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바 의정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네바 의정서는 1925년 유독 가스 및 세균 무기의 사용을 금지하기 위해 체결된 국제 조약이다. 제1차 세계 대전의 화학전 경험을 바탕으로 프랑스의 제안과 폴란드의 세균 무기 추가 제안을 통해 성립되었다. 이 의정서는 화학 무기 사용에 대한 국제적 금지 규범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으나, 비준하지 않은 국가, 보복 사용, 내전에서의 사용, 연구 개발 및 비축을 금지하지 않는 등의 한계를 지녔다. 제네바 의정서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1966년과 1969년 유엔 결의안을 통해 화학 및 생물학 무기 사용 금지가 국제법 규칙으로 인정받았으며, 2021년 4월 기준으로 146개국이 가입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5년 체결된 조약 - 로카르노 조약
로카르노 조약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유럽 평화 유지를 위해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벨기에 등이 체결한 조약으로, 독일의 라인란트 침공 금지와 서부 국경 보장을 담고 있었으나 동부 국경에 대한 보장이 없어 동유럽의 불안을 야기했고 나치 정권에 의해 사실상 파기되었다. - 국제법 - 선전포고
선전포고는 국가 간 적대 행위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행위로, 과거 전쟁 개시의 필수 절차였으나 국제법 발전과 무력 사용 제한으로 현대에는 드물어졌지만 일부 분쟁에서 사용되며 합법성과 실효성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국제법 - 무주지
무주지는 국제법상 어떤 국가의 영유권도 미치지 않아 점유를 통해 국가가 주권을 취득할 수 있는 지역으로, 로마법의 무주물 개념과 관련되나 영토 취득 대상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식민지 확장의 명분으로 악용된 역사와 함께 사회적, 정치적 조직을 갖춘 사람들의 땅은 무주지로 간주될 수 없다는 해석이 등장하며 변화를 겪어왔다.
제네바 의정서 | |
---|---|
조약 정보 | |
이름 | 제네바 의정서 |
정식 명칭 | 질식성, 독성 또는 기타 가스 및 세균학적 전쟁 방법에 대한 전쟁 사용 금지 의정서 |
서명일 | 1925년 6월 17일 |
서명 장소 | 제네바 |
발효일 | 1928년 2월 8일 |
효력 발생 조건 | 65개국의 비준 |
서명국 | 38개국 |
가입국 | 146개국 |
기탁 기관 | 프랑스 정부 |
언어 | 프랑스어, 영어 |
내용 | |
목적 | 전쟁에서 화학 무기 및 생물 무기 사용 금지 |
2. 협상 역사
1899년과 1907년 헤이그 협약에서 위험한 화학 물질 사용이 금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대규모 화학전이 발생했다. 프랑스 제3공화국은 1914년에 최루 가스를 사용했지만, 1915년 벨기에 이프르에서 독일 제국이 염소 가스를 살포하면서 화학 무기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영국, 러시아, 오스트리아-헝가리, 미국, 이탈리아 등 여러 국가가 화학 무기를 사용하면서 화학 군비 경쟁이 일어났다.[6]
1925년에 체결된 제네바 의정서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처음으로 현대적인 화학 무기를 사용한 것을 계기로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 포함되었던 독일의 화학 무기 보유 금지 조항을 국제적으로 확대한 것이다. 프랑스가 제안하고, 폴란드가 생물 무기를 대상에 추가할 것을 제안하여 성립되었다.
