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전향 장기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전향 장기수는 전향을 거부하고 장기간 수감된 사람들을 지칭한다. 1990년대 후반, 대한민국 정부는 전향 제도를 폐지하고 준법서약 제도를 도입했으며, 김대중 대통령은 장기수 사면을 단행했다. 2000년에는 6.15 남북 공동 선언의 일환으로 63명의 비전향 장기수가 북한으로 송환되었으며, 이후 준법서약제도는 폐지되었다. 비전향 장기수의 송환과 관련하여 납북자 문제 해결 미흡, 신광수 송환 문제 등 비판이 존재한다. 2000년 북한으로 송환된 63명의 명단이 공개되었으며, 이들의 경험을 다룬 책과 다큐멘터리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 - 류락진
    류락진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남로당, 통일혁명당, 구국전위 사건 등으로 여러 차례 투옥되었으며, 서예가로 활동하다 2005년에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비전향 장기수 - 권오석 (1921년)
    권오석은 일제강점기 면서기, 해방 후 남로당원으로 활동하며 한국전쟁 당시 창원군 노동당 부위원장을 지낸 좌익 활동 혐의자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모 박덕남의 배우자이자 권양숙 여사의 아버지이다.
  • 대한민국의 인권 - 윤석양
    윤석양은 1990년 국군보안사령부에서 민간인 사찰 자료를 폭로하여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고, 이로 인해 국방부 장관과 보안사령관이 경질되고 기무사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수배 생활과 군무이탈 혐의 기소 후 노동운동에 참여했고 영화 '모비딕'의 실제 주인공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의 인권 - 대한민국 차별금지법
    대한민국 차별금지법은 차별 금지를 위한 법률 제정 시도와 관련되어 2005년 법 제정 추진이 무산된 후 여러 차례 발의되었으나 국회 통과에 이르지 못했고, 2020년에는 차별금지법안 및 평등법안이 발의되었으며, 국민 여론은 긍정적이나 세부 내용과 사회적 파장에 대한 우려도 존재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작원 - 문세광
    문세광은 1974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박정희 대통령 암살 미수와 육영수 여사 살해를 저지른 범인으로, 조총련의 영향을 받아 좌익 사상에 심취하여 범행을 계획했으며 사형 집행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작원 - 신광수 (1929년)
    신광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작원으로, 일본에서 태어나 한국 전쟁 참전 후 루마니아에서 유학했으며, 1970년대부터 일본에서 대남 공작 활동을 하다 일본인 납치 사건에 연루되어 대한민국에서 체포, 복역 후 북송되었으나 일본 정부는 그의 송환을 요구하고 북한은 거부하고 있다.
비전향 장기수
용어
북한 명칭비전향 장기수
로마자 표기bijeonhyang janggisu
남한 명칭미전향 장기수
로마자 표기 (남)mijeonhyang janggisu
설명문자 그대로, "전향하지 않은 장기수"를 의미함

2. 역사

대한민국에서 비전향 장기수는 주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된 이들 중 사상 전향을 거부하여 장기간 수감된 사람들을 가리킨다. 여기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남파 공작원, 빨치산 활동가 외에도 반정부 활동가로 분류된 이들이 포함되었으며, 일부는 40년 이상 수감되기도 했다.[105] 북한에 가족을 둔 상황이 비전향의 이유가 되기도 했다.[106][107]

비전향 장기수 문제는 남북 관계 및 국내 정치 상황 변화에 따라 다루어져 왔다. 김영삼 정부 시기인 1993년에는 조선인민군 종군기자였던 리인모가 북한으로 송환되는 첫 사례가 있었다.[108][109][110]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햇볕정책 기조 아래 인도주의적 접근이 이루어졌다. 1998년 고령 및 병약한 장기수들에 대한 사면 방침 발표와[3] 전향 제도 폐지 및 준법서약제도 도입이 있었고, 1999년에는 추가 사면이 단행되었다.[4]

특히 2000년 역사적인 6.15 남북 공동 선언 이후, 같은 해 9월 2일 송환을 희망하는 비전향 장기수 63명이 북한으로 돌아갔다. 이들 중에는 이미 형기를 마치고 출소했거나 남한 출신 인사도 포함되어 있었다.[111][112][113][114][115][116] 이들의 송환은 판문점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북한에서는 대대적인 환영을 받았고[8] 이후 조국통일상이 수여되었다.[1] 당시 이 송환으로 북한에 억류된 남한 국군 포로 문제 해결에 대한 기대가 있었으나[5], 실질적인 성과는 없었다. 송환자 중 일부는 남한에 가족을 남겨두었으나 이들의 방북은 허용되지 않았고,[6][7] 남한 내에서는 송환 반대 및 납북자 송환 요구 시위가 벌어지기도 했다.[8]

이후에도 준법서약제 폐지(2003년), 사망한 장기수 유해 송환(2005년 정순택) 등 관련 조치가 이어졌다.

