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조랑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조랑말은 어깨 높이가 14.2 핸드(약 147cm) 이하인 말을 일반적으로 지칭하며, 크기에 관계없이 작은 말을 지칭하거나 애정을 담아 부르기도 한다. 조랑말은 혹독한 환경에 적응한 토착 품종에서 유래했으며, 튼튼한 체형과 짧은 다리, 두꺼운 털을 특징으로 한다. 과거에는 노동 동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승마, 마차 경주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셰틀랜드 포니, 코네마라 포니, 제주마 등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과거에는 탄광에서 피트 포니로 활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 품종 - 앵글로아랍종
    앵글로아랍종은 18세기 후반 프랑스에서 아라비안종과 서러브레드의 교배로 만들어진 품종으로, 아라비안종의 지구력과 서러브레드의 속도를 겸비하여 승마 경기에 적합하며 유전 질환 위험이 존재하고 한국에서는 개량 목적으로 도입되었으나 현재는 그 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 말 품종 - 쿼터호스
    쿼터호스는 17세기 미국에서 서러브레드와 토착마 교배로 만들어진 품종으로, 짧은 거리 경주에 뛰어나며 소몰이에도 적합하고, 근육질 체격과 온순한 성격을 지녔으며 미국 쿼터호스 협회에서 관리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조랑말

2. 정의

많은 경쟁 분야에서 조랑말의 공식적인 정의는 어깨 높이가 14.2hand 보다 작은 을 말한다. 일반적인 말은 14.2hand 이상이다. 국제 승마 연맹은 공식적인 기준점을 신발을 신지 않은 상태에서는 148cm,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는 149cm로 정의하지만, 경쟁 측정을 위해 신발을 신지 않은 상태에서는 최대 150cm,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는 최대 151cm까지 허용한다.[1] 그러나 '조랑말'이라는 용어는 실제 크기나 품종에 관계없이 작은 말을 일반적으로 (또는 애정을 담아) 이를 때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일부 말 품종은 그 키보다 작게 성장하는 개체가 있을 수 있지만, 여전히 '말'이라고 불리며 말로 경쟁할 수 있다. 호주에서는 14hand에서 15hand 크기의 말을 "갤러웨이"라고 부르며, 조랑말은 14hand 미만이다.[2]

일부 말 품종은 14.2hand 이하의 크기를 가진 말이 있어도 조랑말로 정의되지 않는다. 이는 일반적으로 체형, 전통적인 용도, 전반적인 생리에 기인한다. 키에 관계없이 말로 간주되는 품종에는 아라비안 말, 아메리카 쿼터 호스, 모건 호스가 있으며, 이들은 14.2hand 이상과 이하의 개체를 모두 가진다.

3. 역사

조랑말은 본래 혹독한 자연 환경에 적응한 토착 품종으로 발전했으며, 북유럽의 전형적인 "드래프트" 아종에 속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한때 야생의 "드래프트" 아종인 ''말''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3]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모계 유전을 통해 전달됨)에 따르면, 많은 수의 야생 암말이 현대의 가축 품종에 기여했으며,[4][5] 반면 Y-DNA 연구(부계 유전을 통해 전달됨)에 따르면 모든 가축 품종의 수컷 조상은 단 하나였을 가능성이 있다.[6] 말의 가축화는 아마도 유라시아 스텝에서 처음 시작되었을 것이며,[7] 말의 가축화가 확산되면서 최초 종마의 수컷 후손들은 지역 야생 암말과 교배되었다.[6][7]

모든 품종의 가축 조랑말은 원래 혹독한 환경에서 생존하면서 특정 지역의 농업 및 운송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노동 동물의 필요성에서 주로 발전했다. 조랑말은 작은 농장에서 드래프트 말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점을 농부들이 관찰하면서 유용성이 주목받았다.[8]

20세기에는 많은 조랑말 품종에 아라비아 말 등의 피가 섞여 승마에 적합한 더 세련된 조랑말을 만들었다.[9]

4. 특징

조랑말은 다부진 몸, 빽빽한 골격, 둥근 모양, 잘 굽은 갈비뼈 등 체격으로 구별된다. 짧은 머리, 큰 눈, 작은 귀를 가지고 있다. 말보다 다리가 비례적으로 짧고, 강한 말굽과 더 두꺼운 갈기, 꼬리, 털(특히 두꺼운 겨울 털)을 가지고 있다.[12]

