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소유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기소유권은 '나'라는 존재에 대한 권리로서, 개인의 자율성과 존엄성을 보장하는 핵심 개념이다. 법학, 철학,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유와 책임의 경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자기소유권은 개인이 자신의 노동력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며, 노동시장에서의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한다. 우파 자유지상주의는 자기소유권을 사유재산권과 연결하여 개인의 재산권을 옹호하며, 고전적 자유주의는 개인의 노동과 그 결과에 대한 소유를 인정한다. 반면, 아나키즘은 사유재산을 비판하며 자기소유권을 옹호하는 입장을 보이기도 한다. 좌파 자유지상주의는 토지 및 천연자원에 대한 다른 관점을 가지며, 임금 노예제는 자기소유권 침해의 대표적인 사례로 비판받는다. 자기소유권 개념은 존 로크의 '통치론'에서 기원을 찾을 수 있으며, 19세기 미국의 조시아 워렌에 의해 발전되었다. 1987년 민주화 이후 대한민국에서도 개인의 자유와 권리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인주의 - 시민 자유
시민 자유는 국가나 타인의 간섭 없이 개인의 의사 결정과 행동의 자유를 의미하며, 정신적, 경제적, 신체의 자유를 포함하고, 헌법이나 법률로 보장되지만 그 범위와 한계는 여전히 논쟁 중이다. - 개인주의 - 객관주의
객관주의는 아인 랜드가 제시한 철학으로, 객관적 현실에 기반한 지식과 가치를 인간의 이성을 통해 발견하고, 합리적 이기주의와 개인의 자유를 옹호하며, 예술을 현실 재창조로 정의한다. - 자주권 - 자치령
자치령은 웨스트민스터 법령 이전 영국 제국 및 영연방에서 자치권을 인정받은 반독립국으로, 독자적인 정부와 자치권을 가졌으나 영국 국왕을 국가 원수로 두고 영국 정부에서 파견한 총독을 두었으며, 밸푸어 선언과 웨스트민스터 법령을 통해 영국과 동등한 지위를 인정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연방 왕국이라는 용어로 대체되었다. - 자주권 - 자치
자치는 외부 간섭 없이 개인이나 집단이 스스로 결정하고 행동하는 것으로, 철학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자기 규제, 공동체 운영, 자결권과 관련되고,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다. - 자유지상주의 - 우파 자유지상주의
우파 자유지상주의는 개인의 자유, 자유 시장, 사유 재산을 옹호하며, 자유 시장 자본주의와 강력한 사유 재산권을 중시하는 자유지상주의의 한 형태로, 최소 국가 또는 국가 폐지를 주장하는 다양한 사상적 흐름을 포괄한다. - 자유지상주의 - 좌파 자유지상주의
좌파 자유지상주의는 개인의 자율성과 자유를 중시하며 국가 축소 또는 폐지를 주장하는 이념으로, 자유지상주의 가치에 천연자원의 평등한 분배 또는 공유를 더하고, 자기 소유권과 사회주의적 가치의 양립, 사유 재산권 범위, 자연 자원 소유 문제 등을 핵심 논쟁으로 하며, 기본소득과 소득 재분배를 지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자기소유권 | |
---|---|
자기 소유권 | |
자기 소유권 | 사람은 자신의 신체와 생명에 대한 도덕적 권리를 가진다는 개념 |
철학적 관점 | |
정의 | 모든 사람은 자신을 완전히 통제할 권리가 있다. 이 권리는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거나 박탈할 수 없다. |
함의 | 각 개인은 자신의 행동과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진다. 어떤 누구도 다른 사람의 신체나 노동을 강제적으로 사용할 권리가 없다. |
주요 주장 | |
개인의 자유 | 자기 소유권은 개인의 자유와 자율성의 기초이다. |
책임 | 개인은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한다. |
비침해 | 타인은 개인의 신체와 재산에 대한 권리를 침해할 수 없다. |
옹호론자 | |
주요 옹호론자 | 존 로크 머리 로스바드 로버트 노직 |
비판론자 | |
주요 비판론자 | 카를 마르크스 G. A. 코헨 바버라 프리드먼 |
정치적 함의 | |
정치 철학 | 자유지상주의 무정부 자본주의 |
관련 개념 | 개인주의 자유주의 재산권 |
윤리적 함의 | |
윤리적 고려 사항 | 자기 소유권은 개인의 권리와 도덕적 의무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제기한다. |
논쟁점 | 낙태의 윤리성 안락사의 윤리성 장기 매매의 윤리성 |
같이 보기 | |
관련 문서 | 재산권 개인주의 자유지상주의 노예제 자기 결정권 신체 보전 |
2. 정의
자기소유권은 개인의 신체와 정신, 그리고 그로부터 비롯되는 노동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한다.
