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용익은 1960년대 프랑스 앵포르멜의 영향을 받은 추상 미술을 시작으로, 1970년대 중반부터 단색화 작품을 주로 제작한 대한민국의 화가이다. 그는 한국 현대 추상 회화를 이끌었으며, 단색화 작품에서 색을 비우고 지우는 독특한 기법을 사용했다. 주요 활동으로는 조선일보 현대 미술가 협회 심사위원, 현대 미술가 협회 회장, 파리 비엔날레 대한민국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등 국내 주요 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문 - 오윤 (화가)
오윤은 소설가 오영수의 아들이자 1980년대 민중미술 운동의 대표 작가로, 흑백 목판화를 통해 사회적 약자의 삶과 고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고, 한국 전통 예술과 서구 미술을 결합한 독창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하여 한국 현대 판화의 선구자로 인정받았다.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동문 - 김민기 (가수)
김민기는 1970년대 저항가요를 대표하며, 가수, 작곡가, 극작가, 연출가로 활동했고,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을 연출했으며, 2024년 위암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화가 - 윤석남
윤석남은 자연과 여성을 주제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실험하며 독창적인 화풍을 선보이는 한국의 여성주의 미술가로, 1985년 '시월모임' 결성을 통해 한국 여성주의 미술 운동의 시작을 알렸고 국제적인 무대에서도 활동하며 여성의 삶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감과 연대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화가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 2023년 사망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는 이탈리아의 사업가이자 정치인으로, 세 차례에 걸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미디어셋 설립, 포르차 이탈리아 창당, 친미 외교 정책, 탈세 및 성 스캔들 등 여러 법적 문제와 논란에 휘말렸다. - 2023년 사망 - 콘스탄티노스 2세
콘스탄티노스 2세는 그리스 왕국의 마지막 국왕로, 재위 기간 중 정치적 혼란과 군사 쿠데타, 왕정 폐지를 겪었으며, 올림픽 요트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
조용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趙容翊 |
인물 정보 | |
분야 | 미술 |
직업 | 화가 |
학력 | |
학력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경력 | |
소속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사상 및 스타일 | |
사조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주요 작품 | |
대표작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수상 내역 | |
수상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영향 관계 | |
영향 받음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영향 줌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개인 정보 | |
배우자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자녀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부모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형제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친척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에 없음) |
2. 작품 특징
조용익은 한국 현대 추상회화를 이끈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그의 작품 세계는 시기별로 뚜렷한 변화를 보여준다.[12] 초기인 1960년대에는 프랑스 앵포르멜의 영향을 받은 추상 작업을 선보였고, 1970년대 초반에는 갓, 한복, 장구 등 한국적 소재를 활용한 반구상 작품을 시도했다.[12]
이후 1970년대 중반부터는 그의 대표적인 양식인 단색화 작업에 몰두했다.[12] 조용익의 단색화는 단순히 단일색을 칠하고 덮는 일반적인 방식에서 나아가, 색을 비우고 지우는 독특한 기법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여러 번 밑칠한 물감이 마르기 전에 손가락이나 도구를 이용해 긁어내거나 지우는 방식으로 화면에 균일하면서도 깊이 있는 질감을 만들어냈다.[13]
이러한 작업 방식에 대해 미술평론가 윤진섭은 한국 전통 옹기 문양에서 영감을 받아 단색화의 한국적 정신세계를 구현했다고 평가했으며, 에드워드 멀랭 갤러리의 로레인 멀랭 대표는 비우기와 지우기 작업을 통해 동양적 정신세계를 근본적으로 다루며 한국 단색화의 깊이와 다양성을 더했다고 언급했다.[13]
2. 1. 초기 (1960년대)
1960년대에는 프랑스 앵포르멜의 영향을 받은 추상 작업을 선보였다.[12]2. 2. 과도기 (1970년대 초반)
1960년대 프랑스 앵포르멜의 영향을 받은 추상 작업을 이어가던 조용익은 1970년대에 들어서면서 새로운 변화를 모색했다.[12] 이 시기에는 갓, 한복, 장구 등 한국의 전통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반구상적인 형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12] 이는 1970년대 중반 이후 본격화되는 단색화 작업으로 나아가기 전의 과도기적 특징을 보여준다.[12]2. 3. 단색화 시기 (1970년대 중반 ~ )
