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원황은 1889년 경기도 안산에서 태어난 인물로, 한성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공립안산보통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했다. 1931년 강화양조를 설립하여 주류 제조 판매 사업을 시작했으며, 이후 금은 광업권을 취득하고 관동흥업사를 설립하여 사업을 확장했다. 이원황은 아들이 없어 6촌 이원협의 아들을 양자로 들였으며, 그의 가계는 외부 주사 이민선을 아버지로 하고 관찰사 한진창을 장인으로 둔다.
이원황은 아들이 없어 6촌 이원협(李源協)의 셋째 아들 왕근을 양자로 들였다.
2. 생애
2. 1. 출생과 가계
1889년 1월 9일 경기도 안산군 와리면 초지리(현, 경기도 안산시 초지동)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외부주사, 인천감리서 주사, 안산군청 주사를 역임한 이민선이고, 어머니는 경주배씨로 배영선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이재응이고 생조부는 이재성이다. 양 할아버지 이재응은 세 번 재혼했으나 자녀가 없어 자신의 친동생 이재성의 아들 이민선을 양자로 입양했다. 아버지 이민선은 본부인 평산신씨에게 원흥과 원형 두 아들을 얻고, 본부인 사후 재혼한 경주배씨에게서 그를 얻었다.
그는 경안역찰방 이상우의 8대손이고, 고조부는 태화 이현상, 증조부는 분서 이봉녕이다. 대한제국 때 평리원 판사, 검사, 고등재판소 검사를 역임한 이휘선은 5촌 당숙이다.
조부 이재응, 이재성 형제가 서울 종로 세심대에서 안산군 와리면 초지리로 이주해왔다. 증조부 이봉녕은 사헌부감찰, 금부도사, 돈녕부판관 등을 지내고 청나라의 사신 신재식의 수행원으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고조부 이현상은 성균관전적, 교서관 등을 역임했고 1811년(순조 11) 일본 조선 통신사 김이교의 제술관으로 다녀왔다. 이상우의 8대손이다.
전라북도관찰부 주사를 지낸 이원흥은 그의 이복 형이었다. 전주이씨 이천응(李天應)에게 출가한 누이 1명이 있고, 남동생으로는 이원용, 이원종(李源琮), 이원영(李源瑛)이 있다. 둘째 형 이원형은 5촌 당숙이자 아버지 이교선의 법적 친동생 이돈선(李敦善)의 양자로 입양되었다.
매부 이천응은 선조의 아들 신성군의 9대손으로, 기업인이며, 후일 이천자동차주식회사 대표이사였다. 1930년대 이원황, 이원용, 이원영 형제 및 그의 6촌 동생 이원찬과 함께 강화양조주식회사, 이천자동차주식회사 경영에 참여했다.
부인은 청주한씨(淸州韓氏)로 강원도, 경상남도, 충청북도관찰사, 육군 참장을 지낸 한진창(韓鎭昌)의 딸이며 조부는 부호군 한치원(韓致元)이고, 증조부는 우부승지, 강원도관찰사 백졸 한익상(百拙 韓益相)이며, 어머니는 의령남씨(宜寧南氏)로 남정보(南廷輔)의 딸이다.
시흥군 군자면 지역에는 후일 그의 6촌 형이자 또다른 종조부 재긍(在兢)의 손자 원협(源協)이 초지동 개머리 부락에, 또다른 6촌 원직(源直)이 초지동으로 와서 정착했다.