전쟁 기간 동안 최소 124,000톤의 화학 물질이 생산되었으며, 이로 인해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했고, 병사들에게 심각한 심리적 영향을 미쳤다.[6] 베르사유 조약은 독일의 화학 무기 제조 및 수입을 금지했고,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불가리아 왕국, 헝가리 왕국 등 다른 패전국들에도 유사한 조약이 적용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1922년 미국은 워싱턴 군축 회의에서 잠수함 및 유해 가스 사용에 관한 조약을 제안했다.[7] 미국, 영국,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은 비준에 동의했지만, 프랑스 제3공화국이 잠수함 조항에 반대하여 조약은 발효되지 못했다.[7]
1925년 제네바 회의에서 프랑스는 유독 가스 불사용에 대한 의정서를 제안했고, 폴란드 제2공화국은 세균 무기를 추가할 것을 제안했다.[8] 그 결과, 1925년 6월 17일에 제네바 의정서가 서명되었다.[9]
3. 제네바 의정서의 한계와 의의
에릭 크로디는 2005년 제네바 의정서를 평가하면서, 역사적 기록을 볼 때 의정서가 대체로 효력이 없었다고 평가했다. 구체적으로 의정서는 다음을 금지하지 않았다.[9]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제네바 의정서는 화학 무기 사용에 대한 국제적인 금지 규범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66년 국제 연합 총회 결의안 2162B는 모든 국가가 의정서를 엄격히 준수할 것을 촉구했으며, 1969년 국제 연합 총회 결의안 2603 (XXIV)는 화학 및 생물학 무기 사용 금지가 국제법 규칙으로 인정된다고 선언했다.[18] 이후 의정서의 주요 요소가 현재 관습 국제법의 일부를 형성하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며, 현재 이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39][19]
최근 의정서는 국제 무력 분쟁뿐만 아니라 비국제 무력 분쟁에도 적용되도록 해석되고 있다. 1995년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의 항소 법정은 "화학 무기 사용이 내부 무력 분쟁에서도 금지된다는 원칙에 대한 국제 사회의 일반적인 합의가 분명히 나타났다"고 진술했다. 2005년 국제 적십자 위원회는 관습 국제법이 국제 분쟁뿐만 아니라 내부 분쟁에서 화학 무기 사용 금지를 포함한다고 결론 내렸다.[23]
그러나 이러한 견해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많은 화학 무기 통제 협약 목록이 "국제" 분쟁의 맥락에서 비롯된다는 점, 그리고 비국제 분쟁에서 화학전 금지에 대한 관습 국제법의 적용이 국가 관행과 ''오피니오 주리스''라는 두 가지 요구 사항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다.[24]
본 의정서의 조약 체결국은 136개국이다. 일본과 미국, 브라질은 1925년에 서명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전에는 비준하지 않았으며, 일본과 브라질은 1970년, 미국은 1975년에 최종 합의했다.
3. 1. 제네바 의정서 이후의 국제적 노력
1972년 생물무기 금지 조약은 생물 무기의 개발, 생산, 비축을 금지했지만, 검증 메커니즘이 없어 실효성 논란이 있었다. 1993년 화학 무기 금지 조약은 화학 무기의 개발, 생산, 비축 및 사용을 포괄적으로 금지하고 파기 일정을 포함하여 제네바 의정서의 한계를 보완했다. 1998년 국제 형사 재판소 로마 규정은 국제 분쟁에서 화학 무기를 사용하는 것을 전쟁 범죄로 규정했으며, 2010년 개정안은 금지 대상을 국내 분쟁으로 확대했다.
4.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입장
대한민국은 1988년 제네바 의정서에 가입했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실질적 위협을 이유로 '의정서 당사국이 아니거나 금지사항을 준수하지 않는 적국에 대해선 대한민국이 의정서에 구속되지 않는다'는 유보 조항을 두었다.
2002년 대한민국은 생물학 무기에 대해서는 유보를 철회했다. 그러나 화학무기는 그대로 유보 조항을 유지했다.[9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제네바 의정서와 화학무기금지조약(CWC)에 모두 가입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1987년 생물무기금지조약(BWC)에는 가입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양측이 모두 가입한 생물무기금지조약(BWC)은 생물무기의 개발, 생산, 비축, 파기를 규정하고 있다.
