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정(町丁)은 일본의 주소 체계에서 시구정촌 내의 주거 구역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어원은 '정(町)'과 '정(丁)'으로, 토지의 구획, 상점가, 또는 거리의 의미를 내포하며, 현재는 시정촌 내의 구역을 세분화하는 데 사용된다. 근세에는 상인과 장인의 거주 구역을 나누는 데 사용되었으며, 도시 계획 및 토지 구획 정리 사업과 관련되어 변화해 왔다. 한국의 '동(洞)'과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정·자 - 고아자
    고아자는 일본에서 경제적 토지 묶음을 나타내는 행정 구역 단위로, 태합검지 이후 토지 관리의 제도적 의미를 갖게 되었고, 메이지 시대 시정촌제 시행으로 오아자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편입되었으며, 한국에도 유사한 제도가 존재한다.
  • 일본의 정·자 - 오아자
    오아자는 일본 근세 촌락의 하위 구획 단위인 '字'에서 유래한 행정 구역 명칭으로, 시정촌 합병 과정에서 기존 촌락 명칭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자치회 등의 지역 분단 단위로 기능하며 향토 의식의 단위로 남아있다.
  • 일본의 행정 구역 - 정령지정도시
    정령지정도시란 일본에서 인구 50만 이상의 도시 중 총무대신이 지정하는 도시로, 도도부현과 유사한 권한을 가지며 국가와 직접 소통이 가능하고 지방선거도 같은 시기에 실시되지만, 특별구는 지정될 수 없고 지역 불균형, 과도한 개발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일본의 행정 구역 - 도 (행정 구역)
    도는 여러 국가에서 행정 구역 단위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의 지위가 변화했고, 한반도에서는 조선의 8도 체제가 남북한의 도 체계의 기반이 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만 '도' 명칭을 사용하고,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다른 국가에서도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행정 구역 단위 - 행정동
    행정동은 법정동을 기준으로 설치되며, 행정력 효율성을 위해 법정동을 통합하거나 분할하는 과정에서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다.
  • 행정 구역 단위 - 구성국
    구성국은 단일 국가 내에서 상당한 자치권을 가지나 완전한 독립성은 없는 자치 또는 연합된 단위들을 의미하며, 연합 왕국이나 연방 국가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자치권과 중앙 정부 권한 간의 균형은 지속적인 논의 대상이다.
조초
일반 정보
구분일본의 시정촌 구역 내의 거리 또는 자
사용 분야인구 통계 등의 분야 용어, 지역에 따라 사용되는 단어
관련 용어정, 자
비고법령상의 정식 명칭은 "정"

2. 어원 및 의미

다이지린에 따르면 "조초(町丁)"는 "시구정촌 내의 주거 표시에 사용되는 시가지의 구분"으로, "미사키초 2초메"와 같이 표시된다.[7]

"조초"라는 단어를 항목으로 다루는 사전은 『다이지린』뿐이며, 다른 사전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다이지린』에서도 초판에는 없었고, 제2판부터 등장했다.[7] 기재 내용은 "초메"가 붙는 동네 이름을 시사하는 표현이지만, "초메"가 붙지 않는 자명(字名)은 포함되는지, "정(町)"이 어떤 의도로 덧붙여졌는지 등, 시정촌 아래 구획으로서의 "정"과의 명확한 차이는 불분명하다.

"조초"는 총무성이 정리하는 일본 정부의 통계에서 시정촌구 내 구역을 획정하는 정이나 초메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된다. 국세조사에서는 시구정촌 내의 △△정, ○○2초메, 자□□ 등의 구역에 대응하는 지역을 헤이세이 7년(1995년)부터 "정정·자 등"이라는 집계 단위로 사용하고 있지만, "정정·자 등" 및 "정정" 자체에 대한 용어 설명은 없다.[7]

2. 1. 한자어 '정(町)'의 의미 변화

원래 "町(마치)"에는 "시가지"라는 의미는 없었으며, 일본어에만 국한되는 의미이다.

애초에 "町(마치)"의 본래 의미는 "을 구획하는 두둑"[8] 또는 "논의 한 구획"이었다. 이것이 일본에 들어오면서, 토지 등의 일부분이라는 의미의 "마치"가 훈으로 적용되었다.[9] 십권본 『와묘류쥬쇼』에도 "町蒼頡篇云町〈他丁反 和名末地〉田地也"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것이 궁전 또는 저택 내의 한 구획을 가리키게 되었고, 도성의 조방제의 구획으로 "町(마치)"가 사용되었으며, ""이라는 글자도 사용되었다.[10][11]

도시 구획으로서의 "町(마치)"는 도성제에 기초한 일본의 궁궐 도시의 가로(대로·소로)에 의해 구획되는 최소 구획이다. 헤이안쿄에서는 "마치" 안에 구획이 더 세분화되어 있었다.[10] 하지만 이 시점에서는 "町"은 시가(市街)라는 뉘앙스를 가지지 않았다.