2. 1. 대한민국 내 비전향 장기수 역사

대한민국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남파 공작원, 1950년대의 빨치산, 또는 단순히 반정부 활동가 등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된 이들 중 전향이나 귀순을 거부하여 장기간 구속된 사람들을 비전향 장기수라고 부른다. 이들 중에는 40년 가까이 옥중 비전향을 견지한 경우도 있었다.[105] 북한에 가족을 두고 온 사정 역시 이들이 비전향을 선택한 이유 중 하나였다.[106][107]

  • 1991년 2월 25일: 광복 직후부터 활동하다가 1955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던 허영철이 71세의 나이로 특별 가석방되었다.
  • 1993년 3월 19일: 김영삼 정부 시기, 조선인민군 종군기자였던 리인모가 북한으로 송환되었다.[108][109][110] 이는 비전향 장기수 송환의 첫 사례로 기록되었다.
  • 1998년 3월: 김대중 대통령은 취임 후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70세 이상 고령이거나 질병을 앓고 있는 비전향 장기수들에 대한 사면 방침을 발표했다.[3]
  • 1998년 7월: 대한민국 행정부는 기존의 전향 제도를 폐지하고, 사상 전향을 강요하지 않는 대신 법질서 준수를 서약하는 준법서약제도를 도입했다.
  • 1999년 2월: 김대중 대통령은 17명의 비전향 장기수에 대한 추가 사면을 단행했다.[4]
  • 2000년 9월 2일: 2000년 6.15 남북 공동 선언 이후 햇볕정책의 일환으로, 송환을 희망하는 비전향 장기수 63명이 북한으로 송환되었다. 이들 중에는 이미 형기를 마치고 출소한 사람들과 남한 출신 인사들도 포함되어 있었다.[111][112][113][114][115][116] 일본인 납치 문제의 실행범으로 지목된 신광수도 이때 송환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 이들의 송환은 오전 10시 판문점을 통해 버스로 군사분계선을 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남한에서는 일부 보수 단체 회원들이 송환에 반대하며 납북된 남한 주민들의 송환을 요구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8] 반면 북한에서는 취주악대가 혁명가를 연주하는 등 대대적인 환영 행사가 열렸으며,[8] 송환된 이들에게는 이후 조국통일상이 수여되었다.[1]
  • 당시 이들의 송환으로 북한에 억류된 남한 국군 포로 문제 해결에 대한 기대감이 있었으나[5], 가시적인 성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송환자 중 일부는 남한에 가족을 남겨두었으나, 통일부는 이들 가족의 방북을 허가하지 않았다.[6][7]
  • 2003년 7월 7일: 인권 침해 논란 등이 제기되었던 준법서약제도가 폐지되었다.
  • 2005년 10월 2일: 사망한 비전향 장기수 정순택의 유해가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북한으로 송환되었다.
  • 2017년 3월 25일: 1960년 6월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되어 31년 6개월간 복역하고, 정부의 강제 전향 압박을 거부하다 2002년 사면된 박봉현(당시 98세)이 사망했다. 그는 6.15공동선언실천남측위원회 전북본부 고문을 맡아 활동했다.[117]

2. 2. 일본의 전향제도 (참고)

1930년대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결까지의 일본에서는, 치안유지법 위반 등으로 복역한 자가 형기를 채워도 사상이 개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구류가 계속되었고, 사상이 개전된 경우에는 석방되었다.

3. 비판

납북자 문제가 전혀 해결되지 못한 상황에서 비전향 장기수를 군사분계선 이북으로 송환하는 조치가 적절한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특히 김대중 정부 시절 햇볕정책의 일환으로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 이후 9월 2일에 63명의 비전향 장기수를 북한에 송환한 결정은 이러한 논란을 더욱 부각시켰다[111][112][113][114]. 송환된 인원 중에는 일본인 납치의 실행범으로 지목된 신광수도 포함되어 있어, 이는 국제적인 문제로 비화될 수 있다는 비판을 받았다.

