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공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공삼은 일제강점기 및 한국 전쟁 시기를 거친 인물로, 8·15 광복 이후 월남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평안남도 대동군에 은거했다. 한국 전쟁 발발 후 인민군에게 체포되어 황해도까지 끌려갔으나, 미군의 폭격을 틈타 탈출하여 월남하였다. 이후 서울을 거쳐 남한 각지를 전전하며 피난 생활을 하다가, 1952년 제주도로 피난하여 1953년 뇌수막염으로 사망했다. 주요 자녀로는 주요한, 주요섭, 주영섭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공삼가 - 주요한
    주요한은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언론인이자 정치인이며, 친일 행위로 인해 논란이 있으며, 국회의원과 상공부 장관을 역임했다.
  • 주공삼가 - 주영섭 (극작가)
    주영섭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직후 활동한 극작가로, 좌익 연극 활동을 하다 친일 연극을 연출하여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광복 후 월북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행적이 묘연하다.
  • 수막염으로 죽은 사람 - 스레치코 코소벨
    슬로베니아의 시인이자 작가인 스레치코 코소벨은 짧은 생애 동안 다양한 예술 사조를 섭렵하며 슬로베니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 파시즘 저항 정신과 사회 비판적 시각을 담은 작품으로 민주화 운동에 기여하며 사후에도 재평가받고 있다.
  • 수막염으로 죽은 사람 - 이효석
    이효석은 1907년 강원도 평창에서 태어나 경성제국대학 영문과를 졸업하고 소설 《메밀꽃 필 무렵》 등을 발표하며 일제강점기에 활동하다가 1942년 사망한 소설가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목회자 - 강량욱
    북한의 정치인이자 종교 지도자였던 강량욱은 김일성의 외삼촌으로, 장로교 목사 출신으로 조선기독교연맹 의장, 북한 부수상 등을 역임하며 김일성의 존경을 받았고 사후 국장으로 애도받았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목회자 - 신석구
    일제강점기 목사이자 독립운동가인 신석구는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신사참배를 거부하며 일제에 저항했으며, 광복 후에는 북한에서 반공주의 운동을 펼치다 체포되어 한국 전쟁 중 총살당했고,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헌을 기려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했다.
주공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주공삼
본명주진우(朱珍雨) → 주공삼(朱孔三)
종교개신교(장로회)
직업개신교 목사 및 자선가·사회 사업가 겸 사회 운동가 및 전직 시인
별칭호(號)는 신안(新安)
경력대한제국 평안남도 대동군 군서기관
일제 시대 평남평양연화동교회 담임 목사
친척김자혜(둘째 며느리)
학력평남평양신학교 전문학사(1910년 3월)
자녀4남 4녀
(장남 주요한, 차남 주요섭,
3남 주병섭, 4남 주정섭)
국적대한제국
본관신안
출생일1875년 6월 16일
사망일1953년 10월 18일
거주지대한민국 전라남도 무안군
출생지조선 평안도 평양
사망지대한민국 제주도 북제주군
배우자부인 있었음(1941년 사별)
활동 기간1893년~1944년
웹사이트주공삼

2. 광복 이후 행적과 월남

1945년 광복 이후 삼팔선이 생기면서 월남하려 했으나, 북한 지역 소련 군정의 방해로 실패하고 평안남도 대동군에 은거하였다.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징집을 피해 평안남도 강동군, 강서구역 등지로 은신하던 중 인민군에게 체포되어 황해도까지 끌려갔다. 1950년 9월 15일 미군의 황해도 폭격으로 북한군이 약화되자 탈출하여 월남하였다. 1950년 9월 28일 대한민국 국군의 서울 수복 이후 서울특별시로 남하했고, 경기도 가평군, 충청남도 보령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전라남도 화순군 등지를 거쳐 1952년 3월 전라남도 무안군을 떠났다. 1952년 11월,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피난민들과 어선을 빌려 타고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으로 피난하였다. 월남 과정에서 장남 주요한과 차남 주요섭은 만나지 못한 채 피난 생활로 건강이 악화되었으며,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휴전 이후 장티푸스뇌수막염 합병증으로 1953년 10월 18일 제주 북제주에서 사망했다.[1]

2. 1. 광복과 월남 시도

1945년 8·15 광복 이후 삼팔선이 생기면서 월남하려 했으나, 북한 지역 소련 군정 치하 평양 주재 소비에트 인민위원회 등의 방해로 실패하였다. 결국 주진우(주공삼)는 당시 월북한 막내아들 주정섭(주영섭)도 만나지 못한 채 평안남도 대동군에 은거하였다.[1]

