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포니카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포니카 쌀은 벼의 아종으로, 낟알이 짧고 둥글며 찰기가 높은 특징을 가진다. 아시아 벼의 두 아종 중 하나로, 인디카 쌀에 비해 아밀로스 함량이 낮아 밥을 지으면 부드럽고 윤기가 난다. 자포니카 쌀은 온대 자포니카, 열대 자포니카, 향미의 세 가지 하위 그룹으로 분류되며, 주로 동아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재배된다. 밥을 주식으로 하는 일본에서는 자포니카 쌀을 단순히 쌀이라고 부르며, 쌀 막걸리 등 다양한 가공식품의 재료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쌀 품종 - 현미
    현미는 벼에서 겉껍질만 제거하고 쌀겨와 쌀눈을 남겨둔 쌀로, 백미보다 영양소가 풍부하여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아시아 등지에서 섭취되고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 쌀 품종 -
    벼는 벼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포니카, 인디카, 자바니카의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볍씨 선별, 비료 사용, 수확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자포니카쌀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자포니카 쌀
단립종 현미 (히노히카리 품종)
학명Oryza sativa subsp. japonica
종류이네 (Oryza sativa) 아종
로마자 표기Japonica
기원
기원지중국
최초 재배 시기기원전 7000~5000년
특징
낟알 형태짧고 둥근 형태
밥맛찰기가 있고 부드러움
주요 용도밥, 스시, 사케 등
분포 지역
주요 생산국일본, 한국, 중국,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2. 특징

인디카와 자포니카는 벼 재배화 이전인 7000년 이상 전에 계통상 분기가 이루어졌으며, 각각 독자적으로 야생 벼에서 재배되었다고 여겨진다. 인디카는 일년생 야생 벼에서 재배화되었다는 설도 있다.[7]

일반적으로 인디카와 자포니카는 벼알의 낟알 모양으로 구분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자포니카 종에도 장립종과 단립종이 모두 존재한다. 따라서 단립종을 자포니카로 정의하는 기존의 인식은 항상 옳다고 할 수 없다.

2. 1. 형태적 특징

자포니카 쌀은 다른 주요 쌀 품종인 인디카에 비해 짧고 둥글다. 쌀은 기본적으로 90% 이상 전분으로 구성되는데, 자포니카 종은 전분 중 아밀로스라는 성분이 인디카에 비해 낮기 때문에 더 찰지고 윤기가 난다. 무게는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존재하나, 인디카는 낱알 1천 개의 무게가 25g 전후인 반면, 자포니카는 19-23g 가량이다.[7]

자포니카 쌀의 낟알은 인디카 쌀의 길고 얇으며 푹신한 낟알에 비해 더 둥글고, 두껍고, 단단하다. 또한 아밀로펙틴 함량이 더 높아 끈기가 더 강한 반면, 인디카 쌀의 전분은 아밀로펙틴이 적고 아밀로스가 더 많다. 쌀알은 둥근 모양으로 중립 또는 단립 형태이다. 주성분인 전분 중의 아밀로스 함량이 인디카에 비해 낮고 아밀로펙틴 함량이 높다. 밥을 지으면 수분을 많이 함유하여 부드럽고 윤기가 난다. 독특한 탄력과 찰기는 인디카 쌀에는 없는 큰 특징이다. 잘 씹으면 단맛이 더해진다.

