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주홍은 1906년 경상남도 합천에서 태어나 아동문학, 소설, 시, 희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작가이다. 1925년 동화 「뱀새끼의 무도」를 발표하며 등단했으며, 1929년 단편 「가난과 사랑」이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했다. 그는 식민지 현실과 가난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인물들을 주로 그렸으며, 사회적 약자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담은 작품을 통해 현실의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뱀새끼의 무도」, 「가난과 사랑」, 「완구상」 등이 있으며, 1987년 사망했다. 1962년 경상남도 문화상, 1979년 대한민국예술원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립부경대학교 교수 - 유재중
유재중은 야로국민학교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부산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했으며, 부산광역시의회 의원, 수영구청장을 역임하고 제18, 19, 20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국립부경대학교 교수 - 윤형남
윤형남은 고등문관시험 합격 후 관료, 변호사, 제3-5대 민의원을 지낸 법조인, 정치인으로 민주당, 신민당, 국민당에서 활동했다. - 합천 이씨 - 이만섭
이만섭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8선 국회의원과 제14대, 16대 국회의장을 역임했으며, 5·16 군사정변 이후 3선 개헌에 반대하기도 했고, 국회법 개정으로 무소속 국회의장이 되기도 했다. - 합천 이씨 - 이상희 (1932년)
대한민국의 관료 출신 정치인인 이상희는 산림청장, 대구직할시장, 경상북도지사, 내무부 장관, 건설부 장관 등 주요 요직을 역임했으며, 지방재정 및 한국문화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 대한민국의 서예가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서예가 - 김영삼
김영삼은 1929년 거제 출생으로, 제1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군사 정권에 저항하고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으며, 금융실명제 실시 등의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IMF 외환 위기를 겪고 2015년 서거했다.
이주홍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작가 정보 | |
이름 | 이주홍 |
원어 이름 | 李周洪 |
출생지 | 경상남도 합천군 |
사망지 | 부산직할시 |
언어 | 한국어 |
소속 | 前 부산수산대학교 명예교수 |
직업 | 소설가 동화 작가 시인 극작가 대학 교수 |
필명 | 호(號)는 향파(向破) |
활동 기간 | 1925년 ~ 1987년 |
장르 | 소설·시문학·희곡·동화·동시 |
웹사이트 | 이주홍 문학관 |
2. 생애
이주홍은 1906년 경상남도 합천에서 태어나 1925년 신소년지에 동화 <뱀새끼의 무도>를 발표하며 등단했다.[1] 1924년 일본으로 건너가 공부하였고, 1929년 단편 <가난과 사랑>이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했다.[1] 아동문학을 비롯해 소설, 시, 희곡, 수필, 번역, 연극평론, 미술평론 등 문학 전반에 걸쳐 넓은 창작 활동을 하였으며, 1949년 부산수산대학교 교수를 지냈다.[1] 1987년 1월 3일 별세하였다.[1]
2. 1. 출생과 초기 활동
1906년 5월 23일 경상남도 합천에서 태어났다. 1925년 『신소년』지에 동화 「뱀새끼의 무도」를 발표하며 등단했다.[1] 1924년 일본으로 건너가 신문물을 접하고, 노동을 하며 어려운 생활을 했지만, 이는 그의 작품 세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1] 1929년 단편 「가난과 사랑」이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했다.[1]2. 2. 문학 활동과 사회 참여
이주홍은 아동문학, 소설, 시, 희곡, 수필, 번역, 연극평론, 미술평론 등 문학 전반에 걸쳐 폭넓은 창작 활동을 했다.[1] 1949년 배재중학교, 동래중학교 교사를 거쳐 국립 부산수산대학교 교수로 재직했으며, 1972년 정년퇴직 후 명예교수로 추대되었다.[1] 1981년 이주홍 아동문학상이 제정되었다.2. 3. 별세