4. 2000년 송환된 비전향 장기수 명단

1998년 3월, 김대중 대통령은 70세 이상이거나 질병을 앓고 있는 장기수들에 대한 사면을 선언했다.[3] 1999년 2월에는 17명의 비전향 장기수에 대한 추가 사면을 단행했다.[4] 이후 2000년 6.15 남북 공동 선언의 후속 조치로, 비전향 장기수 63명의 북한 송환이 결정되었다. 이는 햇볕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북한에 억류된 남한 포로들의 석방에 대한 기대를 낳기도 했다.[5]

송환 대상자 중 일부는 남한에 가족을 두고 있었으나, 대한민국 통일부는 이들 가족의 동반 북행을 허가하지 않았다.[6][7] 2000년 9월 2일 오전 10시, 63명의 비전향 장기수들은 버스를 타고 판문점의 군사분계선을 넘어 북한으로 향했다. 송환 당일 판문점 남측에서는 일부 시위대가 송환에 반대하며 납북된 남한 주민들의 송환을 요구하기도 했다. 북한 측에서는 이들을 취주악대의 혁명가 연주로 환영했으며,[8] 이후 각자에게 조국통일상을 수여했다.[1] 일본인 납치 실행범으로 지목된 신광수도 송환 명단에 포함되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다음은 2000년에 북한으로 송환된 63명의 비전향 장기수 명단이다.[11][12][13]

(표의 이름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른 북한식 표기법을 따랐으며, 지명은 북한 지역은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남한 지역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표기되었다.)

