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산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력산업은 전력의 생산, 송전, 배전, 소매 과정을 포괄하며, 사업 목적, 경영 주체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사업 목적에 따라 대한민국에서는 전기사업법에 의거 일반전기사업자와 발전사업자로 구분되며, 경영 주체는 국가, 지방자치단체, 개인 등으로 나뉜다. 전력은 저장이 불가능하고, 수요와 공급의 동시성이 중요하며, 공익 및 기간산업의 특성을 지닌다. 최근 전력 시장 개혁을 통해 경쟁 체제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으며, 기술 발전과 에너지 수요 증가에 따라 미래 전망이 밝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전력산업 | |
---|---|
전력 산업 개요 | |
정의 | 전기를 생산하고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산업 |
주요 활동 | 발전 송전 배전 전력 판매 |
전기 사업법 (일본) | |
정의 | 일반 전기 사업, 특정 전기 사업, 도매 전기 사업 등을 규정하는 법률 |
전력 산업의 역사 | |
초기 단계 | 자가 발전 설비에서 시작 |
성장 | 도시를 중심으로 발전 |
발전소 | 수력 발전에서 화력 발전으로 중심 이동 |
발전 방식 | 수력 발전 화력 발전 원자력 발전 신에너지 (태양광, 풍력 등) |
전력 시스템 | |
구성 요소 | 발전소 송전선 변전소 배전선 소비자 |
스마트 그리드 |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전력 공급을 효율화하는 시스템 |
전력 시장 | |
시장 구조 | 도매 시장 소매 시장 |
경쟁 체제 | 전력 소매 자유화로 경쟁 심화 |
가격 결정 | 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 |
전력 산업의 과제 | |
에너지 안보 | 에너지 자원의 안정적인 확보 |
환경 문제 |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노력 필요 |
신재생에너지 확대 | 기술 개발 및 투자 확대 필요 |
전력망 강화 |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투자 필요 |
디지털 전환 | 데이터 활용 및 자동화 시스템 도입 |
전력 산업의 미래 | |
분산형 전원 | 태양광 발전 등 소규모 발전 확산 |
에너지 저장 시스템 | 전력 수요와 공급의 균형 유지 |
수요 반응 | 소비자의 능동적인 참여 유도 |
스마트 시티 | 도시 전체의 에너지 효율 향상 |
2. 종류
전력산업은 경영 주체, 사업 목적, 관점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1800년 알레산드로 볼타가 볼타 전지를 개발하면서 전해 전지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지만, 이 방식은 비용이 많이 들었다. 1831년 마이클 패러데이가 회전 운동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기계를 고안했으나, 상업화되기까지는 거의 50년이 걸렸다. 1878년 미국에서 토머스 에디슨은 직류 전기를 사용하여 가스 조명과 난방을 상업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했다.
1881년 12월, 로버트 해먼드는 영국 브라이턴에서 새로운 전등을 시험적으로 선보였다. 성공적인 설치 덕분에 해먼드는 여러 상점 주인들의 수요를 확보하여 사업을 상업적, 법적 기반 위에 올릴 수 있었고, 해먼드 전기 공급 회사를 설립했다.
1882년 초, 에디슨은 런던 홀번 바이덕트에 세계 최초의 증기 발전소를 열어 거리 조명을 공급했다. 공급 방식은 직류(DC)였다. 고달밍과 1882년 홀번 바이덕트 계획은 몇 년 후 폐쇄되었지만, 브라이턴 계획은 계속되었고 1887년에는 하루 24시간 공급이 가능해졌다.
