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거리 달리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거리 달리기는 육상 경기에서 3,000미터 이상을 달리는 경주를 의미하며, 역사적으로 사냥, 정보 전달, 스포츠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인류는 신체적 특성을 통해 지구력 달리기에 적합하도록 진화했으며, 유산소 능력, 젖산 역치, 연료, 체온 조절, 고도 등이 경기력에 영향을 미친다. 장거리 달리기는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과도한 훈련은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육상 경기 외에도 트라이애슬론, 듀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어드벤처 레이싱 등 다양한 스포츠에서 장거리 달리기가 활용되며, 한국에서도 학교 체육 활동과 마라톤 대회를 통해 장려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거리달리기 - 마라톤
    마라톤은 기원전 490년 마라톤 전투에서 승전보를 전한 전령 이야기에서 유래되어 1896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42.195km 장거리 달리기 경주로, 남녀 경기로 나뉘어 세계 각지에서 개최되며 여성 참여는 20세기 후반에 확대되었다.
  • 장거리달리기 - 역전경주
    역전경주는 여러 주자가 타스키를 넘겨주며 달리는 릴레이 경주로, 일본에서 유래되었으며, 다양한 거리와 참가자 수로 진행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장거리 달리기
스포츠 정보
이름장거리 달리기
그림Morat-Fribourg 2009-2.jpg
경기 장소육상
개요
정의육상 경기 종목 중 하나
거리이상
특징지구력과 정신력이 요구됨
뇌, 근육, 인간 지구력 진화
종류3000미터
5000미터
10000미터
하프 마라톤
마라톤
역사
고대초기 인류의 지구력 달리기 능력
근대 올림픽1896년 아테네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 채택
유명 선수파보 누르미
기타
관련 정보제스처 연구
건강 효과하프 마라톤 건강 이점

2. 역사

=== 사냥 ===

현대 인류학적 관찰에 따르면, 칼라하리 사막산족,[6] 아메리카 원주민,[7] 호주 원주민 사이에서 장거리 달리기가 역사적인 사냥 방법이었다는 기록이 있다.[8] 이 방법에서 사냥꾼은 동물이 숨을 곳이 없는 지역에서 1시간에서 며칠 동안 느리고 꾸준한 속도로 달렸다. 질주하는 동물은 스스로를 식히기 위해 헐떡거리며 멈춰야 했지만, 추격전이 계속되면서 다시 뛰기 전에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탈진과 열로 쓰러지게 된다.[9] 150만 년 전 초기 인류가 더 많은 고기를 먹고 식물은 적게 먹었으며, 동물을 쫓아 사냥했다는 증거로 12세 나리오카토메 소년의 골격 구조가 제시되었다.[10][18]

=== 메신저 ===

농업과 문화가 발달하면서 장거리 달리기는 종교 의식, 군사 및 정치적 목적의 정보 전달, 스포츠 등 점점 더 많은 목적을 갖게 되었다.[9]

달리는 메신저는 초기 수메르에서도 보고되었으며, ''라시무''(lasimu)로 불렸다. 이들은 달려서 왕국 전체에 문서를 배포하는 군인이자 왕의 관리였다.[11][12] 고대 그리스는 "하루를 달리는 자"라는 의미의 ''헤메로드로모이''(hemerodromoi)라는 달리는 메신저로 유명했다.[13] 가장 유명한 달리는 메신저 중 한 명은 페이디피데스이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마라톤에서 아테네까지 달려 기원전 490년 마라톤 전투에서 고대 그리스페르시아를 상대로 승리했음을 알렸다. 그는 "우리가 이겼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후 쓰러져 죽었다.[14] 이 역사적 전설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15] 페이디피데스가 마라톤에서 아테네까지 달렸는지, 아니면 다른 도시들 사이를 달렸는지, 그 거리가 얼마나 되었는지, 그리고 그가 승리 메시지를 전달한 사람이 맞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16] 42.195km의 마라톤 달리기는 이 전설을 바탕으로 한다.