이주홍은 1987년 1월 3일에 별세하였다.[1]3. 작품 세계
이주홍은 일제 강점기에 나라를 빼앗긴 설움과 가난이라는 이중고를 겪었다. 하지만 그는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동화를 통해 약자도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는 세상을 꿈꾸며 희망을 잃지 않았다.[3]
그의 작품 속 주인공은 주로 가난한 소작농의 아이들이다. 이들은 가난한 부모와 부자 지주 사이의 갈등 속에서 심리적 갈등을 겪지만,[3] 어른들과 달리 서로에게 관용과 이해를 베푸는 모습을 보인다. 이처럼 이주홍은 어른들의 비정하고 삭막한 모습을 어린아이들의 순수한 마음으로 풀어가려는 시도를 작품에 담았다.[4]
3. 1. 작품 목록
연도 | 장르 | 작품명 |
---|---|---|
1924년 | 동시 | 잠자는 동생 |
1928년 | 동화 | 배암색기의 무도 |
1929년 | 단편소설 | 가난과 사랑, 결혼전날 |
1929년 | 동시 | 빨간부채 |
1929년 | 소년소설 | 눈물의 치맛감 |
1930년 | 단편소설 | 치질과이혼 |
1930년 | 소년소설 | 아버지와 어머니, 북행열차, 청어뼉다귀, 돼지코구멍 |
1930년 | 시 | 구력설날, 새벽 |
1930년 | 동시 | 질날애비, 봄날, 풀각시, 서울 가는 나비, 잉크병, 호박꽃, 수박, 폭풍우, 편사홈노리 |
1930년 | 동화 | 개고리와 둑겁이, 잉어와 윤첨지, 우체통 |
1930년 | 아동극 | 뱀사람 말사람, 톡기눈알, 젊은 통장사, 도화시간 |
1931년 | 아동문학평론 | 아동문학의 일년간 - 금후 운동의 구체적 방안 |
1931년 | 동시 | 꿀벌, 모긔, 장아치 아저씨, 방귀, 박쥐, 고양이, 가나다 노래, 천자푸리 |
1932년 | 동시 | 벌소제, 벽 |
1934년 | 단편소설 | 남의 |
1934년 | 시 | 적막한 아츰 |
1934년 | 동시 | 자리짜기 |
1934년 | 동화 | 호랑이 이약이 |
1935년 | 동화 | 곰방대 |
1936년 | 장편소설 | 야화 |
1936년 | 단편소설 | 산가 |
1936년 | 동시 | 꿩 |
1936년 | 동화 | 귤 |
1937년 | 장편소설 | 화원 |
1937년 | 단편소설 | 완구상, 하숙 매담 |
1937년 | 동화 | 알 낳는 할머니 |
1938년 | 중편소설 | 동연 |
1938년 | 단편소설 | 화방도 |
1939년 | 단편소설 | 한 사람의 관객 |
1939년 | 시 | 유란 집 |
1939년 | 동화 | 멸치, 못난 도야지 |
1943년 | 단편소설 | 내 산아, 지옥안내 |
1944년 | 단편소설 | 청일 |
1944년 | 시 | 전원에서 |
1945년 | 시 | 함방음, 청년, 역사 |
1946년 | 중편소설 | 가족 |
1946년 | 단편소설 | 명암, 거문고 |
1946년 | 시 | 벽 |
1947년 | 첫 동화집 | 못난 도야지 |
1947년 | 동화 | 쫓겨난 개 |
1947년 | 아동극 | 토끼의 가정 |
1948년 | 단편소설 | 김노인 |
1948년 | 동화 | 찌-와 짹 |
1949년 | 희곡 | 낙랑공주, 낙성의 달, 가실, 감자와 족제비 |
1950년 | 희곡 | 나비의 풍속 |
3. 2. 작품의 특징
이주홍은 식민지 치하에서 나라를 빼앗긴 설움과 지주와 소작인의 관계에서 오는 경제적 어려움이라는 이중고를 겪었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운 삶 속에서도 굴하지 않고 일어설 수 있는 희망을 동화를 통해 보여주려고 노력했다. 그는 약자가 억눌려 살기보다 약한 사람도 함께 어우러져 잘 살 수 있는 세상을 원했다.[3]이주홍 작품의 주인공은 가난한 소작농의 아이들이다. 사건의 중심에는 항상 가난한 부모와 부자 지주와의 갈등이 등장하며, 이 속에서 아이들은 심리적 갈등을 겪는다.[3] 서로를 미워하며 전쟁을 하는 어른들과 달리, 이주홍 작품 세계의 어린아이들은 관용과 이해를 베푸는 모습을 보인다. 이처럼 어른들의 비정하고 삭막한 모습을 어린아이들의 동심으로 풀어가려는 시도를 보여준다.[4]
3. 3. 대표작
- 뱀
- 가난
- 완구
- 늙은 체조교사
- 지저깨비들
- 피리부는 소년
4. 수상 경력
참조
[1]
논문
이주홍 동화의 현실 인식 연구
http://www.riss.kr/s[...]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
웹사이트
이주홍 문학관
http://www.leejuhong[...]
[3]
논문
1930년대 아동문학 연구 : 이태준, 이주홍, 현덕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s[...]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
논문
이주홍 동화의 현실 인식 연구
http://www.riss.kr/s[...]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