자유지상 사회주의자인 스티븐 펄 앤드루스는 "개인의 주권"이 "국가들의 동등한 주권이 서로의 독립을 상호 인정하는 국가 간의 조화로운 교류의 기반이 되는 것처럼, 동등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의 조화로운 교류의 기반"이라고 주장했다.[2]
무정부-공산주의 정치 철학자 L. 수잔 브라운은 자유주의와 무정부주의가 모두 개인의 자유를 추구하지만, 무정부주의는 자유주의의 경쟁적인 소유 관계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5] 엘렌 메익신스 우드는 로크식 개인주의에 반대되는 개인주의가 존재하며, 이는 사회주의를 포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6]
2. 1. 자신
소유와 책임의 경계에 대한 논의는 법학자 메어 댄 코헨(Meir Dan-Cohen)의 에세이에서 탐구되었다. 이 저작은 소유권의 현상학과 신체와 재산에 적용하기 위한 개인 대명사의 사용을 강조하고, 이를 법률 개념과 책임 및 소유권을 위한 민간적 기준으로 사용한다.[3] 다른 견해로는 노동은 계약을 맺을 수 있기 때문에 양도할 수 있으며, 자신으로부터 양도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사람이 자발적 노예의 형태로 자신을 판매하는 선택 또한 자기소유권의 원칙에 의해 보존된다.[4]철학자 이안 샤피로는 노동 시장이 자기 소유권을 긍정한다고 말한다. 만약 자기 소유권이 인정되지 않는다면, 사람들은 자신의 생산 능력을 타인에게 판매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개인이 자신의 생산 능력을 제한된 시간과 조건으로 판매하지만, 그 능력을 판매하여 얻은 소득과 그 능력 자체를 계속 소유하므로, 경제적 효율성에 기여하면서도 자신에 대한 주권을 유지한다고 설명한다.[8]
2. 2. 노동시장과 사유재산
우파 자유지상주의는 자기소유권을 사유재산이 자신의 일부라는 개념으로 확장하여 그 통제권을 부여한다.[37] 제럴드 코헨은 "자유지상주의의 자기소유권 원칙에 의하면, 각 개인은 그 자신을 독점적으로 제어하고 사용하는 독점적인 권한을 지님으로써 그 자신과 그의 힘을 향유할 수 있고, 따라서 그가 공급하기로 계약하지 않은 다른 누구에게도 물품이나 서비스를 빚지지 않는다."라고 설명한다.[37]철학자 이안 샤피로는 노동시장이 자기소유권을 긍정하는데, 자기소유권이 인정되지 않으면 사람들은 자신의 생산력을 다른 사람에게 팔 수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38] 그는 개인이 제한된 시간과 조건으로 자신의 생산 능력의 유용성을 판매하지만, 그 능력과 수용력 자체의 사용을 파는 것으로서 그가 얻은 것을 계속 소유하고, 경제적 효율성에 공헌하면서 자신에 대한 주권을 유지한다고 말한다.[38] 고전적 자유주의의 공통된 견해에 따르면, 주권적 개인은 신체 외부의 사유재산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데, 사람이 자신을 소유한다면 자원을 창출하거나 향상시키는 활동을 포함한 자신의 행동을 소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의 노동과 그 과실을 소유한다.[39]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인간 행동에서 노동시장은 자기소유의 합리적인 결론이며, 노동의 집단 소유는 개인의 노동에 대한 상이한 가치를 무시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사회주의 체제에서 노동의 산물은 노동자 자신이 속한 사회로 돌아가지만, 개인이 집단에 기여하는 것이 시장에 의해 결정되는 임금의 형태로 보상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40]
반면, 아나키즘에서는 사유재산을 비판하면서도 자기소유권을 옹호하는 경우가 있다. 오스카 와일드는 사유재산이 진정한 개인주의를 해치고, 사람들이 소유에 집착하게 만든다고 비판했다.[41] 그는 사유재산을 폐지함으로써 진실되고 아름다우며 건강한 개인주의를 향유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1] 이탈리아의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인 렌조 노바토레는 오직 윤리적이고 정신적인 부만이 침해될 수 없다고 말했다.[42]