존 볼턴 미국 국무부 차관은 2001년 11월 19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생물무기금지조약(BWC) 제5차 평가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미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BWC를 위반하여 "수주일 내에 군사적 목적에 사용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생물학적 매개물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오사마 빈 라덴과 그의 테러조직 알 카에다, 이라크에 이어 세 번째로 국제안보를 위협하는 생물무기 개발국으로 공개 지목하고 생물무기 개발 계획을 폐기할 것을 촉구했다.[94]
5. 의정서 위반 사례
이탈리아는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에서 에티오피아 제국에 겨자 가스를 사용했다.[13]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은 흑해 연안의 여러 전투, 특히 세바스토폴에서 유독성 연기를 사용하여 도시 아래의 동굴에서 러시아 저항군을 몰아냈다. 1941년 11월 오데사 점령 후 오데사의 지하 묘지에서 질식 가스를 사용했으며, 1942년 5월 말 크림반도 동부 케르치 반도 전투에서 국방군 화학 부대와 SS 특수 부대가 야전 공병 대대의 도움을 받아 가스 공격을 감행했다.[13] 1942년 5월 중순 전투 이후, 독일군은 인근 아지무슈카이 채석장의 동굴과 터널에 숨어 있던 약 3,000명의 붉은 군대 병사와 소련 민간인을 가스 공격으로 살해했다.[14]
1980-1988년 이란-이라크 전쟁 동안 이라크는 이란군을 상대로 다양한 화학 무기를 사용했다. 전쟁 중 약 10만 명의 이란군이 이라크 화학 무기의 피해를 입었다.[15][16][17]
6. 의정서의 현대적 해석
1977년 환경 수정 협약은 광범위하고, 지속적이며,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 수정 기술의 군사적 사용을 금지한다. 많은 국가들은 이를 전쟁에서 제초제 사용에 대한 완전한 금지로 간주하지 않지만, 사안별 고려를 요구한다.[21] 1993년 화학 무기 금지 협약은 시위 진압제를 전쟁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시위 진압에는 여전히 허용했다.[22]
최근 제네바 의정서는 국제 무력 분쟁뿐만 아니라 비국제 무력 분쟁에도 적용되도록 해석되고 있다. 1995년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 항소 법정은 "화학 무기 사용이 내부 무력 분쟁에서도 금지된다는 원칙에 대한 국제 사회의 일반적인 합의가 분명히 나타났다"고 판결했다. 2005년 국제 적십자 위원회는 관습 국제법이 국제 분쟁뿐만 아니라 내부 분쟁에서도 화학 무기 사용 금지를 포함한다고 결론 내렸다.[23]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법률 학자들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들은 많은 화학 무기 통제 협약 목록이 "국제" 분쟁의 맥락에서 비롯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또한 비국제 분쟁에서 화학전 금지에 대한 관습 국제법 적용은 국가 관행과 ''오피니오 주리스''라는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다. 질리안 블레이크(Jillian Blake)와 악사 마흐무드(Aqsa Mahmud)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비국제 분쟁에서 화학 무기가 주기적으로 사용된 점과 그러한 분쟁에서 화학 무기 사용을 금지하는 기존 국제 인도법(제네바 협약 등) 및 국내 법률과 매뉴얼이 없다는 점을 언급했다.[24] 앤 로렌잣(Anne Lorenzat)은 2005년 ICRC 연구가 "법적 문제보다는 정치적, 운영적 문제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25]
7. 가입국
2021년 4월 현재, 146개국이 제네바 의정서를 비준, 가입 또는 승계했다.[26] 가장 최근에는 2015년 11월 24일 콜롬비아가 가입했다.
의정서 당사국이 되려면 프랑스 정부(기탁국)에 비준서를 기탁해야 한다. 최초 38개국이 의정서에 서명했으며, 프랑스는 1926년 5월 10일 최초로 비준했고, 엘살바도르는 2008년 2월 26일 마지막으로 비준했다.
여러 국가들이 제네바 의정서에 가입하면서 유보 조항을 제출했으며, 일부 국가는 이후 유보를 철회했다.
