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안공 (왕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안공 왕서(齊安公 王偦)는 고려 숙종과 명의왕후의 아들로, 예종의 동생이자 인종의 숙부이다. 1106년 제안후에 봉해졌으며, 이후 제안공으로 진봉되었다. 인종 대 이자겸의 권력 남용으로 형들이 유배되자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은둔 생활을 했다. 1131년에 사망했으며, 아들 왕장은 사공을 지냈으나 의종에 의해 관직을 삭탈당한 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사공 - 윤관
고려 시대 윤관은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한 무신이자 정치가로, 숙종 대 왕권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여진 정벌을 주도하여 동북 9성을 축조했으나, 정치적 음모로 실각한 후 그의 묘는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고려의 사공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고려의 사도 - 오연총
오연총은 고려 예종 때 요나라와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여진 정벌에서 윤관의 부원수로 활약했으며, 신기군 징발 조건 완화와 서경 궁궐 창건 반대 등의 정치적 행보를 보이다가 문하시중평장사를 지내고 문양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고려의 사도 - 이자겸
고려 중기 문신 이자겸은 문종부터 인종까지 왕실 외척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누리며 문하시중에 올라 국정을 농단하고 왕위를 넘보았으나, 이자겸의 난을 일으켰다가 실패하여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 1131년 사망 - 현숙황후
북송 휘종의 황후인 현숙황후는 흠성황후의 시녀였으나 뛰어난 용모와 시재로 휘종의 총애를 받아 황후가 되었고, 정강의 변으로 금나라에 끌려가 포로 생활을 하다 오국성에서 사망 후 휘종과 함께 영우릉에 합장되었다. - 1131년 사망 - 보에몽 2세
보에몽 2세는 보에몽 1세와 콩스탕스 드 프랑스 사이에서 태어나 안티오키아 공국의 공작을 역임했으며, 킬리키아 원정 중 사망하여 딸 콘스탄스가 공국을 상속받았다.
| 제안공 (왕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휘 | 왕서 (王偦) |
| 작위 | 후, 공 |
| 시호 | 사절 (思節)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숙종 |
| 어머니 | 명의왕후 |
| 친척 | 문종(조부), 순종(숙부), 선종(숙부), 헌종(사촌), 예종(장형), 인종(조카) 등 |
| 자녀 | 왕장 |
| 생애 | |
| 출생일 | 미상 |
| 사망일 | 1131년 음력 2월 14일 |
| 사망지 | 고려 |
| 매장지 | 미상 |
| 기타 | |
| 왕조 | 고려 |
| 국적 | 고려 |
2. 생애
숙종과 명의왕후의 여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언제 태어났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성은 왕, 이름은 서(偦), 본관은 개성이다. 예종 등의 친동생이며, 순종과 선종 등의 친조카이고, 인종에게는 숙부가 된다.
1103년(숙종 8년) 정식으로 이름을 받고 예물을 하사받았다. 1106년(예종 원년) 음력 2월 2일 익성치리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상서령 수사공 상주국의 관직을 받고 '''제안후'''(齊安侯)에 봉해졌으며, 식읍 2,000호와 식실 200호를 함께 받았다.[3] 1108년(예종 3년) 음력 4월 9일에는 예종의 명으로 여진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개선한 윤관, 오연총 등을 개경 동쪽의 근교로 나가 맞이하고, 이들을 위로하는 연회를 베풀었다.[4][5]
이후 왕서는 계속해서 관직을 수여받았는데, 1110년(예종 5년) 음력 12월에는 봉화공신 수사도의 관작과 식읍 3,500호를,[6] 1114년(예종 9년) 음력 12월 16일에는 동덕공신 검교태보 수태위의 관직과 식읍 3,000호 및 식실 250호를,[7] 1115년(예종 10년) 음력 1월 17일에는 익성치리봉화공신 검교태보 수태위의 관직과 식읍 3,000호 및 식실 250호를 받았다.[8] 1122년(예종 17년) 음력 1월 3일 '''제안공'''(齊安公)으로 진봉되었다.[5][9]