이름한글한자출생/사망 날짜출생지출생 도수감 년수비고
강동근강동근1916년 11월 19일 출생
2004년 2월 12일 사망
하동군경상남도37KCNA 부고 게재[14]
김동기김동기金東基 또는
金東起
1932년 11월 19일 출생단천시함경남도34송환 전 경향신문 인터뷰. 수필집 『새는 앉는 곳마다 깃을 남긴다』 출간 (ISBN 978-89-88996-04-1).[15] 이름의 한자 표기가 다르게 보도됨.[16][17] KCNA 70세 생일 기사에는 1932년 10월 19일 출생으로 표기.[18] 2005년 8월, 조선총련 산하 조선대학교 방문 학생들에게 연설.[19]
김명수김명수1922년 5월 1일 출생함흥시함경남도37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20]
김석형김석형1914년 3월 18일 출생
2006년 8월 14일 사망
박천시평안북도30김석형으로도 알려짐. 영화 송환 출연.[74] KCNA 부고 게재.[21]
김선명김선명1925년 2월 20일 출생양평군경기도45김순명으로도 알려짐. 친일 협력자 문제에 환멸을 느껴 조선인민군 입대. 1951년 10월 15일 체포, 사형 선고 후 무기징역 감형. 가족 면회 거부, 1975년 법적 사망 처리. 1995년 석방. 수감 중 백내장으로 실명.[22] 그의 경험은 2002년 영화 해안선의 토대가 됨(김정기 주연).[23]
김영달김영달1934년 3월 18일 출생영덕군경상북도30KCNA 7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24]
김영만김영만1924년 11월 15일 출생구례군전라남도30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25] 2008년 9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26]
김영태김영태1931년 7월 23일 출생
2008년 1월 14일 사망
곽산군평안북도35김용태로도 알려짐.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에 남아 지리산 지역에서 빨치산 활동. KCNA 부고 게재.[27]
김용규김용규1923년 6월 22일 출생보성군전라남도34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28]
김용수김용수1931년 9월 30일 출생경주시경상북도27KCNA 70세 생일 발표에는 1932년생으로 표기.[29] 2003년 6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30]
김우택김우택1919년 10월 28일 출생안동시경상북도40KCNA 9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31]
김은환김은환1930년 7월 12일 출생광주경기도31김운환으로도 알려짐. 1999년 2월 특별 사면 석방.[32] 북송 후 조선화가동맹 가입.[49] 로동신문 9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33]
김익진김익진1932년 7월 13일 출생
2008년 7월 8일 사망
영덕군경상북도31김일진으로도 알려짐.[11] 1999년 2월 특별 사면 석방.[32] KCNA 부고 게재.[34]
김인수김인수1926년 11월 18일 출생덕천시평안남도342001년 6월, 조선대학교 방문 학생 대표단에게 연설.[35]
김인서김인서1924년 5월 27일 출생
2008년 8월 17일 사망
대구광역시경상북도361996년 북송 신청했으나 거부됨.[95] KCNA 부고 게재.[36]
김종호김종호1916년 8월 2일 출생
2003년 11월 21일 사망
김천시경상북도31KCNA 부고 게재[37]
김중종김중종1926년 4월 2일 출생김천시경상북도292003년 언어학 박사 학위 취득.[38] 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56]
김창원김창원金昌源1934년 10월 27일 출생영등포구서울특별시31KCNA 7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39] 2006년 4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40] 2008년 9월, 평양 타임스 인터뷰.[41]
고광인고광인高光仁1935년 1월 5일 출생고창군전라북도342003년 5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42] KCNA는 2005년 2월 70세 생일 축하 기사를 게재했으나 출생일 미언급.[43]
류운형류운형1924년 12월 26일 출생
2008년 11월 22일 사망
리원군함경남도34체포 전, 조선로동당 강원도당 룡연 청년부장, 선전부 교육부장 등 역임. KCNA 부고 게재.[44]
류연철류연철1912년 2월 13일 출생안동시경상북도27KCNA 90세 생일 발표에는 1912년 3월 26일 출생으로 표기[45]
류한욱류한욱1911년 5월 24일 출생철산군평안북도37KCNA 90세 생일 발표에는 1917년생으로 표기[46]
리경구리경구1930년 3월 4일 출생공주시충청남도382006년 6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47] 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48]
리경찬리경찬李京贊1935년 11월 15일 출생개성시35북송 후 조선화가동맹 가입.[49] KCNA 7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50] 2005년 2월과 2006년 12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51][52]
리공순리공순1934년 12월 3일 출생서산시충청남도33KCNA 7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53] 2006년 11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54]
리두균리두균李斗均1926년 4월 2일 출생충주시충청북도312004년 10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55] 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56]
리세균리세균1922년 1월 15일 출생전주시전라북도30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57]
리재룡리재룡1945년 10월 3일 출생양양군강원도30KCNA에 따르면 첫째 딸 리축복 2002년 7월 24일 출생[58]
리종리종1911년 8월 9일 출생영동군충청북도25KCNA 90세 생일 축하 기사에는 1911년 9월 25일 출생으로 표기.[59] 2006년 10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60]
리종환리종환1922년 10월 7일 출생
2001년 4월 30일 사망
인천광역시43KCNA 부고 게재[61]
박문재박문재1922년 9월 14일 출생개성시28대전 수감, 1993년 석방. KCNA에 따르면 2004년 생존.[62]
박완규박완규1929년 4월 10일 출생청원군충청북도332006년 12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63]