2. 2. 성분적 특징

자포니카 쌀은 다른 주요 쌀 품종인 인디카에 비해 짧고 둥글다. 쌀은 기본적으로 90% 이상 전분으로 구성되는데, 자포니카 종은 전분 중 아밀로스라는 성분이 인디카에 비해 낮기 때문에 인디카에 비해 더 찰지며, 윤기가 더 난다. 무게는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존재하나, 인디카는 낱알 1천 개의 무게가 25g 전후인 반면, 자포니카는 19-23g 가량이다.[7]

자포니카 쌀의 낟알은 인디카 쌀의 길고 얇으며 푹신한 낟알에 비해 더 둥글고, 두껍고, 단단하다. 자포니카 쌀은 아밀로펙틴 함량이 더 높아 더 끈기가 있는 반면, 인디카 쌀의 전분은 아밀로펙틴이 적고 아밀로스가 더 많다. 쌀알은 둥근 모양으로 중립 또는 단립 형태이다. 주성분인 전분 중의 아밀로스 함량이 인디카에 비해 낮고 아밀로펙틴 함량이 높다. 밥을 지으면 수분을 많이 함유하여 부드럽고 윤기가 난다. 독특한 탄력과 찰기는 인디카 쌀에는 없는 큰 특징이다. 잘 씹으면 단맛이 더해진다.

2. 3. 식미적 특징

자포니카 쌀은 다른 주요 쌀 품종인 인디카에 비해 짧고 둥글다. 쌀은 기본적으로 90% 이상 전분으로 구성되는데, 자포니카 종은 전분 중 아밀로스라는 성분이 인디카에 비해 낮기 때문에 인디카에 비해 더 찰지며, 윤기가 더 난다.[7] 밥을 지으면 수분을 많이 함유하여 부드럽고 윤기가 난다. 독특한 탄력과 찰기는 인디카 쌀에는 없는 큰 특징이다. 잘 씹으면 단맛이 더해진다.

일본에서는 밥의 식미(食味)가 사람들에게 호감을 얻어 주식으로 반찬과 별도로 먹는 습관이 생겼다. 또한, 식어도 맛이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주먹밥, 초밥, 도시락과 같은 일본의 쌀 문화 발전을 촉진했다. 일본에서 단순히 쌀이라고 하면 이 "자포니카 쌀"을 가리키며, "인디카 쌀"은 태국 쌀이라고 불린다.

3. 분류

자포니카 쌀은 크게 온대 자포니카, 열대 자포니카, 향미의 세 가지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4][5] 과거에는 별개의 아종으로 취급되던 자바니카(ジャバニカ米|자바니카 쌀일본어)는 현재 열대 자포니카로 분류된다.

벼의 품종은 크게 아프리카 벼(''Oryza glaberrima'')와 아시아 벼(''O. sativa'')로 나뉘며, 아시아 벼에는 다시 인디카(''O. sativa'' subsp. ''indica'')와 자포니카(''O. sativa'' subsp. ''japonica'') 두 아종이 있다.

자포니카와 인디카는 7000년 이상 전에 분리되어 야생 벼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했다. 흔히 낟알 모양으로 구분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자포니카 품종 안에도 장립종과 단립종이 모두 존재한다.

3. 1. 온대 자포니카

온대 자포니카는 동아시아(중국, 일본, 한국, 베트남)에서 재배된다.[6] 열대 자포니카는 인도네시아, 마다가스카르에서 재배되며, 노예 무역과 함께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해졌다.[6]

자포니카 쌀은 '온대 자포니카', '열대 자포니카'(구식 명칭: '자바니카'), '향미'의 세 가지 하위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4][5] 쌀의 재배종에는 아프리카 벼 (''Oryza glaberrima'')와 아시아 벼 (''O. sativa'')가 있으며, 아시아 벼에는 인디카 (''O. sativa'' subsp. ''indica'') 및 자포니카 (''O. sativa'' subsp. ''japonica'')의 2종류의 아종이 포함된다. 이들과는 별개의 아종으로 취급되기도 했던 자바니카는 현재 자포니카의 변이형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자바니카를 열대 자포니카, 좁은 의미의 자포니카를 온대 자포니카로 호칭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자포니카와 인디카의 계통상의 분기는 재배화 이전의 7000년 이상 전으로 추정되며, 각각 독자적으로 야생 벼에서 재배화되었다고 여겨진다. 인디카는 일년생 야생 벼에서 재배화되었다는 설도 있다.