1882년 9월, 에디슨은 뉴욕에 펄 스트리트 발전소를 열었고, 역시 직류(DC) 공급이었다. 에디슨은 전압 변환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발전소를 소비자와 가까운 곳에 두어야 했다. 전압을 높이면 전류가 감소하여 전선 두께를 줄일 수 있지만, 감전 위험이 커지고 절연 두께를 늘려야 했다. 에디슨 시스템은 발전소를 소비자와 1마일 이내에 두어야 했기 때문에, 시내 중심가에는 효과적이었지만 교외에는 전력을 경제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웠다.[1]
1880년대 중후반, 교류(AC) 시스템이 유럽과 미국에 도입되었다. 교류 전력은 변압기를 사용하여 발전소에서 전압을 높이고, 지역 변전소에서 전압을 낮춰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전압을 높이면 송전 및 배전선의 전류가 감소하여 도체 크기와 배전 손실을 줄여 장거리 전력 분배를 더 경제적으로 만들었다. 수력 발전과 같은 발전기를 부하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할 수 있었다. 교류와 직류는 전류 전쟁이라 불리는 기간 동안 경쟁했지만, 교류의 기술적, 경제적 이점이 커서 결국 승리했다.[1]
오늘날 사용되는 교류 전력 시스템은 조지 웨스팅하우스, 미하일 돌리보-도브로볼스키, 갈릴레오 페라리스, 세바스찬 지아니 데 페란티, 루시앙 골라르, 존 딕슨 깁스, 카를 빌헬름 지멘스, 윌리엄 스탠리 주니어., 니콜라 테슬라와 같은 산업가들의 지원을 받아 빠르게 발전했다.
전력 전자는 고체 전자공학을 전력의 제어 및 변환에 적용한 것이다. 1902년 AC를 DC로 변환하는 수은 아크 정류기 개발로 시작되었으며, 1920년대부터 사이래트론과 그리드 제어 수은 아크 밸브를 전력 전송에 적용하는 연구가 계속되었다. 1933년에는 셀레늄 정류기가 발명되었다.[2] 1947년 점접촉 트랜지스터, 1948년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JT) 발명으로 트랜지스터 기술이 시작되었다. 1950년대에는 고전력 반도체 다이오드가 사용 가능해져 진공관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1956년 실리콘 제어 정류기(SCR)가 도입되어 전력 전자 응용 분야가 넓어졌다.[3]
1959년 MOSFET(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발명은 전력 전자의 획기적인 발전이었다. MOSFET은 전력 설계자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는 불가능했던 성능과 밀도 수준을 달성하게 했다.[4] 1969년 히타치는 최초의 수직 전력 MOSFET을 도입했고,[5] 이는 나중에 VMOS(V-그루브 MOSFET)로 알려지게 되었다.[6] 전력 MOSFET은 낮은 게이트 구동 전력, 빠른 스위칭 속도,[7] 쉬운 고급 병렬화 기능,[7][8] 넓은 대역폭, 견고성, 쉬운 구동, 간단한 바이어스, 쉬운 적용 및 수리[8] 덕분에 세계에서 가장 일반적인 전력 장치가 되었다.
고전압 직류(HVDC)는 장거리에서 대량의 전기를 전송하거나 인접한 비동기식 전력 시스템을 연결하는 데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발전, 송전, 배전 및 소매는 교류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국가 또는 지역별 전력 부문 조직은 해당 국가의 경제 체제에 따라 다르다. 어떤 곳에서는 정부가 모든 발전, 송전 및 배전을 통제한다. 다른 지역에는 민간 또는 투자자 소유의 유틸리티 회사, 도시 또는 지방 자치 단체 소유 회사, 자체 고객이 소유한 협동조합 회사 또는 이러한 회사의 조합이 있다. 발전, 송전 및 배전은 단일 회사에서 제공하거나, 서로 다른 조직에서 시스템의 각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2017년에는 약 8억 4천만 명(대부분 아프리카)이 전기를 사용할 수 없었으며, 이는 2010년의 12억 명에서 감소한 수치이다.[13]
2. 1. 사업 목적에 따라
전력산업은 경영 주체와 사업 목적,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대한민국 전기사업법에 따르면, 전기사업자는 일반전기사업자와 발전사업자로 나뉜다. 일반전기사업자는 허가받은 공급 구역 내에서 전기를 공급하며, 한국에서는 한국전력공사가 유일하다. 발전사업자는 일반전기사업자와의 계약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여 공급한다. 일반전기사업자는 발전, 송전, 배전 모두를, 발전사업자는 발전과 송전을 담당한다.[26]
일반적으로 전력 산업은 전력 생산(발전소), 송전, 배전, 전력 소매의 네 가지 과정으로 나뉜다. 많은 국가에서 전력 회사는 이 모든 인프라를 소유하여 자연 독점으로 여겨지지만, 최근에는 규제 완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9]
전력 시장 개혁은 전력 회사가 인프라 일부에만 참여하거나, 소비자가 인프라 구성 요소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규제 완화된 국가에서는 최종 소비자가 더 비싼 녹색 전력을 선택할 수 있다.