=== 스포츠 경기 ===

일반적인 장거리 육상 경주는 3,000미터에서 10,000미터까지이며, 크로스컨트리 경주는 보통 5~12km를 달린다.[17] 하계 올림픽에서는 3,000미터 장애물 경주, 5,000미터, 10,000미터, 마라톤의 네 가지 장거리 달리기 종목이 열린다.

2. 1. 사냥

현대 인류학적 관찰을 통해, 칼라하리 사막산족,[6] 아메리카 원주민,[7] 그리고 호주 원주민 사이에서 장거리 달리기가 역사적인 사냥 방법이었다는 기록이 있다.[8] 이 방법에서 사냥꾼은 동물이 숨을 곳이 없는 지역에서 1시간에서 며칠에 걸쳐 느리고 꾸준한 속도로 달렸다. 질주하는 동물은 스스로를 식히기 위해 헐떡거리며 멈춰야 했지만, 추격전이 계속되면서 다시 뛰기 전에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했고, 얼마 지나지 않아 탈진과 열로 쓰러지게 된다.[9] 150만 년 전 초기 인류가 더 많은 고기를 먹고 식물은 적게 먹었으며, 동물을 쫓아 사냥했다는 증거로 12세 나리오카토메 소년의 골격 구조가 제시되었다.[10][18]

2. 2. 메신저

농업과 문화의 발달과 함께 장거리 달리기는 종교 의식, 군사 및 정치적 목적의 정보 전달, 스포츠 등 점점 더 많은 목적을 갖게 되었다.[9]

달리는 메신저는 초기 수메르에서도 보고되었으며, ''라시무''(lasimu)로 불렸다. 이들은 달려서 왕국 전체에 문서를 배포하는 군인이자 왕의 관리였다.[11][12] 고대 그리스는 "하루를 달리는 자"라는 의미의 ''헤메로드로모이''(hemerodromoi)라는 달리는 메신저로 유명했다.[13] 가장 유명한 달리는 메신저 중 한 명은 페이디피데스이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마라톤에서 아테네까지 달려 기원전 490년 마라톤 전투에서 고대 그리스페르시아를 상대로 승리했음을 알렸다. 그는 "우리가 이겼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한 후 쓰러져 죽었다.[14] 이 역사적 전설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15] 페이디피데스가 마라톤에서 아테네까지 달렸는지, 아니면 다른 도시들 사이를 달렸는지, 그 거리가 얼마나 되었는지, 그리고 그가 승리 메시지를 전달한 사람이 맞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16] 42.195km의 마라톤 달리기는 이 전설을 바탕으로 한다.

2. 3. 스포츠 경기

일반적인 장거리 육상 경주는 3,000미터에서 10,000미터까지이며, 크로스컨트리 경주는 보통 5~12km를 달린다.[17] 하계 올림픽에서는 3,000미터 장애물 경주, 5,000미터, 10,000미터, 마라톤의 네 가지 장거리 달리기 종목이 열린다.

3. 생리학

사람은 모든 달리는 동물 중에서 최고의 장거리 주자로 여겨져 왔다. 사냥감은 단거리에서는 더 빠르지만, 인간보다 지구력이 떨어진다.[18] 다른 영장류와 달리, 인간의 신체는 네 발로 걷거나 나무를 오르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약 2-3백만 년 전에 이족보행과 달리기로 진화했다.[19]

인체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통해 장거리 달리기를 견딜 수 있다.


