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간 행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간 행동은 심리학, 사회학, 행동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는 사회과학의 대상이다. 인간 행동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간의 상호 작용, 사회적 규범, 윤리, 일탈, 대인 관계, 정치, 인지, 생리적, 경제적, 생태적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류되고 분석된다. 연령, 문화, 환경, 생리학적 요인 또한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한국 사회에서는 집단주의 문화, 유교적 가치관, 경쟁 사회 등이 인간 행동의 특징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동 - 자해
    자해는 자살 의도 없이 스스로에게 상처를 입히는 행위로, 정신적 고통 완화나 도움 요청의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정신 질환과 관련이 있고, 정신사회적 치료법으로 치료하며,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어 예방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행동 - 기침
    기침은 기도 내 분비물이나 이물질을 배출하는 생체 방어 반응으로, 지속 기간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으로, 가래 동반 여부에 따라 습성, 건성으로 나뉘며, 원인은 기도 감염, 위식도 역류 질환, 대기 오염,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하고 드물게 폐암, 결핵의 초기 증상일 수도 있다.
  • 인간 행동 - 폭력
    폭력은 자신, 타인 또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행위로, 철학, 사회학, 심리학 등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며, 자기 지향적, 대인, 집단 폭력으로 분류되고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여 예방과 개입을 위한 전략이 사용된다.
  • 인간 행동 - 여가
    여가는 노동, 직무, 사회적 의무에서 벗어나 개인적 만족과 쾌락을 추구하는 자유로운 시간 활용을 의미하며, 산업혁명 이후 증가하여 다양한 형태로 분류되고 레저 산업과 연관된다.
인간 행동
사회학
주요 주제
주요 주제사회
세계화
인간 행동
인간 환경 영향
정체성
산업 혁명 3 / 4 / 5
인기
사회 복잡성
사회 환경
사회 평등
사회적 형평성
사회적 권력
사회 계층화
사회 구조
사회 순환 이론
관점
관점갈등 이론
비판 이론
구조 기능주의
실증주의
사회 구성주의
사회 진화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사회학 분과
분과노화
건축
예술
우주 사회학
신체
범죄학
의식
문화
죽음
인구학
일탈
재난
경제
교육
감정 (질투)
환경
가족
페미니즘
재정
음식
성별
세대
건강
역사
이민
산업
인터넷
유대인
지식
언어

여가
문학
마르크스주의
수학
의료
군사
음악
평화, 전쟁 및 사회 갈등
철학
정치
공공
처벌
인종 및 민족
종교
농촌
과학 (과학사)
사회 운동
사회 심리학
사회 사이버네틱스
사회학
공간
스포츠
기술
테러
도시
유토피아
피해자학
시각
방법론
방법론양적
질적
비교
전산
민족지학
대화 분석
역사적
인터뷰
수학
네트워크 분석
사회 실험
설문 조사
주요 이론가
1700년대콩트
시에예스
1800년대마티노
토크빌
마르크스
스펜서
르 봉
워드
파레토
퇴니스
베블런
짐멜
뒤르켐
애덤스
미드
베버
듀보이스
만하임
엘리아스
1900년대프롬
아도르노
겔렌
아롱
머턴
니스벳
밀스

쇠크
고프먼
바우만
푸코
루만
하버마스
보드리야르
부르디외
기든스
목록
목록서지
용어
저널
}}}
사람들
연대표
국가별

2. 역사

인간 행동에 대한 연구는 오래전부터 철학문학의 주요 관심사였다.[1] 마음의 철학은 자유 의지, 심신 문제 등 인간 행동의 여러 측면을 다룬다.[1]

2. 1. 인간 행동 연구의 역사

인간 행동은 사회과학에서 연구하는 대상이며, 심리학, 사회학, 행동학 및 다양한 분야와 사상 학파를 포함한다.[1] 인간 행동은 여러 측면을 가지고 있어서 하나의 정의나 연구 분야로 완전히 설명하기 어렵다.[1] 인간 행동 연구에서 기본적인 논쟁 중 하나는 본성 대 양육 논쟁으로, 행동이 유전적 요인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지, 아니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논쟁이다.[1] 인간 행동 연구는 범죄, , 사회 불평등과 같은 문화적 문제와 관련되어 대중의 관심을 받기도 한다.[1]

신경학과 진화생물학과 같은 일부 자연과학도 인간 행동을 연구한다. 신경학은 행동이 신경계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연구하고, 진화생물학은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연구한다.[1] 다른 분야에서는 인간 행동이 다른 주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부차적인 연구 대상이 되기도 한다.[1] 형식적인 과학적 조사 외에도, 인간 행동과 인간의 조건철학문학의 주요 관심사이기도 하다.[1] 마음의 철학은 자유 의지, 심신 문제, 인간 행동의 가소성과 같은 측면을 다룬다.[1]

인간 행동은 설문지, 면접, 실험 방법을 통해 평가할 수 있다. 동물 실험을 통해 인간 행동과 비교할 수 있는 행동을 연구하기도 한다.[1] 쌍둥이 연구는 인간 행동을 연구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동일한 게놈을 가진 쌍둥이를 비교하여 행동의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분리할 수 있다. 쌍둥이 연구를 통해 생활 방식, 질병에 대한 취약성, 건강에 해로운 행동은 유전적 및 환경적 지표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1]

