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6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기갑사단은 1937년 10월 프랑스의 경기계화사단을 모방하여 창설된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이다. 제1경기계화여단으로 시작하여 제1경사단으로 개편된 후, 1939년 폴란드 전역 참전 이후 제6기갑사단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폴란드, 프랑스, 소련 등 주요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1945년 5월 미국 제3군에 항복하며 종전을 맞이했다. 사단은 1940년 프랑스 전투에서 프랑스군 포로를 학살하는 등 전쟁 범죄에 연루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 - 제3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제3기갑사단은 1935년 창설된 독일 국방군 최초의 기갑사단 중 하나로, 폴란드, 프랑스 침공에서 큰 전과를 올렸지만 동부 전선에서 격렬한 전투를 치르며 막대한 손실을 입고 주요 전투에 참여 후 1945년 미군에 항복한, 제2차 세계 대전의 격변과 기갑전의 중요성, 장기전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 독일 국방군의 기갑사단 - 기갑교도사단
    기갑교도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정예 기갑사단으로, 주요 기갑학교 출신 병력과 최신예 전차 및 장비를 갖추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나 연합군에 패배하여 해체되었다.
  • 1937년 설립 - 고라쿠엔 구장
    1937년 도쿄에 개장한 고라쿠엔 구장은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야구장이자 요미우리 자이언츠 등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며 왕정치 선수의 홈런 기록 등 명장면을 연출했고, 야구 외 다양한 스포츠 및 문화 행사가 개최되었으며, 1987년 폐장 후 그 기능은 도쿄 돔으로 계승되었다.
  • 1937년 설립 - 신사군
    신사군은 제2차 국공합작 이후 중국 공산당이 조직한 군대로, 항일 전쟁과 국공 내전에 참전하다가 1947년 중국인민해방군에 편입되어 해체되었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제6기갑사단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부대 명칭제6기갑사단
원어 명칭6. Panzer-Division (독일어)
제6기갑사단의 35(t)전차, 1941년
제6기갑사단의 35(t)전차, 1941년.
소속 국가제3제국
군 종류[[파일:War Ensign of Germany 1938-1945.svg|25px]] 육군
역할기갑전
규모사단
지휘 구조[[파일:Balkenkreuz.svg|20px]] 독일 국방군
주둔지: 부퍼탈
별칭없음
표어없음
색상없음
군가없음
마스코트없음
창설 시기1939년
전투 및 작전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침공
벨기에 전투
프랑스 전투
바르바로사 작전
쿠르스크 전투
코르순 포위전
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
지휘관
주요 지휘관없음
식별표식
제6기갑사단 로고
기장
제6기갑사단 로고 (1941년)
기장 (1941년)
제6기갑사단 로고 (쿠르스크)
기장 (쿠르스크)

2. 역사

제6기갑사단의 모체가 된 제1경보병여단은 1937년 10월에 창설되었다. 이 여단은 기병의 정찰 및 경비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기계화 정찰 부대, 자동차화 보병 부대, 전차 대대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 경보병 여단의 결함이 드러나면서 추가 여단 창설 계획은 중단되었다.[1]

1938년 4월, 제1경보병여단은 제1경사단으로 재편성되었고, 1939년 폴란드 침공에 참전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의 시작을 알렸다. 폴란드 침공에서 드러난 경사단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0월에 제6기갑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제7기갑사단, 제8기갑사단, 제9기갑사단도 각각 제2, 제3, 제4경사단에서 재편성되었다.[2][3]

1940년 프랑스 전투에서 제6기갑사단은 벨기에를 거쳐 영국 해협까지 진출하는 계획에 따라 작전을 수행했다. 이후 동프로이센으로 이동하여 1941년 6월까지 주둔했다.

1941년 6월,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독소전쟁이 시작되자 제6기갑사단은 중부집단군 예하에서 첫 번째 전투를 치렀다. 4 기갑집단군 소속으로 리투아니아쪽으로 진격했다.[3] 라세냐이아에서 소련군의 KV-2 중전차에 의해 진격이 저지되기도 했다.[3]

1941년 10월, 타이푼 작전을 위해 중앙집단군에 배속되어 르제프-뱌지마 돌출부 전투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12월 소련의 반격으로 큰 피해를 입고 1942년 3월 프랑스로 이동하여 재편성을 받았다.[7]