  • 뼈와 근육 구조: 뒷다리나 사지 앞에 질량 중심이 있는 사족보행 포유류와 달리, 인간을 포함한 이족보행 포유류는 질량 중심이 다리 바로 위에 있어, 다리와 골반에서 다른 뼈와 근육을 필요로 한다.[19]
  • 힘줄 길이 증가: 현존하는 사족보행 친척과 비교할 때, 인간은 더 길고 탄력있는 힘줄을 가지고 있어 평평한 지면에서 효율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20]


직립 보행과 달리기 사이의 한 가지 차이점은 이동 중 에너지 소비이다. 걷는 동안 인간은 달리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약 절반을 사용한다.[21]

장거리 달리기의 성공 요인에는 유산소 능력, 젖산 역치, 연료, 체온 조절, 고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특히 땀을 통한 체온 조절은 입이나 코를 통해 체온 조절을 하는 것보다 더 넓은 증발 표면과 호흡계 주기와 무관하다는 많은 장점을 제공한다. [18]

3. 1. 요인

장거리 달리기의 성공 요인은 여러 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 유산소 능력: 유산소 능력(최대 산소 섭취량, VO2Max)은 격렬한 운동 중 산소를 섭취하고 사용하는 능력이다. 장거리 달리기 선수는 최대 유산소 능력의 약 75-85% 수준으로 운동한다.[22] 이는 심박출량, 헤모글로빈, 혈관계 등에 영향을 받는다.[23] 엘리트 선수들은 큰 심장과 낮은 안정 시 심박수를 통해 높은 유산소 능력을 가진다. 심장이 커지면 1회 박출량이 증가한다.[22] 혈액 내 헤모글로빈 양과 혈액량 증가도 중요하다.[22][24] 폐 확산, 미토콘드리아 효소, 모세혈관 밀도도 영향을 미친다.[22]

  • 젖산 역치: 젖산 역치는 장거리 달리기 능력과 관련이 깊다. 젖산 역치 훈련은 근력과 속도를 향상시키는 템포 훈련을 포함한다.

  • 연료: 고강도 달리기를 위해서는 충분한 글리코겐 저장이 필요하다.[22] 선수들은 훈련과 경기 전 탄수화물 섭취를 통해 글리코겐 저장량을 늘린다.[22]

  • 체온 조절: 체온 조절은 마라톤 선수의 경기력과 건강에 중요하다. 체온 상승은 고온증을 유발할 수 있다. 땀을 통한 열 배출과 수분 보충이 필요하지만, 운동 중에는 위 배출이 비효율적이라 수분 보충이 어렵다.[22] 부분적인 수분 보충은 체온 과열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땀으로 인한 수분 손실을 완전히 보충할 수는 없다.[22]

  • 고도: 1980년대 후반부터 케냐, 모로코, 에티오피아 선수들이 국제 장거리 경주를 주도하고 있다.[28] 이들 국가의 높은 고도는 적혈구 증가를 통해 산소 공급을 늘려 경기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29] 성공적인 동아프리카 선수들은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 산악 지역 출신이다.[29] 고도 외에도 노력, 팀워크, 발전된 제도적 구조도 성공 요인이다.[30]

3. 1. 1. 유산소 능력

개인의 유산소 능력 또는 최대 산소 섭취량(VO2Max)은 격렬한 운동 중 산소를 최대한 섭취하고 소비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장거리 달리기 선수는 일반적으로 최대 유산소 능력의 약 75–85% 수준으로 수행한다.[22]

유산소 능력은 폐에서 혈액을 대량으로 운반하여 모든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능력에 달려있다. 이는 높은 심박출량, 충분한 양의 헤모글로빈, 최적의 혈관계를 갖는 것에 영향을 받는다.[23] 엘리트 장거리 달리기 선수들은 종종 더 큰 심장과 감소된 안정 시 심박수를 가지고 있어 더 높은 유산소 능력을 달성할 수 있다. 심장 크기가 증가하면 개인은 더 큰 1회 박출량을 달성할 수 있다.[22]

혈액이 운반할 수 있는 산소의 양은 경주 중 증가하는 혈액량과 혈액 내 헤모글로빈의 양에 달려있다.[22][24] 마라톤 선수의 유산소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생리적 요인으로는 폐 확산, 미토콘드리아 효소 활성, 모세 혈관 밀도가 있다.[22]

3. 1. 2. 젖산 역치

젖산 역치는 장거리 달리기 선수의 경기력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인다. 젖산 역치 훈련은 근력과 속도를 키우기 위한 템포 훈련을 포함한다.