사람이 생존을 위해[43][44] 자발적 노예[45] 상태가 되어버리는 것에 대하여, 아나키즘 내부에서 임금 노예제에 대한 비판이 등장하였다. 임금 노예라는 용어는 경제적 착취와 사회 계층을 비판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전자는 노동과 자본 간의 불평등한 협상력으로,[46] 후자는 노동자 자주경영의 부족으로 성취감 있는 직업 선택권과 경제적 여유가 결핍된 상태를 말한다.[47][48][49] 엠마 골드만은 "유일한 차이는 당신이 고용된 노예라는 것뿐이다."라며 임금 노예제를 비판했다.[53]
좌파 자유지상주의 학자들은 자기소유권과 토지 전유 같은 고전적 자유주의의 평등주의적 뿌리에서 지공주의와 중농주의의 관점을 혼합한 토지 및 천연자원에 대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세계의 천연자원은 본래 누구도 소유하지 않았거나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속한 것으로써, 누구든지 이러한 자원에 독점적인 소유권을 주장하여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한다.[60][61]
3. 역사
존 로크는 『통치론』에서 "모든 사람은 그 자신의 소유다"라고 언급했다.[62] 로크는 또한 개인은 "자신이 무엇이 될지, 무엇을 할지 결정할 권리가 있으며, 그가 한 일의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권리가 있다"라고 언급했다.[63] 조시아 워렌은 "개인의 주권"에 대해 글을 쓴 최초의 인물이었다.[64]
4. 다양한 관점
자기소유권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옹호하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이를 해석하고 적용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미국의 자유지상 사회주의자인 스티븐 펄 앤드루스는 개인의 주권을 강조하며, 이는 국가 간의 조화로운 교류처럼 사람들 사이의 조화로운 교류의 기반이라고 주장했다.[1][2] 법학자 메이어 댄-코헨은 소유권과 책임의 관계를 탐구하며, 소유의 현상과 신체, 재산에 사용되는 인칭 대명사가 책임과 소유권에 대한 법적 개념의 기반이 된다고 보았다.[3]
노동은 계약을 통해 양도될 수 있고, 따라서 자기로부터 소외될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개인이 자발적 노예로 스스로를 자발적으로 판매하는 선택 또한 자기 소유권의 원칙에 의해 보존된다.[4]
무정부-공산주의 정치 철학자 L. 수잔 브라운은 자유주의와 무정부주의가 개인의 자유를 추구하지만, 무정부주의는 자유주의의 경쟁적인 소유 관계를 거부한다고 말했다.[5] 학자 엘렌 메익신스 우드는 로크식 개인주의에 반대되는 개인주의 교리가 사회주의를 포함할 수 있다고 말했다.[6]
우파 자유지상주의는 자기 소유권 개념을 확장하여 사유 재산에 대한 통제를 자기의 일부로 포함한다. 제럴드 코헨에 따르면, 자기 소유권의 자유지상주의 원칙은 각자가 자신과 자신의 능력에 대해 완전하고 배타적인 통제 및 사용 권리를 누리며, 따라서 계약하지 않은 한 다른 사람에게 어떠한 서비스나 제품도 빚지지 않는다고 한다.[7] 철학자 이안 샤피로는 노동 시장이 자기 소유권을 긍정한다고 말한다. 자기 소유권이 없다면 사람들은 자신의 생산 능력을 타인에게 판매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는 개인이 자신의 생산 능력을 제한된 시간과 조건으로 판매하지만, 그 능력 자체를 계속 소유하므로 경제적 효율성에 기여하면서도 자신에 대한 주권을 유지한다고 말한다.[8] 고전적 자유주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견해는 주권적인 개인이 일반적으로 신체 외부의 사유 재산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며, 만약 개인이 자신을 소유한다면, 자신의 행동과 그에 따른 결과물을 소유한다고 추론한다.[9]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인간 행동에서 노동 시장이 자기 소유권의 합리적인 결론이며, 노동의 집단 소유는 개인의 노동에 대한 서로 다른 가치를 무시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사회주의 체제에서 노동자가 자신을 위해 일한다는 것은 허구이며, 개인의 기여는 시장에 의해 결정되는 임금 형태로 보상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10]