2. 2. 본성 대 양육 논쟁

본성 대 양육 논쟁은 인간 행동 연구에서 기본적인 논쟁거리 중 하나이며, 이 논쟁은 행동이 유전적 요인 또는 환경적 요인 중 무엇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것이다.[1] 인간 행동 연구는 범죄, , 사회 불평등과 같은 문화적 문제와 관련이 있어 때때로 대중의 관심을 받는다.[1] 쌍둥이 연구는 인간 행동을 연구하는 일반적인 방법인데, 동일한 게놈을 가진 쌍둥이를 비교하여 행동의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분리할 수 있다. 쌍둥이 연구를 통해 생활 방식, 질병에 대한 취약성, 건강에 해로운 행동 등이 유전적 지표와 환경적 지표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

3. 인간 행동의 분류

인간 행동은 심리학, 사회학, 행동학 등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연구하는 대상이다.[1] 인간 행동에는 여러 측면이 있으며, 하나의 정의나 연구 분야로 완전히 설명하기 어렵다. 인간 행동 연구에서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중 어느 것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본성 대 양육 논쟁이 중요한 쟁점으로 다루어진다.[2]

인간 행동은 설문지, 면접, 실험 등의 방법으로 연구할 수 있다. 동물 실험이나 쌍둥이 연구를 통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분리하여 연구하기도 한다.[3] 쌍둥이 연구 결과, 생활 방식, 질병 취약성, 건강에 해로운 행동은 유전적, 환경적 지표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

3. 1. 사회적 행동

인간의 사회적 행동은 의사소통과 협력을 포함하여 다른 인간을 고려하는 행동이다. 이는 매우 복잡하고 구조적이며, 인간이 서로에게 생각과 행동을 귀속시킬 수 있게 하는 고도로 발달된 마음 이론을 기반으로 한다. 사회적 행동을 통해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구별되는 사회문화를 발전시켰다.[2]

일본 여성의 인사


인간의 사회적 행동은 모든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과 양육과 사회적 규범에 따라 변하는 문화적 요인의 결합에 의해 지배된다. 인간의 의사소통은 주로 언어를 기반으로 하며, 일반적으로 이나 글을 통해 이루어진다.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부언어는 신체적 및 음성적 행동을 통해 아이디어와 의도를 보여줌으로써 의사소통의 의미를 수정할 수 있다.

3. 1. 1. 사회 규범

사회 내 인간 행동은 사회 규범에 의해 지배된다. 사회 규범은 사회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갖는 비문자화된 기대이다. 이러한 규범은 그것들이 나타나는 특정 문화에 뿌리내리고 있으며, 인간은 종종 무의식적으로 또는 숙고 없이 그것을 따른다. 이러한 규범은 예의범절, 사회적 책임, 재산권, 계약, 도덕, 그리고 정의를 포함하여 인간 사회의 삶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3] 많은 규범은 사회 구성원 간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의사소통 및 합의에 관한 규범과 같이 상호 이익이 된다. 규범은 사회적 압력에 의해 강화되며, 사회 규범을 위반하는 개인은 사회적 배제의 위험을 감수한다.[4]

3. 1. 2. 윤리

사회 내 인간 행동은 사회 규범에 의해 지배된다. 사회 규범은 사회 구성원들이 서로에게 갖는 비문자화된 기대이다. 이러한 규범은 특정 문화에 뿌리내리고 있으며, 인간은 종종 무의식적으로 또는 숙고 없이 그것을 따른다. 예의범절, 사회적 책임, 재산권, 계약, 도덕, 정의를 포함하여 인간 사회의 삶의 모든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3] 많은 규범은 사회 구성원 간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고 의사소통 및 합의에 관한 규범과 같이 상호 이익이 된다. 규범은 사회적 압력에 의해 강화되며, 사회 규범을 위반하는 개인은 사회적 배제의 위험을 감수한다.[4]

윤리 시스템은 인간 행동을 안내하고 무엇이 도덕적인지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인간은 행동을 결정하기 위해 윤리 시스템을 사용하는 점에서 다른 동물과 구별된다. 윤리적 행동은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그리고 행동이 다른 사람들에게 최적일지 여부를 고려하는 인간의 행동이다. 윤리적 행동을 구성하는 것은 사람의 개별적인 가치 판단과 옳고 그름에 관한 집단적 사회 규범에 의해 결정된다. 가치 판단은 모든 문화의 사람들에게 내재되어 있지만, 그것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시스템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신의 법, 자연법, 국가 권력, 이성, 또는 이러한 것들과 다른 원칙들의 조합에서 유래할 수 있다. 이타심은 인간이 자신의 행복과 동등하거나 우선적으로 다른 사람들의 복지를 고려하는 관련 행동이다. 다른 동물들이 생물학적 이타심에 참여하는 반면, 윤리적 이타심은 인간에게만 고유하다.[5]

3. 1. 3. 일탈 행위

사회 규범을 위반하는 행동은 일탈 행위라고 불린다. 사회 규범은 개인과 문화에 따라 다르므로, 무엇이 일탈 행위인지, 그리고 그 심각성은 주관적이다. 사회가 일탈로 여기는 것은 새로운 사회 규범이 만들어짐에 따라 시간이 흐르면서 바뀔 수 있다. 일탈 행위를 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사회적 낙인, 비난, 또는 폭력을 통해 처벌받을 수 있다.[4] 많은 일탈 행위는 범죄로 여겨져 형사 사법 제도를 통해 처벌된다.[4] 일탈 행위는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는 것을 막거나, 특정 세계관과 생활 방식을 유지하거나, 도덕과 품위의 원칙을 시행하기 위해 처벌될 수 있다.[4] 문화는 또한 특정 신체적 특징에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가치를 부여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특징을 가진 사람이 일탈자로 여겨지게 할 수 있다.[4]

