새로운 이란 정권과 관계 개선을 적극 추진했으며[9], 특히 이란-이라크 전쟁(1980-1988) 발발 이후 이란의 핵심적인 무기 공급국 역할을 하며 군사적으로 밀착했다.[10][71] 이 과정에서 북한은 이라크와 단교하기까지 했다.[11][40]

냉전 종식 이후에도 양국은 미국의 제재와 압박 속에서 관계를 이어갔다. 특히 미사일 기술 및 핵 개발과 관련한 협력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며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았다.[44][46]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이란과 북한을 이라크와 함께 '악의 축'으로 지목하면서 이러한 의혹과 우려는 더욱 증폭되었다. 이란 측은 핵 및 미사일 협력 의혹을 공식적으로 부인[47][48]하고 북한의 핵 실험에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으나[49], 양국 간 군사 기술 협력에 대한 의심은 계속되고 있다.[50][51]

2. 2. 1. 이란 혁명 이전

냉전 초기, 이란 제국은 미국 주도의 서방 진영에 속해 있었으며, 1962년 대한민국과 수교한 상태였기 때문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외교 관계를 맺지 않았다. 1971년에서 1972년 사이 북한은 샤트 알 아랍 수로에 대한 이라크의 영유권 주장을 지지하고, 이란의 아부 무사섬 및 대/소 툰브 섬 점령을 비판하며 양국 관계는 시작부터 순탄치 않았다.

그러나 1972년 9월 이란 탁구팀의 북한 방문을 계기로 관계 개선의 분위기가 조성되기 시작했다. 결국 1973년 4월, 이란은 북한과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 당시 이란 외무차관이었던 아흐마드 미르판데레스키는 "북한을 고립시키는 것은 아무런 이득이 없으며, 오히려 외교 무대로 끌어들여 더 책임감 있게 만드는 것이 낫다"는 논리로 이러한 결정을 설명했다.[7]

수교 이후 양국은 무역 및 결제 협정(1973년), 문화 협력 협정(1974년), 통신사 간 뉴스 교환 협정(1978년) 등을 체결하며 교류를 이어갔다. 하지만 이 시기 이란과 북한의 전반적인 관계는 대한민국과의 광범위한 협력 관계에 비하면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2. 2. 2. 이란 혁명과 이란-이라크 전쟁

냉전 초기, 팔레비 왕조 치하의 이란 제국은 1962년부터 대한민국과 관계를 맺고 미국 중심의 서방 진영에 속해 있었기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는 별다른 관계를 맺지 않았다. 1973년 4월, 양국은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했지만[7], 실제 교류는 대한민국과의 관계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었다.[8]

1979년 이란 혁명으로 친미 성향의 팔레비 군주제가 무너지고 이슬람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양국 관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했다.[8][39] 북한은 루홀라 호메이니가 이끄는 새로운 정권과의 관계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9] 이란 인질 사태 당시 북한은 미국에 반대하며 테헤란을 지지한 소수의 국가 중 하나였다.[9] 1980년 1월, 북한은 이란 이슬람 공화국과 첫 무역 협정을 체결했다.[9]

1980년 9월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하자, 북한은 즉각적으로 이란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1980년 10월 초, 이란은 북한으로부터 의료 물품과 포탄을 공급받았으며, 이는 양국 간 군사 협력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10] 북한의 이란 지원은 이라크와의 외교 관계 단절(1980년 10월 10일)로 이어졌다.[11][40][41][42][43]

전쟁 기간 동안 북한은 이란의 핵심적인 무기 공급국 역할을 수행했다. 이란은 북한으로부터 총 26억달러 상당의 무기를 도입했으며[71], 특히 이라크의 스커드 미사일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북한제 화성 5호 미사일 100여 발을 수입하여 사용했다. 또한 북한으로부터 기술과 부품을 도입하여 화성 5호의 이란 버전인 샤하브-1 미사일을 자체 개발하기도 했다.[72] 북한은 동구권 국가들과 이란 간의 무기 거래를 중개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양국의 긴밀한 관계는 고위급 교류로도 이어졌다. 1989년 5월, 당시 이란의 대통령이었던 알리 하메네이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김일성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을 통해 양국은 반미·반제국주의 노선을 재확인하며 협력 관계를 더욱 공고히 했다.[73]