무정부주의 내에서 사유 재산 개념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오스카 와일드는 사유 재산의 인정이 개인주의를 해치고, 인간을 소유한 것과 혼동하게 만든다고 비판했다. 그는 사유 재산이 폐지되면 진정한 개인주의를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11] 임금 노예라는 개념은 노예와 임금 노동 간의 유사점에 초점을 맞춰 경제적 착취와 사회적 계층화를 비판하는 데 사용된다.[12] 엠마 골드만은 "유일한 차이점은 당신이 블록 노예 대신 고용된 노예라는 것이다"라고 말했다.[21]
좌파 자유지상주의는 자기 소유권을 옹호하면서도 토지 수용의 고전적 자유주의 개념에 지형주의 또는 중농주의적 토지 소유 및 자연 자원에 대한 견해를 결합하여 경제적 평등주의를 추구한다. 이들은 자연 자원이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속하며, 사적 수용은 모든 사람이 동일한 양을 수용할 수 있거나, 더 많이 수용하는 사람이 보상해야만 정당하다고 주장한다.[28]
4. 1. 자유주의
자유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기며, 자기소유권을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는 핵심적인 권리로 본다.[35] 아나키스트 정치 철학자 L. 수잔 브라운은 자유주의와 아나키즘 모두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지만, 아나키즘은 자유주의의 경쟁적 소유 관계를 거부한다고 주장한다.[35] 엘렌 메이신스 우드는 로크식 개인주의에 반대하는 개인주의는 사회주의를 포괄할 수 있다고 언급한다.[36]우파 자유지상주의에서는 자기소유권을 사유재산이 자신의 일부라는 개념으로 확장하여 그 통제권을 부여한다.[37] 제럴드 코헨에 따르면, 자유지상주의의 자기소유권 원칙에 따라 각 개인은 자신과 자신의 힘을 독점적으로 제어하고 사용할 권리를 가지며, 따라서 다른 사람에게 서비스나 물품을 제공하기로 계약하지 않은 이상 빚을 지지 않는다.[37]
철학자 이안 샤피로는 노동시장이 자기소유권을 긍정한다고 주장한다. 자기소유권이 없다면 사람들은 자신의 생산력을 다른 사람에게 팔 수 없기 때문이다. 그는 개인이 제한된 시간과 조건에 대한 생산 능력의 유용성을 판매하지만, 그 능력과 수용력 자체의 사용을 파는 것으로서 그가 얻은 것을 계속 소유하고, 경제적 효율성에 기여하면서 자신에 대한 주권을 유지한다고 말한다.[38] 고전적 자유주의의 공통된 견해에 따르면, 주권적 개인은 신체 외부의 사유재산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는데, 이는 사람이 자신을 소유한다면 자신의 노동과 그 과실을 소유하기 때문이다.[39]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Human Action영어에서 노동시장은 자기소유의 합리적인 결론이며, 노동의 집단적 소유는 개인의 노동에 대한 상이한 가치를 무시한다고 주장한다.[40]
사유재산을 비판하면서 자기소유권을 옹호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특히 아나키즘에서 강조된다. 오스카 와일드는 사유재산이 사람을 그가 가진 것으로 혼란스럽게 하여 진정한 개인주의를 해치고, 성장이 아닌 소유를 목표로 삼게 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사유재산을 폐지함으로써 진실되고 아름다운 개인주의를 향유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41] 이탈리아의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인 렌조 노바토레는 오직 윤리적이고 정신적인 부만이 침해될 수 없다고 말했다.[42]
임금 노예라는 용어는 경제적 착취와 사회 계층을 비판하기 위해 사용되며, 노동자 자주경영의 부족으로 성취감 있는 직업 선택권과 경제적 여유가 결핍된 상태를 말한다.[47][48][49]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들은 사회와 경제적 기업을 포함하여 모든 부당한 권위를 직접 민주주의와 자발적 연합으로 교체하고, 삶의 모든 면에서 보편적인 자율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50]