3. 1. 3. 연료

마라톤과 같은 고강도 달리기를 지속하려면 충분한 글리코겐 저장량을 확보해야 한다.[22] 장거리 주자들은 훈련과 레이스를 준비하면서 탄수화물 로딩을 통해 글리코겐 저장량을 늘린다.[22]

3. 1. 4. 체온 조절 및 체액 손실

체온 유지는 마라톤 선수의 경기력과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체온이 상승하는 것을 막지 못하면 고온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체내 열을 낮추기 위해서는 신진대사로 생성된 열을 땀을 통해 몸 밖으로 배출해야 하며, 이를 위해 수분 보충이 필요하다. 수분 보충은 제한적이지만, 체내 온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강도의 운동 중에는 위 배출이 비효율적이어서 생리적으로 수분 보충이 어렵다. 부분적인 수분 보충은 마라톤 선수의 체온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땀 증발로 인한 수분 손실 속도를 따라잡을 수는 없다.[22] 환경 요인은 특히 열 조절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22]

3. 1. 5. 고도

1980년대 후반 이후 케냐, 모로코, 에티오피아 선수들이 주요 국제 장거리 경주를 석권했다.[28] 이들 국가의 높은 고도는 지구력 훈련과 결합되어 적혈구 증가를 유도, 동맥을 통한 산소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들 선수들이 더 큰 성공을 거두는 데 도움이 된다.[29] 성공적인 동아프리카 선수들 대다수는 그레이트 리프트 밸리를 따라 이어지는 세 개의 산악 지역 출신이다.[29] 고도가 기여 요인이 될 수 있지만, 굳은 노력, 팀워크 문화, 그리고 발전된 제도적 구조 또한 그들의 성공에 기여한다.[30]

4.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장거리 달리기는 일반적으로 뼈의 무기질 밀도를 증가시키고,[32]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등[33] 인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특정 지점을 넘어서면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주당 약 64.37km 이상 달리는 45~55세 남성은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감소하지만, 여전히 정상 범위 내에 있다.[34] 마라톤을 달리면 남성의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50% 감소하고 코르티솔 수치가 24시간 동안 두 배 이상 증가한다.[35] 낮은 테스토스테론은 스포츠에 대한 생리적 적응으로 여겨지는데, 과도한 근육이 낮은 테스토스테론을 통해 제거되어 더 효율적인 러너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베테랑이자 평생 지구력 운동선수는 대조군보다 심장 흉터가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지만, 인과 관계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이 연결 고리를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반복 연구와 더 큰 규모의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36] 일부 연구에서는 주당 약 32.19km 이상 달리는 것이 비러너보다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낮추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37]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운동량을 증가시킬수록 수명이 연장된다는 대규모 연구 결과와 상반된다.[38]

엘리트 수준의 장거리 달리기는 비러너에 비해 노년기에 무릎 골관절염의 위험이 3~7배 더 높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39]

신발 깔창의 효과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 메모리폼 및 이와 유사한 신발 깔창은 편안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발 근육을 약화시킬 수 있다.[40] 특수 기능을 갖춘 운동화[41] 또는 미니멀리스트 디자인의 경우 그러한 기능이 없는 운동화는 부상을 예방하지 못한다. 오히려 편안한 신발과 표준적인 달리기 스타일이 더 안전하다.[43]

5. 스포츠 경기

많은 스포츠 활동, 특히 축구, 럭비 리그와 같은 구기 스포츠에서는 장시간 경기 동안 상당한 수준의 달리기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속적인 지구력 달리기는 경주 스포츠에서 주로 발견된다. 이러한 경주는 대부분 개인 스포츠이지만, 단체 스포츠 및 릴레이 경주 형태도 존재한다.