인디카와 자포니카는 벼알의 낟알 모양에 따라 구분된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자포니카 종에는 장립종과 단립종이 혼재되어 있으며, 단립종을 자포니카로 하는 기존의 인식은 반드시 옳다고 할 수 없다.

3. 2. 열대 자포니카 (자바니카)

열대 자포니카는 ジャバニカ米일본어라고도 불렸으며, 인도네시아, 마다가스카르에서 재배되며, 노예 무역과 함께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해졌다.[6] 과거에는 자바니카(Javanica)라고도 불렸으나 현재는 자포니카의 변이형으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자바니카를 열대 자포니카, 좁은 의미의 자포니카를 온대 자포니카로 부르기도 한다.

3. 3. 향미

자포니카 쌀 아종은 '온대 자포니카', '열대 자포니카'(구식 명칭: '자바니카', ジャバニカ米|자바니카 쌀일본어) 및 '향미'의 세 가지 하위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4][5]

4. 역사

쌀은 동아시아에서 자포니카 종과 인디카 종으로 분화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는 약 8,000~9,000년 전에 중국 양쯔강 계곡에서 쌀이 작물화되었다는 고고학적 증거와 약 4,000년 전에 인도 갠지스 지역에서 쌀이 작물화되었다는 고고학적 증거와 일치한다.[10]

한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에서 탄화된 1만 5천년 전 볍씨가 발견되었으나 학계에서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11][12][13][14]

4. 1. 기원

쌀은 동아시아에서 자포니카 종과 인디카 종으로 분화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는 약 8,000~9,000년 전에 중국 양쯔강 계곡에서 쌀이 작물화되었다는 고고학적 증거와 약 4,000년 전에 인도 갠지스 지역에서 쌀이 작물화되었다는 고고학적 증거와 일치한다.[10]

한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에서 탄화된 1만 5천년 전 볍씨가 발견되었으나 학계에서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11][12][13][14]

4. 2. 전파

자포니카 쌀은 약 8,000~9,000년 전 중국 양쯔강 유역에서 처음 재배되기 시작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는 약 4,000년 전 인도의 갠지스강 지역에서 쌀이 재배되기 시작했다는 고고학적 증거와도 일치한다.[10]

한편, 한국의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에서는 1만 5천년 전의 탄화된 볍씨가 발견되기도 하였으나, 학계에서는 이 볍씨가 자포니카 쌀의 기원인지에 대해 여전히 논란이 있다.[11][12][13][14]

4. 3. 한국 쌀 농사의 역사

쌀은 동아시아에서 자포니카 종인디카 종으로 분화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이는 약 8,000~9,000년 전 중국 양쯔강 계곡에서 쌀이 작물화되었다는 고고학적 증거와 약 4,000년 전 인도 갠지스 지역에서 쌀이 작물화되었다는 고고학적 증거와 일치한다.[10]

한국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옥산면 소로리에서 탄화된 1만 5천년 전 볍씨가 발견되었으나, 학계에서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11][12][13][14]

5. 생산

자포니카 쌀은 북위 30도 이북 및 남위 30도 이남에서 주로 재배되며, 세계 쌀 생산량의 약 15% 미만을 차지한다.[9] 일본에서는 품종 개량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5. 1. 주요 생산 국가

중화인민공화국은 자포니카 쌀 세계 생산량과 수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에는 캘리포니아 지방에서만 자포니카 쌀이 생산된다.[15] 대한민국, 일본, 중화민국 등은 MMA(최소시장접근) 조치에 의해 자포니카 쌀 생산국으로부터 의무적으로 일정량 이상을 매년 수입해야 한다.[15]

2002년 주요 국가별 자포니카 쌀 생산, 무역 현황은 다음과 같다.[15]

국가생산량 (백만 톤)수출량 (백만 톤)수입량 (백만 톤)
중화인민공화국32.821.800.00
일본7.770.000.50
대한민국4.660.000.16
미국1.330.440.00
기타 수출국4.290.720.00
기타 수입국자료 없음자료 없음2.30



