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로스 (선교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로스(John Ross)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선교사로, 1872년 중국 동북부(만주)로 파견되어 선교 활동을 펼쳤다. 그는 한국인들과 함께 신약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1887년 《예수셩교전서》를 간행하였으며, 이는 최초의 한국어 성경 번역본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또한, 한국어 학습서인 《Corean Primer》를 저술하여 한글의 우수성을 알리고 띄어쓰기를 최초로 도입하는 등 한글 보급에도 기여했다. 그는 중국에서 가톨릭 선교를 비판하기도 했으며, 1910년 스코틀랜드로 귀국한 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어 성경 번역자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는 연세대학교 설립자이자 미국의 장로교 선교사로, 1885년 한국에 입국하여 새문안교회와 경신학교를 설립하고 YMCA 창설, 성서 번역, 한국어 연구, 독립운동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가족 또한 한국에서 교육 및 의료 사업에 헌신하였다. - 한국어 성경 번역자 - 제임스 게일
제임스 게일은 캐나다 출신의 선교사이자 교육자, 번역가로, 한국에서 성경 번역, 사전 편찬, 문학 작품 번역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했다. - 한국에 거주한 영국인 - 레지널드 블라이스
레지널드 블라이스는 영국 출신의 영문학자로, 한국과 일본에서 활동하며 선불교와 하이쿠 연구에 헌신했고, 서구 사회에 선불교와 하이쿠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 한국에 거주한 영국인 - 어니스트 베델
어니스트 베델은 대한매일신보 창간자로서 일제강점기 한국에서 언론 자유를 수호하고 한국 독립을 위해 활동한 영국 언론인이다. - 스코틀랜드의 기독교 선교사 - 데이비드 리빙스턴
데이비드 리빙스턴은 19세기 아프리카 탐험에 기여한 스코틀랜드 출신 탐험가이자 선교사로, 빅토리아 폭포 발견, 아프리카 대륙 횡단, 노예 무역 근절 노력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나일강 수원지 탐색 중 헨리 모턴 스탠리를 만났고 잠비아에서 사망 후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안장되었다. - 스코틀랜드의 기독교 선교사 - 로버트 모리슨
로버트 모리슨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개신교 선교사이자 언어학자, 사전 편찬가로, 중국 선교의 개척자로서 중국어 성경 번역과 최초의 중국어-영어 사전 편찬에 기여하고 동인도 회사에서 번역가로 활동하며 앵글로-중국 칼리지를 설립하여 교육을 통한 선교 활동을 펼쳤다.
존 로스 (선교사) |
---|
2. 생애
존 로스는 1842년 8월 9일 스코틀랜드 서북쪽의 작은 항구인 라리키(Rarichie)에서 양복업자인 아버지와 캐더린 서더런스의 8남매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13] 장남인 로스는 가문의 믿음을 이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목사가 되기로 결심하고, 에든버러에 있는 장로회신학대학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글래스고 대학교와 에든버러의 신학교에서 공부한 후, 동아시아에 복음을 전하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1872년, 로스는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 해외선교부의 중국 선교사로 파송되어 만주로 갔다. 그는 1872년 2월 27일 목사 안수를 받고 스튜어트와 결혼한 후 중국으로 떠났다. 로스 부부는 잉커우시에 처음 도착한 후, 상하이를 거쳐 선양으로 이동하여 1889년 둥관 교회를 설립했다.
로스는 중국에서 사역하면서 한국에서 온 상인들을 만나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하는 일에 참여했다. 1887년 신약 성경 번역이 완료되었고, 이는 최초의 한국어 성경 번역본이었다.[4]
1910년, 로스는 건강상의 이유로 스코틀랜드로 돌아갔지만, 스코틀랜드-중국 협회를 도우며 중국 선교를 계속 지원했다. 그는 에든버러에서 사망하여 뉴잉턴 묘지에 묻혔다. 이스터 로스의 발린토어 해안가에는 존 로스를 기념하는 명판이 있다.