전기 사업을 영위하는 자를 "전기 사업자"라고 한다. 전기사업자에는 소매 전기 사업자, 일반 송배전 사업자, 송전 사업자, 배전 사업자, 특정 송배전 사업자, 발전 사업자 및 특정 도매 공급 사업자가 있다(전기 사업법).[25]
2. 2. 경영 주체에 따라
전력산업은 경영 주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국영 전력 사업: 국가가 직접 전력 산업을 경영하는 형태이다. 공산주의 국가,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터키 등에서 이러한 형태를 취한다.
- 공영 전력 사업: 지방 자치 단체나 공공 단체가 경영 주체가 되는 경우이다. 미국의 TVA가 대표적인 예이다.
- 사영 전력 사업: 개인이 경영 주체가 되는 형태로, 대개 주식회사 형태를 취한다. 미국과 일본의 전력 사업은 원칙적으로 사영 전력 사업으로 운영된다.
3. 특성
전력 산업은 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하고, 송전, 배전을 거쳐 전력 소매에 이르는 네 가지 과정으로 나뉜다. 많은 국가에서 전력 회사는 이러한 모든 과정을 소유하여 자연 독점으로 여겨지지만, 현대에는 규제 완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9]
전력 시장 개혁은 전력 회사가 인프라 전체를 소유하지 않거나, 시민이 인프라 구성 요소를 선택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규제가 완화된 국가에서는 최종 전력 사용자가 더 비싼 녹색 전력을 선택할 수도 있다.
국가 또는 지역별 전력 부문 조직은 경제 체제에 따라 다르며, 정부 통제, 민간 기업, 협동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2017년 기준, 약 8억 4천만 명이 전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2010년에 비해 감소한 수치이다.[13] 전력 유틸리티의 비즈니스 모델은 발전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의해 변화하며, 특히 1990년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의 전력 공급 산업 개혁 이후 두드러졌다.
3. 1. 기술적 특성
전력은 저장이 불가능한 기술적 속성을 가지고 있어, 생산(발전)과 동시에 즉각적으로 수요처에 공급되지 않으면 손실되어 없어진다. 이러한 특성을 동시성 또는 즉시성이라고 한다. 따라서 전력 사업자는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모르는 첨두수요(최대 수요)에 대비하는 설비를 갖추고 있어야 하며, 전력을 수요처에 배분하기 위한 전력 유통 경로, 즉 유통 시설(power system)이 필요하다. 일반 제조 기업과는 달리 생산 설비 외에 유통 시설(송전선 및 배전선)이라는 추가 설비가 필요한 이유이다.[1]1800년 알레산드로 볼타가 볼타 전지를 개발한 이후, 전해 전지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으로 전기가 생성된다는 사실은 알려졌지만, 이 방식은 생산 비용이 많이 들었다. 1831년 마이클 패러데이가 회전 운동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기계를 고안했지만,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단계에 도달하기까지는 거의 50년이 걸렸다. 1878년 미국에서 토머스 에디슨은 지역적으로 생성 및 분배되는 직류 전기를 사용하여 가스 조명 및 난방을 상업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했다.[1]
1880년대 중후반에는 교류 (AC) 시스템이 유럽과 미국에 도입되었다. 교류 전력은 변압기를 통해 발전소에서 전압을 높이고, 지역 변전소에서 전압을 낮춰 부하에 공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전압을 높이면 송전 및 배전선의 전류가 감소하여 도체 크기와 배전 손실이 줄어, 장거리 전력 분배가 더 경제적이 되었다. 수력 발전과 같은 발전기를 부하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할 수 있었다. 교류와 직류는 한동안 경쟁했는데, 이 기간을 전류 전쟁이라고 한다. 직류 시스템은 약간 더 큰 안전성을 주장했지만, 교류의 기술적, 경제적 이점이 훨씬 커 결국 교류가 승리했다.[1]
오늘날 사용되는 교류 전력 시스템은 조지 웨스팅하우스, 미하일 돌리보-도브로볼스키, 갈릴레오 페라리스, 세바스찬 지아니 데 페란티, 루시앙 골라르, 존 딕슨 깁스, 카를 빌헬름 지멘스, 윌리엄 스탠리 주니어., 니콜라 테슬라와 같은 산업가들의 지원을 받아 빠르게 발전했다.
