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연은 형주 의양군 출신으로, 유비의 익주 공략에 참여하여 공을 세우고 한중을 수비하는 중책을 맡았으나, 제갈량 사후 양의와 갈등을 겪다 마대에게 죽임을 당한 촉나라의 장군이다. 유비에게 발탁되어 한중 태수를 역임하며 중문지계를 통해 한중 방어에 기여했으나, 제갈량의 북벌에서는 자오곡 계책을 제안했으나 채택되지 못했다. 그는 용맹하고 군사를 잘 다루었지만, 오만하고 불손한 성격으로 인해 양의와 불화했으며, 제갈량 사후 양의와 반목하여 결국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위연은 군사적 재능을 인정받았지만, 성격적인 결함으로 인해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며,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배신의 상징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촉한의 정후 - 관흥
    관흥은 삼국시대 촉한의 장수로 관우의 아들이며, 아버지 사후 한수정후 작위를 계승하고 제갈량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시중·중감군에 임명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한 인물이다.
  • 촉한의 정후 - 장완
    장완은 삼국시대 촉한의 정치가로, 유비의 입촉을 수행하고 제갈량의 천거로 중용되어 그의 후계자가 되었으며, 제갈량 사후 촉한의 국정을 총괄하며 조정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다.
  • 234년 사망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234년 사망 - 구수왕
    구수왕은 백제의 제6대 국왕으로 재위 기간 동안 말갈, 신라와의 전쟁에서 주로 패배하고 가뭄과 기근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며, 사반왕을 아들로 두었으나 비류왕과의 관계는 학계에서 논쟁이 되고 있고, 그의 치세는 백제 초기 왕권 경쟁의 불안정성을 보여주는 시기로 평가된다.
  • 난양시 출신 - 창완취안
    창완취안은 중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인민해방군 입대 후 총장비부 부장, 국무위원 겸 국방부 부장을 역임하고 상장 계급을 받았으며,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 난양시 출신 - 융무제
    융무제는 남명의 두 번째 황제로, 홍광제 사후 옹립되어 명나라 부흥을 시도했으나 청나라에 의해 포로로 잡혀 사망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위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청나라 시대의 위연 삽화
청나라 시대의 위연 삽화
이름위연
로마자 표기Wi Yeon
문장
생년미상
출생지허난성 난양시
사망년도234년
사망지쓰촨성
작위남정후
주요 활동서촉 공방전, 제갈량의 북벌
관직
아문장군아문장군
진원장군 겸 한중태수진원장군 겸 한중태수 (대리)
진북장군진북장군
승상사마 겸 양주자사승상사마 겸 양주자사 (명목상)
정서대장군정서대장군
전군사전군사
양주자사 (명목상)양주자사 (명목상)
한중태수 (대리)한중태수 (대리)
군사 경력
소속 세력유비유선
주요 전투서촉 공방전, 제갈량의 북벌
적대 세력양의
가족 관계
자녀최소 1명의 아들

2. 생애

위연은 의양군(義陽郡) 출신으로, 현재 허난성 남부의 난양시 일부와 후베이성 북부 지역을 포함한다.[2] 그는 군벌 유비 휘하의 보병으로 경력을 시작했는데, 아마도 유비가 남부 형주 (현재 후베이성과 후난성을 포함)에 있던 209년에서 211년 사이일 것이다.[2] 212년경, 유비를 따라 익주 (현재 쓰촨성충칭시를 포함)로 들어가 유비의 익주 점령전에 참전하여 유장과 싸웠다. 이때 위연은 유비의 개인 호위병으로 복무했다.[2] 황충과 위연은 광한현 점령 과정에서 많은 군사적 공을 세웠고, 이로 인해 위연은 정식 장군으로 승진했다.[2]

익주 전투는 고패와 양회의 신속한 죽음과 요새 점령으로 초기에 성공을 거두었으며, 이후 부현에서 유장의 증원군을 격파했다. 방통은 낙성 포위 중에 사망했고 포위는 장기화되었다. 1년 후, 위연과 유비는 마침내 낙성을 점령했고, 제갈량, 장비 등과 함께 성도를 포위 점령했다.[2] 유비는 익주 정복에 공을 세운 위연을 아문장군(牙門將軍)으로 승진시켰다.[4]