2. 1. 초기 선교 활동
존 로스는 1872년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 해외선교부의 중국 선교사로 파송되어 당시 만주라고 불리던 중국 동북부로 갔다.[14] 그는 글래스고 대학교와 에든버러의 신학교에서 공부를 한 후, 동아시아에 복음을 전파하겠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 해외 선교부 총무인 맥길 박사의 도움으로 선교사가 되었다.[14] 1872년 2월 27일 스코틀랜드 장로회 인버네스 노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스튜어트와 결혼한 후였다.[15]로스 부부는 잉커우시에 처음 발을 딛은 후,[15] 그해 8월 23일에 상해에 도착했다.[16] 처음에는 잉커우에서 사역을 하다가 선양으로 사역지를 옮겨 1889년 둥관 교회를 설립하였다.[3] 당시 기독교 교회는 성벽 안에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동문 밖에 교회를 지었다.[3] 의화단의 난 이후에 새로 지어진 교회는 문화혁명 때에도 파괴되지 않고 지금도 개신교 교회당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로스는 한국에서 온 무역상인들을 만나 신약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는 한국인 이응찬, 김진기, 서상륜, 백홍준 등과 함께 성경을 번역하였는데, 1882년에 완성된 누가복음과 요한복음을 중국에 있던 영국 성서공회를 통해 각 3,000부를 출판하여 만주 및 한국에 배포하였다.[17] 신약 성경 전권은 1887년 완역된 후 인쇄되어 한국으로 들여보내졌다.[18]
2. 2. 한국과의 만남
존 로스는 중국에서 사역하던 중 한국에서 온 상인들을 만나, 신약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하기로 결심하였다. 그는 한국인 이응찬, 김진기, 서상륜, 백홍준 등과 함께 성경을 번역하였다.[17] 로스는 만주의 조선족 한약상인이였던 이응찬을 만나 조선어를 배웠다.[8]1882년에 완성된 누가복음과 요한복음은 중국에 있던 영국 성서공회를 통해 각 3,000부가 출판되어 만주 및 한국에 배포되었다.[17] 1887년에는 신약성서 전권이 완역되어 인쇄된 후 한국으로 보내졌다.[18] 이는 최초의 한국어 번역본이었다.[4]
2. 3. 한국 관련 활동
로스는 한국에서 온 무역상인들을 만나 신약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로스 목사는 한국인 이응찬, 김진기, 서상륜, 백홍준 등과 함께 성경을 번역하였는데, 1882년에 완성된 누가복음과 요한복음을 중국에 있던 영국 성서공회를 통해 각 3,000부를 출판하여 만주 및 한국에 배포하였다.[17] 신약 성경 전권은 1887년 완역된 후 인쇄되어 한국으로 들여보내졌다.[18] 이것은 최초의 한국어 번역본이었다.[4]만주의 조선족 한약상인 이응찬을 만나 조선어를 배웠다. 신약성서 전권을 현지에서 처음으로 조선어로 번역하여 1887년에 싱가포르에서 인쇄한 후 한반도로 보냈기에, 중국의 조선족·한반도 기독교 발전의 요람 중 하나로 여겨진다.[8]
1877년에는 서양인에 의한 최초의 조선어 학습 안내서인 『코리안 프라이머(Korean primer)』를 출판했고, 1879년에 『코리아의 역사』를 출판했다. 그 이후에도 조선의 언어·지리·역사 등에 대해 서술했다. 특히 한글을 높이 평가했으며, 외교 면에서는 일본과 러시아의 한반도 진출을 경계했다. 또한 천연두의 만연을 우려했다.
1892년 그는 한국에서 온 제임스 게일을 만났다.
