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흑돼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흑돼지는 제주도에서 사육되는 흑돼지로, 1970년대까지는 '똥돼지'라고 불리며 돗통시(화장실)에서 길러졌다. 1903년 서구 개량종 도입과 1950~60년대 정부 주도의 양돈 사업을 거쳐 대규모 사육이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재래 흑돼지와 버크셔종을 교배한 비육용 흑돼지가 주로 사육된다. 제주 흑돼지는 제주도의 혼례, 상례 등에서 중요한 음식 재료로 사용되었으며, 흑돼지를 이용한 순대, 몸국, 돔베고기, 고기국수 등 다양한 음식 문화가 발달했다. 제주 흑돼지는 제주를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로,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돼지 품종 - 도쿄 X
도쿄 X는 랜드레이스, 듀록, 버크셔 품종을 교배하여 개발된 돼지 품종으로, 뛰어난 마블링과 풍부한 감칠맛을 특징으로 하며, 안전성, 생명력학, 동물 복지, 품질을 핵심 가치로 도쿄도 다마 지역에서 생산된다. - 돼지 품종 - 듀록돼지
듀록돼지는 1800년대 초 뉴잉글랜드에서 발달한 적색 돼지 품종으로, 고기 생산을 위해 사육되며 강인함과 빠른 근육 성장을 특징으로 하며 게놈 서열 분석을 한 최초의 돼지이기도 하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천연기념물 - 마라도
마라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의 섬으로, 해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풍부한 해양 생태계, 최남단이라는 상징성을 지닌 관광 명소이지만, 최근 고양이 개체 수 증가로 인한 생태계 교란 문제가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의 천연기념물 - 제주 중문·대포 해안 주상절리대
제주 중문·대포 해안 주상절리대는 서귀포시 중문동과 대포동 해안에 있는 육각기둥 모양의 절벽이 장관을 이루는 주상절리 해안으로, 현재는 보호를 위해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 - 제주시의 문화유산 - 거문오름
거문오름은 숲이 우거져 검게 보이는 한라산의 단성화산체로,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용암 동굴 형성 및 일본군 군사시설 존재로 천연기념물과 과거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된다. - 제주시의 문화유산 - 차귀도
차귀도는 제주도 서쪽 해안에 있는 죽도와 와도 두 섬으로 이루어진 무인도로,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으로 다양한 아열대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해양 동식물의 보고이며, 생태적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
제주흑돼지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국어 | 제주흑돼지 |
로마자 표기 | Jeju heukdwaeji |
품종 정보 | |
원산지 | 한국 |
문화재 정보 | |
이름 | 제주흑돼지 |
유형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지정 번호 | 550 |
지정일 | 2015년 3월 17일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 315 - 7 등 (제주축산진흥원 내) |
소유자 | 제주축산진흥원 |
참고 사항 | 지정 대상: 제주축산진흥원 내 사육 중인 제주흑돼지로서 표준 품종으로 등록된 개체 |
사육 두수 (2015년 3월 기준) | 제주축산진흥원 내 260여 마리 사육 중 |
2. 역사
제주흑돼지는 삼국지위지동이전(285년), 탐라지(1651~1653년), 성호사설(1681~1763년), 해동역사(1823년) 등 옛 문헌에도 기록이 전해질 만큼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학술적 가치가 높다.[6] 2세기에서 5세기 무렵 한라산과 들판에 서식하던 야생 멧돼지를 길들여 키운 것이 그 기원으로 여겨진다. 오랜 세월 제주도의 생활, 민속, 의식주, 신앙 등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독특한 문화적·향토적 가치를 형성해 왔다.[6]
제주흑돼지는 제주 특유의 기후와 풍토에 잘 적응하여 체질이 강건하고 질병 저항성이 강한 특성을 지니며, 육지 돼지와는 다른 고유한 형질을 가지고 있다.[6] 과거에는 '돗통시'라 불리는 제주 전통 화장실에서 사육되기도 했으나,[7] 1970년대 이후 위생 문제 등으로 현대적인 사육 방식으로 변화하였다.[7] 또한, 20세기 초부터는 요크셔종, 버크셔종 등 외래 품종과의 교배를 통한 개량도 이루어져 왔다.[13]
제주흑돼지는 돔베고기, 고기국수, 몸국, 순대 등 제주 향토 음식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오늘날에도 제주를 대표하는 식재료로 사랑받고 있다.