3. 1. 4. 대인 관계

알래스카 주 노아탁(Noatak, Alaska)의 한 가족 (1929)


대인 관계는 두 개인 사이의 특정 선택과 감정으로 평가될 수도 있고, 그러한 관계가 어떻게 기능할 것으로 예상되는지에 대한 더 넓은 사회적 맥락으로 평가될 수도 있다. 관계는 친밀감을 만들고, 감정을 표현하고, 정체성을 발전시키는 의사소통을 통해 발전한다.[2] 개인의 대인 관계는 개인들이 서로 의사소통하고 사교하는 사회 집단을 형성하며, 이러한 사회 집단은 추가적인 관계에 의해 연결된다. 인간의 사회적 행동은 개별적인 관계뿐만 아니라 한 관계의 행동이 다른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2] 적극적으로 사회적 상호 작용을 추구하는 개인은 외향적인 사람이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내향적인 사람이다.[6]

낭만적인 사랑은 다른 사람에 대한 중요한 대인적 매력이다. 그 본질은 문화에 따라 다르지만, 종종 성별에 따라 달라지며, 성적 매력과 함께 발생하고, 이성애 또는 동성애 중 하나이다. 그것은 다양한 형태를 취하며 많은 개별적인 감정과 관련이 있다. 많은 문화권에서는 다른 형태의 대인적 매력보다 낭만적인 사랑을 더 강조한다. 결혼은 두 사람 사이의 결합이지만, 그것이 낭만적인 사랑과 관련이 있는지는 문화에 따라 다릅니다.[2] 혈족으로 밀접하게 관련된 개인은 가족을 형성한다. 부모와 자녀뿐만 아니라 계자녀 또는 확대된 친척을 포함할 수 있는 많은 가족 구조의 변형이 있다.[2] 자녀가 있는 가족 단위는 양육을 강조하며, 부모는 자녀가 대부분의 다른 포유류보다 긴 기간에 걸쳐 발달함에 따라 자녀를 보호하고 교육하기 위해 높은 수준의 부모 투자에 참여한다.[7]

3. 1. 5. 정치와 갈등

인간은 집단으로 의사 결정을 할 때 정치에 참여한다. 인간은 이기심 행동을 하도록 진화했지만, 이는 집단적 환경에서 갈등보다는 협력을 용이하게 하는 행동도 포함한다. 개인은 종종 내집단과 외집단 인식을 형성하는데, 이를 통해 내집단과는 협력하고 외집단과는 경쟁한다. 이러한 인식은 무의식적인 순응, 권위에 대한 수동적 복종, 상대방의 불행에 대한 즐거움, 외집단 구성원에 대한 적대감, 존재하지 않는 외집단을 인위적으로 만들고 내집단의 표준을 준수하지 않는 사람들을 처벌하는 등의 행동을 유발한다. 이러한 행동은 내집단의 표준과 규범을 시행하는 정치 제도의 생성으로 이어진다.[8]

1849년 코마롬 제1차 전투(First Battle of Komárom)에서 싸우는 사람들의 묘사


인간이 서로 반대할 때 갈등이 발생한다. 이는 관련 당사자들이 의견이 다르거나, 한 당사자가 다른 당사자의 목표를 방해하거나, 당사자들이 분노와 같은 부정적 감정을 서로 느낄 때 발생할 수 있다. 단순히 의견 차이로 인한 갈등은 종종 의사소통이나 협상을 통해 해결되지만, 감정적 또는 방해적인 측면이 포함되면 갈등이 고조될 수 있다. 대인 갈등은 특정 개인이나 개인 집단 간의 갈등이다.[9] 사회 갈등은 서로 다른 사회 집단이나 인구 통계 간의 갈등으로, 사회에서 소외된 집단, 원하는 자원이 없는 집단, 사회 변화를 일으키려는 집단, 또는 사회 변화에 저항하려는 집단에서 종종 발생한다. 심각한 사회 갈등은 민란을 야기할 수 있다.[10] 국제 갈등은 국가나 정부 간의 갈등이며, 외교 또는 전쟁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3. 2. 인지적 행동

인간의 인지는 다른 동물의 인지와 다르다. 이는 인간 인지의 생물학적 특성에서 비롯되지만, 문화적으로 전승되는 공유된 지식과 발달에서도 비롯된다.

3. 2. 1. 학습과 훈련

2013년 러시아 볼고그라드에서 그림 그리는 법을 배우는 사람들


인간은 교육을 통해 지식을 얻을 수 있게 해주는 발달된 마음 이론(theory of mind) 덕분에 서로에게서 배울 수 있다.[11][12] 언어의 사용은 인간이 서로에게 직접적으로 지식을 전달할 수 있게 한다.[12] 인간의 뇌신경가소성을 가지고 있어 새로운 경험에 반응하여 그 특징을 수정할 수 있다. 이것은 인간의 학습을 촉진하고 훈련 행동으로 이어져 개별 인간의 새로운 기술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13]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행되는 행동은 습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으며, 인간은 의식적으로 결정하지 않고도 정기적으로 그 행동에 참여하게 된다.[14]

3. 2. 2. 추론

인간은 제한된 정보로 추론을 하기 위해 이성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인간의 추론은 개인의 의식적인 노력 없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추론은 과거 경험으로부터 일반화를 하고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여 수행된다. 학습된 지식은 주제에 대한 더 정확한 추론을 하기 위해 습득된다. 연역 추론은 논리적 전제에 기반하여 참인 결론을 추론하는 반면, 귀납 추론은 맥락에 기반하여 어떤 결론이 참일 가능성이 높은지 추론한다.[15]