220년 동한 왕조가 멸망하고 삼국 시대가 시작된 후, 221년 유비는 스스로 황제를 칭하고 촉한을 건국하여 조위의 정통성에 도전했다.[8] 유비는 즉위 후 위연을 진북장군(鎮北將軍)으로 승진시켰다.[8] 223년, 유비 사후 그의 아들 유선이 촉나라 황제로 즉위하면서 위연을 도정후(都亭侯)에 봉했다.[9]

위연은 병사들을 잘 대하고 용맹했으나, 자신의 재능을 자랑스러워해 동료들이 그를 피하는 경향이 있었다.[28] 손권 또한 제갈량 사후 위연이 믿을 수 없는 사람이 될 것이라고 언급한 적이 있다.[29] 진수삼국지 위연전에서 그의 죽음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 위연의 초기 의도는 북쪽으로 가서 조위에 항복하는 것이 아니었다. 대신 그는 남쪽으로 후퇴하고 싶어했다. 그는 자신에게 동의하지 않는 양의 등을 죽이고 싶어했다. 장수들은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는 그들이 일반적으로 자신이 제갈량의 후계자가 되는 것에 동의할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그것이 그의 진정한 의도였고, 그는 반란을 생각하고 있지 않았다.[30][31]

진수는 또한 제갈량이 위연의 용맹함을 높이 평가했으며, 재능을 인정했던 양의와 위연이 갈등을 겪자 딜레마에 빠졌다고 언급했다.[32] 유환의 역사서 위략에는 제갈량이 위연에게 방어선을 구축하라고 말했지만, "여기 돌아오지 말라"는 추가 지시도 내렸다는 내용이 있다.[33] 위연은 이 명령을 자신만 알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양의가 위연이 적에게 투항하려 한다는 거짓 소문을 퍼뜨려 촉군이 위연에게 등을 돌리게 되었다.[33] 배송지는 삼국지 주해에 위략의 내용을 추가하면서도, 이 설명이 적국(조위)에서 들은 소문에서 파생되었으며 진수의 원본 설명보다 신뢰할 수 없을 수 있다고 의문을 제기했다.[34]

상하이 대학교 역사 교수 주자이옌은 "위연의 억울함"(魏延的千古奇冤중국어)에서 제갈량이 장완, 비의, 강유를 후계자로 직접 임명했지만, 위연의 임명과 기여는 당시 그들보다 더 컸다고 주장했다.[35] 그는 제갈량이 자신의 후계자에게 잠재적인 장애물이 될 수 있는 위연을 제거하기 위해 위연을 소외시키고 탄압했다고 분석했다.[35]

이중톈은 ''삼국지 분석''에서 제갈량이 강제로 후퇴하고 위연을 혼자 내버려두라는 마지막 명령이 그가 위연에게 개인적으로 지시한 내용과 모순된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모순은 간접적으로 위연과 양의 사이의 비극으로 이어졌다.[36] 제갈량 사후 강제 후퇴는 제갈량이 퇴각 계획을 세우기 전에 사망했으므로 제갈량보다는 양의의 생각일 수 있다. 이중톈은 양의가 명령을 조작했다는 이론에 대한 증거가 없다고 보았다.[36] 또한 제갈량의 마지막 명령 "위연을 혼자 내버려두라"는 단순히 "위연을 무시하라"는 의미이지 "위연을 죽여라"는 의미가 아니라는 가설을 제시했다. 촉군은 후퇴해야 했고, 위연을 막을 수 없었다면 그냥 내버려 두었어야 했다.[36] 이중톈은 제갈량의 원정과 그의 극도의 신중함 뒤에 숨겨진 정치경제적 이유를 위연이 파악하지 못한 점을 비판했다.[36] 제갈량은 한나라 부흥뿐만 아니라 촉을 전쟁 상태로 유지하여 내부 통제력을 강화하고 지역 엘리트들 사이의 잠재적인 반대를 억압하려 했다.[36]

가장 작고 약했던 촉은 먼저 표적이 될 것이므로, 상대방을 위협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선제 공격을 시작해야 했다. 성공 가능성은 높지 않았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는 나았을 것이다.[36] 한나라 부흥이라는 제갈량의 목표는 진심이었고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위는 너무 강력해서 한 번의 공격으로 격파할 수 없었으므로, 대담하고 위험한 공격보다는 신중한 방식으로 원정을 수행해야 했다.[36] 이러한 복잡한 상황을 위연에게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었고, 아마도 그럴 필요도 없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제갈량은 위연의 사기를 최고조로 유지하고 싶어했기 때문이다.[36]