전력 전자는 고체 전자공학을 전력의 제어 및 변환에 적용한 것이다. 1902년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수은 아크 정류기 개발로 시작되었으며, 1920년대부터 사이래트론과 그리드 제어 수은 아크 밸브를 전력 전송에 적용하는 연구가 계속되었다. 1933년에는 셀레늄 정류기가 발명되었다.[2] 1947년 점접촉 트랜지스터, 1948년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 (BJT) 발명으로 트랜지스터 기술이 시작되었다. 1950년대에는 고전력 반도체 다이오드가 사용 가능해져 진공관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1956년에는 실리콘 제어 정류기 (SCR)가 도입되어 전력 전자 응용 분야의 범위를 넓혔다.[3]
1959년 MOSFET (금속-산화물-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발명으로 전력 전자는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여러 세대의 MOSFET은 전력 설계자가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는 불가능했던 성능과 밀도 수준을 달성할 수 있게 했다.[4] 1969년, 히타치는 최초의 수직 전력 MOSFET을 도입했고,[5] 나중에 VMOS (V-그루브 MOSFET)로 알려지게 되었다.[6] 전력 MOSFET은 낮은 게이트 구동 전력, 빠른 스위칭 속도,[7] 쉬운 고급 병렬화 기능,[7][8] 넓은 대역폭, 견고성, 쉬운 구동, 간단한 바이어스, 쉬운 적용 및 쉬운 수리[8]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일반적인 전력 장치가 되었다.
3. 2. 경제적 특성
전력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소비재이자 산업 활동의 동력원인 생산재이므로, 공익 및 기간산업의 특성을 지닌다. 이 때문에 전력사업자는 '양질의 풍부한 전력을 저렴하게 공급할 책임'을 진다.[1] 이러한 관점에서 전기사업에 자연 독점을 부여하여 부당한 경쟁으로 인한 원가 상승 요인을 제거하고, 소비자 보호를 위해 전기사업법에서는 전기요금 및 기타 공급 조건에 대한 결정·변경에 대해 산업자원부 장관의 인가·변경 조치권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물가안정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서는 전기요금을 공공요금으로 정하여 주무부 장관이 국무회의 심의를 거쳐 대통령의 승인을 얻도록 규정하고 있다.[1]3. 3. 경영상의 특성
전력산업은 발전 설비 외에 송전 및 배전 설비를 갖추어야 하는 전형적인 설비산업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원가 구성에서 고정비 비중이 80% 전후로 매우 높다. 반면, 수익에 비해 고정 설비 투자가 많아 자본 회전율은 0.2∼0.25% 정도로 낮다.[1]그러나 전력 수요는 자연적으로 성장하는 이점이 있어, 수익은 다른 산업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이다. 이는 경영상의 불리한 요인을 어느 정도 보완해 준다.[1]
4. 나라별 현황
국가 또는 지역별 전력 산업 구조는 경제 체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정부 주도형: 모든 발전, 송전, 배전이 정부 통제하에 운영된다.
- 민간 기업 참여형: 민간 또는 투자자 소유의 전력 회사가 존재한다.