조약에 관한 국가 승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에 따르면, 당사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조약을 승계하는 국가는 반대 의사를 표명하지 않는 한, 승계일 현재 해당 영토에 적용 가능한 조약의 유보를 유지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일부 국가는 명시적으로 유보 유지 또는 포기 의사를 밝혔지만, 입장을 명확히 하지 않은 국가는 "묵시적" 유보로 분류된다.
7. 1. 유보 조항
제네바 의정서 당사국이 된 여러 국가들은 유보를 제출하여, 비사용 의무가 의정서의 다른 당사국에 대해서만 적용된다고 선언하거나, 금지된 무기를 사용한 국가 또는 그 동맹국에 대해서는 이러한 의무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여러 아랍 국가들은 또한 비준이 이스라엘에 대한 승인이나 외교 관계를 구성하지 않거나, 의정서의 조항이 이스라엘에 대해 구속력이 없다고 선언했다.[39]일반적으로 유보는 유보 국가에 대한 조약 조항을 수정할 뿐만 아니라, 유보 국가와 거래할 때 이전에 비준한 당사국의 조항도 대칭적으로 수정한다.[39] 이후, 이전 체코슬로바키아는 해체되기 전인 1990년에,[27] 생물 무기에 대한 러시아의 유보는 "공격받을 경우 동일한 방식으로 보복할 권리를 유지"했으며, 옐친 대통령에 의해 해소되었다.[28] 등 수많은 국가들이 유보를 철회했다.
조약에 관한 국가 승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에 따르면, 당사국으로부터 독립을 얻은 후 조약을 승계하는 국가는 "승계일 현재 승계가 관련된 영토에 적용 가능한 조약에 대한 유보를 유지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단, 승계 통지를 할 때 이와 반대되는 의사를 표명하거나, 해당 유보와 동일한 사항에 관련된 유보를 공식화하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일부 국가들은 명시적으로 승계 시 상속된 유보를 유지하거나 포기했지만, 상속된 유보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국가는 "묵시적" 유보로 분류된다.
당사국[2][26][29][30][31][32][33][34][35][36][37] | 서명 | 기탁일 | 유보[2][39][30][31][40][41][42][43][44] | 비고 |
---|---|---|---|---|
— | ||||
— | ||||
[45][46][47] | ||||
[45][46][48]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 | ||||
— | ||||
[45][46] | 1986년에 철회.[49] | |||
— | ||||
[45][46][50][51] | ||||
[45][46][52]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영국이 한 유보를 철회.[53] | |||
[45][46] | 1997년에 철회.[54] | |||
— | ||||
— | ||||
— | ||||
— | ||||
[45][46] | 1991년에 철회.[55] | |||
— | 상부 볼타 공화국으로 비준. | |||
[46] | 민주 캄푸치아 연합 정부는 1983년에 망명 중에 의정서를 비준했다. 13개국(기탁국인 프랑스 포함)은 비준에 이의를 제기했으며 법적으로 무효라고 간주했다. 1993년, 캄보디아 왕국은 구두 어구를 통해 의정서의 조항에 구속된다고 밝혔다.[56] | |||
— | ||||
[45][46] | 1991년 세균학적 제제 관련 철회, 1999년 완전 철회.[57] | |||
— | ||||
— | ||||
[45][46] | 1991년에 철회.[58] | |||
[46] | 1952년 7월 13일 중화민국으로 비준되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은 그로부터 승계되었다. 승계 시 유보.[59] | |||
— | ||||
— | ||||
— | ||||
— | ||||
—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46] | 1938년 8월 16일에 의정서를 비준한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승계. 승계 전에 철회됨. | |||
— | ||||
— | ||||
— | ||||
— | ||||
— | ||||
— | ||||
[45][46] | 1999년에 철회.[60] | |||
—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영국의 유보를 유지.[61] | |||
— | ||||
[45][46] | 1996년에 철회.[62]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 | ||||
— | ||||
—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 | ||||
— | ||||
— | ||||
— | ||||
— | ||||
[45][46][63] | ||||
[73] | 네덜란드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 | ||||
[45][46][64] | ||||
[45][46] | 1972년에 철회.[65] | |||
[45][46][66] | ||||
—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 | ||||
[45][46][50][67] | ||||
— | ||||
— | ||||
[46][68] | ||||
[45][46] | 2002년에 BWC에 의해 다루어지는 생물 제제 관련 유보 2번 철회. | |||
[50][69][70] | ||||