3. 2. 3. 감정

감정은 인간에게 타고난 인지적 경험이다. 기쁨, 고통, 분노, 두려움, 놀람, 혐오와 같은 기본적인 감정은 모든 문화에 공통적이지만, 감정 표현에 대한 사회적 규범은 다를 수 있다. 사랑, 죄책감, 수치심, 당황, 자부심, 시기, 질투와 같이 더 높은 인지에서 비롯되는 다른 감정들은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달하며, 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더 강하게 받는다. 감정은 색상음악과 같은 감각 정보와 행복슬픔의 기분에 영향을 받는다. 인간은 일반적으로 건강과 사회적 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표준적인 행복 또는 슬픔 수준을 유지하지만,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사건은 기분에 단기적인 영향을 미친다. 인간은 종종 위로, 오락, 털어놓기를 통해 서로의 기분을 향상시키려고 한다. 인간은 운동명상을 통해 기분을 자가 조절할 수도 있다.

3. 2. 4. 창의성

창의성은 이전의 아이디어나 자원을 사용하여 독창적인 것을 생산하는 것이다. 창의성은 혁신, 변화에 대한 적응, 새로운 정보 학습 및 새로운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한다. 창의성의 표현은 삶의 질 또한 지원한다. 창의성에는 개인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진정성 있게 제시하는 개인적 창의성이 포함되지만, 공동체나 사회가 집단적으로 아이디어를 생산하고 인식하는 사회적 창의성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16] 창의성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인 인간의 삶에 적용된다. 또한 인간이 예술과학을 수행하도록 이끈다. 고급 창작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은 일반적으로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은 이 지식을 활용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한다. 예술에서 창의성은 시각 예술이나 음악과 같은 새로운 예술 작품을 개발하는 데 사용된다. 과학에서 특정 과학 분야에 대한 지식을 가진 사람들은 시행착오를 통해 현상을 더 정확하게 설명하는 이론을 개발할 수 있다.[17]

3. 2. 5. 종교적 행동

종교적 행동은 종교적 신념 체계의 가르침에 기반하여 따르는 일련의 전통이다. 종교적 행동의 본질은 특정 종교적 전통에 따라 다르다. 대부분의 종교적 전통은 신화를 이야기하고, 의식을 실천하고, 특정한 것을 금기로 삼고, 상징을 채택하고, 도덕성을 결정하고, 의식 변화 상태를 경험하고, 초자연적 존재를 믿는 것과 같은 변형을 포함한다. 종교적 행동은 종종 까다롭고 시간, 에너지 및 물질적 비용이 많이 들며, 인간 행동의 합리적 선택 모델과 상충되지만, 공동체 관련 이점을 제공한다. 인류학자들은 인간이 왜 종교적 행동을 채택했는지에 대한 상반되는 이론을 제시한다.[18] 종교적 행동은 사회적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집단 참여는 개인의 종교적 행동 발달에 중요하다. 종교 단체나 가족 단위와 같은 사회 구조는 종교적 행동의 공유와 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사회적 연결은 종교와 관련된 인지 행동을 강화하여 정통성과 헌신을 장려한다.[19] 2018년 퓨리서치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성인의 54%가 종교가 자신의 삶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20]

3. 3. 생리적 행동

인간은 인체의 기본 작용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동물들과 공통적인 행동을 보인다. 예를 들어 영양 섭취를 위해 음식을 먹고, 배뇨배변으로 노폐물을 배출하며, 생체 리듬과 항상성에 따라 규칙적으로 수면을 취한다.

또한, 인간은 신체 건강 유지를 위해 고유한 행동을 한다. 의학을 발전시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며, 위생을 실천한다. 번식과 성적 쾌락을 위해 성교를 하며, 이족 보행 동물로서 보행과 달리기로 이동한다. 의 잡는 능력과 손재주, 악력을 이용해 복잡한 도구를 사용하기도 한다.[31]

3. 3. 1. 영양 섭취와 배설

짐바브웨 하라레(2017)에서 망고를 먹는 소년


인간은 인체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동물과 공통적인 많은 행동을 한다. 영양을 얻기 위해 음식을 섭취하는데, 영양가를 기준으로 선택할 수도 있지만 즐거움을 위해 먹기도 한다. 식사는 종종 더 즐겁게 하기 위해 음식 조리 과정을 거친다.[20] 또한, 배뇨배변을 통해 노폐물을 배출한다. 배설물은 종종 금기시되며, 특히 위생 시설이 잘 갖춰지고 배설물이 비료로서 가치가 없는 선진국 및 도시 지역에서 더욱 그렇다.[21]

3. 3. 2. 수면

인간은 항상성 및 생체 리듬 요인에 따라 정기적으로 수면을 취한다. 생체 리듬은 인간이 규칙적인 패턴으로 수면을 필요로 하게 하며, 일반적으로 주야간 주기와 수면-각성 습관에 맞춰 조정된다. 항상성도 유지되어 수면 부족 기간 후에는 수면 시간이 더 길어진다. 인간의 수면 주기는 90분 동안 지속되며, 정상적인 수면 중에 3~5회 반복된다.[22]

3. 3. 3. 건강 관리

인간은 신체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고유한 행동을 한다. 질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의학을 발전시켰다. 산업화된 국가에서는 더 나은 영양 섭취, 위생 증진, 의료 치료, 피임 사용 등이 인간의 건강을 크게 향상시켰다.[23] 건강 유지를 위해 생존에 필요한 것 이상으로 운동을 하기도 한다.[24] 먼지와 병원균 노출을 줄이기 위해 위생을 실천한다. 혐오감에 대한 기본적인 행동은 병원균과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적응으로 진화했으며, 개인 위생, 인체 사체 처리, 하수 시스템 사용, 세정제 사용 등은 대부분의 인간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위생 행동이다.[25]