1986년부터 제주축산진흥원에서 제주 재래돼지 5마리를 확보하여 순수 혈통 보존 및 복원 사업을 시작했으며, 현재 약 260여 마리가 국가 유전자원으로서 관리되고 있다.[6] 이러한 역사적, 문화적, 유전적 가치를 인정받아 천연기념물 지정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6] 관련 등록 현황은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와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에서 확인할 수 있다.[6]
2. 1. 고대
삼국지위지동이전(285년), 탐라지(1651~1653년), 성호사설(1681~1763년), 해동역사(1823년) 등 옛 문헌에는 제주도에서 흑돼지를 길렀다는 기록이 전해져 온다.[6] 2세기에서 5세기 무렵, 한라산과 들판에 살던 야생 멧돼지를 포획하여 가축화한 것이 제주흑돼지의 시작으로 여겨진다.[6] 이러한 오랜 역사를 통해 제주흑돼지는 제주도의 생활, 민속, 의식주, 신앙 등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문화적·향토적 가치를 지니게 되었다.[6]2. 2. 근대
1903년 서구 개량종인 요크셔종이 들어왔고, 1905년 버크셔종이 들어와 토종 돼지와 교배했다.[13] 이후 여러 차례 교배와 개량을 거쳐 현재의 제주 돼지가 만들어졌다.[13] 집에서만 키우던 제주 돼지가 대규모로 길러지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1960년대 정부 주도의 양돈 사업이 시작되면서부터다.[13]1970년대까지 제주도 돼지는 각 가정의 '돗통시'(돼지를 키우는 화장실)에서 길러져 '똥돼지'라고 불렸다.[7] 이러한 사육 방식은 전남 일부 지역,[12] 일본의 오키나와, 대만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돗통'은 인분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 퇴비 생산, 뱀 방어 등 다양한 역할을 했다. 특히 채식 위주 식생활에서 나온 인분은 영양분과 섬유소, 유산균이 풍부하여 돼지의 질병 면역력을 높여주었다. 그러나 1970년대 말 제주도 관광 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비위생적인 재래식 변소 추방 운동이 벌어져 더 이상 화장실에서 돼지를 키우지 않게 되었다.[7] 20세기 후반까지 일부 돼지 변소에서 돼지를 키웠는데, 화장실 아래 구덩이에 돼지를 두고 배설물을 먹게 하는 방식이었다.[4][5] 1960년대부터 점차 일반적인 사료 공급 방식으로 바뀌었으며, 일부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고기 풍미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도 한다.[4][5]
현재 제주 농가에서는 재래 흑돼지와 영국의 버크셔종을 교배한 비육용 흑돼지를 주로 키운다. 재래 흑돼지는 몸집이 작아 상품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개량된 흑돼지는 일반 돼지고기보다 30~40% 정도 비싼 가격에 판매되는데, 이는 사육 환경 개선과 수십 년간의 품종 개량 및 품질 관리 덕분이다.
제주 흑돼지고기는 독특한 맛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지역 요리의 기본이 된다. 특히 타는 건초 위에서 훈연하여 독특한 풍미와 쫄깃한 식감을 내는 것으로 유명하다.[3] 돼지고기는 제주의 혼례나 상례 같은 큰일에 빠지지 않는 중요한 음식 재료였으며, 돼지를 잡는 과정인 '추렴'은 이웃, 친척, 마을 간 공동체를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이를 통해 제주만의 독특한 음식 문화가 발전했는데, 돼지 피와 내장을 이용한 순대(수애), 육수에 모자반을 넣고 만든 몸국, 돔베고기, 돼지고기 적갈, 고기국수 등이 대표적이다.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 민속촌에는 재래 흑돼지를 이용한 전통 문화를 보여주기 위해 '돗통'을 재현한 관광 시설이 있다. 제주 관광객 대상 선호도 조사에서 흑돼지 고기가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흑돼지 음식 문화는 제주를 대표한다.
2. 3. 현대
1903년 서구 개량종인 요크셔종이 들어왔고, 1905년 버크셔종이 들어와 토종 돼지와 교배했다. 이후 여러 차례 교배를 통한 개량으로 현재의 제주 돼지가 만들어졌다.[13] 집에서만 키우던 제주 돼지가 대규모로 길러지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1960년대 정부 주도의 양돈 사업이 시작되면서부터다.[13]1970년대까지 제주도 돼지는 각 가정의 '돗통시'(돼지가 키워지는 화장실)에서 길러져 '똥돼지'라고 불렸다.[7] 이는 돼지 변소 형태로, 화장실 아래 구덩이에 돼지를 두고 인분을 먹게 하는 방식이었다.[4][5] 이러한 사육 방식은 전남 일부 지역,[12] 일본의 오키나와, 대만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7] '돗통'은 인분과 음식물 쓰레기 처리, 퇴비 생산, 뱀 방어 등 다양한 역할을 했다. 특히 채식 위주 식생활에서 나온 인분은 영양분과 섬유소, 유산균이 풍부하여 돼지의 질병 면역력을 높여주었다.