멀티스포츠 경주에는 지구력 달리기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국제 트라이애슬론 연맹이 정의한 트라이애슬론은 경주 유형에 따라 마라톤 거리(42.195킬로미터)까지의 달리기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46] 듀애슬론은 자전거 경주와 장거리 달리기를 결합한 스포츠이다.[47] 이전 근대 5종 경기는 3~4킬로미터 달리기를 포함했지만, 2008년 규칙 변경으로 달리기 구간이 각각 1킬로미터인 세 구간으로 나뉘었다.[48]

오리엔티어링, 로게이닝과 같은 항해 스포츠는 규칙과 지형에 따라 경기 중 지구력 달리기가 필요할 수 있다. 어드벤처 레이싱 또한 항해 기술과 지구력 달리기를 결합하기도 한다.[49]

5. 1. 육상 경기

2012년 하계 올림픽 남자 10,000m 결승에서 코너를 도는 선수들


장거리 육상 트랙 경기는 육상 경기장에서 진행되며, 타원형 트랙은 선수들이 좁은 구역에서 장거리를 달릴 수 있도록 해준다.[44] 초기 트랙은 평평한 흙으로 만들어지거나 풀밭에 표시된 구역이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트랙은 400m로 표준화되었고, 1960년대 중반부터는 탄광 트랙이 아스팔트와 고무로 만들어진 합성 전천후 육상 트랙으로 대체되었다.

1912년 스톡홀름 올림픽에서는 표준 장거리 트랙 경기인 5000m와 10,000m가 도입되었다.[44]

경기 종목설명남자 세계 기록여자 세계 기록
3000m 장애물 경주장애물을 넘고 물웅덩이를 건너는 경주로, 장거리 달리기 경주이자 허들 경기로도 여겨진다. 장애물 높이는 남자 914mm, 여자 762mm이다.7:53.63 (2004년 9월 3일, 사에프 사이드 샤힌, 벨기에 브뤼셀)8:44.32 (2018년 7월 20일, 베아트리체 쳅코에치, 모나코)
5000m전술과 유산소 능력이 중요한 경기로, 초보 주자들도 많이 참가한다. 훈련은 다양하지만, 일주일에 60km 에서 200km를 달릴 수 있다.12:35.36 (2020년 8월 14일, 조슈아 쳅테게이, 모나코, 평균 23.83km/h)14:00.21 (2023년 9월 17일, 구다프 체게이, 미국 오리건, 평균 21.43km/h)
10,000m가장 긴 표준 트랙 경기로, 선수들은 도로 달리기 및 크로스컨트리 달리기에도 출전한다.26:11.00 (2020년 10월 7일, 조슈아 쳅테게이, 스페인 발렌시아, 22.915km/h)29:01.03 (2021년 6월 8일, 레테센베트 기데이)
1시간 달리기지구력 경주로, 세계 기록 경신을 위해 주로 치러진다.colspan="2" |
20,000m거의 치러지지 않으며, 대부분의 세계 기록은 1시간 달리기 경주 중에 세워졌다.colspan="2" |


5. 2. 도로 달리기

장거리 로드 레이스 경기는 주로 노면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도로에서 진행되지만, 주요 행사는 종종 주 경기장의 트랙에서 마무리된다.[50] 흔한 레크리에이션 스포츠일 뿐만 아니라, 특히 마라톤과 같은 엘리트 수준의 스포츠는 육상의 가장 인기 있는 측면 중 하나이다. 로드 레이스 경기는 사실상 모든 거리가 가능하지만 가장 일반적이고 잘 알려진 경기는 마라톤, 하프 마라톤, 10km 달리기이다.