위연이 한중태수로 재직할 때 설계한 "중문지계(重門之計)"는 후임자들이 침략자들을 격퇴하는 데 두 차례나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촉나라 장수 왕평이 위나라 장군 조상의 침공으로부터 한중을 방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40][41] 그러나 강유는 중문지계를 해체하고 자신의 설계를 선호했으나, 이는 종회의 침략을 막는 데 실패했고 강유는 한중의 지배권을 잃었다.[42][43]

쓰촨성 쯔퉁 현 산취안 향 바이췌 마을에 위연사(魏延祠)가 있다. 사당 앞에는 위가하(魏家河)가 흐르고, 강 동쪽 평원에는 한때 위가사묘(魏家河廟)가 있었는데, 그 앞에는 세 개의 석비가 있었다.[44] 석비 중 하나에는 "위연이 군사를 이끌고 이곳에 주둔했다"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44] 전설에 따르면, 231년 제4차 북벌 당시 제갈량은 위연에게 별동대를 이끌고 위가하 남쪽에 주둔하도록 명령했으며, 이 사건을 기념하기 위해 현지 주민들은 강가에 위가사묘와 "장군교"(將軍橋)라는 작은 다리를 건설했다.[44] 위연사는 처음에는 정부에 의해 철거되었지만 1995년에 재건되었으며, 사당 본당에 위연의 조각상이 있다.[44][45] 위연의 고향으로 추정되는 허난성 칭펑 현 가오바오 향 웨이가 마을에도 위연을 기리는 사당이 있다.[44]

2. 1. 유비의 입촉과 한중 태수 임명

유비익주공략할 때 부곡(部曲, 사병 집단)을 이끌고 종군하여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워 아문장군(牙門將軍)으로 승진했다.[62][4] 219년(건안 24년)[63] 유비가 한중왕에 즉위한 후, 한중을 수비할 장수를 임명하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장비가 임명될 것이라 예상했고 장비 또한 내심 자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유비는 위연을 진원장군(鎭遠將軍) 겸 한중태수에 임명하여 모두를 놀라게 했다.[51] 유비가 위연에게 중임을 맡은 포부를 묻자, 위연은 "조조가 천하의 군사를 이끌고 쳐들어온다면 대왕을 위해 막을 것이고, 휘하 장수가 10만 군사를 이끌고 오면 대왕을 위해 삼켜버릴 것"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냈다.[51]

2. 2. 제갈량의 북벌 참여와 양의와의 갈등

227년 제갈량이 한중에서 북벌을 준비하면서 위연을 독전부(督前部)로 삼고 승상사마 겸 양주자사에 임명했다.[65] 위연은 장안을 수비하고 있는 하후무가 겁이 많고 무모하므로, 자신에게 정예병 오천과 식량을 운반할 병사 오천, 도합 만 명만 주면 자오곡을 통해 장안을 기습할 수 있다는 계책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는 매우 위험한 계획이었기에 제갈량은 채택하지 않았다.[65] 위연은 늘 제갈량을 겁쟁이라고 말하며 자신의 능력이 온전히 쓰이지 않는다고 불만을 표출하였다.

230년 강족이 있는 남안군으로 오의와 함께[66] 들어가 위나라 후장군 비요, 옹주자사 곽회를 양계(陽谿)에서 대파하였다. 이 공으로 전군사(前軍師)·정서대장군(征西―)·가절(假節)을 받고 남정후(南鄭侯)에 봉해졌다. 231년 제갈량이 다시 북진하여 사마의와 대치하였을 때, 싸움을 걸어온 사마의를 고상, 오반과 같이 맞서서 크게 무찔렀다.[67]

위연은 용맹하고 사졸을 잘 양성했지만, 오만하고 불손한 성격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과 자주 불화를 일으켰다. 특히 양의와는 사이가 매우 나빠, 제갈량이 둘 사이를 중재해야 할 정도였다.[22]

2. 3. 제갈량 사후의 비극적 최후

234년 제갈량의 마지막 북벌(오장원 전투)에서 위연은 선봉을 맡았다. 제갈량은 병이 위독해지자 양의, 비의, 강유에게 자신이 죽은 후 철군할 것을 명하며, 위연에게는 후방을 맡기되 따르지 않으면 버리고 가라고 지시했다.[25]