2. 4. 만년
1910년 스코틀랜드로 돌아갔지만, 스코틀랜드-중국 협회를 계속 도왔다. 에든버러에서 사망했으며, 뉴잉턴 묘지의 남북 주 도로 동쪽 중간 지점에 묻혔다. 이스터 로스의 발린토어 해안가에는 존 로스를 기념하는 명판이 있다.3. 한글 성경 번역
존 로스는 한국인들의 도움을 받아 신약성서를 번역하여 1887년 《예수성교전서》를 간행하였다.[19] 로스역 성경은 1882년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셔》와 《예수셩교 요한복음젼셔》, 1883년 《예수셩교셩셔 누가복음 데자행젹》과 《예수셩교셩셔 요한복음》, 1884년 《예수셩교셩셔 마태복음》과 《예수셩교셩셔 말코복음》, 1885년 《예수셩교셩셔 요한복음 어비쇼셔신》, 1887년 《예수셩교젼셔》 총 8권의 한글 성경을 말한다.[20]
3. 1. 번역 동기
존 로스는 한국인들에게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서는 선교사들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해야 하며, 한글로 쓰인 성경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21] 로스가 태어나고 자란 스코틀랜드의 시골 마을에서는 영어가 아닌 게일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로스는 학교에 입학해서야 정식으로 영어를 배웠다. 따라서 그에게는 영어를 배우는 것이 외국어를 배우는 것과 같게 느껴졌다. 이처럼 어린 시절에 외국어를 습득하는 경험을 한 로스에게 한국어나 중국어와 같은 생소한 언어를 공부하는 일은 남들보다 훨씬 수월했을 것이다.[22]로스는 한글이 어떤 가치와 잠재력을 갖고 있는지 잘 알았다. 그는 한국의 알파벳은 30분 만에 충분히 습득할 수 있을 정도로 아름답고 단순하다고 이야기한 바 있다.[23] 또한 로스는 그와 함께 스코틀랜드 성서공회에 속해 있던 윌리엄슨 목사가 산둥반도를 중심으로 선교 활동을 펼쳤다는 소식과, 토마스 목사가 선교를 하는 중에 대동강에서 순교했다는 소식을 듣고 그들의 한국 선교 열의에 감동하여 한국에 복음을 전해야겠다고 마음먹게 된다.[24]
3. 2. 번역 과정
존 로스는 한국에 복음을 전하기 위해 우선 산둥 지역으로 선교 여행을 떠났고, 1874년 10월에는 한국과의 접촉을 위해 처음으로 고려문에 갔다. 당시 조선은 흥선대원군이 쇄국정책을 고수하던 시기로, 조선과 청나라가 교류할 수 있는 통로는 고려문이 유일했기 때문에 한국인들을 만나기 위해서는 고려문 여행이 불가피했다. 로스는 이 첫 번째 고려문 여행에서 조선 상인들과 접촉했지만, 상인들은 돈과 관련되지 않은 로스의 설교에는 관심이 없었다. 로스가 실망하고 있던 중, 그에게 흥미가 생긴 상인 한 명이 찾아왔고, 로스는 그 상인에게 한문 성경과 소책자 한 권을 주고 다음을 기약하며 돌아갔다. 로스가 두 번째 고려문 여행을 떠난 것은 강화도 조약으로 인해 한국의 문호개방이 실행된 후인 1876년 4월 초에서 5월 초였다.[25]1875년, 로스는 고려문에 가서 의주 청년들을 만나 그들의 도움을 받아 본격적으로 성경을 번역하기 시작했다.[25] 로스가 한글로 성경을 번역하는 과정은 크게 네 시기로 나눌 수 있다.
- 1기: 한국어 습득과 한국어 문법책을 만드는 시기. 로스는 복음 전파를 위해 먼저 한글을 공부한 후 한국어 문법책을 만들었다.
- 2기: 본격적으로 한문 성경을 한글로 번역하기 시작하는 시기. 로스는 1879년 안식년 휴가를 떠나기 전까지 약 2년 동안, 1852년에 번역된 한문 문리 성경을 바탕으로 마태복음에서 로마서까지 번역했다.