3. 3. 4. 번식

인간은 유성 생식을 하며, 번식과 성적 쾌락 모두를 위해 성교를 한다. 인간의 번식은 인간의 성과 본능적인 번식 욕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낳는 자녀의 수를 의도적으로 통제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26] 다른 동물에 비해 다양한 번식 행동을 하며, 일부일처제, 일부다처제, 일부다처제를 포함한 다양한 짝짓기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인간의 짝짓기 행동은 문화적 규범과 관습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27] 대부분의 포유류와 달리, 여성은 계절적이 아닌 자발적으로 배란하며, 일반적으로 25~35일 동안 지속되는 월경 주기를 갖는다.[28]

3. 3. 5. 이동

인간은 이족 보행을 하며 보행으로 이동한다. 인간의 보행은 이족 보행 주기에 해당하며, 이는 지면과의 발꿈치 접촉과 발가락 이탈이 번갈아 가며 일어나고 골반이 약간 상승하고 회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행 중 균형은 생후 7~9년 동안 학습되며, 각 개인은 체중을 이동하고 질량 중심을 조정하며 신경 제어와 움직임을 조정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고유한 보행을 개발한다.[29] 인간은 달리기를 통해 더 높은 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장거리 달리기 가설은 인간이 달리기를 통해 장거리에서 다른 대부분의 동물보다 빠르게 달릴 수 있다고 제안하지만, 인간의 달리기는 더 높은 에너지 소모율을 유발한다. 인간의 신체는 노력하는 동안 발한을 통해 자체 조절하여 다른 동물보다 더 많은 지구력을 갖게 한다.[30]

3. 4. 경제적 행동

인간은 경제적 결정을 내릴 때 예측 가능한 행동을 보이며, 이러한 행동은 합리적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인간은 비용-편익 분석과 최소 위험에서의 허용 가능한 수익률을 통해 기본적인 결정을 내린다. 인간의 경제적 의사결정은 종종 기준에 의존적인데, 여기서 선택지는 절대적인 이익과 손실보다는 현상 유지에 대한 참고로 평가된다. 인간은 또한 손실 회피적이며, 이익을 추구하기보다는 손실을 두려워한다.[32] 인간에게서 발전된 경제 행동은 신석기 혁명농업의 발달 이후에 나타났다. 이러한 발전은 더욱 복잡한 사회에서 분업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 가능한 자원 공급으로 이어졌다.

3. 4. 1. 노동

인간의 일은 사회의 복잡성에 따라 그 본질이 달라진다. 가장 단순한 사회는 부족 단위로, 수렵 채집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며, 일은 삶의 모든 부분을 구성하는 끊임없는 활동이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모든 구성원이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일해야 한다.[32]

스웨덴 망스크로그에서 가축을 돌보는 여성들 (1911)


신석기 혁명 이후 농업과 목축이 발달하면서 생산량이 증가하여, 일부 개인이 식량 생산 이외의 분야에서 전문화할 수 있게 되었다. 직업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기술 지식과 행정에 전문화된 비육체노동이 생겨났으며, 육체노동은 노예, 농노, 소작농, 길드 장인 등이 수행했다.[32]

산업혁명 동안 공장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노동자들은 다른 사람들과 협력하게 되었고, 고용주는 근무 시간 동안 권위자 역할을 하게 되었다. 강제 노동은 대부분 사라졌다. 후기 산업 사회에서는 기술 발전으로 산업이 대량 생산과 서비스 산업으로 대체되면서 더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32]

인간은 신체적, 개인적 특성에 따라 일에 대한 접근 방식이 다르다. 어떤 사람들은 일이 개인적인 성취감을 준다고 생각하는 반면, 어떤 사람들은 필요에 의해서만 일한다.[32] 일은 정체성이 될 수 있으며, 개인은 자신의 직업을 기반으로 자신을 식별한다. 직무 동기는 복잡하며, 물질적 이익, 자존감, 자아 가치 창출, 활동 제공, 존경 획득, 창의성 표현 등 다양한 인간의 욕구에 기여한다.[32] 현대의 일은 일반적으로 육체노동(블루칼라)과 비육체노동(화이트칼라)으로 분류된다.[32]

3. 4. 2. 여가

아일랜드 킬케니에서 축구를 하는 남성들 (2007)


여가는 일 외의 시간에 이루어지는 활동 또는 활동 부재를 의미한다. 여가는 개인에게 휴식, 오락, 그리고 삶의 질 향상을 제공한다.[35] 여가 활동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유익할 수 있다. 여가는 심리적 스트레스로부터 일시적인 해방을 얻거나,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하거나, 사회적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여가는 지루함, 약물 남용, 또는 고위험 행동으로 인한 건강 위험과 부정적인 감정을 야기할 수도 있다.[33]

여가는 진지한 것 또는 단순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35][34] 진지한 여가 활동에는 예술과 과학의 비전문적인 추구, 취미 개발, 또는 전문 분야의 자원 봉사가 포함된다.[34] 단순한 여가 활동은 단기적인 만족감을 제공하지만, 장기적인 만족감이나 개인 정체성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여기에는 놀이, 휴식, 단순한 사회적 상호 작용, 자원 봉사, 수동적 오락, 능동적 오락, 그리고 감각 자극이 포함된다. 수동적 오락은 일반적으로 대중매체에서 얻어지며, 여기에는 서적 또는 디지털 미디어가 포함될 수 있다. 능동적 오락에는 개인이 참여하는 게임이 포함된다. 감각 자극은 식사나 성행위와 같은 행동으로부터 얻는 즉각적인 만족감이다.[35]

