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각은 황제와 노자의 사상에 심취하여 태평도를 창시한 인물이다. 그는 스스로 대현량사라 칭하며 부적과 물로 병을 치료하고, 정치에 실망한 백성들을 모아 태평도 신자 수를 수십만 명으로 늘렸다. 184년, 장각은 동생 장보, 장량과 함께 황건적의 난을 일으켜 한나라에 반기를 들었으나, 관군에 패하여 광종현에서 병사했다. 그의 사후 황건적의 난은 진압되었고, 장각은 삼국지연의 등 다양한 매체에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나라의 반란자 - 유비 (오왕)
유비는 전한 고조 유방의 형 유희의 아들이자 영포 진압에 공을 세워 오왕에 봉해진 황족 제후왕으로, 구리와 소금 생산으로 부를 축적하고 세력을 키웠으나 오초칠국의 난을 일으켜 진압당하고 사망했다. - 한나라의 반란자 - 타인티엔
타인티엔은 1세기 후한 시대에 반란을 일으킨 베트남의 여성 영웅으로, 쯩 자매의 반란에 합류하여 공주로 책봉되어 합포군을 다스렸으나, 쯩 자매의 패배 후 낫득강에서 자결했다. - 한나라의 도교 신자 - 효문황후
효문황후 두씨는 전한 문제의 후궁으로 경제와 양 효왕을 낳고 경제 즉위 후 황후가 되었으며, 손자인 무제 즉위 후에는 태황태후로서 도가 사상을 숭상하며 정치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 한나라의 도교 신자 - 갈현
갈현은 후한 말에서 오나라 시대의 도사로, 유교 경전과 노장사상에 심취하여 좌자에게 도경을 전수받고 손권의 초빙을 거절한 채 산을 유람하며 수도 생활을 했으며, 북송과 남송 시대에 추존되어 각조종에서 조사로 여겨진다. - 184년 사망 - 장만성
장만성은 후한 말 황건적의 난 당시 장각의 명령으로 남양을 점령하고 태수 저공을 살해했으나, 진힐에게 패배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반란은 짧았지만 후한 왕조 몰락의 원인이 되었다. - 184년 사망 - 아달라 이사금
아달라 이사금은 신라의 제8대 왕이자 박씨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계립령과 죽령을 개통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백제와 긴장 관계를 유지했으며 왜와 평화로운 외교 관계를 맺었고, 연오랑 세오녀 설화와 왕위 계승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장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장각 |
본관 | 거록군 (현재의 허베이성) |
사망 | 184년 |
사망 장소 | 거록군 광종현 (현재의 허베이성 광종현) |
직업 | 군사 지도자, 반란 지도자 |
칭호 | 대현량사 (大賢良師) 천공장군 (天公將軍, 자칭) |
가족 | 장보 (형) 장량 (형) |
생애 | |
활동 시기 | 후한 말기 |
주요 활동 | 황건적의 난 주도 |
기타 정보 | |
별칭 | 태평도인 |
로마자 표기 | |
병음 | Zhāng Jué / Zhāng Jiǎo |
2. 태평도 창시
장각은 황제와 노자의 사상에 심취하여 도교 경전인 《태평청령서(太平淸領書)》 등을 공부하고, 스스로 '''대현량사'''라 칭하며 태평도를 창시했다. 그는 부적과 물로 병을 치료하는 등 백성들에게 신망을 얻었다.[2][3]
2. 1. 태평도의 확산
장각은 황제와 노자의 사상에 심취하여 도교 경전인 《태평청령서(太平淸領書)》 등을 공부하고, 스스로 '''대현량사'''(大賢良師)라 칭하며 자신의 가르침을 태평도(太平道)라 이름붙였다. 병든 이가 찾아오면 부적을 태운 물로 치료하고 잘못을 뉘우치면서 절하도록 했는데, 병이 낫는 경우가 생기자 장각의 명성이 점점 높아져 그를 신처럼 여기며 따르는 사람들이 늘어났다.[2][3]장각의 명성이 중국 북부지역에 널리 퍼지자 당시의 정치에 실망해 있던 백성들 중에서 태평도에 귀의하는 사람이 많아져 신도 수가 수십만에 달했다. 어떤 이는 가산을 처분하고 장각에게 오기도 했으며, 장각에게 병을 치료받으러 오다가 죽는 경우도 있었다.