— | ||||
— | ||||
— | ||||
—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 | ||||
[45][46][50][71] | ||||
— | ||||
— | ||||
— | ||||
— | ||||
— | ||||
— | ||||
— | ||||
—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 | ||||
— | ||||
— | ||||
[46] | 1990년에 철회.[72] | |||
— | ||||
— | ||||
[73] | 1995년에 철회.[74] | |||
[45][46] | 1989년에 철회.[75] | |||
— | ||||
[45][46] | 프랑스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45][46][76] | ||||
— | ||||
[45][46] | 인도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 | ||||
— | ||||
[45][46] | 오스트레일리아로부터 승계. 승계 시 오스트레일리아의 유보를 유지.[77] | |||
— | ||||
— | ||||
— | ||||
— | ||||
[45][46] | 유보 2는 2003년에, 유보 1은 2014년에 철회됨. | |||
— | ||||
[45][46] | 1991년에 철회.[78] | |||
[45][46] | 2001년에 철회.[79] | |||
[45][46] | 벨기에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묵시적 유보. | |||
— | ||||
— | ||||
[46]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으로 승계되었으며, 1929년 4월 12일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으로 의정서를 비준했다. 승계 시 묵시적 유보. 2009년 5월 세르비아 의회는 유보 철회를 결정했고,[80] 철회는 2010년에 발표되었지만, 기탁국에는 통보되지 않았다.[81] | |||
— | ||||
[46] | 1938년 8월 16일에 의정서를 비준한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승계. 승계 전에 철회됨. | |||
— | ||||
[45][46] | 영국으로부터 승계. 승계 시 영국의 유보를 유지.[83] |
8. 같이 보기
- 생물무기금지조약 (BWC)
- 화학무기금지조약 (CWC)
참조
[1]
간행물
Article 21
http://www.opcw.org/[...]
[2]
웹사이트
Protocole concernant la prohibition d'emploi à la guerre de gaz asphyxiants, toxiques ou similaires et de moyens bactériologiques, fait à Genève le 17 juin 1925
https://web.archive.[...]
Ministry of Foreign and European Affairs of France
2013-07-23
[3]
간행물
vol. 94, pp. 66–74
https://treaties.un.[...]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4]
웹사이트
Disarmament Treaties Database: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2021-02-09
[5]
논문
The Shortcomings of Indeterminacy in Arms Control Regimes: The Case of the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2007
[6]
서적
The Poisonous Cloud: Chemical warfare in the First World War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7]
웹사이트
Treaty relating to the Use of Submarines and Noxious Gases in Warfare. Washington, 6 February 1922
http://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3-04-30
[8]
웹사이트
The Geneva Protocol at 90, Part 1: Discovery of the dual-use dilemma - The Trench - Jean Pascal Zanders
https://www.the-tren[...]
2015-06-17
[9]
서적
Weapons of Mass Destruction: An Encyclopedia of Worldwide Policy, Technology and History, Volume 1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4-28
[10]
웹사이트
The Rif War: A forgotten war?
https://internationa[...]
International Review of the Red Cross
2023-06
[11]
뉴스
ERC exige que España pida perdón por el uso de armas químicas en la guerra del Rif
https://elpais.com/d[...]
El País
2005-07-02
[12]
웹사이트
Geneva Protocol: Protocol For the Prohibition of the Use In War of Asphyxiating, Poisonous, or Other Gases, And of Bacteriological Methods of Warfare (Geneva Protocol)
https://www.nti.org/[...]