로드 레이스 스포츠는 18세기경 풋맨(귀족의 마차 옆에서 달리던 남성 하인)들의 활동에서 비롯되었으며, 주인들을 위해 거리를 달려 심부름을 하기도 했다. 달리기 시합 경기는 귀족들 사이의 도박에서 진화했는데, 승자를 결정하기 위해 풋맨을 다른 귀족의 풋맨과 대결시켰다. 풋맨은 운동 능력만으로 고용되어 도박 행사를 위한 훈련에 전념하면서 스포츠는 프로 스포츠가 되었다. 19세기 후반의 아마추어 스포츠 운동은 프로, 도박 모델을 기반으로 한 경기를 소외시켰다. 1896년 하계 올림픽은 현대 마라톤의 탄생을 알렸고, 이 경기는 1897년에 처음 개최된 보스턴 마라톤, 비와호 마라톤과 후쿠오카 마라톤과 같은 연례 공공 행사(1940년대에 설립)를 통해 로드 레이스 대회의 성장을 이끌었다. 1970년대 미국의 러닝 붐은 로드 레이스를 흔한 오락으로 만들었고, 엘리트 수준에서 인기를 높였다.[50]

마라톤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하계 올림픽에 출전하는 유일한 로드 레이스 경기이지만, 2년마다 세계 육상 하프 마라톤 선수권 대회도 개최된다. 마라톤은 또한 세계 장애인 육상 선수권 대회와 하계 패럴림픽에 출전하는 유일한 로드 레이스 경기이다. 월드 마라톤 메이저스 시리즈에는 엘리트 수준에서 가장 권위 있는 6개의 마라톤 대회인 베를린, 보스턴, 시카고, 런던, 도쿄, 뉴욕 시티 마라톤이 포함된다. 도쿄 마라톤은 가장 최근인 2012년에 월드 마라톤 메이저스에 추가되었다.[51]

일본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흔하게 열리는 에키덴 경기는 일반적으로 개인 스포츠인 로드 레이스와는 대조적으로 마라톤의 릴레이 경주 변형이다.

5. 3.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크로스컨트리 달리기는 육상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형태의 장거리 달리기로, 경기는 잔디, 길, 또는 산과 같은 야외 코스에서 진행된다.[52] 트랙 및 도로 경주와 달리, 크로스컨트리는 일반적으로 진흙탕 구간, 통나무, 흙더미와 같은 장애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날씨는 경주 조건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크로스컨트리는 개인 스포츠이자 팀 스포츠이며, 선수들은 개인 기준으로 평가되고 팀에는 점수 계산 방식이 사용된다. 경기는 일반적으로 4km 이상의 거리로, 보통 가을과 겨울에 열린다. 크로스컨트리에서 가장 성공적인 선수들은 장거리 트랙 및 도로 경기에 출전하기도 한다.

2012 유럽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에서 눈 위를 달리는 여성 선수들


이 스포츠의 역사는 선두 주자가 따라갈 종이 조각을 남기면서 달리는 선수들이 장거리를 달리는 페이퍼 체이스 또는 '토끼와 사냥개' 게임과 연관되어 있다. 1838년 영국에서 열린 크릭 런은 최초로 기록된 조직적인 크로스컨트리 경기의 사례이다. 이 스포츠는 19세기에 영국과 미국 학교에서 인기를 얻었고, 1903년 최초의 국제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가 창설되면서 정점에 달했다.[52] 연례 세계 육상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는 1973년에 시작되었으며, 이는 이 스포츠의 최고 수준의 대회로 남아 있다. 아프리카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 아시아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 유럽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 오세아니아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 아메리카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 및 남아메리카 크로스컨트리 선수권 대회에서 선수권 대회가 열리는 등 여러 대륙별 크로스컨트리 대회가 개최된다. 이 스포츠는 특히 영국과 미국에서 학교 수준에서 그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프로 수준에서는 최고의 대회가 세계 육상 크로스컨트리 투어라는 이름으로 열린다.

크로스컨트리 경기는 더 이상 올림픽에서 열리지 않지만, 1912년부터 1924년까지 육상 프로그램에 포함되었으며, 1912년 하계 올림픽부터 근대 5종 경기의 종목 중 하나로 존재해 왔다.

펠 러닝, 트레일 러닝 및 산악 달리기는 모두 코스에 상당한 오르막 및/또는 내리막 구간을 추가적인 도전 과제로 포함하는 전통적인 크로스컨트리의 변형으로 간주될 수 있다.