조랑말 품종은 춥고 혹독한 기후에서 튼튼하고 억센 작업 동물이 필요한 곳에서 발달했다. 크기에 비해 놀라울 정도로 강하며, 코네마라 포니와 같은 품종은 성인 기수를 태울 수 있을 정도이다. 조랑말은 파운드당 말보다 더 많은 무게를 끌고 운반할 수 있다.[12] 드래프트형 조랑말은 자신의 무게보다 훨씬 더 큰 짐을 끌 수 있고, 매우 작은 조랑말조차도 자신의 무게의 450%까지 끌 수 있다.[11]

거의 모든 조랑말 품종은 매우 튼튼하고 쉽게 유지되는 동물로, 일반 크기의 말보다 제한된 식단으로도 잘 자란다. 말의 절반의 건초만 필요하며, 곡물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발굽염, 쿠싱 증후군, 고지혈증에 취약하다.[12]

조랑말은 일반적으로 지능적이고 친절하지만, 훈련 정도에 따라 완고하거나 교활한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12] 제대로 훈련된 조랑말은 승마를 배우는 어린이에게 적합하며, 큰 조랑말은 성인이 타기에도 충분하다.[12]

5. 용도

조랑말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노동 동물로 사용되며, 짐을 나르거나 다양한 마차를 끄는 데 이용된다. 승마 활동에서도 널리 쓰이는데, 해크니 포니와 같은 일부 품종은 주로 마차 경주에 사용되는 반면, 코네마라 포니와 오스트레일리아산 포니와 같은 다른 품종은 주로 승마에 사용된다. 웨일스산 포니와 같은 품종은 승마와 마차 경주 모두에 사용된다.[10]

산업 혁명영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수천 마리의 조랑말이 탄광의 지하 깊숙한 곳에서 일했다.[17] 탄광이 대규모화되고, 아동 노동·여성 노동이 사회 문제가 되면서, 이를 대체하듯 조랑말의 수가 늘어났다. 탄광에서 일하는 조랑말은 피트 포니라고 불렸으며, 대부분은 셰틀랜드 포니의 거세마 또는 수컷이었고, 어깨 높이 120cm 정도로 어둠에 적응하여 하루 8시간 정도 노동했다. 20년 가까이 일한 피트 포니도 있었지만, 많은 피트 포니는 단명했으며, 그중에는 지하에서 태어나 평생 햇빛을 보지 못하고 죽는 피트 포니도 있었다.[17]

19세기에 들어 동물 복지 운동이 고조되면서 피트 포니의 처우에 사회의 관심이 쏠리게 되었다.[17] 1887년의 탄광 규제법부터 서서히 피트 포니의 보호가 시작되었고, 1911년에 피트 포니의 관리 규정이 입법화되었다. 1913년 영국에는 약 7만 마리의 피트 포니가 지하에 존재했지만, 점차 기계로 대체되면서 그 수가 줄어들었다. 마지막 피트 포니가 은퇴한 것은 1999년이었다.

6. 대표적인 조랑말 품종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조랑말 품종이 발달했으며, 각 품종은 고유한 특징과 용도를 가진다. 대표적인 조랑말 품종은 다음과 같다.


  • 국제적인 품종: 셰틀랜드 포니, 웰시 마운틴 포니, 해크니 포니, 하플링거, 고틀란드 포니, 코네마라 포니, 파라벨라, 미니어처 호스 등이 있다.
  • 한국의 조랑말: 제주마대한민국 제주도의 재래마로, 과하마와 몽골마의 혼혈이다. 몽골마는 몽골 원산으로, 신장은 130cm 내외이며 군마 및 유목용으로 사용된다. 얼룩말을 제외하고 야생 무리가 남아있는 유일한 말 품종이다.
  • 기타: 키소마는 일본 원산이며, 신장은 130cm 정도이다.

6. 1. 국제적인 품종

품종원산지신장용도
셰틀랜드 포니영국100cm 정도승마, 짐 운반[12]
웰시 마운틴 포니영국120cm 미만승마, 쇼
해크니 포니영국130cm 중반마차
하플링거오스트리아130cm 정도승마, 짐 운반[12]
고틀란드 포니스웨덴 고틀란드섬120-122cm승마
코네마라 포니아일랜드 코나트 지방130-140cm승마, 짐 운반, 농경[12]
파라벨라아르헨티나70cm 정도 (40cm 개체도 존재)애완동물, 맹도견
미니어처 호스미국80cm 정도애완동물, 맹도견[12]


6. 2. 한국의 조랑말

한국에서도 조랑말은 오랜 역사 동안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특히, 제주도제주마는 한국을 대표하는 조랑말 품종 중 하나이다.