- 3기: 로스가 안식년 휴가를 떠난 동안 우장의 매킨타이어의 주도 하에 번역이 이루어진 시기 (약 2년).
- 4기: 신약성서가 완역되어 《예수셩교젼셔》가 완성.[26]
3. 2. 1. 번역 방법
존 로스는 다음과 같은 번역 방법을 사용하였다.[27]# 한국인 번역자가 한문 성경을 한글로 번역한다.
# 한글로 번역된 성경을 그리스어 성경과 영어 성경을 대조하면서 수정한다.
# 그리스어 성구 사전과 주석을 참고해 모든 어휘를 수정하여 통일한다.
# 수정된 원고를 정서한다.
# 다시 그리스어 성경을 대조해 읽으면서 최종 수정을 한다.
4. 한국어 학습서 편찬
이응찬의 도움으로 존 로스는 1877년에 한국어 학습서인 《Corean Primer》(한국어 첫걸음)을 펴냈다.[10] 1876년 4월경 고려문으로 여행을 하면서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할 계획을 세웠고, 한국어를 가르쳐 주고 신약성서 번역을 도울 사람을 찾던 중 이응찬을 만나 한국어를 배웠다.[10]
4. 1. 특징
로스는 이응찬의 도움으로 한국어를 배워 1877년에 한국어 학습서인 《Corean Primer》(한국어 첫걸음)을 펴냈다.[10] 1876년 4월경, 로스는 고려문으로 여행하면서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할 계획을 세웠다. 그는 한국어를 가르쳐 주고 신약성서 번역을 도울 사람을 찾던 중, 이응찬을 만나 한국어를 배웠다. 1877년, 로스는 이응찬과 함께 외국인, 특히 선교사들이 한국어와 글을 배울 수 있도록 돕는 교재 《Corean Primer》를 만들었다.[10] 이 책은 한글 밑에 로마자로 발음 기호를 표기했다.로스는 이 책에서 한글 표기에 최초로 띄어쓰기를 도입했는데,[10][11] 이는 영어의 띄어쓰기가 자연스럽게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그는 또한 “한글은 소리글자로 이루어져 자모만 배우면 누구나 읽고 배울 수 있는 글자”라며 한글의 우수성을 언급했다. 이 책은 평안도 의주 출신인 이응찬의 영향으로 평안도 사투리로 쓰여졌다는 특징이 있다.
5. 가톨릭 비판
존 로스는 중국에서 복음을 방해하는 중요한 요소로 천주교 신부들을 꼽았다. 그는 중국에서 다음과 같이 가톨릭 예수회 신부들을 비판했다.
내가 확신하는 바로는 그들이 이처럼 기세를 부릴 정도로 과거 단체 혹은 개인별 대학살을 겪지는 않은 것으로 안다. 저들의 자만, 방자함, 안하무인적 행동은 가장 타락한 교황국가에서도 찾아볼 수 없을 것이다. 중국인들이 신분 고하를 막론하고 가장 얻고 싶어 하면서도 가장 학식 있는 자에게도 주지 않는 지위와 명예를 신부들은 요구한다. 로마 가톨릭 신부나 그들이 개종시킨 자들 만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중국인들이 가장 혐오하는 곳이 되었는데 이는 하등 놀랄 일이 못된다. 그들의 선교본부는 중국인들이 가장 증오하는 곳이 되어버렸다. 그들이 스스로 주님이라 부르며 전하는 그리스도를 조금이라도 닮았다면 그분의 말씀과 업적을 왜곡하고 변질시켜 사람들이 알지 못하게 하지만 않았던들 벌써 3세기가 지난 지금에 이를러서도 보잘 것 없는 소수집단으로는 남아있지 않았을 것이라 생각하는 바이다. 예수회 신부들은 체면도 없고 양심도 없다.[28]
6. 저작
- Corean primer: being lessons in Corean on all ordinary subjects, transliterated on the principles of the "Mandarin primer", by the same author영어 (1877)
- The Manchus, or The reigning dynasty of China: their rise and progress영어 (1891)
- History of Corea, Ancient and Modern; with Description of Manners and Customs, Language and Geography영어 (1891)
참조
[1]
웹사이트
최초의 한글 띄어쓰기, 존 로스 선교사로부터 시작되다, 9세기 말 한국을 방문해 최초의 한글 성경 예수셩경누가복음젼셔(1882)를 만든 존 로스를 만나봅니다., 국립한글박물관 소식지 2017년 2월 제43호
https://www.hangeul.[...]