"町"에 시가지라는 의미가 붙기 시작한 것은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이다. 『루이주 묘기초』에서는 "가게를 속칭 町(마치)라고 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이 무렵부터 "町(마치)"의 의미가 40(약 120m) 사방의 구획에서 상점가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가마쿠라 시대에는 "町人(마치닌)", "町屋(마치야)"라는 말이 등장하고, 가마쿠라에서도 지방에서도 도시적인 장소를 町(마치)라고 부르는 것이 정착하였다.[14]

2. 2. '정(町)'과 '정(丁)'

일본에서는 조방제·조리제에 의해 면적 및 길이 단위로 '정(町)'이 보급되었고, '정(丁)'은 소리가 같기 때문에 길이 단위로 '정(町)'과 같은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교토시에서는 처음에는 동서 양쪽에만 가옥의 문을 만드는 것이 허용되었지만(양면정(両面町)), 나중에는 남북에도 허용되었다(사면정(四面町)). 이 '정(町)'의 4개 변이 각각 하나의 '정(町)'에서 분리된 '정(丁)'으로 인식되었고, 오닌의 난 이후에는 마주보는 정(丁)이 다시 합쳐져 '정(町)'이라는 자치 조직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양측정(両側町)).[15]

2. 3. 정목(丁目)

오늘날에는 마을을 세분화한 단위를 '''정목(丁目)'''이라고 부르지만, 원래는 성읍 등의 길을 따라 붙여진 마을이 1정(약 109m)마다 구획된 것을 의미했다. 1614년의 『게이초 견문집』에는 "모두가 의논하기를 본마을 2정목의 타키야마 야지베는 집을 반만 기와로 지붕을 덮었다"라고 있으며[15], 근세 초기에 이러한 표현이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마쓰에, 와카야마, 센다이처럼 마을(마치)을 마을 사람의 거주지, 정(초)을 무사의 거주지로 엄격하게 구분하여 사용하는 예도 보인다. 특히 와카야마시(특히 쇼와 시대의 대합병 이전의 구 시가지)에서는 2018년 현재에도 마을 이름과 같은 규모의 정 이름이 사용되고 있으며, 마을 이름이 아닌 정정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후쿠오카시에서는 대부분의 시가지 구역은 정목으로 표시되지만, 구 하카타부는 마을(마치)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3. 근세의 정 구획(町割り)

근세에는 병농분리로 인해 성하 마을에서 정인(町人)과 무사의 거주 구역이 해자제방으로 구분되었다[16]아즈치모모야마 시대 도요토미 히데쓰구는 하치만에서 무가 저택과 정가(町家)를 명확히 구분하여 하나의 성하 마을을 만들게 했는데, 이것이 근세 성하 마을의 전형적인 마을 구획의 시작이 되었다.

에도 시대 초기에는 장인 마을과 상인 마을로 나뉘었다. 다이묘에 의해 직능 집단별로 정(町)을 세우라는 명령에 따라 다양한 이름의 정(町)이 생겨났다[16][17]

구분정(町)의 종류
장인 마을목수 마을, 돌깎이 마을, 도료 마을, 개울 마을, 대장장이 마을, 남색 마을, 대패질 마을, 연마공 마을, 금속 마을, 세공 마을, 편백 장인 마을, 다다미 마을, 기와 마을 등
상인 마을어물전 (생선 가게, 어물 가게), 쌀 마을 (곡물 마을), 소금 마을 (소금 가게 마을), 기름 가게 마을, 찻집 마을, 채소 가게 마을 (푸성귀 마을), 종이 가게 마을 (종이 마을), 옷감 마을, 도자기 마을, 재목 마을 (나무 마을), 박락마을 (말 상인 마을) 등
교통 관련역참 마을, 여관 마을, 연작 마을 등


4. 근대의 정(町)

오늘날에도 '정(町)'이라는 지명은 시정촌 중 정(町)의 명칭인 경우, 시정촌 내의 정(町)을 부르는 경우가 많다. 1889년(메이지 22년) 전후 정촌제 시행에 따른 메이지 대합병으로 전국의 구정촌(旧町村)이 통합되어 지방 공공 단체로서의 '정(町)'이 탄생했다. 도시를 구성하던 복수의 정(町)이 합쳐져 하나의 시정촌으로서 정(町)이 된 경우, 종래의 정(町) 명칭은 그대로 계속 사용되었다.

도시화가 진행되고 구획 정리가 실시되면, 종래의 자(字)를 폐지하고 새롭게 정정(町丁)을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문서 地方自治法
[2] 웹사이트 統計表で用いられる地域区分の解説 https://www.stat.go.[...] 2023-04-06
[3] 웹사이트 町丁別世帯数および人口(国勢調査)(千代田区ホームページ) https://www.city.chi[...] 2023-04-06
[4] 웹사이트 町丁目別世帯数男女別人口(中央区ホームページ) https://www.city.chu[...] 2023-04-06
[5] 웹사이트 町別人口および世帯数(太田市ホームページ) https://www.city.ota[...] 2023-04-06
[6] 웹사이트 住民基本台帳人口(京都市ホームページ) https://www2.city.ky[...] 2023-04-06
[7] 웹사이트 統計表で用いられる地域区分の解説 https://www.stat.go.[...] 2023-04-06
[8] 문서 字(あざ)を畔の転であるとする説があり、図らずも一致する
[9] 문서 刀剣において、刀身の部分と茎(なかご)との境目を「区(まち)」と訓むのも同様
[10] 서적 まち【町・街・坊】 https://kotobank.jp/[...] 2001
[11] 문서 坊は平安京では16の町から構成され各坊に坊長が置かれて支配を司ったが、早くにその実体を失い、町がもっぱら「まち」となってくる
[12] 문서 しかし一般には町の表示は「二条三坊八町」のごとく数字にて表示(京外の五条八里三坪(町)などという表示と対応)されたと考えられる
[13] 문서 官人の集住地で、行政上の理由で強制的に住まわされた
[14] 간행물 都市地名の発生と変遷 1990
[15] 문서 そのため京都の旧市街で町を「まち」と呼ぶのは一部の例外を除き、室町通や新町通など通りの名称に限られる
[16] 백과사전 まち 町
[17] 백과사전 まちわり 町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