3. 4. 3. 소비

인간은 재화를 획득하고 사용하는 소비자로서 기능한다. 모든 생산은 궁극적으로 소비를 위해 설계되며, 소비자들은 생산의 가용성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조정한다. 대량 소비는 산업혁명 동안 새로운 기술의 발전으로 생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시작되었다.[36] 소비자가 무역을 통해 재화를 구매하기로 결정하는 데에는 많은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제품의 성격, 관련 비용, 구매의 편리성, 제품과 관련된 광고의 성격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문화적 요인도 이러한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서로 다른 문화는 서로 다른 가치를 지니며, 하위 문화는 구매 결정에 있어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부, 교육, 직업을 포함한 사회 계급은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소비자의 대인 관계와 준거 집단 또한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7]

3. 5. 생태적 행동

이란 길란데(Gilandeh), 카라즈길(Kharajgil)의 소녀와 어린 양들 (2018)


모든 생물과 마찬가지로 인간은 생태계에 살며 다른 생물과 상호 작용한다. 인간의 행동은 인간이 사는 환경에 영향을 받고, 환경은 인간의 거주에 영향을 받는다. 인간은 도시 지역과 농경지와 같은 인공 생태계를 개발했다. 지리와 경관 생태학은 자연적, 계획적 도시 형태론을 통해 생태계 내에서 인간이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결정한다.[38]

3. 5. 1. 동물과의 관계



인간은 자신이 사는 환경 내에 사는 동물을 통제한다. 가축은 인간에 의해 훈련되고 보살핌을 받으며, 인간은 자신이 돌보는 동물과 사회적,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애완동물은 수 세기 동안 가축화를 위해 사육된 고양이를 포함하여 인간의 가정에서 교우를 위해 길러진다. , , 염소, 가금류와 같은 가축은 축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농경지에서 사육되며, 동물 실험을 위해 실험실에서도 사육된다. 야생동물은 때때로 관광과 보전을 위해 자연 보호 구역과 동물원에서 사육된다.[39]

4.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간 행동은 심리학, 사회학, 행동학 등 다양한 사회과학 분야에서 연구된다.[1] 본성 대 양육 논쟁은 인간 행동이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중 어느 것에 더 큰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논쟁이다.[2] 인간 행동은 설문지, 면접, 실험, 동물 실험, 쌍둥이 연구 등으로 평가되며, 특히 쌍둥이 연구는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분리하여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12]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생물학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이 있다.[36] 구조와 행위자 논쟁은 행동이 개인의 충동에 의한 것인지, 외부 구조적 힘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다.[36] 행동 유전학은 유전 형질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며, 유전자가 특정 행동을 결정하지는 않지만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40] 개인의 환경, 성격, 태도도 유전적 요인과 함께 행동에 영향을 준다.[41]

신경가소성은 환경에 반응하여 신경 경로가 변하며 뇌 구조가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간은 상호작용을 통해 행동을 배우고, 문화언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사회 학습으로 타인을 모방하여 새로운 행동을 배우고, 문화는 사회적 규범을 통해 행동에 영향을 준다.[41]

신경학과 진화생물학신경계에 의한 행동 조절 방식과 인간 마음의 진화 과정을 연구한다.[1]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신진대사 등은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이다.[12]

신체 장애는 일반적 행동 참여를 제한하거나 대안적 행동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선진국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의료, 보조 기술, 직업 재활 서비스 등이 제공된다.[44] 중증 장애는 여가 시간 증가와 관련되지만, 여가 만족도는 낮고 생산성과 건강은 장기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45] 지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는 인지 및 사회적 행동에 직접 영향을 주며, 일반적인 정신 질환에는 기분 장애, 불안 장애, 인격 장애, 물질 의존 등이 있다.[46]

4. 1. 연령

인간의 행동은 생물학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구조와 행위자 논쟁은 인간의 행동이 주로 개인의 충동에 의해 주도되는지, 아니면 외부 구조적 힘에 의해 주도되는지에 대해 고려한다.[36] 행동 유전학은 인간의 행동이 유전된 형질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연구한다. 유전자가 특정 행동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형질은 개인이 특정 행동에 참여하거나 특정 성격을 표현할 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유전될 수 있다.[40] 개인의 환경 또한 종종 유전적 요인과 함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의 성격태도는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에 의해 함께 형성되어 행동이 표현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41]

4. 1. 1. 유아

2015년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놀이에 참여하는 유아


유아는 출생 직후 주변 환경을 해석하는 능력이 제한적이다. 대상 영속성운동에 대한 이해는 일반적으로 생후 6개월 이내에 발달하지만, 특정 인지 과정은 아직 이해되지 않았다.[44] 인지하는 다양한 개념과 사물을 정신적으로 범주화하는 능력 또한 첫해 안에 발달한다.[45] 유아는 자신의 신체와 주변 환경을 빠르게 구별할 수 있으며, 종종 두 달이 되면 자신의 사지나 자신이 일으키는 행동에 관심을 갖는다.[46]

유아는 사회적으로 참여하고 새로운 행동을 배우기 위해 다른 개인을 모방한다. 어린 유아의 경우 얼굴 표정을 모방하며, 도구 사용 모방은 첫해 안에 일어난다.[47] 의사소통은 첫해 동안 발달하며, 아홉에서 열 달 정도 되면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몸짓을 사용하기 시작한다. 구어 의사소통은 더 점진적으로 발달하여 두 살 때 형태를 갖추게 된다.[48]