2. 2. 3. 냉전 종식 이후

냉전 종식 이후에도 이란북한미국의 제재와 압박 속에서 관계를 유지하며 협력을 모색해 왔다.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이란과 북한을 이라크와 함께 "악의 축"으로 지목하면서, 양국 관계는 국제적인 우려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양국은 특히 군사 분야, 그 중에서도 미사일 및 핵 기술 협력 의혹을 꾸준히 받아왔다. 북한이 이란에 관련 기술을 판매하고 있다는 관측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었으며, 이란의 샤하브-3는 북한의 노동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여겨진다.[44] 양국은 교육·과학·문화 분야에서의 협력도 공식적으로 표명한 바 있다.[45] 이란의 핵 개발 계획과 관련하여 북한과의 협력 가능성이 보도되면서[46], 미국은 양국의 무기 거래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해 왔다.

그러나 이란 측은 이러한 의혹을 공식적으로 부인했다. 2011년 5월, 이란의 아흐마드 바히디 국방군수 장관은 이란의 국방 산업이 자급자족 단계에 이르렀다며 북한과의 미사일 기술 거래 의혹을 일축했다.[47] 2012년 12월에는 이란 외무성의 라민 메흐만파라스트 대변인이 핵무기 및 미사일 관련 협력 보도는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48]

2013년 2월 12일, 북한이 3차 핵 실험을 감행하자 이란 외무성 대변인은 "어떤 나라도 핵의 군사적 이용을 해서는 안 된다"고 언급하며, 북한의 핵 개발에 대해 간접적으로 비판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49]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 핵·미사일 협력 의혹은 끊이지 않았다. 2013년 북한 핵 실험 당시, 중거리 탄도 미사일(IRBM)에 탑재 가능한 핵탄두 개발 책임자를 포함한 이란 과학자들이 실험을 참관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란 측이 먼저 참관을 요청했으며, 그 대가로 수천만 달러 상당의 금액을 중국 위안화로 제공했다는 구체적인 보도도 나왔다.[50] 또한, 2017년 1월 28일 이란이 발사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이 북한의 무수단 미사일과 기술적으로 연관되어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었다.[51]

한편, 양국 간의 인적 교류도 존재한다. 이란의 전 정보통신기술부 장관인 모하마드하산 나미는 북한의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인물이다.[52]

3. 군사 협력

이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의 군사 협력은 1980년대 이란-이라크 전쟁 시기부터 본격화되었으며, 이후 양국 관계의 중요한 축을 이루어 왔다.[3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란의 주요 무기 공급원 중 하나로 부상했으며,[30] 특히 탄도 미사일 기술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졌다. 이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부터 화성 5호를 도입하여 샤하브-1 개발의 기초를 다졌고,[72] 노동 미사일 기술을 기반으로 샤하브-3를 개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4]

1989년 5월, 당시 이란의 대통령이었던 알리 하메네이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김일성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으며, 이를 계기로 양국은 반미·반제국주의 노선을 공유하며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했다.[73]

이후에도 양국은 미사일 기술 협력을 지속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포동 2호 기술 제공 의혹[70], 화성-14 대륙간 탄도 미사일과 이란 우주 발사체 기술의 유사성 지적[38] 등이 이어졌다. 또한, 이란의 핵 개발 계획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와 함께,[69] 201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에 이란 과학자들이 참관했다는 보도[74][50]가 나오는 등 핵 개발 관련 협력 의혹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양국은 무기 및 기술 거래 외에도 특수 작전, 지하 시설 건설 등 군사 전문 지식을 교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31] 이러한 군사적 밀착 관계는 미국을 비롯한 국제 사회의 깊은 우려를 낳고 있으며, 유엔 및 미국의 제재 대상이 되기도 했다.[34][35][75] 2013년에는 양국이 시리아와 함께 유엔 무기 거래 조약을 거부하며 국제적인 무기 통제 노력에 반하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36][37] 이란 정부는 핵 및 미사일 기술 협력 의혹을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으나,[47][48]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악의 축'으로 지목한 두 국가 간의 군사 협력은 여전히 국제 안보의 주요 관심사로 남아 있다.