- 지방 자치 단체 운영형: 도시 또는 지방 자치 단체가 소유한 회사가 전력을 공급한다.
- 협동 조합형: 자체 고객이 소유한 협동조합 회사가 운영한다.
- 혼합형: 위 형태들이 혼합되어 운영되기도 한다.
발전, 송전, 배전은 한 회사에서 통합 운영하거나, 여러 조직이 각 부분을 담당할 수도 있다.
2017년 기준, 약 8억 4천만 명(주로 아프리카 지역)이 여전히 전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2010년의 12억 명에 비해 감소한 수치이다.[13]
전력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특히 1990년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전력 공급 산업 개혁이 이루어진 이후 발전, 송전, 배전, 최종 소매 단계까지 전력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국가 | 특징 |
---|---|
프랑스 | 1946년 대부분의 전력 산업을 국유화하여 프랑스전력회사(EDF)를 설립. EDF는 사업자 발전 설비의 대부분을 차지.[1] |
캐나다 | 주로 주(州) 정부가 운영하는 사업소와 시, 읍 단위에서 운영하는 사업체가 전력 사업을 담당. 일부 사영 사업자도 존재.[1] |
이탈리아 | 1962년 대부분 국유화되어 이탈리아 전력회사(ENEL) 설립. ENEL은 발전 설비 및 전력량의 대부분을 차지.[1] |
독일 | 약 1,400개의 전력 사업자가 있으며, 대부분 공사 혼영(公私混營) 형태. |
일본 | 지역별로 9개의 민간 전력 회사가 발송배전 일관 경영 시스템으로 운영. |
스웨덴 | 국영, 시영, 읍영, 사영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 국영 동력국은 전원 개발부터 배전까지 담당. |
4. 1. 프랑스
프랑스는 1946년 공영(公營)을 제외한 전력산업을 모두 국유화하여 프랑스전력회사(EDF)를 설립하였다. EDF 외에 로스 회사와 공사혼합영(公私混合營)의 공영 전기 사업자도 존재하지만, 이들은 모두 소규모이다. 1971년 기준으로 EDF는 사업자 발전 설비의 93%, 사업자 발전 전력량의 90%를 차지하고 있다.[1]4. 2. 캐나다
캐나다의 전력사업은 대부분 도매 공급을 주로 하는 주영(州營) 사업소와 배전 사무를 주로 하는 시·읍영 사업체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이 중 발송배전을 일관 경영하는 사영 사업자가 1967년 현재 사업자 발전설비의 14%, 사업자 발전전력량의 12%를 점하고 있다.[1]4. 3. 이탈리아
이탈리아의 전기사업은 1962년 대부분 국유화되어 이탈리아 전력회사(ENEL)가 발족했다.[1] 그 후 나머지 사업자도 점차 국유화되어 그 자산이 ENEL에 이관되었고, 1969년 ENEL 전기 사업자회계에 점하는 비율은 발전설비 및 전력량이 모두 90%이다.[1]4. 4. 독일
독일의 전력 사업자 수는 약 1,400개이며, 기업 형태상 순수 사영(私營) 기업은 거의 없고, 대부분 공사 혼영(公私混營)이다. 이 중 자가 발전으로 사업자 공급망에 전력을 공급하는 겸업 사업자가 다수 있다.4. 5. 일본
일본의 전기 사업은 지역별로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9개의 민간 전력 회사가 일관 경영 시스템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들 회사는 수력, 원자력 등 전력 회사가 감당하기 어려운 전원을 개발하는 전원 개발 회사 및 원자력 개발 회사와 협력한다.4. 6. 스웨덴
스웨덴의 전력사업은 국영 동력국, 시영, 읍영, 사영의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동력국은 전원 개발부터 배전에 이르기까지 담당하는 일관 경영체제로 되어 있다.5. 한국의 전력산업
한국의 전력산업은 국가 경제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에너지를 공급하는 중요한 기반 산업이다. 최근 탄소 중립 정책과 에너지 전환 추세에 따라 전력 산업의 구조와 역할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5. 1. 현황
전력 산업은 국가 경제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에너지를 공급하는 중요한 기반 산업이다. 최근 탄소 중립 정책과 에너지 전환 추세에 따라 전력 산업의 구조와 역할에 큰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전력 생산과거에는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 연료를 이용한 발전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환경 문제와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발전과 풍력 발전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과 기술 발전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력 소비산업 부문의 전력 소비 비중이 가장 높으며, 가정 및 상업 부문의 전력 소비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도래와 함께 데이터 센터, 전기차 충전소 등 새로운 전력 수요처가 등장하면서 전력 소비 패턴이 다양화되고 있다.