5. 4. 기타 장거리 달리기

페르 달리기, 트레일 러닝, 산악 달리기와 같이 코스에 상당한 경사나 고도 변화를 넣어 거리의 도전을 결합한 덜 대중적인 형태도 있다.[44][45]

어드벤처 러닝은 자연 환경에서 장거리를 달리는 모든 형태를 통틀어 이르는 말로, 달리는 표면과 관계없이 사용된다. 여기에는 강 건너기, 암벽 등반, 눈, 극도로 높거나 낮은 온도, 고도가 높은 지역이 포함될 수 있다. 경쟁 형태와 비경쟁 형태가 모두 있으며, 비경쟁 형태는 개인적인 레크리에이션이나 사회적 경험을 위해 이루어진다. 코스는 경치가 좋은 장소에 설정되며, 참가자들에게 성취감을 주기 위해 설계된 장애물을 특징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어드벤처 레이싱의 달리기 구간과 유사하다.

육상 경기 외에도 다일 레이스, 울트라마라톤, 극한 조건에서의 장거리 레이스, 수백 또는 수천 마일을 달리는 경주 등 장거리 달리기에 대한 여러 행사, 기록, 업적이 존재한다.

이 외에도 정기적인 행사보다는 대륙 횡단이나 순회와 같이 독특한 성격의 달리기 목표를 달성한 개인에 대한 기록과 독립적인 업적이 있다. ''(미국, 호주)'' 또는 세계 일주 달리기 등을 참고할 수 있다.

6. 한국의 장거리 달리기

한국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지구력 향상을 위한 장거리 달리기 또는 마라톤 대회가 자주 개최된다. 많은 학교에서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내한 훈련'으로 실시하며, 학생들은 대회 전 연습을 통해 체력을 단련한다. 학교에 따라서는 운동회(체육제)에서 실시하는 곳이나, 학기마다 실시하는 곳도 있다.