3. 1. 무기 거래

이란-이라크 전쟁(1980년~1988년)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란의 주요 무기 공급 국가였다. 이 기간 동안 북한은 이란에 26억달러 상당의 무기를 판매했다.[71][30] 이란은 이라크의 스커드 미사일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북한으로부터 100여 발의 화성 5호 미사일을 도입했으며, 이를 이라크에 발사하여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또한, 이란은 기술진과 부품을 수입하여 화성 5호를 기반으로 한 자체 미사일인 샤하브-1을 개발하기도 했다.[72] 1980년대 이후 북한은 이란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무기를 공급하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 잡았다.[30]

북한과 이란의 군사 협력은 단순한 무기 거래를 넘어 미사일 및 핵 기술 개발, 군사 전문 지식 교류 등으로 확대되었다. 페르시아 만 전쟁 당시 북한은 이란에 포병, 대공 기관총, 박격포, 탄약, 전차, 소형 무기, 해군 기뢰, 대전차 및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 등 다양한 무기를 공급한 것으로 알려졌다.[33] 또한, 북한은 이란의 핵 개발 계획에 상당 부분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69]

양국 간 미사일 기술 협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란의 샤하브-3 미사일은 북한의 노동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추정된다.[44] 2010년 후반에는 북한이 이란에 대포동 2호 미사일 기술을 제공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70] 무기 전문가 제프리 루이스는 북한의 화성-14 ICBM 2단계가 이란의 우주 발사체용 상단과 유사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38] 2017년 1월 28일, 이란이 발사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은 북한의 무수단 미사일로 추정된다.[51]

2021년 이란 군사 대학 졸업식에서 북한 군사 학생들


국제 사회는 양국의 무기 거래 및 군사 협력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해왔다. 2009년 12월, 태국에서는 이란으로 향하던 것으로 보이는 북한 무기 선적이 압수되었는데, 이는 북한에 부과된 무기 금수 조치를 위반한 사례였다. 압수된 무기에는 로켓 발사기와 지대공 미사일 부품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34][35] 2013년 3월, 북한과 이란은 시리아와 함께 재래식 무기 이전에 대한 국제적 기준 설정을 목표로 하는 유엔 무기 거래 조약을 거부했다.[36][37]

201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당시, 이란 과학자들이 참관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74] 이란 측이 먼저 참관을 요청했으며, 대가로 수천만 달러 상당의 중국 위안화를 제공했다는 보도도 있었다.[50] 그러나 이란 외무성 대변인은 2013년 2월 핵실험 직후 "어떤 나라도 핵의 군사적 이용을 해서는 안 된다"고 밝히며 간접적으로 북한을 비판하기도 했다.[49]

2016년 1월,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이란의 샤히드 헤마트 산업그룹(SHIG) 소속 인사가 유엔 및 미국 제재 대상인 북한 조선광업개발회사(KOMID)의 이란 주재 관계자들과 직접 협력해왔다고 발표했다. SHIG는 KOMID가 액체 추진 탄도미사일 및 우주 발사체(SLV) 실험에 사용되는 부품을 이란으로 운송하는 일을 관장했으며, SHIG 소속 미사일 기술자들이 북한을 방문하여 80톤급 로켓 추진체 개발에 관여했다고 지적했다.[75]

무기 거래 외에도 북한과 이란은 특수 작전 및 지하 시설 건설과 관련된 군사 전문 지식을 활발히 교환하고 있으며, 북한이 이란 작전 요원들에게 침투 기술 등을 훈련시킨 것으로 추정된다.[31]

이란 측은 북한과의 미사일 및 핵 기술 거래 의혹을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다. 2011년 5월, 이란의 아흐마드 바히디 국방장관은 이란의 방위 산업이 자급자족 단계에 이르렀다며 외부 협력의 필요성을 부정했다.[47] 2012년 12월에는 이란 외무성 대변인 라민 메흐만파라스트가 핵무기와 미사일 관련 협력 보도를 근거 없다고 일축했다.[48]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악의 축"으로 지목했던 두 국가 간의 군사적 관계는 여전히 국제 사회의 주요 관심사로 남아 있다.