방재순방재순1917년 2월 25일 출생횡성군강원도382006년 11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64] KCNA 9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65]
석용화석용화1925년 4월 8일 출생양산시경상남도20남한에서 이춘자와 결혼, 두 딸을 둠. 가족을 남겨두고 북송.[6] 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66]
손성모손성모孫聖模1930년 1월 15일 출생부안군전라북도192000년 6월 석방.[67] 2006년 7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68] 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69]
송상준송상준1927년 7월 29일 출생부산광역시36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46]
신광수신광수辛光洙1929년 6월 27일 출생양산시경상남도15신광수로도 알려짐. 일본 시즈오카 출생 설도 있음.[13] 2000년 6월 석방.[67] 일본인 납치 사건 연루 혐의로 일본에서 수배 중.[70][71][72]
신린수신린수1918년 4월 1일 출생청도군경상북도30젊은 시절 탄광 근무. 평양 타임스 9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73]
신인영신인영1929년 12월 6일 출생부안군전라북도32신운용으로도 알려짐. 한국 전쟁 중 조선인민군 복무, 1967년 간첩으로 남파되어 체포. 북한에 처자식 추정, 남한에 어머니 고봉희 거주.[6] 대전광역시 수감. 1998년 3월 특별 사면 석방. 백혈병 투병. 석방 당시 "남은 여생 어머니를 모시고 싶다"고 했으나[3], 2000년 어머니와 작별하고 북송됨 (영화 송환 기록).[74] 어머니는 2002년 사망.[75]
안영기안영기1929년 6월 19일 출생구미시경상북도38안학섭으로도 알려짐. 체포 전 평양 옥류관 설계 참여.[76] 1999년 2월 특별 사면 석방.[32] 북송 후 조선화가동맹 가입.[49]
양정호양정호1931년 4월 3일 출생양산시경상남도31량정호로도 알려짐. 1999년 2월 특별 사면 석방.[32] 북송 후 조선화가동맹 가입.[49] 2004년 8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77]
오형식오형식1932년 1월 24일 출생
2006년 9월 3일 사망
시흥시경기도312006년 6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78] KCNA 부고 게재.[79]
우용각우용각禹龍覺1929년 11월 29일 출생
2012년 12월 7일 사망
녕변군평안북도42우용각으로도 알려짐. 1959년 남측 해상 침투 중 체포.[3] 1999년 특별 사면 당시 세계 최장기수 중 한 명으로 추정.[4]
윤용기윤용기1926년 8월 2일 출생
2001년 6월 13일 사망
강화군경기도40KCNA 부고 게재[80]
윤희보윤희보1917년 10월 10일 출생광주경기도25KCNA 9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81]
임병호임병호1916년 9월 1일 출생보령시충청남도322006년 12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82]
장병락장병락1934년 7월 25일 출생
2009년 10월 11일 사망
고원군함경남도38장병락으로도 알려짐. 1999년 2월 특별 사면 석방.[32] KCNA 부고 게재.[83]
장호장호1920년 11월 29일 출생마포구서울특별시32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84] 2003년 10월, 조선대학교 방문 학생들에게 강연.[85] 수필 "사회와 도덕"이 2005년 10월 로동신문에 게재.[86] 로동신문, 평양 타임스 및 KCNA 10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 김정은으로부터 생일상 받음.[87]
전진전진1923년 7월 6일 출생군산시전라북도38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88]
전창기전창기1918년 4월 10일 출생부여군충청남도23전창기로도 알려짐. 평양 타임스 9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73]
조창손조창손1929년 8월 29일 출생룡연군황해남도30건강 악화. 북한에 아내와 두 아들 있음.[8]
최선묵최선묵1928년 7월 1일 출생강화군경기도381999년 2월 특별 사면 석방.[32] 북송 후 조선화가동맹 가입.[49] 2005년 3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89]
최수일최수일1939년 5월 25일 출생의주군평안북도35
최하종최하종1927년 3월 21일 출생김책시함경북도36북송 후 조선화가동맹 가입.[49] 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90]
한백렬한백렬1920년 2월 16일 출생
2009년 5월 13일 사망
광주경기도23KCNA 부고 게재[91]
한장호한장호1923년 5월 1일 출생명천군함경북도39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92]
한종호한종호1918년 1월 31일 출생함흥시함경남도13아들 한영수를 남겨두고 북송. 아내는 작별 인사에 불참.[6] KCNA 9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93]
한춘익한춘익1925년 6월 10일 출생함흥시함경남도29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94]
함세환함세환1932년 12월 12일 출생옹진황해남도341993년(이인모 송환)과 1996년 북송 신청했으나 거부됨.[95][96] KCNA는 2003년 3월 19일 딸 출생 보도.[97] 2006년 12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98]
홍경선홍경선1925년 5월 21일 출생천안시충청남도33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99] 2005년 12월,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100]
홍명기홍명기1929년 4월 5일 출생부여군충청남도38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101]
홍문거홍문거1921년 9월 14일 출생평양시37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102]
황용갑황용갑1924년 5월 28일 출생하동군경상남도351989년 석방. 김씨 여성과 결혼했으나 과거를 숨겼고, 아내는 1999년 말에야 알게 됨.[6] KCNA 80세 생일 축하 기사 게재.[103] 2006년, 로동신문에 수필 게재.[104]