2023-02-16
[2]
서적
Who's who in the Far East
https://archive.org/[...]
The China Mail
1906-06
[3]
문서
Dugald Christie, "Ten Years in Manchuria" (1893) and "Thirty Years in Mukden" (1914)
[4]
웹사이트
John Ross (1842-1915), Scottish Bresbyterian Missionary in Manchuria
http://digilib.bu.ed[...]
[5]
웹사이트
Thema: Die Planzengattung Iris ... (Gelesen 5316 mal)
http://www.orchideen[...]
orchideenkultur.net
2015-01-13
[6]
Google books
Dictionary of British and Irish Botanists and Horticulturalists Including Plant Collectors, Flower Painters and Garden Designers (1994)
[7]
서적
'奉天三十年(上巻・下巻)'
岩波新書
1938
[8]
웹사이트
John Ross (1842-1915), Scottish Bresbyterian Missionary in Manchuria
http://digilib.bu.ed[...]
[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bskorea.o[...]
대한성서공회
2013-11-24
[10]
웹사이트
'[국립 한글박물관 소식지 2017년 2월호] 최초로 한글 띄어쓰기, 존 로스 선교사로부터 시작되다'
https://www.hangeul.[...]
[11]
뉴스
'[국민일보 2013년 10월 8일] 한글 띄어쓰기 첫 도입은 로스 선교사'
http://m.kmib.co.kr/[...]
[12]
서적
존 로스의 한국사
살림
2010-01-28
[13]
서적
초기 한글성경 번역과 보급에 대한 고찰 - 최초의 한글성경 로스역본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s[...]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4]
서적
Who's who in the Far East
https://archive.org/[...]
The China Mail
1906-06
[15]
문서
Dugald Christie, "Ten Years in Manchuria" (1893) and "Thirty Years in Mukden" (1914)
[16]
서적
초기 한글성경 번역과 보급에 대한 고찰 - 최초의 한글성경 로스역본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s[...]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7]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성서번역 [聖書翻譯] (국어국문학자료사전, 1998., 이응백, 김원경, 김선풍)'
https://terms.naver.[...]
[18]
웹사이트
John Ross (1842-1915), Scottish Bresbyterian Missionary in Manchuria
http://digilib.bu.ed[...]
[19]
서적
19세기 후기 국어의 형태론적 연구 : 예수셩교 전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morphology in the late 19th Centurys Korean
http://www.riss.kr/s[...]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20]
서적
초기 한글성경 번역과 보급에 대한 고찰 - 최초의 한글성경 로스역본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s[...]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21]
서적
존 로스의 한국사
살림
2010-01-28
[22]
서적
존 로스의 한국사
살림
2010-01-28
[23]
서적
존 로스의 한국사
살림
2010-01-28
[24]
서적
로스(J.Ross)역 한글 성경의 역사적 의미
http://www.riss.kr/s[...]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5]
서적
로스(J.Ross)역 한글 성경의 역사적 의미
http://www.riss.kr/s[...]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6]
서적
로스(J.Ross)역 한글 성경의 역사적 의미
http://www.riss.kr/s[...]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7]
서적
초기 한글성경 번역과 보급에 대한 고찰 - 최초의 한글성경 로스역본을 중심으로
http://www.riss.kr/s[...]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28]
문서
박용규《한국기독교회사 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