이란의 전 정보통신기술부 장관인 모하마드 하산 나미는 북한의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인물이다.[52]

3. 2. 핵·미사일 기술 협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이란의 핵무기 프로그램에 상당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된다.[69]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이어진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부터 약 26억달러 상당의 무기를 도입했다.[71] 특히 이라크의 스커드 미사일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화성 5호 미사일 100여 발을 수입했으며, 이를 이라크에 발사하여 상당한 피해를 주었다. 이란은 비용을 지불하고 기술진과 부품까지 도입하여 화성 5호의 이란 버전인 샤하브-1(Shahab-1)을 개발하기도 했다.[72]

양국의 협력 관계는 고위급 교류를 통해 더욱 공고해졌다. 알리 하메네이이란의 대통령 재임 시절인 1989년 5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김일성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을 계기로 양국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반미·반제국주의 노선을 강화했다.[7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0년 후반에 이란에 대포동 2호 미사일 기술을 제공한 것으로 알려졌다.[70] 이란의 샤하브-3 미사일 역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노동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추정된다.[44]

핵 개발 분야에서의 협력 의혹도 꾸준히 제기되었다. 201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 당시 이란 과학자들이 직접 참관했다는 보도가 나왔다.[74] 이란 측이 먼저 참관을 요청했으며, 대가로 수천만 달러 상당을 중국 위안화로 지불하는 조건을 제시했다는 구체적인 내용도 보도되었다.[50]

미국 정부는 양국의 무기 거래 및 기술 협력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해왔다. 2016년 1월,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이란의 샤히드 헤마트 산업그룹(SHIG) 소속 사예드 자바드 무사비 커머셜 디렉터가 유엔과 미국의 제재 대상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선광업개발회사(KOMID) 이란 주재 관계자들과 직접 협력해왔다고 밝혔다. SHIG는 KOMID가 액체 추진 탄도미사일과 우주 발사체(SLV) 실험에 사용되는 밸브, 전자 부품, 계측 장비 등을 이란으로 운송하는 과정을 관리했으며, SHIG의 미사일 기술자들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80톤급 로켓 추진체 개발에 협력했다는 사실도 지적되었다.[75]

이란 정부는 이러한 협력 의혹을 공식적으로 부인해왔다. 2011년 5월, 이란의 아흐마드 바히디 국방장관은 이란이 방위 산업에서 완전한 자급자족을 달성했으므로 다른 국가의 협력이 필요 없다고 주장하며 양국 간 미사일 기술 거래를 부인했다.[47] 2012년 12월에는 이란 외무부의 Ramin Mehmanparast|라민 메흐만파라스트영어 대변인이 핵무기와 미사일 관련 협력 보도는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48] 또한, 2013년 북한의 핵 실험 이후 메흐만파라스트 대변인은 "어떤 나라도 핵의 군사적 이용을 해서는 안 된다"고 발언하며 간접적으로 북한을 비판하기도 했다.[49]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국 간 협력 정황은 계속 포착되고 있다. 2017년 1월 이란이 발사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무수단 미사일과 유사하다는 분석이 나왔다.[51] 또한, 이란의 전 정보통신기술부 장관인 محمدحسن نامی|모함마드하산 나미fa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인물로, 양국 간 인적 교류가 있었음을 보여준다.[52]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언급한 "악의 축"에 포함된 두 국가의 관계는 여전히 국제 사회의 주요 관심사이다.