Nuclear Threat Initiative
[13]
서적
On the Battlefields of the Cold War: A Soviet Ambassador's Confession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2010-11-01
[14]
서적
Ivan's War
Faber & Faber
[15]
뉴스
In Iran, grim reminders of Saddam's arsenal
https://web.archive.[...]
New Jersey Star Ledger
2002-10-27
[16]
뉴스
It's like a knife stabbing into me
http://www.thestar.c[...]
The Star (South Africa)
2003-01-21
[17]
뉴스
Iraq Chemical Arms Condemned, but West Once Looked the Other Way
https://web.archive.[...]
The New York Times
2003-02-13
[18]
웹사이트
2603 (XXIV). Question of chemical and bacteriological (biological) weapons
http://www.worldlii.[...]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1969-12-16
[19]
웹사이트
The 1925 Geneva Protocol goes digital
http://www.vertic.or[...]
VERTIC
2012-05-17
[20]
웹사이트
Protocol for the Prohibition of the Use in War of Asphyxiating, Poisonous or Other Gases, and of Bacteriological Methods of Warfare (Geneva Protocol)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02-09-25
[21]
웹사이트
Practice Relating to Rule 76. Herbicides
http://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3-08-24
[22]
웹사이트
Practice Relating to Rule 75. Riot Control Agents
http://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3-08-24
[23]
웹사이트
Syria: international law and the use of chemical weapons
https://web.archive.[...]
VERTIC
2012-08-08
[24]
웹사이트
A Legal "Red Line"? Syria and the Use of Chemical Weapons in Civil Conflict
https://www.uclalawr[...]
2013-10-15
[25]
웹사이트
The Current State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with regard to the Use of Chemical Weapons in Non-International Armed Conflicts
http://www.ismllw.or[...]
2017-2018
[26]
웹사이트
Protocol for the Prohibition of the Use in War of Asphyxiating, Poisonous or Other Gases, and of Bacteriological Methods of Warfare
https://treaties.uno[...]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4
[27]
웹사이트
Czech Republic: Su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4-07-26
[28]
서적
Verification Yearbook 2002
https://www.files.et[...]
Verification Research, Training and Information Centre (VERTIC)
2002
[29]
웹사이트
Le traité international en detail
https://www.eda.admi[...]
Federal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of Switzerland
2018-05-21
[30]
웹사이트
Protocol for the Prohibition of the Use in War of Asphyxiating, Poisonous or Other Gases, and of Bacteriological Methods of Warfare (Geneva Protocol)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3-07-31
[31]
웹사이트
Protocol for the Prohibition of the Use of Asphyxiating, Poisonous or Other Gases, and of Bacteriological Methods of Warfare. Geneva, 17 June 1925
http://www.icrc.org/[...]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3-07-31
[32]
웹사이트
States parties to the Protocol for the prohibition of the use in war of asphyxiating, poisonous or other gases, and of bacteriological methods of warfare, Done at Geneva 17 June 1925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Illinois at Chicago
2013-08-05
[33]
웹사이트
Protocol for the prohibition of the use in war of asphyxiating, poisonous or other gases, and of bacteriological methods of warfare
http://treaties.un.o[...]
United Nations Treaty Series
2013-08-05
[34]
웹사이트
Protocol for the prohibition of the use in war of asphyxiating, poisonous or other gases, and of bacteriological methods of warfare
http://www.fas.org/n[...]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3-08-05
[35]
웹사이트
Protocole concernant la prohibition d'emploi à la guerre de gaz asphyxiants, toxiques ou similaires et de moyens bactériologiques
http://www.admin.ch/[...]
Government of Switzerland
2014-07-13
[36]
웹사이트
Protocole du 17 juin 1925 concernant la prohibition d'emploi à la guerre de gaz asphyxiants, toxiques ou similaires et de moyens bactériologiques
http://www.admin.ch/[...]