좌파 자유지상주의 학자들은 자기소유와 토지 전유 같은 고전적 자유주의의 평등주의적 뿌리에서 지공주의와 중농주의의 관점을 혼합한 토지 및 천연자원에 대한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천연자원은 본래 누구도 소유하지 않았거나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속한 것으로 보며, 누구든지 이러한 자원에 독점적인 소유권을 주장하여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한다.[60][61]
4. 2. 아나키즘
아나키즘은 국가와 같은 강제적인 권력을 부정하고, 개인의 자율성과 자유를 극대화하려는 사상이다. 아나키즘은 자기소유권을 개인의 자유를 실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권리로 본다.[35]L. 수잔 브라운은 자유주의와 아나키즘 모두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지만, 아나키즘은 자유주의의 경쟁적 소유 관계를 거부한다고 주장한다.[35] 엘렌 메이신스 우드는 로크식 개인주의에 반대하는 개인주의는 사회주의를 포괄할 수 있다고 언급한다.[36]
오스카 와일드는 사유재산이 개인주의를 해치고, 사람들이 소유에 집착하게 만든다고 비판했다. 그는 사유재산이 폐지되어야 진정으로 아름답고 건강한 개인주의를 누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41] 이탈리아의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인 렌조 노바토레는 오직 윤리적이고 정신적인 부만이 침해될 수 없다고 말했다.[42]
아나키즘은 임금 노예에 대한 비판을 제기한다. 임금 노예제는 사람이 생존을 위해[43][44] 자발적 노예[45]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사람을 소유하는 것과 빌리는 것의 유사성에 초점을 맞춘 비판이다. 임금 노예라는 용어는 경제적 착취와 사회 계층을 비판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전자는 노동자와 자본 간의 불평등한 협상력으로 인해 발생하고,[46] 후자는 노동자 자주경영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다.[47][48][49] 엠마 골드만은 "당신은 그저 고용된 노예일 뿐"이라며 임금 노예제를 비판했다.[53]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들은 자유의 가치를 믿으며, 사회가 개인이 경제적, 정치적 사안을 선택할 힘을 가질 수 있도록 운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들은 모든 부당한 권위를 직접 민주주의와 자발적 연합으로 교체하여 삶의 모든 면에서 보편적인 자율성을 얻고자 한다.[50]
4. 3. 사회주의
사회주의는 평등과 사회적 연대를 강조하며, 자기소유권을 모든 개인이 평등하게 누려야 할 권리로 간주한다. 일부 사회주의자들은 자기소유권이 자본주의 체제에서 노동 착취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고 비판한다.[37]아나키스트 정치 철학자 L. 수잔 브라운(L. Susan Brown)은 자유주의와 아나키즘 모두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지만, 아나키즘은 자유주의의 경쟁적 소유 관계를 거부한다고 주장한다.[35] 엘렌 메이신스 우드(Ellen Meiksins Wood)는 로크식 개인주의에 반대하는 개인주의는 사회주의를 포괄할 수 있다고 언급한다.[36]
오스트리아 학파 경제학자 루트비히 폰 미제스는 저서 인간 행동에서 노동시장은 자기소유의 합리적인 결론이며, 노동의 집단적 소유는 개인의 노동에 대한 상이한 가치를 무시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사회주의 체제에서 노동자는 자신을 위해 일한다는 주장은 허구이며, 개인의 기여는 시장에 의해 결정되는 임금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40]
그러나 사유재산을 비판하면서 자기소유권을 옹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특히 아나키즘에서 강조된다. 오스카 와일드는 사유재산이 진정한 개인주의를 해치고, 사람들을 소유하는 것에만 집중하게 만든다고 비판하며, 사유재산 폐지를 통해 진정한 개인주의를 향유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41] 이탈리아의 개인주의적 아나키스트인 렌조 노바토레는 오직 윤리적이고 정신적인 부만이 침해될 수 없다고 말한다.[42]