3. 3. 군사 교류

이란은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이어진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부터 26억달러 상당의 무기를 도입했다.[71] 특히 이라크의 스커드 미사일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화성 5호 미사일 100여 발을 수입하여 사용했으며, 이는 이라크에 상당한 피해를 주었다. 이란은 비용을 지불하고 기술진과 부품까지 도입하여 화성 5호의 이란 버전인 샤하브-1을 개발하기도 했다.[72] 1980년대 이후 북한은 이란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무기를 공급하는 주요 국가로 부상했으며, 이란-이라크 전쟁 기간 동안 양국 간 무기 거래는 크게 증가했다.[30]

양국의 군사 협력은 단순한 무기 거래를 넘어 핵 기술 개발 및 교류로까지 확대되었으며, 이 과정에는 시리아도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31][32] 페르시아 만 전쟁 당시에도 북한은 이란에 포병, 대공 기관총, 박격포, 탄약, 전차, 소형 무기, 해군 기뢰, 대전차 미사일 및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 등 다양한 무기를 공급한 것으로 전해진다.[33]

알리 하메네이는 이란의 대통령 재임 시절인 1989년 5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김일성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이 회담을 계기로 양국은 긴밀한 관계를 구축하고 반미·반제국주의 노선을 강화했다.[73]

이후에도 양국의 군사적 협력은 지속되었다. 2009년 12월에는 태국에서 이란으로 향하던 북한산 무기 선적이 유엔의 대북 무기 금수 조치를 위반한 혐의로 압수되었는데, 여기에는 로켓 발사기와 지대공 미사일 부품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34][35] 2013년에는 201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핵 실험에 이란 과학자들이 직접 참관했다는 보도가 나왔다.[74] 같은 해 3월, 북한과 이란은 시리아와 함께 재래식 무기 이전에 대한 국제적 기준 설정을 목표로 하는 유엔 무기 거래 조약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36][37]

2016년 1월,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이란의 샤히드 헤마트 산업그룹(SHIG) 소속 사예드 자바드 무사비 커머셜 디렉터가 유엔과 미국의 제재 대상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조선광업개발회사(KOMID) 이란 주재 관계자들과 직접 협력해왔다고 밝혔다. 보고에 따르면, SHIG는 KOMID가 액체 추진 탄도미사일과 우주 발사체(SLV) 발사 실험에 사용되는 밸브, 전자 부품, 계측 장비 등을 이란으로 운송하는 과정을 관리했으며, SHIG의 미사일 기술자들이 수년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북한 정부가 개발 중인 80톤급 로켓 추진체 관련 작업에 참여했다고 한다.[75] 무기 전문가인 제프리 루이스는 북한의 화성-14 ICBM 2단계가 이란의 우주 발사체용 상단과 유사하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38]

무기 거래 외에도 북한과 이란은 특수 작전 및 지하 시설 건설과 관련된 군사 전문 지식을 활발히 교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31] 특히 북한은 이란의 특수 부대 요원들에게 진보된 침투 기술 등을 훈련시킨 것으로 추정된다.[31] 2021년에는 이란의 군사 대학 졸업식에 북한 군사 학생들이 참석한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4. 외교 관계

이란북한은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공식적인 외교 관계를 수립했다.[39]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하자 북한은 이란을 지원했고, 이로 인해 이라크와는 국교를 단절했다.[40][41][42][43] 이를 계기로 양국 간 군사 협력이 시작되었는데, 북한은 공산권 국가들과 이란 사이의 무기 거래를 중개하는 동시에 자국산 무기를 이란에 직접 판매했다. 이란의 샤하브-3는 북한의 노동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추정된다.[44] 양국은 군사 분야 외에도 교육, 과학, 문화 분야에서의 협력 의사를 밝혔으며[45], 특히 이란의 핵 개발 계획에 대한 북한의 협력 가능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46] 미국은 이러한 양국의 무기 거래 및 기술 협력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해 왔다.