제갈량 사후, 위연은 양의가 군대를 이끌고 철수하려는 것에 반발했다. 그는 제갈량이 죽었음에도 전투를 계속하고 싶어 했기에, 철수 소식을 듣고 격분하여 촉군이 퇴각하는 것을 막으려 했다.[25] 위연은 양의의 지휘를 받는 주력 부대보다 먼저 남쪽으로 군대를 이끌고, 촉으로 돌아가는 길을 막기 위해 잔도를 파괴했다.[25]

위연과 양의는 각각 촉 황실에 상소를 올려 서로를 반역죄로 고발했고, 두 상소는 같은 날 성도에 도착했다.[25] 촉 황제 유선은 신하 동윤장완에게 의견을 물었고, 두 사람 모두 양의의 편을 들었고, 위연의 행동을 의심스러워했다.[25] 한편, 양의는 병사들에게 잔도를 다시 건설하도록 명하고, 병사들은 밤낮으로 행군하며 위연을 따라잡았다.[23]

위연은 먼저 남쪽 계곡에 도착하여 병사들에게 양의를 공격하라고 명령했다.[23] 양의는 왕평을 보내 위연에 맞서게 했다. 왕평은 위연에게 "승상(제갈량)께서 막 돌아가셨고 시신이 아직 식지도 않았는데, 감히 이런 짓을 하다니!"라고 외쳤고, 위연의 병사들은 자신들의 지휘관이 잘못했다고 생각하여 도망쳤다.[26]

위연은 아들들과 몇몇 추종자들만 남은 채 한중군으로 도망쳤으나, 마대에게 추격당해 참수되고 그 머리가 양의에게 보내졌다.[27] 양의는 위연의 머리를 짓밟으며 "네 이놈! 이제 와서 악행을 저지를 수 있겠느냐?"라고 조롱했고,[27] 위연의 삼족은 멸해졌다.[27]

배송지가 주석에 인용한 『위략』에는 다른 기록이 있다. 『위략』에 따르면, 제갈량은 병에 걸리자 위연에게 자신의 사후를 맡겼으나, 양의가 위연을 모함하여 살해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배송지는 이 기록을 "적국의 전문이며, 본전의 기술과 어느 쪽이 옳은지 논할 필요도 없다"고 평가했다.

3. 성품과 평가

위연은 병사들을 잘 대우하고 용맹함이 뛰어났지만, 자신의 재능을 과시하는 경향이 있어 동료들이 그를 피했다.[28] 손권제갈량 사후 위연이 믿을 수 없는 사람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29]

진수는 위연이 북쪽 조위에 항복하려는 것이 아니라 남쪽으로 후퇴하여 양의 등을 죽이고 제갈량의 후계자가 되려 했으며, 반란을 생각한 것은 아니었다고 분석했다.[30][31]

유환의 위략에는 제갈량이 위연에게 방어선 구축만 지시하고 "돌아오지 말라"는 추가 지시는 하지 않았다는 내용이 있다. 양의는 위연이 적에게 투항하려 한다는 거짓 소문을 퍼뜨려 위연의 몰락을 초래했다.[33] 배송지위략이 적국(조위)에서 들은 소문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의문을 표했다.[34]

상하이 대학교 주자이옌 교수는 "위연의 억울함" 논문에서, 제갈량이 장완, 비의, 강유를 후계자로 임명했지만 위연의 기여도가 더 컸으며, 제갈량이 자신의 후계자에게 장애물이 될 위연을 제거하려 소외시키고 탄압했다고 주장했다.[35]

이중톈은 ''삼국지 분석''에서 제갈량의 마지막 명령이 위연에게 개인적으로 지시한 내용과 모순된다고 지적하며, 이는 위연과 양의의 비극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제갈량의 "위연을 혼자 내버려두라"는 명령은 "위연을 무시하라"는 의미였을 수 있으며, 양의가 명령을 조작했다는 증거는 없다고 추측했다. 제갈량의 북벌에는 한나라 부흥 외에도 촉을 전쟁 상태로 유지하여 내부 통제력을 강화하고 지역 엘리트들의 반대를 억압하려는 정치경제적 이유가 있었는데, 위연은 이를 파악하지 못했다고 비판했다.[36]