1942년 말, 다시 러시아 전선으로 이동한 제6기갑사단은 스탈린그라드에 포위된 6군 구출작전(겨울 폭풍 작전)에 투입되었으나 실패했다.[7] 1943년 쿠르스크 전투에서는 XLVIII기갑군단 소속으로 남부 전선에 참전했다.[8]

코르순 포위전과 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에서 철수에 성공한 후, 1944년 6월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인해 다시 동부 전선에 투입되었다. 1944년 12월 헝가리로 이동하여 부다페스트 방어전에 참여했으나, 부다페스트 함락 이후 오스트리아로 철수하여 빈 방어전을 치렀다. 1945년 4월 빈 함락 이후 체코슬로바키아로 이동하여 1945년 5월 미국 제3군에 항복했다.[8]

1940년 6월 중순, 제6기갑사단 병사들은 프랑스군 제12 연대 소속 흑인 포로들을 불특정 다수 처형한 것으로 알려졌다.[9]

2. 1. 창설과 초기 편성 (1937-1939)

1937년 10월, 독일 국방군은 프랑스의 경기계화사단(Division Légère Mécanique|경기계화사단프랑스어)을 모방하여 제1경기계화여단을 창설했다. 이 여단은 전통적으로 기병이 수행해 온 정찰 및 경비 등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기계화 정찰 부대, 자동차화 보병 부대, 전차 대대로 구성되었다.[1]

1938년 4월, 제1경기계화여단은 '''제1경사단'''으로 재편성되었고, 제11기갑연대를 포함하여 1938년 10월의 주데텐 병합, 1939년 3월의 체코슬로바키아 해체에 참여했다. 이로 인해 당시 장비하고 있던 1호 전차, 2호 전차보다 성능이 뛰어난 체코슬로바키아제 전차 130대를 보유하게 되었다.

2. 2. 폴란드 침공과 재편 (1939)

1938년 4월, 제1경보병여단은 제1경사단으로 재편성되었고, 제11기갑연대를 포함하여 10월의 주데텐 병합, 1939년 3월의 체코슬로바키아 해체에 참여했다. 이로 인해 당시 장비하고 있던 1호 전차, 2호 전차보다 성능이 뛰어난 체코슬로바키아제 전차 130대를 보유하게 되었다. 1939년 9월, 제1경사단은 폴란드 침공에 참전하여 제2차 세계 대전의 시작을 알렸다.[2][3] 작전 중 드러난 경사단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10월에 '''제6기갑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제7기갑사단, 제8기갑사단, 제9기갑사단도 마찬가지로, 각각 제2, 제3, 제4경사단에서 재편성된 사단이다.[2][3]

폴란드 전투 당시 제6기갑사단의 전차 전력은 다음과 같았다.[13]

전차 종류수량
2호 전차65대
4호 전차41대
35(t) 전차112대
총계226대


2. 3. 프랑스 전투 (1940)

1940년 프랑스 전투에서 제6기갑사단은 벨기에를 거쳐 영국 해협까지 진출하는 독일군의 계획에 따라 작전을 수행했다. 제11기갑연대는 체코슬로바키아제 35(t) 전차 75대를 보유했지만,[4] 수리 매뉴얼이 독일어가 아닌 체코어로 되어 있어 정비에 어려움을 겪었다. 그 외에도 지휘관용 35(t) 지휘 전차 6대, 2호 전차 45대, 4호 전차 27대가 배치되었다.[5][6]

1940년 9월, 제6기갑사단은 영국 해협 방면에서 프랑스-스위스 국경 방면으로 철수했고, 이후 동프로이센으로 이동했다.

2. 4. 독소전쟁 초기 (1941-1942)

1941년 6월, 바르바로사 작전에 참전하여 중부집단군 예하에서 첫 번째 전투를 치렀다. 6 기갑사단은 4 기갑집단군(사령관 : 에리히 회프너 상급대장) 예하 한스 게오르그 라인하르트 기갑대장의 41 차량화군단 소속으로 동프로이센에서 출발하여 리투아니아쪽으로 진격했다.[3]

전쟁 2일째인 6월 23일, 라세냐이아에서 소련군의 최신예 중(重)전차인 KV-2를 장비한 소련군 2 전차사단에 의해 하루 동안 진격이 저지당했다. 6 기갑사단이 보유한 독일제 4호전차와 체코슬로바키아의 스코다 사제 35(t) 경전차로는 KV-2를 당해낼 수 없었고, 사단이 보유한 대전차포들도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이 사건은 뒤에 닥칠 T-34 충격과 더불어 소련군이 만만한 상대가 아님을 알려주는 사건이었지만, 승승장구하던 독소전 초기 독일군은 전투가 마무리된 후 41 군단은 드비나 강까지 3주 동안 750Km를 주파하는 동안 잊혀졌다.[3]

라세냐이아 전투에서 6기갑 사단은 다음 2개의 전투단을 형성했다.