북한이 이란에 미사일 및 핵 기술을 계속 판매하고 있다는 의혹이 지속되었으나, 이란 측은 이를 부인했다. 2011년 5월, 이란의 아흐마드 바히디 당시 국방군수 장관은 "이란은 방위 산업에서 완전한 자급자족을 달성했으며 다른 국가의 협력이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47] 2012년 12월에는 이란 외무성의 Ramin Mehmanparast|라민 메흐만파라스트영어 대변인이 핵무기 및 미사일 관련 협력 보도는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48] 한편, 이란은 2009년에 자체 기술로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하여, 이 분야에서는 북한보다 앞서 나갔다. 조지 W. 부시 전 미국 대통령이 이란과 북한을 (이라크와 함께) "악의 축"으로 규정한 이후에도 양국 관계는 국제 사회의 지속적인 우려 대상이 되고 있다.

2013년 2월 12일 북한의 3차 핵 실험 직후, 이란 외무성의 메흐만파라스트 대변인은 "어떤 나라도 핵의 군사적 이용을 해서는 안 된다"고 언급하며 북한의 핵 개발을 간접적으로 비판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49] 그러나 이후 해당 핵 실험에 중거리 탄도 미사일 탑재용 핵탄두 개발 책임자를 포함한 이란 과학자들이 참관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란 측이 먼저 참관을 요청했으며, 그 대가로 수천만 달러 상당의 중국 위안화를 제공했다는 보도도 나왔다.[50]

2017년 1월 28일, 이란이 발사한 중거리 탄도 미사일은 북한의 무수단 미사일 기술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51]

양국 간 인적 교류의 사례로, 이란의 전 이란 정보통신기술부 장관인 محمدحسن نامی|모하마드하산 나미fa는 북한의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인물이다.[52]

4. 1. 주이란 북한 대사

대사 이름임기임명일
김정남2000년–2004년2000년 11월 7일[18]
김창룡2004년–2010년2004년 1월 8일[19]
조인철2010년–2014년2010년 5월 22일[20]
강삼현2014년–2020년2014년 12월 18일[20]
한성우2020년–현재[21]


4. 2. 주북한 이란 대사


  • 하산 타헤리안 (1992년 ~ 1993년)
  • 알리 아스갈 나하반디얀
  • 세예드 모르테자 미르헤이다리 (? ~ 1997년)[22]
  • 모하마드 간지두스트 (1997년 ~ 2001년 2월 23일)[23][57]
  • 하산 타헤리안 (2002년)
  • 잘랄로딘 나미니 미얀지 (2002년 ~ 2007년)[24][58]
  • 모르테자 몰라디안 (2008년 ~ 2012년)[25][59]
  • 만수르 차보시 (2012년 ~ 2016년)[26][60]
  • 세예드 모흐센 에마디 (2017년 ~ 2020년)[27][61]

4. 3. 기타


  • 리원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란 친선협회 위원장[28][58]
  • انوشیروان محسنی بندپی|아누쉬르반 모흐세니 반드페이fa: 이란-한국 의회 친선 그룹 의장[29][62]
  • 하산 모흐타샤미 호자스테: 전 주북UNFPA 대표(2018~2021년)인 이란인 의사[63][64][65]