일부 학교에서는 장거리 달리기 대회 대신 강보 대회를 개최하기도 한다. 대한육상연맹은 국내 육상 경기를 주관하며, 각종 장거리 달리기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최근에는 일반인들의 마라톤 참여가 증가하면서, 서울 국제 마라톤, 춘천 마라톤, 조선일보 춘천마라톤, JTBC 서울 마라톤 등 다양한 마라톤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50 stunning Olympic moments No31: Paavo Nurmi wins 5,000m in 1924 http://www.theguardi[...] 2012-05-18
[2] 간행물 Brains, Brawn, and the Evolution of Human Endurance Running Capabilities https://link.springe[...] Springer Netherlands 2024-11-01
[3] 웹사이트 What Are the Health Benefits of Running Half Marathons? http://www.runnersgo[...] 2017-03-01
[4] 문서 Running in Hopi History and Culture http://www8.nau.edu/[...] Hopi Cultural Preservation Office/Northern Arizona University 2013-04-11
[5] 웹사이트 The ecology of servitude in Tarahumara ritual tesgüinada http://gesturestudie[...] International Society for Gesture Studies 2013-04-11
[6] 서적 Kalahari Hill and Wang 1960
[7] 문서 "The Tarahumara, an Indian tribe of northern Mexico." 1935
[8] 서적 Ancient hunters and their modern representatives Macmillan 1924
[9] 서적 Running through the Ages McFarland 2001
[10] 문서 Nariokotome Homo Erectus Skeleton 1993
[11] 문서 The Assyrian Dictionary L The Oriental Institute 1973
[12] 문서 Running Phenomena in Ancient Sumer 1995
[1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24hr race http://www.ultralege[...] 2013-08-13
[14] 학술지 The Campaign and the Battle of Marathon
[15] 웹사이트 Olympic Marathon: A Centennial History of the Games' Most Storied Race http://www.marathong[...] 1997
[16] 문서 The" Hemerodromoi": Ultra Long-Distance Running in Antiquity 1974
[17] 웹사이트 Should you think about running in college? – Running Writings https://runningwriti[...]
[18] 학술지 The energetic paradox of human running and hominid evolution 1984
[19] 학술지 Evolution of human walking 1988
[20] 학술지 Endurance running and the evolution of Homo https://www.nature.c[...] 2004-11
[21] 학술지 Energy cost of running
[22] 서적 Marathon Running: Physiology, Psychology, Nutrition and Training Aspects Springer 2016
[23] 학술지 Control of muscle blood flow during exercise: local factors and integrative mechanisms. 2010-08
[24] 학술지 Red blood cells in sports: effects of exercise and training on oxygen supply by red blood cells 2013-11-12
[25] 뉴스 Lactate Threshold: What It Is And How Do You Leverage It In Training? http://running.compe[...] 2018-05-22
[26] 뉴스 Benefits of Lactate Threshold Training for Distance Runners https://minneapolisr[...] 2018-05-22
[27] 학술지 Lactate threshold concepts: how valid are they?
[28] 서적 Exercise Genomics 2011
[29] 뉴스 Why Are Kenya And Ethiopia So Good at Long-Distance Running? https://mpora.com/ru[...] 2018-05-22
[30] 웹사이트 Why Ethiopia's running success is about more than poverty and altitude http://www.theguardi[...] 2022-12-23
[31] 서적 The Long Distance Runner's Guide to Injury Prevention and Treatment Skyhorse Publishing 2017
[32] 학술지 Running exercise for short duration increases bone mineral density of loaded long bones in young growing rats 2009-10
[33] 학술지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the traditional lipid profile and beyond 2014-07
[34] 학술지 Bone mineral density and serum testosterone in chronically trained, high mileage 40–55-year-old male runners 2000-08
[35] 학술지 Divergent responses of serum testosterone and cortisol in athlete men after a marathon race 2006-12
[36] 논문 Diverse patterns of myocardial fibrosis in lifelong, veteran endurance athletes 2011-02-17
[37] 웹사이트 OASIS http://www.abstracts[...] 2017-06-14
[38] 논문 Minimum amount of physical activity for reduced mortality and extended life expectancy: a prospective cohort study 2011-10-01
[39] 논문 Is Participation in Certain Sports Associated With Knee Osteoarthritis? A Systematic Review 2017-06
[40] 간행물 A Guide to Running Shoe Inserts https://www.runnersw[...] 2014-06-09
[41] 뉴스 Expensive running shoes don't prevent injuries, but comfortable ones might http://theconversati[...] The Conversation (website) 2018-04-14
[42] 논문 RCT of traditional running shoes vs minimalist running shoes https://www.runresea[...] 2018-04-14
[43] 웹사이트 The evidence-based solution for choosing running shoes http://evidencebased[...] 2018-04-14
[44] 웹사이트 60-Second Guide: Fell Running http://www.runnerswo[...] 2008-03-25
[45] 웹사이트 The only way is up http://www.theguardi[...] 2023-01-04
[46] 웹사이트 Getting Started in Triathlon http://www.triathlon[...] International Triathlon Union 2012-12-28
[47] 웹사이트 About Duathlon http://www.usatriath[...] USA Triathlon
[48] 뉴스 Modern Pentathlon Gets a Little Less Penta https://www.nytimes.[...] 2023-01-04
[49] 웹사이트 Adventure Racing Basics http://www.adventure[...] Adventure Sports Online
[50] 웹사이트 Road running – Introduction http://www.iaaf.org/[...] IAAF 2010-05-27
[51] 뉴스 Tokyo Will Be Added as Sixth Major Marathon https://www.nytimes.[...] 2017-03-01
[52] 웹사이트 Cross country – Introduction http://www.iaaf.org/[...] IAAF 2010-05-27
[53] 웹사이트 Results https://www.dontgetl[...] 2023-01-04
[54] 웹사이트 Answering The Call To Adventure Racing https://www.womensru[...] 2023-01-04
[55] 서적 中・高校生の中長距離走トレーニング 大修館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