인종이 외척 이자겸의 힘을 기반으로 즉위하면서 이자겸은 조정의 막강한 권력자가 되었다. 이자겸은 반대파였던 한안인과 문공인 등을 제거하고, 왕서의 친형들인 대방공과 대원공을 역모로 무고하여 유배를 보냈다.[10] 1128년(인종 6년) 이자겸은 몰락했으나, 대방공은 유배지에서 사망했고,[11] 1129년(인종 7년) 대원공만이 개경으로 돌아왔다.[12]
왕서는 친형들이 외척에 의해 유배를 가는 모습을 보면서, 호위 군사들을 물리고 손님을 만나지 않으며 술로 스스로를 감추었다. 이러한 자위책 덕분에 왕서는 화를 면할 수 있었다.[5]
2. 1. 가계 및 왕자 시절
언제 태어났는지는 분명하지 않으며, 고려 제15대 왕 숙종과 명의왕후의 여섯째 아들이다. 성은 왕, 이름은 서(偦), 본관은 개성이다. 예종 등의 친동생이며, 순종과 선종 등의 친조카이고, 인종에게는 숙부가 된다.왕서의 모후 명의왕후는 숙종의 유일한 부인으로, 문하시중을 지낸 정주 유씨 유홍의 딸이다. 당시 왕비들이 대개 인천 이씨 출신이던 때에 태조의 신혜왕후, 정덕왕후에 이어 오랜만에 탄생한 정주(지금의 경기도 개풍군) 출신의 왕비이다.[1][2]
1103년(숙종 8년) 정식으로 이름을 받고 예물을 하사받았다. 1106년(예종 원년) 음력 2월 2일 익성치리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상서령 수사공 상주국의 관직을 받고 '''제안후'''(齊安侯)에 봉해졌으며, 식읍 2,000호와 식실 200호를 함께 하사받았다.[3] 1108년(예종 3년) 음력 4월 9일에는 예종의 명으로 여진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개선한 윤관, 오연총 등을 개경 동쪽의 근교로 나가 맞이하고, 이들을 위로하는 연회를 베풀었다.[4][5]
왕서는 이후에도 계속해서 관직을 수여받았는데, 1110년(예종 5년) 음력 12월에 봉화공신 수사도의 관작과 식읍 3,500호를,[6] 1114년(예종 9년) 음력 12월 16일에는 동덕공신 검교태보 수태위의 관직과 식읍 3,000호 및 식실 250호를,[7] 바로 한 달 후인 1115년(예종 10년) 음력 1월 17일에는 익성치리봉화공신 검교태보 수태위의 관직과 식읍 3,000호 및 식실 250호를 하사받았다.[8] 1122년(예종 17년) 음력 1월 3일 '''제안공'''(齊安公)으로 진봉되었다.[5][9]
인종이 외척 이자겸의 힘을 기반으로 즉위하면서 이자겸이 조정의 막강한 권력자가 되었다. 이자겸은 자신의 반대파였던 한안인과 문공인 등의 일파를 차례차례 제거하기 시작하였고, 왕서의 친형들인 대방공과 대원공을 역모를 꾀했다는 내용으로 무고하여 유배를 보내게 하였다.[10] 1128년(인종 6년) 이자겸은 몰락하였으나, 대방공은 유배지에서 이미 사망한 뒤였고,[11] 1129년(인종 7년) 대원공만이 겨우 살아남아 개경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12] 친형들이 외척에 의해 유배를 가는 모습을 보면서, 왕서는 스스로 자신을 호위하는 군사들을 모두 물리기 시작했다. 또 자신에게 오는 손님들을 만나지 않고 집에서 나오지도 않았으며, 항상 술을 마시면서 스스로를 감추었다. 이러한 자위책 덕분에 왕서는 겨우 화를 면할 수 있었다.[5]
2. 2. 관직 생활 및 이자겸의 난
1103년(숙종 8년) 왕서는 정식으로 이름을 받고 예물을 하사받았다. 1106년(예종 원년) 음력 2월 2일 익성치리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상서령 수사공 상주국의 관직을 받고 '''제안후'''(齊安侯)에 봉해졌으며, 식읍 2,000호와 식실 200호를 함께 하사받았다[3]. 1108년(예종 3년) 음력 4월 9일에는 예종의 명으로 여진과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개선한 윤관, 오연총 등을 개경 동쪽의 근교로 나가 맞이하고, 이들을 위로하는 연회를 베풀었다[4][5].이후 왕서는 계속해서 관직을 수여받았는데, 1110년(예종 5년) 음력 12월에는 봉화공신 수사도의 관작과 식읍 3,500호를[6], 1114년(예종 9년) 음력 12월 16일에는 동덕공신 검교태보 수태위의 관직과 식읍 3,000호 및 식실 250호를[7], 1115년(예종 10년) 음력 1월 17일에는 익성치리봉화공신 검교태보 수태위의 관직과 식읍 3,000호 및 식실 250호를 하사받았다[8]. 1122년(예종 17년) 음력 1월 3일 '''제안공'''(齊安公)으로 진봉되었다[5][9].