1960년대에는 프랑스 앵포르멜의 영향을 받은 추상 작업을 했고, 1970년대 들어서는 갓, 한복, 장구 등을 소재로 한 반 구상 작품을 선보였다. 이후 197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단색화의 길로 들어섰다. 조용익은 한국 현대 추상회화를 이끈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특히 단색화 작품이 대표적으로 꼽힌다.[12]그의 단색화는 다른 화가들과 달리 단순히 화폭에 단일색을 칠하고 덮는 방식에 머무르지 않고, 색을 비우고 지우는 기법을 함께 사용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7~8번 이상 밑칠을 한 뒤, 물감이 마르기 전에 손가락, 나이프, 붓 등을 이용해 밑색을 긁어내거나 지우고, 스크래치를 내는 방식으로 균일하면서도 독특한 질감의 형상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작업 방식에 대해 미술평론가 윤진섭은 "조용익 화백의 작품은 한국 전통 옹기 문양인 지도문에서 영감을 받아 단색화의 한국적 정신세계를 잘 구현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에드워드 멀랭 갤러리의 로레인 멀랭 대표는 "조용익은 한국 단색화 장르에 깊이와 다양성을 더하는 작가이며, 그의 비우기와 지우기 작업은 동양적 정신 세계를 근본적으로 다루고 있다"고 언급했다.[13]
3. 주요 활동 및 경력
조용익은 현대 미술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그는 현대 미술가 협회 회장, 파리 비엔날레 대한민국 대표 등을 역임하며 미술 단체 활동에 참여했고, 서라벌예술대학(현 중앙대학교) 및 추계예술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또한 대한민국 미술전람회(국전)에 추천 및 초대 작가로 참여하는 등 작가로서의 활동도 이어갔다. 그의 주요 직책, 교육 경력, 국전 관련 활동 등 상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주요 직책
기간 | 직책 |
---|---|
1958–1961년 | 현대 미술가 협회 회장 |
1960년 | 조선일보 현대 미술가 협회 심사위원 |
1962년 | 악튀엘 위원회 위원장 |
1965–1968년 | 젊은 미술상 심사위원 |
1965–1981년 | 서라벌예술대학(현 중앙대학교) 초빙교수 |
1967년 | I.S.P.A.A.(국제 조형 및 시청각 미술 협회) 회장 |
1967–1969년 | 제5-6회 파리 비엔날레 대한민국 대표 |
1973–1979년 | 서울 '70 대표 |
1974–1992년 | 추계예술대학교 교수 |
1974–1981년 | 대한민국 국전(제23-30회) 추천 및 초대 작가 |
1977–1983년 |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 |
3. 2. 교육 경력
1965년부터 1981년까지 서라벌예술대학(현 중앙대학교) 초빙교수로, 1974년부터 1992년까지 추계예술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3. 3. 대한민국 국전 관련
1974년부터 1981년까지 대한민국 미술전람회(국전) 제23회부터 제30회까지 추천 작가 및 초대 작가로 활동하였다.4. 전시 경력
(내용 없음)
4. 1. 개인전
- 1974년 신세계 갤러리, 서울
- 1984년 신세계 갤러리, 서울
- 1990년 아르코미술관, 서울
- 2001년 종로 갤러리, 서울
- 2008년 한 갤러리, 서울
- 2008년 거홍 갤러리, 구리
- 2016년 성곡미술관, 서울[5]
- 2016년 에두아르 말링그 갤러리, 홍콩[6]
4. 2. 그룹전 (일부)
- 1958 르뽕 3인전, 중앙공보관 (서울)
- 1961 제 2회 파리 비엔날레 (파리, 프랑스)
- 1967 제 9회 상파울루 비엔날레 (상파울루, 브라질)
- 1974 제 3회 인도 트리엔날레 (인도)
- 1978 한국 현대미술 20년의 동향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1980 아시아현대미술전, 도쿄미술관 (도쿄, 일본)
- 1986 한국 현대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 1990 한국미술 - 오늘의 상황전 개관기념전, 예술의 전당 (서울)
- 2000 한국과 서구의 전후 추상미술: 격정과 표현전, 호암갤러리 (용인)
- 2015 Fermented Soul - 광복 70주년 그룹전, 케이트 신 갤러리 (뉴욕)
5. 작품 소장처
참조
[1]
Google Books Search
CHO Yong Ik 1934 년 2 월 20 일
https://www.google.c[...]
[2]
웹사이트
Korean Modern Art in the World – :: KOREA FOCUS ::
https://web.archive.[...]
2016-03-14
[3]
웹사이트
Modern Art Collection from Leeum, Samsung Museum of Art {{!}} Asia Art Archive
https://web.archive.[...]
2016-03-14
[4]
뉴스
단색화 1세대 조용익 화백 별세...향년 89세
https://www.newsis.c[...]
[5]
웹사이트
Cho Yong-ik
http://www.timeout.c[...]
2016-03-14
[6]
웹사이트
Cho Yong-Ik's Iconoclastic Dansaekhwa at Edouard Malingue Gallery
https://kiangmalingu[...]
2016-05-15
[7]
서적
20th Century Korean Art
https://books.google[...]
Laurence King Publishing
2005-01-01
[8]
뉴스
80대 화가 조용익의 추상회화…'지움의 비움'전
http://www.yonhapnew[...]
2018-04-17
[9]
웹인용
작가 공식홈페이지 참고
http://www.choyongik[...]
2015-11-30
[10]
뉴스
소식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4-01-03
[11]
뉴스
副理事長(부이사장) 趙容翊(조용익)씨 한국美協臨總(미협임총) 선출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0-08-30
[12]
뉴스
묻혀 있던 단색화가 조용익의 재발견… 성곡미술관 ‘지움의 비움’展
http://news.kmib.co.[...]
2018-04-17
[13]
뉴스
10년 투병끝 부활 조용익, 크리스티경매 단색화 2점 낙찰 쾌거
http://www.newsis.co[...]
2015-11-3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과거 영광 빛바랜 ‘야인시대’ 세트장…부천 ‘노른자 땅’ 장기간 방치
부천 원미산 진달래 동산서 ‘봄꽃여행’
경기 부천에 ‘부천 과학고’ 들어선다···2027년 3월 첫 개교
배우 장미희, BIFAN 조직위원장 위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