참조

[1] 뉴스 Result of Iranian delegation visit to N Korea positive http://www2.irna.com[...] 2007-04-24
[2] 뉴스 N. Korea helping Iran with nuclear testing https://www.telegrap[...] 2007-04-24
[3] 간행물 Iran-North Korea-Syria Ballistic Missile and Nuclear Cooperation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6-02-26
[4] 서적 North Korea, Iran and the Challenge to International Order https://www.routledg[...] Routledge 2017
[5] 뉴스 Cultural ties put Iran, S Korea closer than ever for cooperation http://www.tehrantim[...] 2017-04-12
[6] 뉴스 1,500 Years of Contact between Korea and the Middle East http://www.mei.edu/c[...] 2017-04-12
[7] 논문 Maneuvering between Baghdad and Tehran: North Korea’s Relations with Iraq and Iran during the Cold War 2023
[8] 논문 Iran and the Two Koreas: A Peculiar Pattern of Foreign Policy 2012
[9] 논문 Maneuvering between Baghdad and Tehran
[10] 문서 Iran Missile Chronology https://www.nti.org/[...]
[11] 서적 Between Ideology and Interest: North Korea in the Middle East Westview Press 1987
[12] 논문 Maneuvering between Baghdad and Tehran
[13] 웹사이트 Cracks in the North Korea-Iran Axis. Elements of dissonance in the rhetoric of the Tehran-Pyongyang partnership. http://www.nknews.or[...] 2014-08-05
[14] 웹사이트 Consent, discord in North Korean, Iranian attitudes toward international terrorism http://www.nknews.or[...] 2015-08-17
[15] 웹사이트 The specter of terrorism in North Korean, Iranian propaganda http://www.nknews.or[...] 2015-08-25
[16] 웹사이트 Iran Build's Pyongyang's First Mosque https://www.nknews.o[...] 2013-01-21
[17] 논문 "'This Is Iran, Not North Korea': Conflicting Images of the DPRK in Iranian Public Discourse" 2021
[18] 뉴스 DPRK ambassador to Iran appointed http://www.kcna.co.j[...] 2007-04-24
[19] 뉴스 DPRK Ambassador to Iran Appointed http://www.kcna.co.j[...] 2007-04-24
[20] 웹사이트 North Korea appoints new ambassador to Iran | NK News – North Korea News https://www.nknews.o[...]
[21] 웹사이트 Iranian President on Friendly Relations between DPRK and Iran, Rodong Sinmun, 29 June 2020 https://kcnawatch.or[...]
[22] 뉴스 Vice-President Ri Jong Ok meets Iranian Ambassador 1997-07-17
[23] 뉴스 Paek Nam Sun meets Iranian ambassador http://www.kcna.co.j[...] 2007-04-24
[24] 뉴스 DPRK-Iranian Cultural and Scientific Exchange Plan Signed http://www.kcna.co.j[...] 2007-04-24
[25] 웹사이트 North Korea-Iran Foreign Relations https://www.critical[...] 2021-11-07
[26] 웹사이트 N. Korean Supreme People's Council speaker asks for broader ties with Iran http://www.irna.ir/e[...] 2012-10-25
[27] 웹사이트 Kim Yong Nam Receives Credentials from Iranian Ambassador http://www.kcna.co.j[...] 2017-11-03
[28] 뉴스 Rally and Film Show Mark Victory of Islamic Revolution in Iran http://www.kcna.co.j[...] 2007-04-24
[29] 뉴스 Kim Yong Nam Meets Iranian Delegation http://www.kcna.co.j[...] 2007-04-24
[30] 웹사이트 Foreign Policy Goals – Military Assistance http://www.fas.org/i[...] 2013-03-31
[31] 웹사이트 Iran North Korea: DPRK Is Ally of US Enemies in Middle East Nuclear, Missile, Arms and Engineering Sales http://www.koreancon[...] 2013-03-31
[32] 뉴스 Arsenal of the Axis http://www.time.com/[...] 2013-03-31
[33] 웹사이트 North Korea got third of hard currency from arms sales to Iran in early 80s: Aug 1984 declassified CIA Report http://www.koreancon[...] KorCon Collection 2013-03-31
[34] 웹사이트 North Korea: Back on the Terrorism List? http://www.koreancon[...] 2013-03-31
[35] 뉴스 Thais Say North Korea Arms Were Iran-Bound https://www.nytimes.[...] 2013-03-31