인종이 외척 이자겸의 힘을 기반으로 즉위하면서 이자겸은 조정의 막강한 권력자가 되었다. 이자겸은 반대파였던 한안인과 문공인 등을 제거하고, 왕서의 친형들인 대방공과 대원공을 역모로 무고하여 유배를 보냈다[10]. 1128년(인종 6년) 이자겸이 몰락했으나, 대방공은 유배지에서 사망했고[11], 1129년(인종 7년) 대원공만이 개경으로 돌아왔다[12].
왕서는 친형들이 외척에 의해 유배를 가는 모습을 보면서, 호위 군사들을 물리고 손님을 만나지 않으며 술로 스스로를 감추었다. 이러한 자위책 덕분에 왕서는 화를 면할 수 있었다[5].
2. 3. 사망과 후손
왕서는 아들 하나를 두었다. 아들의 이름은 왕장이며, 사공에 봉해졌다. 왕장은 평소 무뢰배처럼 행동하고 활쏘기와 말타기를 좋아했으며, 직장동정 이귀수와는 술을 마시고 도박을 하며 격구를 자주 하였다고 한다. 또 인종의 아들 왕충희와도 자주 어울렸다. 당시 왕충희는 흥왕사에 있었는데, 1155년(의종 9년) 음력 12월 이 절의 관구내시(管勾內侍) 박회준이 "두 사람의 속내를 추측할 수 없다."고 고변하였다. 이에 의종은 왕장의 사공 벼슬을 삭탈하고 이귀수는 인주(지금의 충청남도 아산시[14])로 유배를 보냈다. 왕장은 의종의 이러한 처사에 분개하다가 얼마 후 죽었다.[5][15]3. 가족 관계
|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 조부 | 문종 | 1019년 - 1083년 | 고려 제11대 왕 |
| 조모 | 인예왕후 | ? - 1092년 | |
| 백부 | 순종 | 1047년 - 1083년 | 고려 제12대 왕 |
| 백부 | 선종 | 1049년 - 1094년 | 고려 제13대 왕 |
| 사촌 | 헌종 | 1084년 - 1097년 | 고려 제14대 왕 |
| 아버지 | 숙종 | 1054년 - 1105년 | 고려 제15대 왕 |
| 외조부 | 유홍 | ? - 1091년 | |
| 어머니 | 명의왕후 | ? - 1112년 | |
| 형 | 예종 | 1079년 - 1122년 | 고려 제16대 왕 |
| 조카 | 인종 | 1109년 - 1146년 | 고려 제17대 왕 |
| 형 | 상당후 왕필 | ? - 1099년 | |
| 형 | 원명국사 징엄 | 1090년 - 1141년 | |
| 형 | 대방공 왕보 | ? - 1128년 | |
| 형 | 대원공 왕효 | 1093년 - 1161년 | |
| 동생 | 통의후 왕교 | 1097년 - 1119년 | |
| 남매 | 대령궁주 | ? - 1114년 | |
| 남매 | 흥수궁주 | ? - 1122년 | |
| 남매 | 안수궁주 | 생몰년 미상 | |
| 남매 | 복녕궁주 | 1096년 - 1133년 | |
| 아내 | 미상 | 미상 | |
| 아들 | 왕장 | ? - 1155년 |
참조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정주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2]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유홍〉
https://web.archive.[...]
2012-08-01
[3]
서적
왕제들에게 관작을 내리다
[4]
서적
여진 정벌군이 개선하다
[5]
서적
제안후 왕서
[6]
서적
왕보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7]
서적
왕보 등을 관직에 임명하다
[8]
서적
왕제 서를 검교태보 수태위로 삼다
[9]
서적
왕효를 태보로 임명하고 왕서를 공으로 올리다
[10]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이자겸〉
https://web.archive.[...]
2012-08-01
[11]
서적
대방공 왕보
[12]
서적
대원공 왕효
[13]
서적
제안공 왕서가 죽다
[14]
두산백과
왕장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15]
동국통감
《동국통감》권24 고려기 1155년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