  • '''폰 제켄도르프 전투단''' - 제114자동차화 보병 연대, 제57기갑 정찰 대대, 제41전차 구축 대대 1개 중대, 제6오토바이병 대대(오전만)로 구성.
  • '''라우스 전투단''' - 제11전차 연대, 제4자동차화 보병 연대 1개 대대, 제76포병 연대 제1 및 제3대대, 제57기갑 공병 대대 1개 중대, 제41전차 구축 대대 1개 중대, 제411육군 대공포병 연대 제2대대, 제6오토바이병 대대(오후만)로 구성.


6월 23일, 폰 제켄도르프 전투단은 아침에만 제6오토바이병 대대를 동반했지만, 스카우드빌레 부근에서 소련의 예고르 솔랸킨이 이끄는 제2전차사단 (제3기계화군단 예하)에 의해 격파되었다. 독일의 35(t) 전차와 대전차 무기는 소련의 중전차에 전혀 대항할 수 없었고, 일대일 대결에서는 양측의 역량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일군은 군용 트럭을 이용하여 소련 전차를 사격하거나, 포병 부대 및 대공포, 부착 지뢰를 사용하여 격파하는 등 소련군의 발을 묶는 데 집중하여 대응했다.

1941년 10월 모스크바 공략을 목표로 한 타이푼 작전을 위해 제4기갑집단은 중앙집단군의 지휘 하에 배치되어, 르제프-뱌지마 돌출부 전투에 투입되었다. 1941년 12월 소련의 반격 작전으로 사단은 밀려났고, 그 과정에서 사단이 보유하고 있던 전차와 차량의 대부분을 잃었다. 1942년 3월, 궤멸된 사단은 재편성을 위해 프랑스로 보내졌고, 더 현대적인 전차를 장비할 수 있게 되었다.[7]

2. 5. 동부 전선 중후기 (1942-1945)

1942년 5월, 사단은 손실을 보충하고자 프랑스로 철수하였다. 그해 말 다시 러시아 전선으로 이동한 6 기갑사단은 스탈린그라드에 포위된 6군 구출작전(겨울 폭풍 작전)에 투입되었으나 실패했다.[7] 이후 사단은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에서 반격에 성공했지만, 1943년 7월 쿠르스크 전투에서는 XLVIII기갑군단 휘하에서 남부 전선에 참전했다.[8]

제6기갑사단은 코르순 포위전에서 유일하게 부분적인 구출 작전을 펼쳤고, 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에서 철수했다. 우크라이나를 거쳐 퇴각한 사단은 부대 재편성을 위해 독일 본국으로 향했다. 그러나 1944년 6월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중앙집단군이 압박받자, 즉시 동부 전선에 다시 투입되었다. 1944년 12월 헝가리로 이동하기 전까지 사단은 북부 폴란드동프로이센에서 방어전에 참여했다. 이후 부다페스트에서 싸웠지만, 부다페스트 함락 이후 오스트리아로 철수하여 빈 방어전에 참여했다. 1945년 4월 빈 함락 이후 체코슬로바키아로 이동하여, 1945년 5월 미국 제3군에 항복했다.[8]

3. 전쟁 범죄

1940년 6월 중순, 제6기갑사단 병사들은 프랑스군 제12Senegalese Tirailleurs|세네갈 저격병영어 연대 소속 흑인 포로들을 불특정 다수 처형한 것으로 알려졌다.[9] 1940년 프랑스 전투에는 당시 프랑스 식민지에서 4만 명에 가까운 흑인이 프랑스군으로 동원되었으며, 그 중 1,500~3,000명이 전투 중 혹은 전쟁 후 처형된 것으로 추정된다.[10]