위연의 자오곡 계책에 대해 위략장안 수비수 하후무가 무능하다고 판단한 위연이 자오곡을 통해 진령 산맥을 넘어 장안을 공격하는 계획을 세웠다고 기록했다.[37] 사마의는 이 계획을 인지했지만 하후무는 몰랐고,[38] 조예는 하후무를 장안 지휘관에서 해임했다.[36] 이중톈은 위연의 계획이 성공했을 수도 있지만, 곽회가 근처에 주둔하고 있어 위험했다고 분석했다.[36] 최근 학계에서는 위략이 편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유환이 위연과 제갈량의 갈등을 과장했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39]

3. 1. 긍정적 평가

위연은 사졸을 잘 양성했고 용맹이 남달랐다.[68] 양희는 위연이 굳세어서 어려움 속에서도 명을 받고 나아가 적을 물리치며 국경을 지켰다고 평가했다.[72] 진수는 위연이 용기와 지략으로 인해 임용되었다고 평하였다.[63]

위연은 병사들을 잘 대하고 다른 이들보다 용맹함과 용기를 보여준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28] 제갈량은 위연의 용맹함을 높이 평가했으며, 양의와 위연이 갈등을 겪자 딜레마에 빠졌다.[32]

3. 2. 부정적 평가

위연은 사졸을 잘 양성하고 용맹이 남달랐지만, 거만하고 건방진 성격으로 인해 다른 사람들의 기피 대상이었다.[68] 특히 양의와는 물과 불처럼 심각하게 다투었으며, 위연이 칼을 빼들고 양의가 눈물을 흘릴 정도였다.[69] 비의가 이 둘 사이를 중재하곤 했다.[69] 제갈량은 양의의 재주와 위연의 용맹을 모두 아껴 어느 한쪽도 내치지 못했다.[70]

손권은 양의와 위연을 목동이나 할 소인배들이라고 평가하며, 이들이 직임을 맡아 권세를 부리는 것이 제갈량 사후 나라에 재앙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71] 양희는 위연이 굳세어 어려움 속에서도 명을 받고 적을 물리치며 국경을 지켰지만, 협력하거나 화합하지 않고 의리를 저버려 결국 자신의 성품 때문에 미움을 받게 되었다고 평가했다.[72] 진수는 위연이 용기와 지략으로 임용되었으나, 유봉, 팽양, 요립, 이엄, 유염, 양의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성품과 처신 때문에 흉한 일을 당했다고 평가했다.[63]

진수는 위연의 죽음에 대해 "위연의 초기 의도는 북쪽으로 가서 조위에 항복하는 것이 아니었다. 대신 그는 남쪽으로 후퇴하고 싶어했다. 그는 자신에게 동의하지 않는 양의 등을 죽이고 싶어했다. 장수들은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지고 있었지만, 그는 그들이 일반적으로 자신이 제갈량의 후계자가 되는 것에 동의할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그것이 그의 진정한 의도였고, 그는 반란을 생각하고 있지 않았다."라고 분석했다.[30][31] 또한 진수는 제갈량이 위연의 용맹함을 높이 평가했으며, 재능을 인정했던 양의와 위연이 갈등을 겪자 딜레마에 빠졌다고 언급했다.[32]

4. 자오곡 계책 논란

위연은 제갈량의 북벌 당시 자오곡을 통해 장안을 기습하는 계책을 제안했으나, 제갈량은 위험성이 크다는 이유로 이를 채택하지 않았다.[65] 위연은 자신이 제안한 계책이 채택되지 않자 제갈량을 겁쟁이라 말하며 자신의 능력이 온전히 쓰이지 못한다고 불만을 토로하였다.[65]

위연의 주장에 따르면, 장안을 수비하는 하후무는 겁이 많고 무모하기 때문에 정예병 5천과 식량 운반병 5천, 도합 1만 명만 있으면 자오곡을 통해 10일 안에 장안에 도착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하후무는 자신이 기습하면 도망갈 것이고, 남은 관리들과 백성들의 식량으로 버티면서 제갈량의 주력 부대가 야곡(斜谷)을 통해 도착하면 함양 서쪽을 평정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65]