5. 석방된 장기수

대한민국에서는 북한의 남파 공작원, 1950년대의 빨치산, 또는 반정부 활동가 등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체포된 이들 중 전향을 거부하여 구속이 장기화된 경우가 많았다. 이들 중에는 40년 넘게 수감 생활을 한 비전향 장기수도 있었으며[105], 북한에 남겨진 가족 때문에 전향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었다.[106][107]

다음은 대한민국에서 석방된 비전향 장기수들의 명단과 복역 기간이다.

이름체포 연월일석방 연월일복역 기간
김선명1951년 10월 15일1995년 8월 15일43년 10개월 (최장기)
최수일1965년 3월 5일1999년 2월 25일
안학섭1953년 3월1995년 8월 15일
리경찬1965년 11월 12일1999년 2월 25일
이종환1951년 10월1993년 3월 6일
왕영안1958년1991년 5월 25일
우용각1958년 7월 12일1999년 2월 25일
김동기1966년 5월 18일1999년 2월 25일
김우택1952년 2월 25일1991년 2월 25일
장호1958년 7월 25일1991년 2월 25일
윤용기1959년 7월 3일1998년 3월 13일
임병호1959년 9월 27일1991년 12월 24일
한장호1957년 11월 20일1995년 8월 15일
박완규1967년 9월 9일1999년 2월 25일
방재순1953년 8월1991년 2월 25일
이공순1967년 12월 10일1999년 2월 25일
장병락1962년 4월 4일1999년 2월 25일
박봉현1960년 2월 19일1991년 2월 25일
홍명기1962년 4월 22일1999년 2월 25일
신인영1967년 3월 9일1998년 3월 13일
이경구1952년 11월 7일1989년 6월 9일
홍경선1967년 9월 17일1998년 3월 13일
안영기1962년 8월 12일1999년 2월 25일
윤수갑1967년 9월1998년 3월 13일
최선묵1962년 8월 12일1999년 2월 25일
김종호1961년 5월 25일1991년 5월 25일
류한욱1955년1991년 2월 25일
김익진1969년 6월 10일1999년 2월 25일
최하종1962년 3월 5일1998년 3월 13일
김창원1969년 6월 12일1999년 2월 25일
홍문거1957년 5월 20일1993년 3월 6일
양정호1969년 6월 16일1999년 2월 25일
양희철1963년 4월 24일1999년 2월 25일
오형식1969년 6월 5일1999년 2월 25일
김명수1957년 7월 28일1993년 3월 6일
이재룡1970년 6월 19일1999년 2월 25일
허영철1955년 7월 20일1991년 2월 25일
김은환1969년 9월 8일1999년 2월 25일
김인수1962년 8월 9일1998년 3월 13일



김영삼 정부 시절 조선인민군 종군기자였던 이인모가 북한으로 송환되었으며[108][109][110], 김대중 정부는 햇볕정책의 일환으로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 이후 같은 해 9월 2일, 63명의 비전향 장기수를 북한으로 송환했다. 이때 송환된 인원에는 이미 형기를 마치고 출소한 사람과 남한 출신 비전향 장기수도 포함되었다.[111][112][113][114][115][116] 일본인 납치 실행범으로 지목된 신광수도 포함되어 있었다.

5. 1. 2차 송환 문제

1차 송환 이후 강제 전향을 당한 비전향 장기수들이 북한으로의 송환을 요구하고 있다. 처음 송환을 요구했던 인원은 33명이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20명이 세상을 떠나 현재는 13명이 남아 있다. [https://www.bbc.com/korean/features-54898508 비전향장기수: '가족 한번 보고 죽는 게 소원'… 북송 바라는 백발의 장기수들]

양심수후원회는 2021년 6월 15일부터 서울특별시 광화문 통일부 앞에서 비전향 장기수의 송환을 요구하는 릴레이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118]

현재 송환을 요구하고 있는 장기수는 다음과 같다.

이름
양원진
최일헌
김영식
박희성
김동수
이광근
류기진
문일승
김교영
허찬영
양희철
박정덕
박수분


6. 관련 작품

2001년 북한에서는 비전향 장기수들의 경험을 다룬 책이 출판되었다.[9] 2003년에는 대한민국김동원 감독이 12년 이상 촬영한 800시간 분량의 필름을 바탕으로 비전향 장기수들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송환''을 발표했다.[10]