4. 지휘관

취임일계급이름
1938년 11월 10일중장에리히 회프너
1938년 11월 24일소장Friedrich-Wilhelm von Loeper|프리드리히-빌헬름 폰 뢰퍼de
1939년 10월 18일기갑병대장베르너 켐프
1941년 1월 6일중장Franz Landgraf|프란츠 란트그라프영어
1941년 6월기갑병대장빌헬름 폰 토마
1941년 9월 15일중장Franz Landgraf|프란츠 란트그라프영어
1942년 4월 1일상급대장에르하르트 라우스
1943년 2월 7일중장발터 폰 휘너스도르프
1943년 7월 16일소장Wilhelm Crisolli|빌헬름 크리졸리영어
1943년 8월 21일중장Rudolf Freiherr von Waldenfels|루돌프 프라이어 폰 발덴펠스영어
1944년 2월 8일중장Werner Marcks|베르너 마르크스영어
1944년 2월 21일중장Rudolf Freiherr von Waldenfels|루돌프 프라이어 폰 발덴펠스영어
1944년 3월 13일중장Walter Denkert|발터 덴케르트영어
1944년 3월 28일중장Rudolf Freiherr von Waldenfels|루돌프 프라이어 폰 발덴펠스영어
1944년 11월 23일대령프리드리히-빌헬름 위르겐스
1945년 1월 20일중장Rudolf Freiherr von Waldenfels|루돌프 프라이어 폰 발덴펠스영어

[11]

5. 부대 편성

제6기갑사단의 모체가 된 '''제1경보병여단'''은 1937년 10월에 조직되었다. 이 여단은 기병이 수행해 온 정찰 및 경비 등의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 기계화 정찰 부대, 자동차화 보병 부대, 전차 대대로 구성되었다. 국방군은 추가로 3개의 여단을 더 창설할 계획이었으나, 이후 이 경보병 여단의 결함이 드러나면서 계획이 중단되었다.[1]

1938년 4월, 제1경보병여단은 '''제1경사단'''으로 재편성되었고, 제11기갑연대를 포함하여 10월의 주데텐란트 병합, 1939년 3월의 나치 독일의 체코슬로바키아 해체에 참여했다. 이로 인해 당시 장비하고 있던 1호 전차, 2호 전차보다 성능이 뛰어난 체코슬로바키아제 전차 130대를 보유하게 되었다. 1939년 9월, 사단은 폴란드 침공에 참전하며 제2차 세계 대전의 불을 지폈다. 작전 중 드러난 경사단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1939년 10월에 '''제6기갑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제7, 제8, 제9기갑사단도 마찬가지로, 각각 제2, 제3, 제4경사단에서 재편성된 사단이다.[2][3]

1941년 6월 바르바로사 작전 당시, 제6기갑사단은 239대의 전차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전차들 대부분은 소련의 주력 전차보다 성능이 떨어졌다.[3] 사단은 제4기갑집단 지휘 하에 발트 3국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라세냐이아 전투에서는 폰 제켄도르프 전투단과 라우스 전투단으로 나뉘어 전투를 치렀다.


  • '''폰 제켄도르프 전투단''': 제114자동차화 보병 연대, 제57기갑 정찰 대대, 제41전차 구축 대대 1개 중대, 제6오토바이병 대대(오전만)로 구성.[13]
  • '''라우스 전투단''': 제11전차 연대, 제4자동차화 보병 연대 1개 대대, 제76포병 연대 제1 및 제3대대, 제57기갑 공병 대대 1개 중대, 제41전차 구축 대대 1개 중대, 제411육군 대공포병 연대 제2대대, 제6오토바이병 대대(오후만)로 구성.[13]


1941년 6월 23일, 폰 제켄도르프 전투단은 스카우드빌레 부근에서 예고르 솔랸킨이 이끄는 소련군 제2전차사단에 의해 큰 피해를 입었다.[13] 독일군의 35(t) 전차와 대전차 무기는 소련군의 KV-2와 같은 중전차에 효과적이지 못했다.[13]

1941년 10월, 제6기갑사단은 타이푼 작전에 참가하여 르제프-뱌지마 돌출부 전투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1941년 12월 소련군의 반격으로 큰 손실을 입고 1942년 3월 프랑스로 이동하여 재편성을 받았다.[7]

1944년 6월 소련군의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중앙집단군이 압박받자, 제6기갑사단은 동부 전선으로 다시 투입되었다. 1944년 12월 헝가리로 이동하기 전까지 북부 폴란드와 동프로이센에서 방어전을 치렀다. 이후 부다페스트에서 전투를 벌였고, 부다페스트 함락 후 오스트리아로 철수하여 방어전에 참여했다. 1945년 4월 빈 함락 이후 체코슬로바키아로 이동하여, 1945년 5월 미국 제3군에 항복했다.[8]