1960년대부터는 점차 일반적인 사료를 먹이는 방식으로 바뀌었다.[4][5] 1970년대 말에는 제주도 관광 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비위생적인 재래식 변소 추방 운동이 벌어져 돗통시에서의 사육은 거의 사라졌다.[7] 일부에서는 사료 공급 방식의 변화가 돼지고기 맛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도 한다.[4][5]
현재 제주 농가에서는 재래 흑돼지와 영국의 버크셔종을 교배한 개량종을 주로 사육한다. 이는 재래 흑돼지만으로는 몸집이 작아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생산된 제주 흑돼지고기는 일반 돼지고기보다 30~40% 정도 비싼 가격에 판매되는데, 이는 사육 환경 개선과 수십 년간 이어진 품종 개량 및 품질 관리의 결과이다. 제주 흑돼지고기는 독특한 맛으로 유명하며, 일부는 타는 건초 위에서 훈연하여 특별한 풍미와 쫄깃한 식감을 더하기도 한다.[3]
돼지고기는 제주의 혼례나 상례 등 큰일에 빠지지 않는 중요한 음식 재료였다. 돼지를 잡는 과정(추렴)은 이웃, 친척, 마을 간의 공동체를 강화하는 역할을 했으며, 이는 제주만의 독특한 음식 문화 발전으로 이어졌다. 특히 돼지 피와 내장을 이용한 순대(수애), 육수에 모자반을 넣고 만든 몸국, 돔베고기, 돼지고기 적갈, 고기국수 등이 대표적이다. 서귀포시 표선면의 성읍민속마을에는 재래 흑돼지를 이용한 전통 문화 계승을 위해 '돗통'을 재현한 관광 시설이 있다. 제주 관광객 대상 선호도 조사에서 흑돼지 고기가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흑돼지를 이용한 음식 문화는 제주를 대표하는 상징 중 하나가 되었다.
3. 특징
제주흑돼지는 삼국지 위지 동이전(285년), 탐라지(1651~1653년), 성호사설(1681~1763년), 해동역사(1823년) 등 여러 옛 문헌에 제주도에서 길렀다는 기록이 전해져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다.[6] 또한 제주흑돼지는 제주도의 생활, 민속, 의식주, 신앙 등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 문화적·향토적 가치 또한 뛰어나다.[6]
제주흑돼지는 제주 특유의 기후와 풍토에 잘 적응하여 체질이 강건하고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특성을 지닌다. 육지 돼지와는 다른 고유한 형질을 가지고 있어 차별화된다.[6] 이러한 가치 때문에 1986년부터 제주축산진흥원에서 순수 혈통 보존 및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현재 약 260여 마리가 관리되고 있다. 한때 절종 위기에 놓였던 제주흑돼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제기되었다.[6] 제주흑돼지 등록 현황은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와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에서 확인할 수 있다.[6]
돼지고기는 제주의 혼례나 상례 등 큰일에 빠지지 않는 중요한 음식 재료였으며, 돼지를 잡고 나누는 과정을 통해 이웃, 친척, 마을 간의 공동체를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만의 독특한 음식 문화가 발전했는데, 돼지 피와 내장을 이용한 순대(수애), 육수에 모자반을 넣고 끓인 몸국, 돔배고기, 돼지고기 적갈, 고기국수 등이 대표적이다.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민속마을에는 과거 돼지를 기르던 '돗통'을 재현한 관광 시설이 있으며, 제주를 찾는 관광객들이 가장 선호하는 전통 음식으로 흑돼지 고기가 꼽힐 만큼 제주를 대표하는 음식 문화로 자리 잡았다.