Government of Switzerland
2014-07-13
[37]
웹사이트
Protocole concernant la prohibition d'emploi à la guerre de gaz asphyxiants, toxiques ou similaires et de moyens bactériologiques
http://www.admin.ch/[...]
Government of Switzerland
2013-08-15
[38]
간행물
No. 2138 - Protocol for the Prohibition of the Use in War of Asphyxiating, Poisonous or other Gases, and of Bacteriological Methods of Warfare. Signed at Geneva, 17 June 1925.
http://treaties.un.o[...]
League of Nations
2013-07-28
[39]
간행물
Banning Poison Gas and Germ Warfare: Should the United States Agree
http://iis-db.stanfo[...]
2013-08-05
[40]
웹사이트
Seventh BWC Review Conference Briefing Book
http://www.bwc2011.i[...]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2014-11-17
[41]
웹사이트
High Contracting Parties to the Geneva Protocol
http://www.sipri.org[...]
SIPRI
2013-08-05
[42]
서적
The Laws of Armed Conflicts: A Collection of Conventions, Resolutions, and Other Documents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2013-08-05
[43]
웹사이트
Geneva Protocol reservations
http://www.bwc2011.i[...]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Review Conference
2013-08-05
[44]
서적
Quale diritto nei conflitti armati?
https://books.google[...]
Giuffrè Editore
2013-08-05
[45]
문서
Binding only with regards to states which have ratified or acceded to the protocol.
[46]
문서
Ceases to be binding in regards to any state, and its allies, which does not observe the prohibitions of the protocol.
[47]
웹사이트
Algeria: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7
[48]
웹사이트
Angola: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7
[49]
웹사이트
Australia: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4-09-20
[50]
문서
Does not constitute recognition of, or establishing any relations with, Israel.
[51]
웹사이트
Bahrain: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7
[52]
웹사이트
Bangladesh: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7
[53]
웹사이트
Barbados: Su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7
[54]
웹사이트
Belgium: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7
[55]
웹사이트
Bulgaria: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56]
웹사이트
Cambodia: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57]
웹사이트
Canada: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58]
웹사이트
Chile: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59]
웹사이트
China: Su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60]
웹사이트
Estonia: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61]
웹사이트
Fiji: Su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62]
웹사이트
France: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63]
웹사이트
India: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64]
웹사이트
Iraq: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65]
웹사이트
Ireland: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66]
웹사이트
Israel: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67]
웹사이트
Jordan: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68]
웹사이트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7-08-29
[69]
문서
Ceases to be binding in the case of a violation.
[70]
웹사이트
Kuwait: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71]
웹사이트
Libya: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72]
웹사이트
Mongolia: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73]
문서
Ceases to be binding as to the use of chemical weapons in regards to any enemy state which does not observe the prohibitions of the protocol.
[74]
웹사이트
Netherlands: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8
[75]
웹사이트
New Zealand: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9
[76]
웹사이트
Nigeria: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29
[77]
웹사이트
Papua New Guinea: Su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78]
웹사이트
Romania: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79]
웹사이트
Russian Federation: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80]
웹사이트
Seventh Review Conference of Biological Weapons Convention
https://web.archive.[...]
2011-12-05
[81]
웹사이트
Article VII: Geneva Protocol Obligations and the BTWC
https://web.archive.[...]
2013-08-10
[82]
웹사이트
Slovakia: Su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83]
웹사이트
Solomon Islands: Su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84]
웹사이트
South Africa: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85]
웹사이트
Spain: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86]
웹사이트
Syrian Arab Republic: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87]
웹사이트
Thailand: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88]
웹사이트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Ratification of 1925 Geneva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89]
웹사이트
United States of America: Ratification of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90]
웹사이트
Viet Nam: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91]
웹사이트
Yemen: Accession to 1925 Geneva Protocol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of Disarmament Affairs
2013-07-31
[92]
웹사이트
国際赤十字社による締約国一覧
http://www.icrc.org/[...]
[93]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94]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