위연의 자오곡 계책은 성공 가능성과 위험성을 놓고 후대에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이중톈은 그의 저서 『삼국지 분석』에서 위연의 계획을 지지하는 측과 반대하는 측 모두 강력한 이유가 있다고 언급했다.[36] 위군은 촉군의 그러한 공격을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에 제1차 북벌에 대한 대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고, 따라서 제갈량과 위연의 공격은 위나라 방어에 막대한 타격을 가했을 수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위연의 계획은 또한 매우 위험했는데, 하후무의 퇴각이나 제갈량의 주력 부대의 적시 도착을 보장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위나라 장수 곽회가 근처에 주둔하고 있어 하후무를 도울 수 있었다.[36]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자오곡 계책에 대한 『위략』의 기록이 과장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유환이 위나라를 지지했기 때문에 편향된 기록을 남겼을 수 있다고 의심한다.[39]

5. 후대의 평가 및 유산

위연은 허난성 남부 난양시후베이성 북부 지역을 포함하는 의양군(義陽郡) 출신이다.[44] 그는 군벌 유비 휘하의 보병으로 경력을 시작하여, 유비의 익주 점령전에서 유비의 개인 호위병으로 유장과 전쟁을 벌였다.[44] 황충과 위연은 광한현 점령 과정에서 많은 군사적 공을 세웠고, 이로 인해 위연은 정식 장군으로 승진했다.[2] 낙성을 점령하고, 제갈량, 장비 등과 함께 성도를 포위 점령하여, 214년 여름경 유비는 유장으로부터 익주를 장악했다.[2] 위연은 익주 정복에 여러 공헌을 하여 유비로부터 아문장군(牙門將軍)으로 승진했다.[4]

위연의 군사적 유산 외에도 그를 기리는 사당이 여러 곳에 남아있다. 쓰촨성 쯔퉁 현 산취안 향 바이췌 마을에는 위연사(魏延祠)가 있고, 사당 앞에는 위가하(魏家河)가 흐른다. 강 동쪽 평원에는 한때 위가사묘(魏家河廟)와 "위연이 군사를 이끌고 이곳에 주둔했다"는 글귀가 새겨진 석비가 있었다.[44] 전설에 따르면, 231년 제4차 북벌 당시 제갈량은 위연에게 별동대를 이끌고 위가하 남쪽에 주둔하도록 명령했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현지 주민들은 강가에 위가사묘와 "장군교"(將軍橋)라는 작은 다리를 건설했다.[44] 위연사는 철거되었다가 1995년에 재건되었으며, 사당 본당에는 위연의 조각상이 있다.[44][45] 허난성 칭펑 현 가오바오 향 웨이가 마을에도 위연을 기리는 사당이 있다.[44]

5. 1. 군사적 유산

위연이 한중태수로 재직할 때 설계한 "중문지계(重門之計)"[40]는 이후 그의 후임자들이 침략자들을 격퇴하는 데 두 차례나 유용하게 사용되었고, 나라 장수 왕평이 위나라 장군 조상이 이끄는 대규모 침공으로부터 한중을 방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었다.[40][41] 그러나 촉나라 장수 강유는 나중에 중문지계를 해체하고 자신의 설계를 선호했는데,[42] 강유의 새로운 방어 전략은 종회가 이끄는 위나라 침략자들을 막는 데 실패했고, 강유 자신도 결국 한중의 지배권을 잃었다.[42][43]

5. 2. 사당 및 문화적 영향

쓰촨성 쯔퉁 현 산취안 향 바이췌 마을에는 위연사(魏延祠)가 있다. 사당 앞에는 위가하(魏家河)가 흐르며, 강 동쪽 평원에는 한때 위가사묘(魏家河廟)와 "위연이 군사를 이끌고 이곳에 주둔했다"는 글귀가 새겨진 석비가 있었다.[44] 전설에 따르면, 231년 제4차 북벌 당시 제갈량은 위연에게 별동대를 이끌고 위가하 남쪽에 주둔하도록 명령했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현지 주민들은 강가에 위가사묘와 "장군교"(將軍橋)라는 작은 다리를 건설했다.[44] 위연사는 철거되었다가 1995년에 재건되었으며, 사당 본당에는 위연의 조각상이 있다.[44][45] 허난성 칭펑 현 가오바오 향 웨이가 마을에도 위연을 기리는 사당이 있다.[44]

중국 연극에서 위연(맨 왼쪽)과 한현 (앉아 있는 모습)


위연은 나관중의 역사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소설에서는 가공의 장사 전투에서 위연이 상관인 한현을 죽이고 유비에게 항복하는 것으로 묘사된다.[46] 또한, 한중 전투에서 위연은 조조의 장수 방덕에게 패배하기도 한다.[47] 오장원 전투에서는 위연이 사마의와 그의 두 아들을 화공으로 유인하지만, 갑작스러운 폭우로 인해 실패하고 만다.