주요 수출국인 중화인민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은 자포니카 쌀 농업에 대한 국가 보조금이 거의 없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쌀 농업 수입의 50%에 달하는 보조금이 주어진다.[15]

자포니카는 일본형 벼라고도 불리며, 일본, 한반도, 중국의 회하 이북, 타이완, 베트남,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 미국 서부 해안, 이집트에서 재배되고 있다.[9] 이탈리아에서는 자포니카 쌀의 일종인 아르보리오 쌀이 재배되고 있다.[9]

5. 2. 수출입 현황

중화인민공화국이 세계 자포니카 쌀 생산량과 수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에는 캘리포니아 지방에서만 자포니카 쌀이 생산된다. 주요 수입국은 대한민국, 일본, 중화민국 등이며, 주요 수출국은 중화인민공화국,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이다.[15]

'''2002년 주요국 자포니카 쌀 생산, 무역 현황(단위 : 백만 톤)'''[15]

국가생산량수출량수입량
-- 중화인민공화국32.821.800.00
-- 일본7.770.000.50
-- 대한민국4.660.000.16
-- 미국1.330.440.00
기타 수출국4.290.720.00
기타 수입국자료 없음자료 없음2.30



대한민국, 일본, 중화민국 등은 MMA(최소시장접근) 조치에 의해 자포니카 쌀 생산국으로부터 의무적으로 일정량 이상을 매년 수입해야 한다. 주요 수출국의 경우 중화인민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은 자포니카 쌀 농업에 대한 국가 보조금이 거의 없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쌀 농업 수입의 50%에 달하는 보조금이 주어진다. 쌀 수출국과 수입국은 쌀 무역 진흥을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다. 대한민국은 MMA 방식으로 최소 수입을 하는 대가로, 2004년 WTO 협의에서 자포니카 쌀을 비롯한 쌀 시장 개방을 2014년까지 10년을 추가로 유예받았다. 대한민국 정부는 국내의 낮은 쌀 농업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인프라와 농업 보조금 등을 지원하였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총 농업 분야 진흥에 대한 정부 지출 총액은 15년간 130조에 이른다고 한다.

세계 쌀 생산량 약 5억 톤 중 자포니카 쌀은 15% 미만을 차지한다.

5. 3. 대한민국 쌀 시장 개방과 과제

대한민국, 일본, 중화민국 등은 MMA(최소시장접근) 조치에 의해 자포니카 쌀 생산국으로부터 의무적으로 일정량 이상을 매년 수입해야 한다. 주요 수출국인 중화인민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은 자포니카 쌀 농업에 대한 국가 보조금이 거의 없지만, 미국의 경우에는 쌀 농업 수입의 50%에 달하는 보조금이 주어진다.[15] 쌀 수출국과 수입국은 쌀 무역 진흥을 위한 협의를 진행 중이다. 한국은 2004년 WTO 협의에서 자포니카 쌀을 비롯한 쌀 시장 개방을 2014년까지 10년 추가 유예받았다(MMA 방식 최소 수입). 한국 정부는 국내의 낮은 쌀 농업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인프라와 농업 보조금 등을 지원하였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총 농업 분야 진흥에 대한 정부 지출 총액은 15년간 130조에 이른다고 한다.

6. 재배

자포니카 쌀은 인디카 쌀에 비해 냉해에 강하며, 습윤한 온대나 여름철에 비교적 고온이 되는 아한대에 적합하다. 단일 식물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개화기에 36℃ 전후의 고온에 노출되면 수분 장애를 일으키므로, 열대에서의 재배는 어렵다.[1]

6. 1. 재배 환경

인디카 쌀에 비해 냉해에 강하며, 습윤한 온대나 여름철에 비교적 고온이 되는 아한대에 적합하다. 일장 특성을 가진 전형적인 단일 식물로, 개화기에 극단적인 고온(36℃ 전후)에 노출되면 수분 장애를 일으키므로, 열대에서의 재배는 어렵다.