전력 시장한국의 전력 시장은 한국전력공사가 판매 시장을 독점하는 구조였으나, 점진적인 경쟁 도입과 규제 완화를 통해 시장 개방이 추진되고 있다. 이를 통해 전력 시장의 효율성을 높이고, 다양한 서비스와 요금제를 제공하여 소비자 선택권을 확대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과제전력 산업은 다음과 같은 과제를 안고 있다.
- 에너지 전환: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을 확대하고, 기존 화석 연료 발전소를 친환경 발전소로 전환해야 한다.
- 전력망 안정화: 재생 에너지 발전은 날씨와 기후 조건에 따라 발전량이 변동하므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망 보강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구축이 필요하다.
- 전력 요금: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 증가와 전력 시장 구조 변화에 따른 요금 인상 요인을 합리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업, 연구 기관 등 다양한 주체들의 협력과 노력이 필요하다.
6. 전력 시장 개혁
전력 유틸리티의 비즈니스 모델은 수년에 걸쳐 변화해 왔으며, 특히 1990년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전력 공급 산업 개혁 이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발전, 송전, 배전에서 최종 지역 소매에 이르기까지 전력 산업을 오늘날의 모습으로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부 국가에서는 도매 전력 시장이 운영되며, 발전기와 전력 소매업체가 주식 및 통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전력을 거래한다. 규제 완화가 계속되면서 유틸리티는 에너지 시장이 선물 시장 및 현물 시장과 기타 금융 계약을 사용하면서 가스 시장과 일치함에 따라 자산을 매각하게 된다. 세계화도 진행되고 있는데, 일례로 영국의 내셔널 그리드 PLC(National Grid PLC)가 뉴잉글랜드의 여러 전력 유틸리티를 320억달러에 매입한 사례가 있다.[21] 1995년과 1997년 사이에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12개 지역 전력 회사(REC) 중 7개가 미국의 에너지 회사에 인수되었다.[22] 국내적으로 지역 전기 및 가스 회사는 공동 제휴의 이점을 깨닫고, 특히 공동 계량 비용 절감을 위해 운영을 통합하기도 한다.
경쟁적인 도매 전력 시장에서는 기술 발전이 이루어질 것이며, 이미 활용되고 있는 사례로는 우주 비행에 사용되는 연료 전지, 제트기에 사용되는 에어로파생 가스 터빈, 태양 공학 및 태양광 시스템, 해상 풍력 발전소, 그리고 특히 모니터링 및 발전을 지원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싱과 함께 디지털 세계가 낳은 통신 발전 등이 있다.[23]
6. 1. 미국의 전력 시장 개혁
1996년부터 1999년까지 미국 연방 에너지 규제 위원회(FERC)는 미국의 도매 전력 시장을 새로운 참여자들에게 개방하기 위한 일련의 결정을 내렸다. 이는 경쟁을 촉진하여 소비자들이 연간 40억달러에서 50억달러를 절약하고 업계의 기술 혁신을 장려하기 위함이었다.[14] 이를 위해 모든 시장 참여자에게 기존의 주 간 전송선에 대한 개방형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졌다.- [https://www.ferc.gov/industries-data/electric/industry-activities/open-access-transmission-tariff-oatt-reform/history-oatt-reform/order-no-888 명령 888호]는 수직 통합 전력 유틸리티가 자체 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전송, 발전 및 마케팅 사업을 기능적으로 분리하도록 명령했다.[15]
- [https://www.ferc.gov/sites/default/files/2020-04/rm95-9-00k.txt 명령 889호]는 모든 참여자에게 사용 가능한 전송 용량 및 가격에 대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16]