4. 1. 2. 아동

아동은 유아기 직후인 3~6세 정도에 세밀한 운동 기술을 발달시켜 손을 사용하는 행동과 손-눈 협응을 통해 자립의 기본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40] 3~6세에 유머, 공감, 이타심을 포함한 더욱 복잡한 감정을 표현하기 시작하며, 창의력과 탐구에도 참여한다.[41] 공격성 행동 또한 이 시기에 다양해지며, 신체적 공격성이 증가하다가 외교를 공격성보다 선호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44] 이 시기의 아동은 기본적인 문법을 사용하여 언어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45]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정서 지능을 발달시킨다.[46] 어린 아동은 또래 집단과 기본적인 사회적 행동을 하며, 일반적으로 같은 나이와 성별의 개인과 놀이를 중심으로 우정을 맺는다.[47] 어린 아동의 행동은 놀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행동을 연습할 수 있다.[48] 기본적인 자기 개념은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특히 성별과 민족과 같은 특성을 중심으로 발달하며, 처음으로 또래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4. 1. 3. 청소년

청소년은 사춘기와 관련된 호르몬 생성 변화로 인해 행동 변화를 겪는다. 테스토스테론 생성은 청소년의 새로운 감각 추구 및 보상에 대한 민감성뿐만 아니라 청소년 남성의 공격성과 위험 감수를 증가시킨다. 에스트라디올 생성은 청소년 여성에게도 유사한 위험 감수 행동을 유발한다. 새로운 호르몬은 긴밀한 우정, 더 강한 동기와 의도, 그리고 청소년기 성을 가능하게 하는 정서 처리의 변화를 야기한다.[42]

청소년은 대규모 사회적 변화를 겪으면서 완전한 자아 개념을 발달시키고 성인과 독립적으로 자율적인 결정을 내린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아동보다 사회적 규범과 사회적 신호를 더 잘 인식하여 자의식과 청소년기 자기중심주의가 증가하여 청소년기 내내 사회적 환경에서 행동을 이끌게 된다.[43]

4. 2. 문화와 환경

인간의 행동은 생물학적 요소와 문화적 요소의 영향을 받는다. 구조와 행위자 논쟁은 인간의 행동이 주로 개인의 충동에 의해 주도되는지, 아니면 외부 구조적 힘에 의해 주도되는지에 대해 고려한다.[36] 개인의 환경 또한 종종 유전적 요인과 함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의 성격태도는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에 의해 함께 형성되어 행동이 표현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41]

포유류의 뇌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뇌는 신경가소성을 지닌다. 즉, 환경에 반응하여 신경 경로가 변화함에 따라 뇌의 구조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많은 행동들은 뇌의 초기 발달 과정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된다. 인간의 행동은 문화언어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점에서 다른 동물의 행동과 다르다. 사회 학습을 통해 인간은 다른 사람들의 모범을 따라 새로운 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다. 문화는 또한 사회적 규범을 정의하는 지침이 되는 영향력이다.

4. 3. 생리학

신경학과 진화생물학은 각각 행동이 신경계에 의해 어떻게 조절되는지, 그리고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진화했는지를 연구한다.[1] 행동 유전학은 인간의 행동이 유전된 형질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고려한다. 유전자가 특정 행동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정 형질은 개인이 특정 행동에 참여하거나 특정 성격을 표현할 가능성을 높이는 방식으로 유전될 수 있다.[40] 개인의 환경 또한 종종 유전적 요인과 함께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개인의 성격태도는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에 의해 함께 형성되어 행동이 표현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41] 신경전달물질, 호르몬, 그리고 신진대사는 모두 인간 행동에 있어 생물학적 요인으로 인정받고 있다.

5. 한국 사회에서의 인간 행동

한국 사회에서의 인간 행동은 전통적인 유교 문화의 영향과 급격한 근대화, 그리고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거치며 복합적인 양상을 띠게 되었다.
전통적 가치관의 영향전통적으로 한국 사회는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위계질서와 공동체 의식을 중시해 왔다. 이러한 가치관은 가족, 학교, 직장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 가족주의: 가족 구성원 간의 유대와 책임을 강조하며, 개인의 행동은 가족의 명예와 이익에 따라 결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 권위주의: 연장자나 상급자의 권위를 존중하고, 그들의 지시에 순응하는 것이 미덕으로 여겨졌다.
  • 집단주의: 개인의 이익보다는 집단의 이익을 우선시하며, 소속 집단의 규범과 가치관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게 여겨졌다.

근대화와 개인주의의 확산1960년대 이후 급격한 산업화도시화를 겪으면서 한국 사회는 개인주의적 가치관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서구 문화의 유입과 교육 수준의 향상, 경제적 성장은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중시하는 경향을 강화시켰다.

  • 핵가족: 전통적인 대가족 제도가 해체되고 핵가족이 보편화되면서, 가족 내 개인의 자율성이 증대되었다.
  • 경쟁주의: 치열한 입시 경쟁과 취업 경쟁은 개인의 능력과 성과를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를 조성했다.
  • 소비주의: 경제 성장에 따른 물질주의적 가치관의 확산은 개인의 욕망과 소비를 중시하는 경향을 강화시켰다.