6. 2. 재배 방법

인디카 쌀에 비해 냉해가 적고, 냉랭한 기후에 비교적 강하다. 습윤한 온대나 여름철에 비교적 고온이 되는 아한대에 적합하다. 일장 특성을 가진 전형적인 단일 식물로, 개화기에 극단적인 고온(36℃ 전후)에 노출되면 수분 장애를 일으키므로, 열대에서의 재배는 어렵다.

7. 활용

자포니카 쌀은 둥근 모양으로 중립 또는 단립 형태이다. 쌀알의 주성분인 전분 중 아밀로스 함량이 인디카 쌀에 비해 낮고 아밀로펙틴 함량이 높아 밥을 지으면 부드럽고 윤기가 나며 찰기가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일본에서는 밥을 반찬과 별도로 먹는 식습관이 생겼다. 일본에서 쌀이라고 하면 보통 자포니카 쌀을 가리키며, 인디카 쌀은 태국 쌀이라고 불린다.

7. 1. 주요 음식

전분 중의 아밀로스 함량이 인디카 쌀에 비해 낮고 아밀로펙틴 함량이 높아 밥을 지으면 수분을 많이 함유하여 부드럽고 윤기가 난다. 독특한 탄력과 찰기는 인디카 쌀에는 없는 큰 특징이며, 잘 씹으면 단맛이 더해진다.

식어도 맛이 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주먹밥, 초밥, 도시락과 같은 일본의 쌀 문화 발전을 촉진했다.

7. 2. 기타 용도

자포니카 쌀은 밥을 지으면 수분을 많이 함유하여 부드럽고 윤기가 나며, 독특한 탄력과 찰기를 지닌다. 잘 씹으면 단맛이 더해진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일본에서는 밥을 반찬과 별도로 먹는 습관이 생겼다. 또한, 식어도 맛이 잘 변하지 않아 주먹밥, 초밥, 도시락과 같은 일본의 쌀 문화 발전을 촉진했다. 일본에서 단순히 쌀이라고 하면 자포니카 쌀을 가리키며, 인디카 쌀은 태국 쌀이라고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Origins and History of Rice in China, India/Pakistan and Africa https://www.thoughtc[...] 2020-08-02
[2] 웹사이트 Rice's origins point to China, genome researchers conclude https://source.wustl[...] Washington University in St. Louis 2011-05-02
[3] 간행물 Archaeological and genetic insights into the origins of domesticated rice 2014-04-29
[4] 웹사이트 javanica rice https://agclass.nal.[...]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2016-12-27
[5] 간행물 Genetic structure and diversity in ''Oryza sativa'' L.
[6] 서적 "「アメリカ50州」の秘密 “ レッカ社" 2009
[7] 웹사이트 Endless Variations on Rice http://www.koreana.o[...] Korea Foundation 2016-11-04
[8] 서적 Rice Genetics :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Rice Genetics Symposium 14-18 May 1990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1991
[9] 뉴스 稲作に忍び寄る文化摩擦 https://web.archive.[...] MSN 産経新聞ニュース 2010-08-22
[10] 웹사이트 Earliest origins of rice: South Korea vs. China? China vs. India? https://heritageofja[...]
[11] 웹사이트 World’s Oldest Rice https://factsanddeta[...]
[12] 웹사이트 15,000-year-old rice https://www.koreatim[...]
[13] 웹사이트 홀연히 나타난 1만5000년전 '청주 소로리 볍씨'의 정체 https://m.khan.co.kr[...]
[14] 웹사이트 세계 최고(最古)인 소로리(小魯里) 볍씨 http://www.gnmaeil.c[...]
[15] 웹인용 aglook.krei.re.kr http://aglook.krei.r[...] 2008-08-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