- FERC는 또한 전통적으로 수직 통합 전력 유틸리티 회사의 책임이었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 시스템 운영자(ISO)를 임명하는 개념을 지지했다.[17] 독립 시스템 운영자의 개념은 지역 전송 조직(RTO)의 개념으로 발전했다. FERC는 주 간 전력 전송선을 소유한 모든 미국 회사가 해당 시설을 RTO의 통제하에 두기를 원했다.[18] 1999년에 발표된 [https://www.ferc.gov/sites/default/files/2020-04/RM99-2A.pdf 명령 2000호] ''(지역 전송 조직)''에서 FERC는 RTO가 갖춰야 할 최소 능력을 명시했다.[19]
이러한 결정은 미국 전력 산업의 구조 조정을 가져왔지만, 곧 2000년 캘리포니아 에너지 위기와 엔론 스캔들과 붕괴라는 두 번의 좌절을 겪었다. 산업 구조 조정이 진행되었지만, 이러한 사건들은 경쟁 시장이 조작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적절하게 설계되고 모니터링되어야 함을 분명히 했다. 또한, 2003년 북동부 정전은 경쟁 가격 책정과 강력한 신뢰성 표준에 대한 이중적 초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20]
6. 2. 기타 국가의 전력 시장 개혁
1990년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전력 공급 산업 개혁 이후, 전력 유틸리티의 비즈니스 모델은 발전을 거듭하며 전력 산업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996년부터 1999년까지 미국 연방 에너지 규제 위원회(FERC)는 미국의 도매 전력 시장을 개방하기 위한 일련의 결정을 내렸다. 이를 통해 경쟁을 촉진하여 소비자들이 연간 40억달러에서 50억달러를 절약하고 업계의 기술 혁신을 장려하고자 했다.[14] 모든 시장 참여자에게 기존의 주 간 전송선에 대한 개방형 접근을 제공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졌다.
FERC가 내린 주요 결정은 다음과 같다.
- [https://www.ferc.gov/industries-data/electric/industry-activities/open-access-transmission-tariff-oatt-reform/history-oatt-reform/order-no-888 명령 888호]: 수직 통합 전력 유틸리티가 자체 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전송, 발전 및 마케팅 사업을 기능적으로 분리하도록 명령했다.[15]
- [https://www.ferc.gov/sites/default/files/2020-04/rm95-9-00k.txt 명령 889호]: 모든 참여자에게 사용 가능한 전송 용량 및 가격에 대한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16]
- 독립 시스템 운영자(ISO) 임명: 전통적으로 수직 통합 전력 유틸리티 회사의 책임이었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 시스템 운영자(ISO)를 임명하는 개념을 지지했다.[17] 이 개념은 지역 전송 조직(RTO)으로 발전했다. FERC는 주 간 전력 전송선을 소유한 모든 미국 회사가 해당 시설을 RTO의 통제하에 두기를 원했다.[18]
- [https://www.ferc.gov/sites/default/files/2020-04/RM99-2A.pdf 명령 2000호] ''(지역 전송 조직)'': RTO가 갖춰야 할 최소 능력을 명시했다.[19]
이러한 결정은 미국 전력 산업의 구조 조정을 가져왔지만, 2000년 캘리포니아 에너지 위기와 엔론 스캔들과 붕괴라는 두 번의 좌절을 겪었다. 이러한 사건들은 경쟁 시장이 조작될 수 있으며 적절하게 설계되고 모니터링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2003년 북동부 정전은 경쟁 가격 책정과 강력한 신뢰성 표준에 대한 이중적 초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20]
일부 국가에서는 도매 전력 시장이 운영되며, 발전기와 전력 소매업체가 주식 및 통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전력을 거래한다. 규제 완화가 계속되면서 유틸리티는 에너지 시장이 선물 시장 및 현물 시장과 기타 금융 계약을 사용하면서 가스 시장과 일치함에 따라 자산을 매각하게 된다. 세계화도 진행되고 있는데, 일례로 영국의 내셔널 그리드 PLC(National Grid PLC)가 뉴잉글랜드의 여러 전력 유틸리티를 320억달러에 매입한 사례가 있다.[21] 1995년과 1997년 사이에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12개 지역 전력 회사(REC) 중 7개가 미국의 에너지 회사에 인수되었다.[22] 국내적으로 지역 전기 및 가스 회사는 공동 제휴의 이점을 깨닫고 운영을 통합했다. 경쟁적인 도매 전력 시장에서는 기술 발전이 이루어질 것이며, 우주 비행에 사용되는 연료 전지, 제트기에 사용되는 에어로파생 가스 터빈, 태양 공학 및 태양광 시스템, 해상 풍력 발전소, 그리고 특히 모니터링 및 발전을 지원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싱과 함께 디지털 세계가 낳은 통신 발전 등이 이미 활용되고 있다.[23]
