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드라밤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찬드라밤사는 인도 신화에 등장하는 달의 왕조로, 푸루라바와 일라가 시조로 여겨진다. 이 왕조는 달의 신 소마의 후손으로, 아이라족이라고도 불린다. 찬드라밤사에는 푸루족, 야두족, 쿠루족 등 여러 분파가 있으며, 마하바라타의 주요 등장인물들이 속해 있다. 역사적으로는 바라타족, 쿠루 왕국, 파우라바 왕국 등이 이 왕조와 관련이 있으며, 쿠룩셰트라 전쟁과 같은 중요한 사건과도 연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힌두 신화의 왕조 - 이크슈바쿠 왕조
이크슈바쿠 왕조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에서 언급되는 고대 인도 왕조이며, 힌두교에서는 태양신 수리야의 아들 이크슈바쿠가, 불교에서는 샤카족의 기원이, 자이나교에서는 리샤바나타가 이 왕조와 관련된다고 여겨진다. - 힌두 신화의 왕조 - 야두 왕조
야두 왕조는 야야티 왕의 아들 야두의 후손 씨족 연합으로, 여러 씨족이 그 후손을 자처하며 다양한 지역에 분포했으나, 쿠루크셰트라 전쟁 후 내전과 드바라카 멸망으로 쇠퇴했다. - 크샤트리야 공동체 - 라지푸트
라지푸트는 인도 아대륙의 역사적 사회 계층으로, '왕의 아들'을 뜻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으며, 여러 왕조를 건설하고 무굴 제국과 영국 식민 통치 시기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인도 역사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크샤트리야 공동체 - 콜리야
콜리야족은 고대 인도에서 사라유 강에서 히말라야 산맥에 이르는 지역에 위치했던 가나상가 부족으로, 샤카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석가모니의 외가 혈족으로 알려졌으나 코살라 왕국에 정복된 후 정치적 중요성을 잃었다. - 달 왕조 - 야다브
야다브는 인도에 분포하는 여러 지역 공동체의 총칭으로, 기원은 고대 야다바 또는 아비라와 관련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전통적으로 목축과 낙농업에 종사했으나 현재는 다양한 직업에 종사하고, 크리슈나 신화와 관련이 깊으며,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 노력해왔고,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해왔으며, 네팔에도 상당한 인구가 있다. - 달 왕조 - 동찰루키아 왕조
동찰루키아 왕조는 7세기부터 12세기까지 데칸 동부 벵기 지역을 통치한 왕조로, 바다미 찰루키아의 총독에서 독립하여 힌두 철학 기반 왕정 체제를 유지하며 텔루구 문학 발전과 사원 건축을 장려했다.
찬드라밤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신화적인 힌두 왕조 |
다른 이름 | 소마밤사 |
역사 | |
기원 | 푸루라바 |
주요 왕국 | 쿠루 왕국 파우라바 왕국 수라세나 왕국 |
수도 | 마투라 하스티나푸라 |
문화 | |
언어 | 산스크리트어 |
종교 | 힌두교 |
주요 인물 | |
초대 군주 | 푸루라바 |
주요 군주 | 야야티 하이헤야 사하스라르준 마하라지 크리슈나 |
작위 | 쿠루 왕국의 라자 파우라바 왕국의 마하라자 수라세나 왕국의 마하라자 |
기타 | |
민족 | 인도 아리아인 |
분파 | |
분가 | 푸루밤사 야두밤사 쿠루밤사 |
2. 신화적 기원 및 전승
달 왕조는 붓다와 이라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푸루라바스로부터 시작된다.[5] 붓다는 달의 신 소마와 타라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기에 푸루라바스는 달의 신의 손자가 된다. 푸루라바스는 프라티슈타나(오늘날의 우타르프라데시 주알라하바드)를 도읍으로 삼았다.[6]
푸루라바스의 어머니 이라는 바이바스바타 마누의 아들이었고,[7] 그의 형제인 이크슈바쿠는 푸루라바스의 외삼촌이 된다. 이 때문에 달 왕조는 아이라(이라의 형용사형)족이라고도 불린다.[6]
푸루라바스의 아들 아유(아유스)는 아버지의 뒤를 이었고, 그의 형제 아마바스는 카냐쿠브자(칸나우지)에 새로운 왕조를 열었다.[6] 아유의 아들 나후샤가 다시 왕위를 계승했고, 그의 형제 크샤트라브리다는 카시(바라나시)에 왕조를 세웠다.[8] 나후샤의 아들 야야티는 왕국을 다섯으로 나누어 야두, 투르바수, 드루히유, 아누, 푸루에게 주었다. 야두의 자손은 야두족(야다바), 푸루의 자손은 푸루족(파우라바)이 되었다.[9]
바라타 왕은 푸루족 두슈얀타 왕과 샤쿤탈라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바라타족은 그의 자손이며, 『마하바라타』의 주요 등장인물인 카우라바가와 판다바가는 바라타족의 쿠루 왕의 자손(쿠루족)이다.[10] 판찰라족 또한 바라타족에서 갈라져 나왔다.[11]
크리슈나는 야두족 바수데바의 아들이다. 야두족에서 하이하야족이 분리되어 마히슈마티를 수도로 삼았다.