6.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삼국지연의》에서 위연은 형주 시절부터 등장한다. 유표 휘하에 있던 위연은 유종조조에게 항복하려 하자 반발하고 문빙과 싸운 후 장사 태수 한현에게 간다. 유비와의 전투 후 황충관우를 살려주었다는 이유로 한현이 황충을 죽이려 하자, 위연은 이에 분노하여 한현을 베고 유비에게 귀순한다.[46] 이때 제갈량은 위연에게 “반골의 상”이 있다며 중용하지 말 것을 유비에게 진언하지만, 유비는 위연을 받아들인다. 훗날 손권도 촉의 사신에게 위연이 용맹하나 반골의 상이라 평하며 훗날의 반란에 대한 복선이 된다.

익주 공략전에서 위연은 단독 행동으로 위기에 빠지지만 황충의 도움으로 살아남는다. 제갈량의 남만 정벌에서는 대장으로 종군하여 맹획의 남만군과 싸우며, 올돌골의 등갑군과의 전투에서 제갈량의 계략을 충실히 수행하여 승리에 기여한다.

북벌에서는 촉군의 주력으로 활약하며 가정 전투에서 패주하는 마속을 돕고, 위의 왕쌍을 죽이는 등 용맹을 떨친다. 그러나 제갈량의 신중한 전략에 불만을 품고 갈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호로곡 전투에서는 사마의를 유인하는 임무를 맡지만, 이는 제갈량이 위연을 제거하려는 계략이었다. 위연은 비 덕분에 살아남아 제갈량을 추궁하지만, 제갈량은 마대의 실수로 돌리고 위연을 강등시켜 불만을 무마시킨다.[61]

오장원 전투에서 제갈량은 자신의 수명을 늘리기 위한 기도를 하지만, 위연이 실수로 제단을 망쳐 기도는 실패한다. 강유는 위연을 베려 하지만, 제갈량은 천명이라며 용서한다. 제갈량 사후, 위연은 양의의 지휘를 거부하고 양의보다 먼저 잔도를 불태워 퇴로를 차단한다. 그러나 양의는 다른 길로 한중으로 향하고, 위연은 왕평에게 공격받아 병사들을 잃는다. 마대가 위연에게 촉에 반역할 것을 제안하고, 위연은 이를 따른다.

위연이 공격해 오자 양의는 제갈량의 지시에 따라 위연을 도발하고, 이에 넘어간 위연은 제갈량의 밀명을 받은 마대에게 뒤에서 참살당한다(제105회).