2. 2. 한국 전쟁과 피난 생활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주공삼은 북한 인민군의 징집을 피해 평안남도 강동군, 강서구역 등지로 은신했다. 그러나 결국 평안남도 강서구역에서 인민군에게 체포되어 황해도까지 끌려갔다.[1]

1950년 9월 15일, 미군황해도 폭격으로 북한 인민군이 약화되자 주공삼은 이 틈을 타 탈출하여 월남하였다. 같은 해 9월 28일, 대한민국 국군이 서울 수복 작전에 성공하자 서울특별시로 남하했다.[1]

이후 경기도 가평군, 충청남도 보령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전라남도 화순군 등지를 거쳐 1952년 3월 전라남도 무안군을 떠났다. 같은 해 11월,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피난민들과 함께 어선을 빌려 타고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 지역으로 피난 생활을 했다.[1]

2. 3. 서울 수복과 남한 정착

1945년 8·15 광복 이후 삼팔선이 생기면서 월남하려 했으나, 북한 소비에트 군정 치하 평양 주재 소비에트 인민위원회 등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주진우(주공삼)는 당시 월북한 막내아들 주정섭(주영섭)도 만나지 못한 채 평남 대동군에 은거했다. 1950년 6·25 전쟁 발발 후, 북한 괴뢰 인민군 징집 장려 홍보 권유를 피해 평남 강동군·강서군 등에 은신했다. 결국 평남 강서군에서 북한 공산 정권 인민군에게 잡혀 황해도까지 끌려갔다.[1]

1950년 9월 15일 미군이 황해도에 폭격을 가해 북괴 인민 정부 공산군이 타격을 입고 위축되자, 이를 계기로 남한으로 탈출하여 월남했다. 같은 해 9월 28일 대한민국 국군이 서울 수복 작전에 성공하자 서울로 남하했다. 같은 해 11월 이후 경기도 가평, 충남 보령, 전북 군산, 전남 화순 등지를 거쳐 기거했다. 1952년 3월 전남 무안 지역을 떠났고, 8개월 후인 1952년 11월 전남 신안군에서 피난민들과 함께 어선(漁船)을 빌려 타고 제주도 북제주 지역으로 피난했다.[1]

월남 과정에서 장남 주요한과 차남 주요섭은 만나지 못한 채 피난 생활로 건강이 악화되었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휴전 협정 체결 이후 장티푸스뇌수막염 합병증으로 1953년 10월 18일 제주 북제주에서 사망했다.[1]

2. 4. 제주도 피난과 사망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주진우(주공삼)는 북한 인민군 징집을 피해 평안남도 강동군, 강서군 등지에서 은신하다가 인민군에 붙잡혀 황해도까지 끌려갔다.[1] 1950년 9월 15일, 미군의 황해도 폭격으로 북한 공산군이 타격을 입고 위축되자, 주진우는 이를 틈타 남한으로 탈출하여 월남하였다.[1]

1950년 9월 28일, 한국군의 서울 수복 작전 성공 후, 주진우는 서울로 남하했다.[1] 이후 경기도 가평군, 충청남도 보령시,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전라남도 화순군 등지를 거쳐 1952년 3월경 전라남도 무안군을 떠났다.[1] 같은 해 11월,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피난민들과 함께 어선을 빌려 타고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으로 피난을 갔다.[1]

월남 과정에서 주진우는 장남 주요한과 차남 주요섭을 만나지 못했고, 피난 생활로 건강이 악화되었다.[1]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휴전 협정 체결 이후 장티푸스뇌수막염 합병증을 얻어, 결국 1953년 10월 18일 제주특별자치도 북제주군에서 사망했다.[1]

3. 가족 관계

주공삼은 4남 4녀(총 8남매)를 두었다. 장남은 주요한, 차남은 주요섭이다. 삼남 주병섭은 33세에 폐병으로 요절했고, 사남 주영섭의 아명은 주정섭이다.

3. 1. 주요 자녀

이름출생일사망일비고
주요한1900년 12월 5일1979년 11월 17일장남
주요섭1902년 11월 24일1972년 11월 14일차남
주병섭1906년 4월 12일1938년 5월 13일삼남, 폐병으로 요절
주영섭1912년 1월 11일몰년 미상사남, 아명은 주정섭


참조

[1] 일반
[2]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