민주화와 시민 의식의 성장1980년대 민주화 운동을 거치면서 한국 사회는 시민 의식과 참여 의식이 성장하였다. 개인의 권리와 자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사회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 민주주의 가치 확산: 민주주의 이념에 대한 교육과 사회적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개인의 자유와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 시민 단체의 활성화: 다양한 시민 단체가 등장하여 사회 문제에 대한 감시와 비판, 정책 제안 등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했다.
  • 사회 참여 증가: 선거, 집회, 시위 등 정치적 참여뿐만 아니라, 봉사활동, 기부 등 다양한 형태의 사회 참여가 증가했다.

현대 한국 사회의 인간 행동 특징현대 한국 사회의 인간 행동은 전통적 가치관과 근대적 가치관, 민주주의적 가치관이 혼재된 복합적인 양상을 보인다.

  • 집단주의와 개인주의의 공존: 여전히 집단의 이익을 중시하는 경향이 남아있지만,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추구하는 경향도 강하게 나타난다.
  • 권위주의와 평등주의의 갈등: 권위주의적 질서에 대한 반발과 평등주의적 가치관의 확산이 공존하면서 세대 간, 성별 간 갈등이 발생하기도 한다.
  • 경쟁주의와 연대 의식: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연대 의식이 나타나며, 사회적 불평등 해소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한국 사회의 급격한 변화와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도기적 현상으로 볼 수 있으며, 앞으로 한국 사회의 인간 행동은 더욱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1] 논문 Classical twin studies and beyond https://www.nature.c[...] 2002
[2] 서적 Roots of Human Sociality https://www.taylorfr[...] Routledge
[3] 논문 VII—Social Change and Legal Norms http://dx.doi.org/10[...] 1967-06-01
[4] 논문 The Evolution of Social Norms 2015-08-01
[5] 논문 The difference of being human: Morality 2010-05-11
[6] 논문 The happiness of extraverts https://dx.doi.org/1[...] 1990-01-01
[7] 논문 Evolution of Human Parental Behavior and the Human Family http://www.tandfonli[...] 2001
[8] 논문 The Origin of Politics: An Evolutionary Theory of Political Behavior https://www.cambridg[...] 2022-08-15
[9] 논문 Conceptualizing the Construct of Interpersonal Conflict https://www.emerald.[...] 2022-08-14
[10] 서적 Berghof Handbook for Conflict Transformation Berghof Foundation
[11] 논문 What Makes Human Cognition Unique? From Individual to Shared to Collective Intentionality https://onlinelibrar[...] 2022-08-12
[12] 논문 Culture: The Driving Force of Human Cognition 2020
[13] 논문 Psychology of Habit 2016-01-04
[14] 서적 Human Reasoning: The Psychology of Deduction Taylor & Francis
[15] 서적 The Nature of Human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논문 Creativity in the Arts and the Sciences https://www.jstor.or[...] 2022-08-14
[17] 논문 Signaling, solidarity, and the sacred: The evolution of religious behavior https://onlinelibrar[...] 2022-08-14
[18] 논문 The Determinants of Religious Behavior: A Theoretical Model and Empirical Test http://www.jstor.org[...] 2022-08-14
[19] 웹사이트 'How religious commitment varies by country among people of all ages http://www.pewforum.[...] Pew Forum on Religion & Public Life 2019-03-09
[20] 서적 Essentials of Human Nutr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1] 논문 Geographies of shit: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attitudes towards human waste http://journals.sage[...] 2022-08-11
[22] 논문 Human sleep/wake regulation https://pubmed.ncbi.[...] 2022-08-11
[23] 서적 The Role of Medicin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논문 Exercise acts as a drug; the pharmacological benefits of exercise: Exercise acts as a drug 2012
[25] 논문 A Natural History of Hygiene 2007
[26] 서적 Human Reproduc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27] 서적 Building Babies: Primate Development in Proximate and Ultimate Perspective https://www.worldcat[...] Springer
[28] 서적 Human Reproductive Bi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3
[29] 논문 Human Locomotion 1966-05-14
[30] 논문 The Energetic Paradox of Human Running and Hominid Evolution [and Comments and Reply] https://www.journals[...] 2022-08-23
[31] 논문 Characterizing human hand prehensile strength by force and moment wrench https://doi.org/10.1[...] 2022-08-23
[32] 논문 Economic cognition in humans and animals: the search for core mechanisms https://caplab.yale.[...] 2009-02-01
[33] 논문 Leisure and health: why is leisure therapeutic? https://doi.org/10.1[...] 2005-02-01
[34] 논문 Serious Leisure https://www.proquest[...] 2022-08-14
[35] 논문 The costs and benefits of hedonism: some consequences of taking casual leisure seriously https://doi.org/10.1[...] 2022-08-14
[36] 서적 The Industrious Revolution: Consumer Behavior and the Household Economy, 1650 to the Pres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학술지 Factors Affecting Consumer Behavior 2013
[38] 서적 Encyclopedia of Ecology https://www.worldcat[...] Elsevier
[39] 학술지 Human-animal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bonds: a review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https://escholarship[...] 2014
[40] 서적 Behavioral Genetics Worth Publishers
[41] 서적 Wiley
[42] 학술지 The Teenage Brain: Surging Hormones – Brain-Behavior Interactions During Puberty 2013
[43] 학술지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during adolescence https://academic.oup[...] 2006
[44] 학술지 Disability in Everyday Life http://journals.sage[...] 2005
[45] 학술지 What happens to people before and after disability? Focusing effects, lead effects, and adaptation in different areas of life https://www.scienced[...] 2009-12-01
[46] 학술지 The Structure of Common Mental Disorders 1999-10-01
[47] 백과사전 Human Behaviour https://www.britanni[...] 2020-06-05
[48] 블로그 Human Behavior: The Complete Pocket Guide https://imotions.com[...] iMotions 2019-07-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