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종리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종리말은 진나라 말기 항량의 반군에 합류하여 장군으로 활약했으며, 항우를 섬기며 최측근으로 활약했다. 초한전쟁에서 유방 측의 계략으로 항우에게 소외되었으나, 항우를 위해 끝까지 싸웠다. 항우 사후 절친한 친구인 한신에게 의탁했으나, 유방에게 체포될 위기에 처하자 한신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자결했다. 종리말은 한신의 도움으로 유방에게 항복하려던 찰나, 스스로 목숨을 끊어 한신을 보호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나라의 군인 - 조참
    조참은 전한 초기의 장군이자 정치가로, 유방을 도와 진나라 멸망과 초한쟁패 승리에 기여했으며, 한나라 건국 후 제나라 상국과 한나라 승상을 역임하며 안정적인 통치를 펼쳤고, 특히 소하의 법제를 따라 '소규조수' 고사를 남겼다.
  • 날붙이로 자살한 사람 - 민영환
    민영환은 1861년 서울에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요직을 거치며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한 개화파 인물로,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자결했으며 그의 유서는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날붙이로 자살한 사람 - 주우정
    주우정은 후량 태조 주전충의 아들로, 형의 폭정 이후 황제가 되었으나 후당과의 전쟁과 내부 반란으로 자결하며 후량을 멸망시킨 황제이다.
종리말
인물 정보
이름종리말
한자鍾離眜 / 鍾離昩
로마자 표기Jungli Mal

2. 생애

종리말은 이로(伊盧)에 살았다. 항량·항우가 군사를 일으키자 이에 참여하여 진나라 멸망 후 초한전쟁에서 항우의 부장으로 활약했고, 진평은 범증, 용저, 주은과 더불어 종리말을 항우의 최측근으로 평가할 정도로 항우의 측근이었다. 유방 휘하의 진평의 계략으로 항우와 멀어졌지만, 항우 밑에서 계속 싸웠다.

항우가 죽은 후, 유방은 항우의 잔당들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이에 종리말은 옛 친구인 한신에게 몸을 의탁하였다.

2. 1. 진나라 말기의 활약

항량·항우의 거병에 참여하여, 진나라 멸망 후 초한전쟁에서 항우의 부장으로 활약하였다. 진평범증, 용저, 주은과 더불어 종리말을 항우의 최측근으로 평가했다.[1] 유방 휘하의 진평의 계략으로 항우와 멀어졌지만 항우의 밑에서 계속 싸웠다. 한왕 4년(기원전 203년), 항우가 급히 팽월을 공격하는 틈을 노려 유방의 군대가 역습을 시도, 조구의 방어군 본대를 격파하고 형양이 함락될 위기에 처했을 때, 항우가 돌아올 때까지 필사적으로 방어에 성공하는 공을 세웠다.[1]

2. 2. 초한쟁패기의 활약

항량항우가 일으킨 반란에 참여하여 진나라가 멸망한 후 초한전쟁에서 항우의 부장으로 활약하였다. 진평은 범증, 용저, 주은과 함께 종리말을 항우의 최측근으로 꼽았다.[1] 유방 휘하의 진평이 계략을 써서 항우와 종리말을 이간질했지만, 종리말은 항우 밑에서 계속 싸웠다.[1] 기원전 203년(한왕 4년), 항우가 팽월을 공격하는 틈을 타 유방의 군대가 역습하여 조구의 방어군 본대를 격파하고 형양이 함락될 위기에 처했을 때, 종리말은 항우가 돌아올 때까지 필사적으로 방어에 성공하는 공을 세웠다.[1]

종리말은 항우 군대에서 낮은 계급의 병사로 복무하던 한신과 절친한 사이였다.[4] 종리말은 한신의 재능을 알아보고 항우에게 한신을 고위직으로 진급시켜 줄 것을 여러 번 요청했지만, 항우는 종리말의 말을 듣지 않고 한신을 높이 평가하지 않았다.[4]

2. 3. 한신과의 관계와 죽음

항우가 죽은 후, 유방은 항우의 잔당들을 체포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이에 종리말은 옛 친구인 한신에게 몸을 의탁하였다. 유방은 한신을 왕에 봉하였으나, 어떤 자가 유방에게 한신이 반역을 일으킬 것이라고 참언하였다. 유방은 진평의 계략을 받아들여 남쪽에서 사냥한다고 하고 제후들을 불러모은 후, 한신을 습격하려고 하였다. 한신은 유방을 뵈어 자신이 다른 마음을 품지 않았음을 설명하려 하였으나, 체포를 두려워하여 실행에 옮기지는 않았다.[1]

그때 어떤 사람이 한신에게 종리말을 죽이면 용서받을 것이라고 설득하였고, 한신은 이 말을 옳게 여겼다. 이 사실을 안 종리말은 한신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1]

그러고는 스스로 목을 찔러 죽었다.[1]

한신은 종리말의 수급을 들고 유방을 만났으나, 체포된 후 회음후로 격하되었다.[1]

3. 자손

종리말에게는 장남 종리발(鍾離發)과 차남 종리접(鍾離接)이 있었다. 종리발은 구강에서 가문을 이었고, 종리접은 영천군 장사현(長社縣)에 살면서 성씨를 종(鍾)으로 고쳤다.[8]

신당서』 권15 상·재상세계5 상에 따르면, 종리말에게는 장자인 발과 차자인 접, 두 아들이 있었다. 발은 구강에 거주하며 종리씨 성을 계속 사용했다. 그의 자손이 삼국 시대의 종리목과 종리비(육기의 『변망론』에만 등장)이다. 한편, 접은 영천 장사에 거주하며 종씨로 성을 고쳤다. 또한 『신당서』는 종씨의 계보로서, 종접 다음으로 후한종호, 종적, 삼국 시대종요, 종회 등을 열거하고 있다. 그들은 모두 영천 장사 출신이다. 다만, 접에서 호까지 몇 대의 간격이 있는지는 기재하지 않았다.

참조

[1] 서적 漢書
[2] 서적 劉邦 中央公論新社 2005
[3] 문서 史記正義
[4] 서적 한서
[5] 서적 자치통감
[6] 간행물 자치통감보(資治通鑑補) https://archive.org/[...]
[7] 간행물 자치통감사정전훈의 https://jsg.aks.ac.k[...]
[8] 서적 신당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