아나키즘 내부에서는 임금 노예에 대한 비판이 등장하는데, 이는 사람이 생존을 위해[43][44] 자발적 노예[45] 상태가 되어버리는 것을 비판한다. 임금 노예라는 용어는 경제적 착취와 사회 계층을 비판하기 위해 사용되며, 노동자 자주경영의 부족으로 성취감 있는 직업 선택권과 경제적 여유가 결핍된 상태를 말한다.[47][48][49]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자들은 모든 부당한 권위를 직접 민주주의와 자발적 연합으로 교체하고, 삶의 모든 면에서 보편적인 자율성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한다.[50] 엠마 골드만은 임금 노예제를 비판하며, 고용된 노예와 다를 바 없다고 주장한다.[53]
좌파 자유지상주의 학자들은 자기소유와 평등주의적 관점을 혼합하여 토지 및 천연자원에 대한 견해를 제시한다. 이들은 천연자원은 본래 누구도 소유하지 않았거나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속한 것으로 보며, 누구든지 이러한 자원에 독점적인 소유권을 주장하여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한다.[60][61]
4. 4. 좌파 자유지상주의
좌파 자유지상주의는 자기소유권을 옹호하지만, 천연자원은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귀속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천연자원에 대한 사적인 소유는 다른 사람들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다고 보며, 이에 대한 보상 또는 재분배를 통해 평등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60][61]힐렐 스타이너,[54] 피터 발렌타인,[55] 필립 판 파레이스,[56] 마이클 오츠카,[57] 데이비드 앨러만[58][59]과 같은 학자들은 자기소유와 토지 전유같은 고전적 자유주의의 평등주의적 뿌리에서 지공주의와 중농주의의 관점을 혼합한 토지 및 천연자원에 대한 견해를 제시한다. 이들은 세계의 천연자원은 본래 누구도 소유하지 않았거나 모든 사람에게 동등하게 속한 것으로써, 누구든지 이러한 자원에 독점적인 소유권을 주장하여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여긴다. 따라서 토지가 타인에게 충분할 만큼 남겨져 있거나 사유재산의 배제적인 효과를 보상하기 위해 사회에 의해 과세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스타이너-발렌타인 유형의 좌파 자유지상주의자들은 각 개인이 천연 자원의 동등한 분배를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주장하는 이유로 일종의 소득 재분배 형태를 지지한다.
참조
[1]
서적
The Science of Society
https://archive.org/[...]
Sarah E. Holmes
[2]
서적
The Sovereignty of the Individual
Freeman Press
1938
[3]
서적
Harmful Thoughts: Essays on Law, Self, and Morality
https://www.jstor.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Toward a Libertarian Theory of Inalienability: A Critique of Rothbard, Barnett, Smith, Kinsella, Gordon, and Epstein
https://mises.org/li[...]
2014-07-30
[5]
서적
The Politics of Individualism: Liberalism, Liberal Feminism, and Anarchism
Black Rose Books
1993
[6]
서적
Mind and Politics: An Approach to the Meaning of Liberal and Socialist Individual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2
[7]
문서
Cited in The Blackwell Dictionary of Western Philosophy
Blackwell Publishing
2004
[8]
서적
Democratic Justice
Yale University Press
2001
[9]
서적
Property and Justi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10]
서적
Human Action
https://mises.org/si[...]