2. 2. 조정의 대응
이윽고 장각의 명성이 중국 북부 지역에 널리 퍼지자 당시의 정치에 실망해 있던 백성들 중에서 태평도에 귀의하는 사람이 많아져 신도 수가 수십만에 달했다. 어떤 이는 가산을 처분하고 장각에게 오기도 했으며, 장각에게 병을 치료받으러 오다가 죽는 경우도 있었다. 사태를 심각하게 본 일부 신하들은 영제에게 상소를 올렸으나 이를 대수롭지 않게 본 영제는 별다른 손을 쓰지 않았다.3. 황건적의 난
蒼天已死 黃天當立 歲在甲子 天下大吉|창천이사 황천당립 세재갑자 천하대길중국어은 "푸른 하늘은 이미 죽었고, 누런 하늘이 곧 일어설 것이니, 때는 갑자년, 천하가 크게 길하리라"는 뜻으로, 장각이 황건적의 난을 일으킬 때 내세운 구호이다.[2] 장각은 이 구호를 통해 한나라가 망하고 새로운 세상이 올 것이라는 믿음을 백성들에게 심어주었다.
184년 10월, 황보숭은 장보가 이끄는 황건적에게 대승을 거두었는데, 그때 장각은 이미 병으로 죽어 있었다. 황보숭은 장각의 시체가 든 관을 부수고 부관참시하여 머리를 잘라 낙양으로 보냈다. 이후 황건적은 급속히 무너져 관군에게 진압당했으나, 각지에 남아 있던 잔당들은 수년 동안 저항을 계속하였다. 또한 한 왕실의 위상이 무너진 데다가 황건적 진압을 구실로 거병했던 제후들이 황건적의 뒤를 이어 각자 봉기하여 군웅할거 상태가 되었고, 이는 삼국시대가 도래하는 계기가 되었다.
3. 1. 거병과 초기 상황
大賢良師중국어라 칭하며 태평도의 신자를 모아 길렀다. 신자들에게 죄를 참회하게 하거나, 부적을 마시게 하여 병을 치유했기 때문에 사람들의 신봉을 받았다. 10여 년 만에 수십만 명의 신자를 8개의 주에서 얻게 되자, 신자를 36개의 "방"에 소속시키고 각 방에 거수를 두어 관할하게 했다.[2][3][4] 183년, 장각은 규모가 커진 태평도를 이끌어갈 36명을 방(方)에 임명하였는데, 지휘하는 신도 수가 만여 명 정도면 대방(大方), 6~7천 명이면 소방(小方)이라고 했다.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낙양의 성문과 주군의 관청에 분필로 "갑자"의 글자를 써서 반란을 호소했다.
광화 7년(184년)에 인신공양을 바쳐 하늘에 제사지내고, 일제히 봉기하여 주군의 관청을 불태우고, 장관을 살해하고, 촌락을 약탈했다. 184년 초에 장각의 제자 당주가 조정에 이 사실을 알리자, 마원의는 관군에게 붙잡혀 처형당했다. 장각은 계획을 바꾸어 전국의 방(方)들에게 명령을 내려 한꺼번에 봉기하게 하고 병사들의 머리에 노란 수건을 두르게 했는데, 이로 인해 장각의 무리가 황건적으로 불리게 되었다. 장각은 '''천공장군'''이라 칭하고, 그의 동생 장보(張寶중국어)는 "지공장군"(地公將軍중국어), 장량(張梁중국어)은 "인공장군"(人公將軍중국어)이었다.[5]
전국 각지에서 황건적들이 봉기하자 당황한 조정은 하진을 대장군으로 임명하고 노식, 황보숭, 주준에게 황건적을 토벌하게 하는 한편 당고의 금으로 인해 쫓겨났던 사람들을 사면하고 다시 조정으로 불러들였다. 처음에는 황건적이 우세했으나, 황보숭이 조조와 함께 장사(長社)에서 파재가 이끄는 수만 명의 황건적을 무찌른 후 관군에게 밀리게 되었다.