6. 2. 1. 제주마

대한민국 제주도의 재래마로, 기원은 과하마와 몽골마의 혼혈이다. 제주마의 '마'는 몽골어로 말을 의미한다. 원나라 쿠빌라이 칸 시대에 고려를 침략하여 제주도에서 전투마를 길렀던 것이 시작이며, 토착 말과 교배하면서 제주마가 되었다. 제주도에서는 재래마에 의한 경마가 실시되고 있다.[1]

6. 2. 2. 기타

키소마는 일본 원산으로, 신장은 130cm 정도이다. 원래는 운반 및 농업용 짐말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승마용으로 사용된다.[1]

7. 과거의 조랑말 활용: 피트 포니

산업 혁명영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탄광에서는 수천 마리의 조랑말이 지하에서 일했다.[17] 탄광이 대규모화되고 아동 노동·여성 노동이 사회 문제가 되면서, 이를 대체하듯 조랑말의 수가 늘어났다. 탄광에서 일하는 조랑말은 피트 포니라고 불렸으며, 대부분 셰틀랜드 포니 거세마 또는 수컷이었다. 피트 포니는 어깨 높이 120cm 정도로 어둠에 적응하여 하루 8시간 정도 노동에 종사했다. 20년 가까이 일한 피트 포니도 있었지만, 많은 경우 단명했으며, 지하에서 태어나 평생 햇빛을 보지 못하고 죽는 경우도 있었다.[17]

19세기에 들어 동물 복지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피트 포니의 처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다.[17] 1887년 탄광 규제법을 시작으로 피트 포니 보호가 점차적으로 이루어졌으며, 1911년에는 피트 포니 관리 규정이 입법화되었다. 1913년 영국에는 약 7만 마리의 피트 포니가 지하에 있었지만, 점차 기계로 대체되면서 그 수가 줄어들었다. 마지막 피트 포니는 1999년에 은퇴했다.

8. 유사하거나 혼동되는 말

폴로 경기에서 사용되는 말은 "폴로 포니"라고 불리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서러브레드 품종으로 크기가 큰 경우가 많다.[14]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은 영어로 말할 때 그들의 말을 "포니"라고 부르는 전통이 있는데, 이는 19세기에 그들이 사용했던 머스탱 말의 크기가 작은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오늘날 원주민이 소유하고 사육하는 대부분의 말은 일반적인 말의 크기이다. "포니"라는 용어는 유머러스하거나 애정 어린 의미로 일반 크기의 말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14]

폴로에 사용되는 말을 "폴로 포니"라고 부른다.

참조

[1] 웹사이트 "PONY MEASUREMENT 2007 30 January 2007 Explanation of Article 3103.1, ''FInternational Federation for Equestrian Sport''" http://www.fei.org/D[...] 2009-10-07
[2] 서적 Ponies in Australia Milsons Point
[3] 서적 Conquerors: The Roots of New World Horsemanship Amigo Publications, Inc.
[4] 간행물 Mitochondrial DNA and the origins of the domestic horse 2002-08-06
[5] 간행물 Widespread origins of domestic horse lineages
[6] 간행물 Limited number of patrilines in horse domestication http://www.oeb.harva[...]
[7]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서적 Country Life in America Doubleday, Page & Company 1915-11
[9] 서적 Horses Through Time Roberts Rinehart Publishers
[10] 뉴스 Why Size Matters. Equus 2007-10
[11] 뉴스 Ponies at Boone County Fair pull their weight and then some Missourian 2010-07-27
[12] 웹사이트 Pony Power! http://www.thehorse.[...] 2001-01
[13] 웹사이트 Assateague National Seashore - Wild Horses http://www.gorp.com/[...] 2010-05-10
[14] 웹사이트 The Track Pony: A Racehorse's Best Friend https://thehorse.com[...] 2019-05-02
[15]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Horse DK Publishing
[16] 기타
[17] 서적 人類と家畜の世界史 河出書房新社
[18] 웹인용 조랑망아지 https://stdict.korea[...] 표준국어대사전 2018-04-08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