2. 2. 교육 활동
이원황은 1906년 ~ 1907년 한성사범학교에서 수학하였다.[3] 1908년 2월 학부 주관 교원 임용시험에 합격, 2월 13일 공립안산보통학교(현 안산초등학교) 전과 부훈도로 부임하였다.[4][5][6] 1907년 5월 초지보통학교 고등과에 편입, 1908년 3월 30일 우등으로 졸업하였다.[1] 1908년 1월 9품에 임용되었고, 같은 해 2월 14일 한문 전과 부훈도 자격에 합격했다.[8]
1908년 4월 7일 공립 안산소학교 재개교 및 입학 준비를 주관하였다.[7] 1909년 12월 13일 학부의 교원검정 시험 중 한문 전과 훈도 자격에 합격하였다.[9] 1910년 1월 11일 공립보통학교 전과 훈도로 승진, 판임관 5등에 임용되었다.[10][11][12] 1911년 5월 8일 공립보통학교 전과 훈도직을 사직하였다.[13]
2. 3. 기업 활동
이원황은 1931년 5월 31일 경기도 강화군 부내면 신문리 205-206번지에 강화양조(주)를 설립하고 주류 제조판매, 일반상품의 위탁판매를 하였다.[17] 1937년 당시 강화양조의 자본금은 10만원, 채권은 3만 7천원이었다. 1935년 1월 11일 강원도 이천군 서면, 학봉면의 금은동 광업권을 제출, 1937년 3월 22일부로 조선총독부로부터 승인, 인허가를 받았다.[17] 1935년 5월 17일 김근호를 강화양조 주식회사 대표이사로 선임하고[18] 물러났으나, 1936년 5월 4일 김근호의 용퇴로 그가 다시 강화양조 취체역 사장이 되었다.[19][20] 1937년 7월 30일 강화양조주식회사 대표이사에 재선임되었다.[21]
1937년 7월 9일 강원도 이천군 서면, 학봉면의 금은채굴권이 조선광업령시행규칙 20조 제22항 규정에 의해 취소, 실효되었다.[22][23][24] 1937년 7월 30일 강화양조주식회사 주주총회에서 이원황은 대표이사 취체역에서 해임되었다.[25]
1939년 3월 1일 강원도 삼척군 삼척읍 정상리 77번지에 합자회사 관동흥업사(合名會社關東興業社)를 설립하고 대표이사가 되었다. 업종은 해륙물산무역업 및 촉탁판매업, 목장경영 및 건축업, 여관 및 요리업, 금융 및 기타부대업이었다.[26] 1940년 2월 25일 강원도 삼척군 삼척읍 정상리 77번지에 있던 회사 합자회사 관동흥업사가 해산을 결의, 2월 25일부터 3월 15일까지는 관동흥업사의 청산인으로 활동했다.[27] 조선신문 1941년 2월 1일자 6면 11단에 삼척읍 정라항 관동흥업사(關東興業社) 사진이 등장한다.[28]
2. 4. 생애 후반
해방 후에도 생존해 있었다. 그러나 해방 이후의 행적은 알려진 것이 없다. 묘소는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다.
그의 사후 강화양조는 이정원이 대표자가 되었다. 강화양조는 1959년까지도 강화군 부내면 신문리에서 영업하고 있었다.
3. 가계
이원황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4. 평가 및 의혹
4. 1. 친일 의혹 관련 추가 조사 필요 사항
참조
[1]
신문기사
安校經識
황성신문
1908-01-25
[2]
신문기사
草校卒業
대한매일신보
1908-12-02
[3]
관보
學事
대한제국 관보
1908-02-14
[4]
승정원일기
이태관 등에 대한 인사를 행하였다
1908-02-13
[5]
관보
敍任及辭令
대한제국 관보
1908-02-15
[6]
신문기사
叙任及辭令
황성신문
1908-02-16
[7]
신문기사
安倅興學
황성신문
1908-04-30
[8]
등록
교원검정에 선발된 사람에 대해 공포함 / 通牒
각사등록 근대편
1908-04-25
[9]
관보
敎員檢定榜
대한제국 관보
1910-01-12
[10]
승정원일기
삽곡계오랑 등에 대한 인사를 행하였다
1909-01-11
[11]
관보
敍任及辭令
대한제국 관보
1910-01-18
[12]
신문기사
叙任及辭令
황성신문
1910-01-19
[13]
관보
敍任·辭令
조선총독부 관보
1911-05-09
[14]
간행물
朝鮮事情 1호
朝鮮銀行調査部
1995
[15]
간행물
朝鮮事情 1호
朝鮮銀行調査部
1995
[16]
신문기사
粟五十包分與, 시흥군 이원황씨는 빈한한 자에게 주어
매일신보
1919-12-20
[17]
관보
鑛業出願許可
조선총독부 관보
1937-02-06
[18]
신문기사
地方人事
조선일보
1935-05-17
[19]
신문기사
產◇業◇短◇信
조선일보
1936-05-12
[20]
신문기사
產◇業◇短◇信
조선일보
1936-05-12
[21]
서적
朝鮮銀行會社組合要錄(1937년판)
東亞經濟時報社
1937
[22]
관보
鑛業出願許可失效
조선총독부 관보
1937-07-12
[23]
관보
鑛業出願許可失效
조선총독부 관보
1937-07-13
[24]
관보
鑛業出願許可失效
조선총독부 관보
1937-07-14
[25]
관보
商業及法人登記
조선총독부 관보
1937-09-28
[26]
관보
商業及法人登記
조선총독부 관보
1939-09-11
[27]
관보
商業及法人登記
조선총독부 관보
1940-04-26
[28]
신문기사
關東興業社
조선신문
1941-02-01
[29]
관보
商業登記
조선총독부 관보
1943-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