한편 장각 자신은 북중랑장(北中郞將) 노식에게 연달아 패하여 하북의 광종(廣宗)에서 관군에게 포위당했다. 그러나 노식이 조정에서 감찰 나온 좌풍(左豊)에게 뇌물을 주지 않아 벼슬에서 쫓겨난 덕에 위기를 넘겼다. 조정에서는 동탁을 노식의 후임으로 임명했으나, 동탁은 별다른 전과를 올리지 못하여 황보숭이 장각과 맞서게 되었다.
3. 2. 장각의 죽음과 난의 진압
183년, 장각은 규모가 커진 태평도를 이끌 36명을 방(方)에 임명하고, 황건적(黃巾賊)들을 지휘하게 했다.184년 초, 장각의 제자 당주(唐周)의 밀고로 거사 계획이 탄로나자, 장각은 전국에 명령을 내려 봉기하게 하고 병사들의 머리에 노란 수건을 두르게 했다. 이로 인해 장각의 무리는 황건적으로 불리게 되었다. 장각은 스스로 천공장군(天公將軍)이라 칭하고, 형제 장보(張寶)는 지공장군(地公將軍), 장량(張梁)은 인공장군(人公將軍)이 되었다.
전국에서 황건적이 봉기하자, 조정은 하진(何進)을 대장군으로 임명하고, 노식(盧植), 황보숭(皇甫嵩), 주준(朱儁)에게 황건적 토벌을 명했다. 처음에는 황건적이 우세했으나, 황보숭이 조조(曹操)와 함께 장사(長社)에서 황건적을 대파한 후 관군에게 밀리게 되었다.
장각은 북중랑장(北中郞將) 노식에게 연달아 패하여 하북의 광종(廣宗)에서 포위당했다. 그러나 노식이 좌천된 틈을 타 위기를 넘겼고, 후임으로 온 동탁(董卓)은 별다른 전과를 올리지 못했다.
184년 10월, 황보숭이 장보가 이끄는 황건적에게 대승을 거두었는데, 그때 장각은 이미 병으로 죽어 있었다.[7][5] 황보숭은 장각의 시체가 든 관을 부수고 부관참시하여 머리를 잘라 낙양으로 보냈다. 이후 황건적은 급속히 무너져 관군에게 진압당했으나, 각지에 남아 있던 잔당들은 수년 동안 저항을 계속하였다. 또한, 황건적 진압을 구실로 거병했던 제후들이 봉기하여 군웅할거 상태가 되었고, 이는 삼국시대가 도래하는 계기가 되었다.
4. 황건적의 난 이후
황건적의 난이 진압된 후에도 황건적 잔당들은 각지에서 봉기를 이어갔다.[12] 이들은 장각의 가르침과 유사한 농지 개혁 정책을 펼쳤으며, 일부는 군벌 조조의 군대에 흡수되기도 했다.[12] 북궁백옥, 한수, 장연, 장수 등 황건적 외의 반란군도 많이 봉기하여 후한 조정은 더 이상 이들을 통제할 수 없게 되었다. 이 사건으로 후한의 권위는 실추되었다.
결국 황건적을 흡수한 조조(후의 조위)와 손권(후의 오)·유비(후의 촉한) 세 세력이 정립하는 삼국 시대가 시작되었다.