5. 1. 1940년 (프랑스 전투)

1940년 – 프랑스 전투


5. 2. 1943년 (독소전쟁)

1942년 5월, 프랑스에서 재정비를 마친 제6기갑사단은 그해 말 다시 러시아 전선으로 이동하여 스탈린그라드에 포위된 제6군 구출 작전에 투입되었으나 실패했다. 이후 하르코프 전투와 쿠르스크 전투에 참가했고, 우크라이나백러시아 후퇴전에 투입되기도 했다.[13]

1943년 2월 제3차 하르코프 공방전에서는 반격에 나서 성공했지만, 이어지는 1943년 7월 쿠르스크 전투에서는 XLVIII기갑군단 휘하에서 남부 전선에 참전했다.[8]

제6기갑사단은 코르순 포위전에서 부분적으로 성공적인 구출 작전을 펼쳤고, 카메네츠-포돌스키 포위전에서의 철수에도 성공했다.

1943년 당시 제6기갑사단을 구성한 부대는 다음과 같다.[12]


6. 기사십자장 수훈자

연도날짜이름
1940년6월 3일베르너 켐프 중장[1]
1940년6월 3일요한 라벤쉬타인 대령[2]
1940년6월 24일에리히 외켈 중령[3]
1940년7월 4일한스 카를 에제벡 대령[4]
1940년9월 4일한스 귄터 베트케 중위[5]
1940년9월 4일에리히 제켄도르프 중령[6]
1940년11월 28일베르나르드 클루트[7]
1940년12월 21일헤르만 단처 소위[8]
1941년7월 15일리하르트 콜 대령[9]
1941년7월 15일한스 스턴 대위[10]
1941년7월 27일테오도어 포풀로 소위[11]
1941년10월 11일에어하르트 라우스 대령[12]
1941년10월 11일루돌프 프라이어 폰 반덴펠스 대령[13]
1941년10월 18일알로이스 즈무흐 하사
1941년10월 18일칼 히르쉬 상사
1941년10월 18일프란츠 밀로니히 중령
1941년12월 4일하인리히 몬다본 중령
1941년12월 31일핫소 폰 만토이펠 대령
1942년12월 22일발터 휘네르스도르프 대령
1943년1월 11일프란츠 베케 소령
1943년1월 24일하인츠 바그너 소위
1943년2월 8일한스 요아힘 비제만 대위
1943년2월 8일프리드리히 퀸틴 소령
1943년5월 15일빌헬름 클뢰핑 상병
1943년7월 28일구스타프 라이마 대위
1943년8월 26일베른하르트 미쿠스 소위
1943년9월 10일마틴 운라인 대령
1943년9월 13일에리히 제르닌 중위
1944년4월 6일루드비히 블로스
1944년5월 4일파울 스탈 소령
1944년5월 14일게르하르트 무르만
1944년5월 14일프란츠 리터
1944년6월 4일이그나츠 횐스브뢰쉬 대위
1944년6월 4일빌헬름 쉬텐 상급상사
1944년8월 8일지그프리트 베트케 중위
1944년8월 14일막스 그리이저 소위
1944년9월 21일하인리히 휠스
1944년9월 21일후고 바이스만 하사
1944년10월 26일군터 쉠므 대위
1944년11월 18일오토 비토프
1944년12월 26일빌헬름 라이만 대위
1945년4월 30일빌리 랑겐놀 소위


참조

[1] 문서 Stoves
[2] 문서 Stoves
[3] 문서 Mitcham
[4] 문서
[5] 서적 Erinnerungen eines Soldaten http://worldcat.org/[...] Motorbuch Verlag 2003
[6] 웹사이트 6. Panzer-Division http://www.lexikon-d[...] 2019-01-04
[7] 문서 Mitcham
[8] 문서 Mitcham
[9] 문서 "Hitler's African Victims: The German Army Massacres of Black French Soldiers in 1940"
[10] 웹사이트 The Unknown Massacres: Black French Prisoners In 1940 http://www.h-net.org[...] 2016-06-20
[11] 문서 Mitcham
[12] 웹사이트 Organizational History of the German Armored Formation 1939-1945 http://www.cgsc.edu/[...]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2016-06-20
[13] 웹사이트 achtungpanzer.com http://www.achtungp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