참조

[1] 뉴스 National reunification prizes awarded to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http://www.kcna.co.j[...] 2000-09-04
[2] 간행물 North Korea in 2000: Surviving Through High Hopes of Summit Diplomacy
[3] 뉴스 Kim's Decree Benefits Millions; Some Dissidents Are Left Out: South Korea Grants Sweeping Amnesty https://www.nytimes.[...] 1998-03-14
[4] 뉴스 Seoul frees long-term prisoners http://news.bbc.co.u[...] 1999-02-22
[5] 뉴스 Spies' repatriation causes unease in Seoul http://www.atimes.co[...] 2000-09-05
[6] 뉴스 NK Agents' Families in South Face Separation http://english.chosu[...] 2000-09-01
[7] 뉴스 Ministry Announces List of NK Returnees http://english.chosu[...] 2000-08-25
[8] 뉴스 Korean communists go home http://news.bbc.co.u[...] 2000-09-02
[9] 서적 평양출판사
[10] 뉴스 Kim Dong Won's Film on North Korean Prisoners Held in South Korea http://www.asiasocie[...] 2003-03-28
[11] 뉴스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to Be Repatriated to N. Korea on Sep. 2 http://www1.korea-np[...] Chongryon 2000-08-25
[12] 뉴스 http://www.donga.com[...] 2000-06-30
[13] 뉴스 http://www.chosun.co[...] 2000-08-25
[14] 뉴스 Former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 Dies http://www.kcna.co.j[...] 2004-02-13
[15] 뉴스 http://news.khan.co.[...] 2000-08-20
[16] 뉴스 http://www.tongilnew[...] 2000-09-17
[17] 뉴스 http://news.donga.co[...] 2000-08-02
[18] 뉴스 http://www.kcna.co.j[...] 2002-10-20
[19] 뉴스 http://www.kcna.co.j[...] 2005-08-27
[20] 뉴스 http://www.kcna.co.j[...] 2002-05-02
[21] 뉴스 Former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 Kim Sok Hyong Dies http://www.kcna.co.j[...] 2006-08-16
[22] 뉴스 Free in Seoul After 44 Years, and Still Defiant https://www.nytimes.[...] 1995-08-20
[23] 뉴스 http://news.khan.co.[...] 2002-12-05
[24] 뉴스 http://www.kcna.co.j[...] 2004-03-19
[25] 뉴스 http://www.kcna.co.j[...] 2004-11-16
[26] 뉴스 http://www.kcna.co.j[...] 2008-09-21
[27] 뉴스 Former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 Dies http://www.kcna.co.j[...] 2008-01-15
[28] 뉴스 http://www.kcna.co.j[...] 2003-07-22
[29] 뉴스 http://www.kcna.co.j[...] 2002-10-01
[30] 뉴스 http://www.kcna.co.j[...] 2003-06-08
[31] 뉴스 http://www.kcna.co.j[...] 2009-10-28
[32] 뉴스 NK Spies Released On Amnesty http://english.chosu[...] 1999-02-25
[33] 웹사이트 Supreme Leader Kim Jong Un Sends Birthday Spread to Pro-Reunification Patriotic Fighter https://rodong.rep.k[...]
[34] 뉴스 Obituary of Former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 Issued http://www.kcna.co.j[...] 2008-07-09
[35] 뉴스 http://www.kcna.co.j[...] 2001-06-08
[36] 뉴스 http://www.kcna.co.j[...] 2008-08-19
[37] 간행물 http://www.kcna.co.j[...] 2003-11-22
[38] 뉴스 http://www.kcna.co.j[...] 2003-08-13
[39] 뉴스 http://www.kcna.co.j[...] 2004-10-28
[40] 뉴스 http://www.kcna.co.j[...] 2006-04-11
[41] 뉴스 http://www.naenara.r[...] 2008-09-09
[42] 간행물 http://www.kcna.co.j[...] 2003-05-06
[43] 뉴스 http://www.kcna.co.j[...] 2005-02-14
[44] 뉴스 Former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 Dies http://www.kcna.co.j[...] 2008-11-24
[45] 간행물 http://www.kcna.co.j[...] 2002-03-27
[46] 뉴스 http://www.kcna.co.j[...] 2007-05-26
[47] 뉴스 http://www.kcna.co.j[...] 2006-09-30
[48] 뉴스 http://www.kcna.co.j[...] 2010-03-05
[49] 뉴스 Art pieces created by former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s http://www.kcna.co.j[...] 2002-06-01
[50] 간행물 http://www.kcna.co.j[...] 2005-11-16
[51] 뉴스 http://www.kcna.co.j[...] 2005-02-15
[52] 뉴스 http://www.kcna.co.j[...] 2006-12-09
[53] 뉴스 http://www.kcna.co.j[...] 2004-12-06
[54] 간행물 http://www.kcna.co.j[...] 2006-11-13
[55] 뉴스 http://www.kcna.co.j[...] 2004-10-18
[56] 뉴스 http://www.kcna.co.j[...] 2006-04-03
[57] 간행물 http://www.kcna.co.j[...] 2002-01-16