5. 장각의 친족 관계
장보와 장량은 장각의 형제들이다.[5] 장보는 "지공장군"(地公將軍), 장량은 "인공장군"(人公將軍), 장각은 "천공장군"(天公將軍)으로 불렸으며, 이들은 함께 황건적의 난을 주도했다.[5]
6. 대중 매체에서의 장각
장각은 14세기 역사 소설 《삼국지연의》와 여러 게임에서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삼국지연의》에서는 황건적의 난을 일으킨 주동자로 묘사되며, 코에이의 ''진·삼국무쌍'', ''무쌍 오로치'' 시리즈와 캡콤의 ''천지를 먹다'' 등 다양한 게임에서 플레이 가능하거나 적으로 등장한다.[14]
6. 1. 삼국지연의
거록군 출신의 장각, 장보, 장량 삼 형제는 향시에 합격하지 못한 수재였다.[13] 어느 날, 장각은 약초를 캐러 산에 갔다가 남화노선을 만난다. 남화노선은 명아주 지팡이를 짚고 있었으며, 젊은 모습을 하고 있었다. 남화노선은 장각을 동굴로 불러 《태평경》이라 불리는 하늘에서 내려온 세 권의 책을 건네주며, "하늘을 대신하여 이 지식을 널리 퍼뜨려 모든 인류를 구원"하라는 사명을 부여한다. 또한, 만약 다른 생각을 품는다면 끔찍한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경고한다.[13] 이 책을 통해 장각은 바람과 비를 부르는 능력을 얻게 되고, '대평도사'로 불리게 된다.[13]중평 원년 정월(역사상의 중평 원년은 12월부터 시작하므로, 이 연월은 존재하지 않는다)에 역병이 발생하자, 장각은 부적을 이용해 사람들의 병을 치료하고, "대현량사"라 칭하며 세력을 넓힌다. 이후, 장각은 형제들과 함께 황건적의 난을 일으키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황보숭이 도착하기 전에 병사한다.[14] 그의 시신은 참수되었고 그의 머리는 낙양으로 보내졌다.[14]
6. 2. 기타 매체
코에이의 비디오 게임 시리즈인 ''진·삼국무쌍''과 ''무쌍 오로치''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하며, 캡콤의 NES용 게임인 ''천지를 먹다''에서는 적대 세력으로 등장한다.[14] 이 게임들에서는 "장교"로 불린다. 그는 또한 라이트 건 슈팅 게임 ''SEGA Golden Gun''의 적대 세력 중 하나로 등장한다.''토탈 워: 삼국''의 네 번째 DLC인 ''천명의 맹세''에서 장각과 그의 형제들은 쇠퇴하는 한나라를 전복하고 중국에 새로운 질서를 세우려는 플레이 가능한 황건적 세력을 이끈다.
액션 롤플레잉 게임 ''Wo Long: Fallen Dynasty''에서 장각과 그의 형제들은 개별적인 보스전으로 등장한다.
일본 모바일 가챠 게임 ''Fate/Grand Order''에서 장각은 플레이어가 전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환 가능한 캐릭터이다. 게임의 스토리에 따르면 장각은 51구역의 외계 생명체를 섬기는 마법 사용자이다.
7. 주요 황건적
정사에 등장하는 황건적 | 『삼국지연의』에만 등장하는 황건적 |
---|---|
참조
[1]
문서
Emperor Ling's biography
Book of the Later Han
[2]
웹사이트
Taiping jing
https://open.library[...]
2024-05-17
[3]
문서
Zizhi Tongjian
[4]
서적
Fire Over Luoyang: A History of the Later Han Dynasty 23-220 AD
Brill Publishers
2016-10-27
[5]
문서
Houhanshu
[6]
서적
The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From the Earliest Accounts to the Fall of Rome
W. W. Norton
[7]
문서
Emperor Ling's biography
Book of the Later Han
[8]
문서
Emperor Ling's biography
Book of the Later Han
[9]
문서
Houhanshu
[10]
문서
Emperor Ling's biography
Book of the Later Han
[11]
문서
Houhanshu
[12]
서적
The History of China
Rosen Publishing
[13]
문서
Three Kingdoms
[14]
서적
The Three Kingdoms
Tuttle
[15]
문서
Sanguo Yanyi
[16]
문서
三国志演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