3. 1. 유전적 특징
2세기부터 5세기 사이에 한라산과 들판에 살던 야생 멧돼지를 길들여 키운 것이 제주흑돼지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흑돼지는 제주도 특유의 기후와 풍토에 잘 적응하여 체질이 튼튼하고 질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육지 돼지와는 다른 유전적 형질을 보유하고 있어 차별성을 지닌다.[6] 이러한 고유한 유전적 특성 때문에 국가 유전자원 확보 차원에서도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한때 절종 위기에 처했던 제주흑돼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존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다.[6]3. 2. 사육 방식
1970년대까지 제주도에서는 돼지를 각 가정의 화장실인 '돗통시'에서 길렀으며, 이 때문에 '똥돼지'라고 불렸다.[7] 이러한 방식은 전남 일부 지역,[12] 일본의 오키나와, 대만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돗통'은 인분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퇴비를 생산하며, 뱀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했다. 특히 채식 위주 식단의 인분은 영양분과 섬유소, 유산균이 풍부하여 돼지의 질병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그러나 1970년대 말, 제주도 관광 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비위생적인 재래식 변소를 추방하는 운동이 벌어져 돗통시에서의 사육은 점차 사라졌다.[7] 일부에서는 1960년대부터 시작된 일반 사료 공급 방식으로의 전환이 돼지고기 본연의 풍미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도 한다.[4][5]
제주 돼지의 대규모 사육은 1950년대와 1960년대 정부 주도의 양돈 사업이 시작되면서 본격화되었다. 1903년에는 서구 개량종인 요크셔종이, 1905년에는 버크셔종이 도입되어 토종 돼지와 교배되었다.[13] 지속적인 교배와 개량을 통해 현재의 제주 돼지가 만들어졌다.[13]
오늘날 제주 농가에서는 주로 재래 흑돼지와 영국의 버크셔종을 교배한 비육용 흑돼지를 기른다. 이는 재래 흑돼지가 몸집이 작아 상품성이 높은 고기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수십 년간 이어진 사육 환경 개선, 품종 개량, 품질 관리의 결과로, 제주 흑돼지고기는 일반 돼지고기보다 30~40% 정도 높은 가격에 판매된다. 또한, 제주 흑돼지고기는 독특한 맛으로 유명하며, 일부 지역 요리의 중요한 재료가 된다. 특히 타는 건초 위에서 훈연하는 방식은 독특한 풍미와 쫄깃한 식감을 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4. 문화
제주도의 생활, 민속, 의식주, 신앙 등 문화 전반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어 문화적·향토적 가치가 뛰어나다.[6] 과거에는 '돗통시'라는 독특한 환경에서 사육되었으며,[7] 이는 단순한 사육을 넘어 제주인의 생활 방식과 연결되어 있었다. 돼지고기는 제주의 혼례나 상례 등 중요한 의례에 필수적인 음식 재료로 사용되었고, 이를 함께 나누는 과정(추렴)은 공동체 유대를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순대(수애), 몸국, 돔베고기, 고기국수 등 제주 고유의 음식 문화가 발전하는 토대가 되었다.
4. 1. 제주 문화와의 연관성
제주흑돼지는 제주도의 생활, 민속, 의식주, 신앙 등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어 문화적·향토적 가치가 뛰어나다.[6]4. 2. 음식 문화
1970년대까지 제주도의 돼지는 각 가정의 '돗통시'(돼지를 키우는 화장실)에서 길러졌기 때문에 '똥돼지'라고 불리기도 했다.[7] 이러한 사육 방식은 전남 일부 지역,[12] 일본의 오키나와, 대만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다. '돗통'은 인분과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퇴비를 생산하며, 뱀으로부터 집을 방어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채식 위주 식생활에서 나온 인분은 영양분과 함께 섬유소, 유산균이 풍부하여 돼지의 질병 면역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그러나 1970년대 말, 제주도 관광 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위생 개선을 위한 재래식 변소 추방 운동이 벌어졌고, 이로 인해 돗통시에서의 사육 방식은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7] 20세기 후반까지 일부 돼지 변소에서 사육되기도 했으나, 1960년대부터는 점차 일반적인 사료를 급여하는 방식으로 변화했다. 일부에서는 이러한 사육 방식의 변화가 돼지고기 본연의 풍미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도 한다.[4][5]
제주 돼지가 집에서 소규모로 길러지던 것을 넘어 대규모로 사육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와 1960년대 정부 주도의 양돈 사업이 시작되면서부터이다. 1903년에는 서구 개량종인 요크셔종이, 1905년에는 버크셔종이 들어와 토종 돼지와 교배되기 시작했다. 이후 여러 차례의 교배를 통한 품종 개량 과정을 거쳐 현재의 제주 돼지에 이르게 되었다.[13] 현재 제주 농가에서는 주로 재래 흑돼지와 영국의 버크셔종을 교배하여 육량과 상품성을 높인 비육용 흑돼지를 육성하고 있다. 이는 재래 흑돼지만으로는 몸집이 작아 상업적으로 충분한 양의 고기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주 흑돼지고기는 일반 돼지고기보다 약 30~40% 높은 가격에 판매되는데, 이는 수십 년간 이어진 사육 환경 개선, 품종 개량 및 품질 관리 노력의 결과이다.