2014-08-18
[11]
간행물
The Soul of Man Under Socialism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12]
문서
1992
[13]
웹사이트
wage slave
http://www.merriam-w[...]
Merriam Webster
2013-03-04
[14]
웹사이트
wage slave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2013-03-04
[15]
문서
1996
[16]
웹사이트
Conversation with Noam Chomsky
http://globetrotter.[...]
Globetrotter.berkeley.edu
2010-06-28
[17]
문서
2007
[18]
웹사이트
The Bolsheviks and Workers Control, 1917–1921: The State and Counter-revolution
http://www.spunk.org[...]
Spunk Library
2013-03-04
[19]
문서
1890
[20]
문서
1969
[21]
문서
2003
[22]
서적
An Essay on Rights
Blackwell
1994
[23]
서적
Left-Libertarianism and Its Critics: The Contemporary Debate
Palgrave Macmillan
2000
[24]
서적
Marxism Recycl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5]
서적
Libertarianism without Inequ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6]
서적
Property and Contract in Economics: The Case for Economic Democracy
Blackwell
1992
[27]
서적
The Democratic Worker-Owned Firm
Unwin Hyman
1990
[28]
서적
The Ethics of Liberty
Humanities
1982
[29]
서적
Left-Libertarianism and Its Critics: The Contemporary Debate
Palgrave Macmillan
2000
[30]
서적
Handbook of Political Theory
Sage
2004
[31]
서적
Liberty, Desert and the Mark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2]
서적
Harmful Thoughts: Essays on Law, Self, and Moral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33]
웹사이트
Josiah Warren Manifesto
http://dwardmac.pitz[...]
2021-10-28
[34]
문서
Toward a Libertarian Theory of Inalienability: A Critique of Rothbard, Barnett, Smith, Kinsella, Gordon, and Epstein
https://mises.org/li[...]
[35]
서적
The Politics of Individualism: Liberalism, Liberal Feminism, and Anarchism
Black Rose Books Ltd.
1993
[36]
서적
Mind and Politics: An Approach to the Meaning of Liberal and Socialist Individual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2
[37]
기타
Cited in The Blackwell Dictionary of Western Philosophy
Blackwell Publishing
2004
[38]
서적
Democratic Justice
Yale University Press
2001
[39]
서적
Property and Justic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40]
서적
Human Action
https://mises.org/si[...]
2017-09-07
[41]
기타
The Soul of Man under Socialism
http://theanarchistl[...]
[42]
기타
Toward the Creative Nothing
http://theanarchistl[...]
[43]
웹인용
wage slave
http://www.merriam-w[...]
Merriam Webster
2013-03-04
[44]
웹인용
wage slave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2013-03-04
[45]
기타
1992
[46]
기타
https://books.google[...]
1996
[47]
웹인용
Conversation with Noam Chomsky
http://globetrotter.[...]
Globetrotter.berkeley.edu
2010-06-28
[48]
기타
[49]
웹인용
The Bolsheviks and Workers Control, 1917–1921: The State and Counter-revolution
http://www.spunk.org[...]
Spunk Library
2013-03-04
[50]
기타
Encyclopedia of Social Theory
Routledge
2006
[51]
기타
1890
[52]
기타
1969
[53]
기타
https://books.google[...]
2003
[54]
서적
An Essay on Rights
Blackwell
1994
[55]
서적
Left Libertarianism and Its Critics: The Contemporary Debate
Palgrave
2000
[56]
서적
Marxism Recycl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57]
서적
Libertarianism without Inequ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58]
서적
Property and Contract in Economics: The Case for Economic Democracy
Blackwell
1992
[59]
서적
The Democratic Worker-Owned Firm
Unwin Hyman
1990
[60]
서적
Left-Libertarianism and Its Critics: The Contemporary Debate
Macmillan
2000
[61]
서적
Handbook of Political Theory
Sage
2004
[62]
서적
Liberty, Desert and the Mark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63]
서적
Harmful Thoughts: Essays on Law, Self, and Morali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64]
기타
Josiah Warren Manifesto
http://dwardmac.pitz[...]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