참조

[1] 문서 Zhuge Liang's biography in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mentioned that he died in the 8th month of the 12th year of the ''Jianxing'' era (223–237) in [[Liu Shan]]'s reign. This month corresponds to 11 September to 10 October 234 in the Julian calendar. ({{lang|zh-hant|[建興]十二年 ... 其年八月,亮疾病,卒于軍...。}}) Since Wei Yan died soon after Zhuge Liang, his death date should be in {{circa}} October 234.
[2] 서적 三国史话 https://books.google[...] DeepLogic 2022-01-17
[3] 서적 中国军事大辞典 Volume 2 https://books.google[...] 海南出版社 2022-01-20
[4] 서적 傳世藏書: 三国志, 晋书 (Handed down collections: Three Kingdoms, Jinshu) https://books.google[...] 海南国际新闻出版中心 (Hainan International Press and Publication Center ) 2022-01-15
[5] 웹사이트 "(40.6) Wèi Yán 魏延 [Wéncháng 文長]" https://threestatesr[...] 2022-01-04
[6] 서적 駢志 https://books.google[...] 上海古籍出版社 2022-01-20
[7] 서적 阳平关口说三分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22-01-20
[8] 서적 蜀漢政治制度史考論 https://books.google[...] 文津出版有限公司 (Wenjin Publishing Co) 2022-01-21
[9] 서적 歷史的羅生門 https://books.google[...] 新潮社文化事業有限公司(Xinchaoshe Cultural Enterprise Co., Ltd. ) 2022-01-21
[10] 웹사이트 奇葩歷史 魏延簡傳, 魏延之子 https://www.herostor[...] 2021-12-05
[11] 서적 國際漢學研究趨勢:鄭清茂教授八秩華誕祝壽論文集下冊 https://books.google[...] Airiti Press 2022-01-18
[12] 서적 二十五史: 三國志集解六十五卷 (Twenty-five Histories: Anthology of the Three Kingdoms in Sixty-five Volumes) https://books.google[...] 藝文印書舘 (Art Press) 2022-01-21
[13] 문서 2020
[14] 서적 中國古代戰争一百例 https://books.google[...] 湖北人民出版社 2022-01-18
[15] 서적 The Military History of Wei, J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https://books.google[...] deeplogic 2022-01-18
[16] 서적 诸葛亮研究 https://books.google[...] 巴蜀书社, 成都市诸葛亮研究会(Zhuge Liang research center in Chengdu) 2022-01-17
[17] 문서 2004
[18] 문서
[19] 문서
[20] 서적 文學與人生 https://books.google[...] 五南圖書出版股份有限公司 2022-01-20
[21] 간행물 諸葛亮之人事布局與蜀漢政權的世代交替 Zhuge Liang's Personnel Arrangement and the Generational Transition of Power of the Shu Han regime https://www.airitili[...] HUNG, Wu-hsiung 2022-01-20
[22] 문서 2019
[23] 문서 2013
[24] 문서 2013
[25] 문서 2013
[26] 문서 2013
[27] 문서 2013
[28] 서적 Shen Bojun on the Three Kingdoms: 2 volumes https://books.google[...] 西南交通大学出版社 (Beijing Book Co. Inc. ) 2022-01-21
[29] 문서 2003
[30] 문서
[31] 문서 2016
[32] 웹사이트 Yang Yi (Weigong) 楊儀 (威公) http://kongming.net/[...] 2022-01-20
[33] 서적 諸葛亮: 歷史平話 https://books.google[...] 姚秉凡 2022-01-20
[34] 서적 陈寿裴松之评传 https://books.google[...] 南京大学出版社 / [[Nanjing University]] Press 2022-01-20
[35] 웹사이트 Injustice to Wei Yan' (魏延的千古奇冤) http://www.qulishi.c[...] 2022-01-20
[36] 서적 Yi Zhongtian. Analysis of the Three Kingdoms 上海文艺出版社 2001
[37] 간행물 2013
[38] 학술지 《早期中國史研究》第3卷第2期 https://www.academia[...] Early and Medieval Chinese History 2022-01-15
[39] 간행물 2011
[40] 서적 社会科学辑刊 Volumes 60-65 https://books.google[...] 沈阳市邮政局 (Shenyang Post Office ) 2022-01-17
[41] 간행물 https://www.google.c[...] 2016
[42] 간행물 1995
[43] 서적 唐代交通圖考 Volume 4 (Tang Dynasty Traffic Map Examination, Volume 4) https://books.google[...] 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Institute of History and Linguistics, Academia Sinica ) 2022-01-22
[44] 서적 三国史话 https://books.google[...] DeepLogic 2022-01-17
[45] 웹사이트 镇远将军魏延祠 [Shrine of General Wei Yan] http://weishi.10000x[...] 2012-01-05
[46] 서적 Three Kingdoms, A Historical Novel Complete and Unabridge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2-01-20
[47] 서적 曹操3:铜雀春深 Volume 3 https://books.google[...] 百花洲文艺出版社 2022-01-10
[48] 학술지 悲劇英雄?代罪羔羊?難纏對手?-論陳耀昌、平路、林克明形塑之「揆一」形象 https://scholars.lib[...] Tamkang Chinese Literature 2022-01-15
[49] 논문 Enemy Officer Defeated: The Dynasty Warriors Series within the Spheres of Three Kingdoms and Videogames https://www.research[...]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2022-01-18
[50] 문서 三国志
[51] 문서 盧弼
[52] 문서 三国志
[53] 문서 三国志
[54] 문서 華陽国志
[55] 문서 三国志
[56] 문서 三国志
[57] 문서 三国志
[58] 문서 三国志
[59] 웹사이트 季漢輔臣贊
[60] 문서 三国志
[61] 문서 苦肉の策
[62] 문서 조비
[63] 문서 삼국지
[64] 문서 이현
[65] 문서 위략
[66] 문서 삼국지
[67] 문서 한진춘추
[68] 문서 삼국지
[69] 문서 삼국지
[70] 문서 삼국지
[71] 서적 양양기
[72] 서적 계한보신찬 진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