7. 미래 전망
정보 혁명으로 전력에 대한 수요가 미래에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전력 전용 기술의 등장, 공간 조절, 산업 공정, 운송 분야 (예: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관차)의 발전 또한 성장의 요인이다.[23]
참조
[1]
문서
Shock and Awe: The Story of Electricity
[2]
웹사이트
Notes 01
http://www.thompsonr[...]
Thompson Consulting, Inc.
[3]
웹사이트
Power Semiconductor Devices
http://nptel.iitm.ac[...]
2012-03-25
[4]
뉴스
Rethink Power Density with GaN
https://www.electron[...]
2019-07-23
[5]
서적
Fet Technology and Application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88
[6]
간행물
Advances in Discrete Semiconductors March On
https://www.powerele[...]
Informa
2019-07-31
[7]
웹사이트
Power MOSFET Basics
http://www.aosmd.com[...]
2019-07-29
[8]
서적
High Performance Audio Power Amplifiers
https://archive.org/[...]
Elsevier
1996
[9]
웹사이트
The Bumpy Road to Energy Deregulation
https://www.en-power[...]
EnPowered
2017-05-01
[10]
웹사이트
Yearly electricity data
https://ember-energy[...]
2023-12-23
[11]
간행물
A Primer on Electric Utilities, Deregulation, and Restructuring of U.S. Electricity Markets
https://www.pnnl.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Federal Energy Management Program (FEMP)
2018-10-30
[12]
웹사이트
How Power Grids Work
http://science.howst[...]
2016-03-18
[13]
블로그
Closing Sub-Saharan Africa’s Electricity Access Gap: Why Cities Must Be Part of the Solution
https://www.wri.org/[...]
[14]
서적
Energy Law in a Nutshell
Thomson-West Group
2004
[15]
서적
Tomain and Cudahy op cit
[16]
서적
Tomain and Cudahy op cit
[17]
서적
Energy Law in a Nutshell
Thomson – West Group
2004
[18]
웹사이트
Order No. 2000
https://cms.ferc.gov[...]
2021-06-07
[19]
웹사이트
U.S. Energy Law: Electricity (About Regional Transmission Organizations)
https://law.gwu.libg[...]
[20]
서적
Tomain and Cudahy op cit
[21]
문서
SEC filing dated March 15, 2000
https://www.sec.gov/[...]
[22]
문서
"Electricity companies in the United Kingdom – a brief chronology," Electricity Association, 30 June 2003
http://www.privatiza[...]
[23]
서적
Distributed Generation: The Power Paradigm for the New Millennium.
CRC Press
2001
[24]
웹사이트
電力産業とは
https://kotobank.jp/[...]
2022-03-19
[25]
웹사이트
電気事業法
https://laws.e-gov.g[...]
e-Gov法令検索
2022-03-19
[26]
웹사이트
電気事業者とは
https://kotobank.jp/[...]
2022-03-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