[58] 간행물 http://www.kcna.co.j[...] 2002-07-26
[59] 뉴스 http://www.kcna.co.j[...] 2001-09-26
[60] 간행물 http://www.kcna.co.j[...] 2006-10-29
[61] 간행물 http://www.kcna.co.j[...] 2001-05-01
[62] 뉴스 http://www.kcna.co.j[...] 2004-04-30
[63] 뉴스 http://www.kcna.co.j[...] 2006-12-18
[64] 뉴스 http://www.kcna.co.j[...] 2006-11-18
[65] 간행물 http://www.kcna.co.j[...] 2007-02-26
[66] 뉴스 http://www.kcna.co.j[...] 2005-04-09
[67] 간행물 http://www.kyeongin.[...] 2000-06-16
[68] 간행물 http://www.kcna.co.j[...] 2006-07-21
[69] 뉴스 http://www.kcna.co.j[...] 2010-01-16
[70] 뉴스 Alleged North Korean abductor of Japanese may go home http://nl.newsbank.c[...] 2000-07-26
[71] 뉴스 NPA gets warrant for N. Korean spy http://search.japant[...] 2006-04-25
[72] 뉴스 http://www.yomiuri.c[...] 2006-02-23
[73] 뉴스 Birthday Spreads to Pro-Reunification Patriotic Fighters http://naenara.kp/en[...] 2008-04-11
[74] 뉴스 https://www.variety.[...] 2004-03-22
[75] 뉴스 http://news.vop.co.k[...] 2002-11-08
[76] 뉴스 http://kr.news.yahoo[...] 2009-06-20
[77] 뉴스 http://www.kcna.co.j[...] 2004-08-31
[78] 뉴스 http://www.kcna.co.j[...] 2006-06-14
[79] 뉴스 http://www.kcna.co.j[...] 2006-09-04
[80] 뉴스 Yun Yong Gi dies http://www.kcna.co.j[...] 2001-06-15
[81] 뉴스 http://www.kcna.co.j[...] 2007-10-11
[82] 뉴스 http://www.kcna.co.j[...] 2006-12-28
[83] 뉴스 Former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 from S. Korea Dies http://www.kcna.co.j[...] 2009-10-12
[84] 뉴스 Former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 Dies http://www.kcna.co.j[...] 2009-05-13
[85] 뉴스 http://www.kcna.co.j[...] 2000-11-29
[86] 뉴스 http://www.kcna.co.j[...] 2003-10-03
[87] 뉴스 http://www.kcna.co.j[...] 2005-10-05
[88] 웹사이트 Pro-reunification patriotic fighter honoured with 100th birthday spread http://www.pyongyang[...] 2020-11-30
[89] 뉴스 http://www.kcna.co.j[...] 2003-07-08
[90] 뉴스 http://www.kcna.co.j[...] 2005-03-17
[91] 뉴스 http://www.kcna.co.j[...] 2007-03-22
[92] 뉴스 Former Unconverted Long-term Prisoner Dies http://www.kcna.co.j[...] 2009-05-13
[93] 뉴스 http://www.kcna.co.j[...] 2003-05-02
[94] 뉴스 http://www.kcna.co.j[...] 2008-02-01
[95] 뉴스 http://www.kcna.co.j[...] 2005-06-11
[96] 뉴스 http://www.mediatoda[...] 1996-02-07
[97] 뉴스 http://www.sisapress[...] 1993-06-10
[98] 뉴스 http://www.kcna.co.j[...] 2003-03-24
[99] 뉴스 http://www.kcna.co.j[...] 2006-12-13
[100] 뉴스 http://www.kcna.co.j[...] 2005-05-23
[101] 뉴스 http://www.kcna.co.j[...] 2005-12-18
[102] 뉴스 Kim Jong Il Sends Birthday Spread to Pro-Reunification Patriotic Fighter http://www.kcna.co.j[...] 2009-04-06
[103] 뉴스 http://www.kcna.co.j[...] 2001-09-21
[104] 뉴스 http://www.kcna.co.j[...] 2004-05-29
[105] 뉴스 http://www.kcna.co.j[...] 2006-02-01
[106] 서적 1960 ~ 70 年代における韓国の非転向長期囚と監獄の日常史:非転向長期囚の口述記憶を中心に https://hdl.handle.n[...] 2012-01-09
[106] 학술지 直撃した大物スパイ = 日本人拉致実行犯辛光洙 / 千田真 現代コリア研究所 2000-03-25
[107] 학술지 特集 返せ!家族を 同胞を データ・辛光洙と朴春仙さんとの会話(2000年1月9日) 現代コリア研究所 2000-03-25
[108] 뉴스 이인모 노인 북한 송환 KBS NEWS 1993-03-19
[109] 뉴스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씨 북송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1993-03-19
[110] 뉴스 북한, 이씨 대대적 환영,선전에 이용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1993-03-19
[111] 뉴스 비전향 장기수 63명 북송 KBS NEWS 2000-09-02
[112] 뉴스 비전향 장기수 63명 북으로 환송/판문점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2000-09-02
[113] 뉴스 북한 비전향장기수 대대적 환영 행사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2000-09-02
[114] 뉴스 비전향장기수 63명 북으로… KBS NEWS 2015-09-02
[115] 웹사이트 送還日記 物語 https://www.cine.co.[...]
[116] 웹사이트 送還日記 登場人物 https://www.cine.co.[...]
[11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hani.co.k[...] 2017-11-26
[118] 웹사이트 국내 - 비전향장기수 2차송환촉구 릴레이 1인시위 http://www.okja.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