[36] 뉴스 U.N. Treaty to Control Arms Sales Hits Snag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3-03-31
[37] 웹사이트 Iran, North Korea, Syria block UN arms trade treaty https://web.archive.[...] 2013-03-31
[38] 웹사이트 Could Iran be behind North Korea's nuclear, missile advances? https://asia.nikkei.[...]
[39] 웹사이트 افسانه روابط خاص ایران و کره‌شمالی http://www.8tag.ir/n[...]
[40] 웹사이트 DPRK Diplomatic Relations http://www.ncnk.org/[...] National Committee on North Korea 2016-08-29
[41] 웹사이트 イラン・イラク戦争における北朝鮮のイラン派兵 http://www.erina.or.[...] 環日本経済研究所 2016-08-29
[42] 웹사이트 DPRK Diplomatic Relations http://www.ncnk.org/[...] National Committee on North Korea 2016-08-29
[43] 웹사이트 イラン・イラク戦争における北朝鮮のイラン派兵 http://www.erina.or.[...] 環日本経済研究所 2016-08-29
[44] 간행물 PROLIFERATION:THREAT AND RESPONSE http://www.fas.org/i[...] アメリカ国防総省 2001
[45] 뉴스 Result of Iranian delegation visit to N Korea positive IRNA 2007-04-24
[46] 뉴스 N. Korea helping Iran with nuclear testing The Daily Telegraph 2007-04-24
[47] 뉴스 イラン国防大臣、イランと北朝鮮のミサイル取引を否定 http://japanese.irib[...] IRIB 2013-01-25
[48] 뉴스 イラン外務省、北朝鮮とのミサイル・核協力を否定 http://japanese.irib[...] IRIB 2013-01-26
[49] 뉴스 北の核実験、イランも非難…核開発は正当化 https://web.archive.[...] 2013-03-22
[50] 뉴스 核実験で強まった北とイランの絆 Newsweek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2013-03-05
[51] 뉴스 イランのミサイル発射に危機感を強める米国…追加制裁で北との「地下ネットワーク」阻止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7-02-04
[52] 뉴스 Iranian educated in North Korea becomes minister http://www.arabnews.[...] 2013-03-22
[53] 뉴스 DPRK ambassador to Iran appointed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7-04-24
[54] 뉴스 DPRK Ambassador to Iran Appointed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4-01-08
[55] 뉴스 北, 이란 대사에 조인철 임명 http://news.hankyung[...] 한경닷컴
[56] 뉴스 MK News - 북한, 새 이란 대사에 강삼현 임명 http://news.mk.co.kr[...]
[57] 뉴스 Paek Nam Sun meets Iranian ambassador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7-04-24
[58] 뉴스 DPRK-Iranian Cultural and Scientific Exchange Plan Signed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7-04-24
[59] 뉴스 PressTV - Iran favors enhanced ties with N. Korea http://edition.press[...] 2008-02-04
[60] 뉴스 N. Korean Supreme People’s Council speaker asks for broader ties with Iran http://www.irna.ir/e[...] 2012-10-25
[61] 뉴스 Kim Yong Nam Receives Credentials from Iranian Ambassador http://www.kcna.co.j[...] Korean News
[62] 뉴스 Kim Yong Nam Meets Iranian Delegation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07-04-24
[63] 뉴스 Ri Yong Ho Receives Credentials from Representative of UNFPA http://kcna.co.jp/it[...] Korean News
[64] 뉴스 Embassies of 12 countries closed in North Korea amid shortage of goods https://tass.com/wor[...] TASS
[65] 웹사이트 Dr. Hassan Mohtashami – UNFPA https://web.archive.[...] United Nations in Pakistan
[66] 문서 http://www.ytn.co.kr[...]
[67] 문서 http://news.sbs.co.k[...]
[68] 문서 http://www.pressian.[...]
[69] 뉴스 N Korea helping Iran with nuclear testing http://www.telegraph[...] The Telegraph 2011-02-18
[70] 뉴스 “北, 이란에 대포동2호 제공 비밀 교섭” http://news.kukinews[...] 쿠키뉴스 2011-02-18
[71] 뉴스 김일성 만났던 하메네이와 첫 면담…北압박외교 연합뉴스 2016-05-02
[72] 뉴스 주체적이지 못한 북한 ‘주체 로켓 기술’의 실체 서울신문 2016-04-29
[73] 뉴스 박 대통령과 면담한 이란 하메네이는 누구?…김일성 만난 보수파 최고 지도자 아시아경제 2016-05-03
[74] 뉴스 박 대통령-로하니, '북한 핵개발 반대' 공감 TV조선 2016-05-02
[75] 뉴스 미국, 이란 탄도미사일 개발 관련 신규제재 …3명은 북한 미사일 개발과 연관 뉴시스 2016-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