돼지고기는 제주의 전통적인 큰일(혼례, 상례 등)에 빠지지 않는 중요한 음식 재료였다. 돼지를 잡고 나누는 과정(추렴)은 이웃, 친척, 마을 간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역할을 했으며, 이는 제주 특유의 음식 문화가 발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특히 돼지 피와 내장을 이용한 순대(수애), 돼지 뼈 육수에 모자반을 넣어 끓인 몸국, 삶은 돼지고기를 도마 위에 썰어 먹는 돔베고기, 돼지고기 적갈, 고기국수 등이 이러한 배경 속에서 탄생한 대표적인 향토 음식이다. 서귀포시 표선면의 성읍민속마을에는 재래 흑돼지를 이용한 전통문화 계승을 표방하며 과거의 '돗통'을 재현한 관광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제주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한 선호도 조사에서 흑돼지 고기가 1위를 차지할 정도로, 흑돼지를 활용한 음식 문화는 제주를 대표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제주 흑돼지고기는 독특한 맛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여러 향토 음식의 기본 재료로 사용된다. 특히, 타는 건초 위에서 훈연하는 전통적인 조리 방식은 흑돼지고기에 독특한 풍미를 더하고 쫄깃한 식감을 만들어낸다고 알려져 있다.[3]
5. 보존 노력
제주흑돼지는 삼국지위지동이전(285년), 탐라지(1651~1653년), 성호사설(1681~1763년), 해동역사(1823년) 등 옛 문헌에 제주도에서 길렀다는 기록이 전해지고 있어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다.[6] 2세기에서 5세기경 한라산과 들판에 서식하던 야생 멧돼지를 잡아다 길들여 키운 것이 제주흑돼지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제주흑돼지는 제주도의 생활, 민속, 의식주, 신앙 등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어 문화적·향토적 가치가 뛰어나며, 제주도 특유의 기후와 풍토에 잘 적응하여 체질이 강건하고 질병 저항성이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6]
이러한 제주흑돼지를 보존하기 위해 1986년부터 제주축산진흥원에서 제주도 내 재래돼지 5두를 구입하여 순수계통번식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복원 사업을 통해 현재 260여 마리를 보존 및 관리하고 있으며, 국가 유전자원 확보 차원에서도 절종 위기에 처한 제주흑돼지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존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6]
제주흑돼지 등록 현황은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와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에서 열람할 수 있다.[6]
참조
[1]
웹사이트
Native Black Pig
http://www.invil.org[...]
[2]
뉴스
Jeju to offer pig farm to DPRK
http://www.nkeconwat[...]
2009-01-16
[3]
웹사이트
Local food in Jeju
http://english.tour2[...]
[4]
간행물
Waste not, want not - Jeju's black pig
http://www.koreahkfr[...]
English Street
2007-03-13
[5]
뉴스
Jeju’s black pig still tasty on the table
http://joongangdaily[...]
JoongAng Daily
2007-02-15
[6]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천연기념물) 지정 고시(제주흑돼지)
문화재청장
2015-03-17
[7]
서적
돼지고기 계보학, 삼겹살의 시작
팜커뮤니케이션
2019
[8]
네이버지식백과
돔베고기
https://terms.naver.[...]
[9]
서적
돼지고기 계보학, 삼겹살의 시작
팜커뮤니케이션
2019
[10]
네이버지식백과
흑돼지오겹살
https://terms.naver.[...]
[11]
서적
돼지고기 계보학, 삼겹살의 시작
팜커뮤니케이션
2019
[12]
서적
우리문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신문사
1996
[13]
뉴스
돼지가 화장실도 따로 쓴다? 깔끔 떠는 '제주 흑돼지' 정체
https://n.news.naver[...]
2021-06-26
[14]
네이버지식백과
함양 흑돼지(咸陽黑--)
https://terms.naver.[...]
[15]
네이버지식백과
지례 흑돼지(知禮黑--)
https://terms.naver.[...]
[16]
네이버지식백과
베이징 흑돼지(北京黑猪)
https://terms.naver.[...]
[17]
네이버지식백과
베트남 포트벨리(Lợn ỉ)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