2. 1. 시조
푸라나 문헌에 따르면, 달 왕조의 시조인 푸루라바스는 붓다와 이라의 아들이었다. 붓다는 달의 신소마와 타라 (타라카)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푸루라바스는 달의 신의 손자가 된다.[5] (단, 『마하바라타』1.75에서는 이라가 푸루라바스의 아버지이자 어머니라고 한다).푸루라바스의 어머니 이라는 바이바스바타 마누의 아들이었으며,[7] 따라서 일종의 시조인 이크슈바쿠는 푸루라바스의 외삼촌에 해당한다. 달 왕조는 이라의 자손이기 때문에 아이라(이라의 형용사형)족이라고도 불린다.[6]
2. 2. 초기 왕조
붓다와 이라의 아들 푸루라바스는 달의 신소마의 손자이다.[5] 푸루라바스를 시조로 하는 왕가는 달의 신의 가문이라는 의미에서 찬드라밤사라고 불린다. 푸루라바스는 프라티슈타나(현재의 우타르프라데시 주알라하바드)에 도읍을 정했다.[6]푸루라바스의 아들 아유(아유스)가 아버지를 계승했고, 그의 형제 아마바스는 카냐쿠브자(칸나우지)에 새로운 왕조를 열었다.[6] 아유에게는 나후샤, 크샤트라브리다, 람바, 라지, 아네나스의 다섯 아들이 있었지만, 나후샤가 아버지를 계승했다. 크샤트라브리다는 카시(바라나시)에 왕조를 열었다.[8]
나후샤의 장남 야티는 출가했기 때문에, 동생 야야티가 아버지를 계승했다. 야야티에게는 야두, 투르바수, 드루히유, 아누, 푸루의 다섯 아들이 있었고, 왕국을 다섯으로 분할하여 주었다. 야두의 자손을 야두족(야다바), 푸루의 자손을 푸루족(파우라바)라고 한다.[9]
3. 주요 분파 및 인물
푸루라바스는 붓다와 이라의 아들이자 달의 신소마의 손자로, 달의 왕조 찬드라밤샤의 시조이다.[5] 푸루라바스는 프라티슈타나(현재의 우타르프라데시 주알라하바드)를 도읍으로 정했다.[6]
푸루라바스의 아들 아유(아유스)가 왕위를 계승했고, 그의 형제 아마바스는 카냐쿠브자(칸나우지)에 새로운 왕조를 열었다.[6] 아유의 아들 나후샤를 거쳐 그의 아들 야야티가 왕위를 이었다. 야야티는 왕국을 다섯으로 나누어 야두, 투르바수, 드루히유, 아누, 푸루에게 주었다.[9] 이 중 야두의 자손은 야두족, 푸루의 자손은 푸루족(파우라바)으로 불리며, 푸라나 문헌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9]
3. 1. 푸루족과 쿠루족
푸루는 푸루족의 시조이다.[9] 두샨타는 바라타 황제의 아버지이다. 바라타는 인도 신화의 전설적인 황제로 오늘날 힌디어로 인도를 뜻하는 바라트의 어원이 된 인물이기도 하다.[10]쿠루는 쿠루족의 시조이다.[10] 브야사는 마하바라타의 저자이다. 판두는 판다바들의 시조이며, 드리타라스트라는 카우라바들의 시조이다.[10] 판다바에는 유디슈티라, 비마세나, 아르주나, 나쿨라, 사하데바가 있다. 카우라바에는 두료다나, 두샤사나, 비카르나가 있다.
3. 2. 야두족
야야티 왕과 데바야니 왕비 사이에서 태어난 장남 야두는 야두족의 시조이다.[9] 크리슈나는 야두족 바수데바의 아들이다.[10]쿠룩셰트라 전쟁 이후, 드바라카가 침몰하면서 야두밤샤 혈통 대부분이 위험에 처했다. 아르주나에게 구출되어 훗날 마투라의 왕이 된 바즈라를 제외하고는 야두밤샤 혈통 전체가 파괴되었다.
3. 3. 기타 분파
투르바수, 드루히유, 아누 왕조 등도 이 시기에 언급되는 분파들이다.[9] 야두족에서는 하이하야족이 분기하여 마히슈마티를 수도로 삼았다.4. 역사적 인물 및 사건
찬드라밤샤와 관련된 역사적 인물 및 사건은 현재까지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가 없다.
4. 1. 베다 시대
기원전 14세기 바라타족의 왕 수다스는 펀자브 라비강 근처에서 벌어진 다사라즈나 전투에서 바라타족을 이끌고 다른 리그베다 부족들과 동맹을 맺은 푸루족을 물리쳤다.4. 2. 쿠루 왕국 시대
파리크시트는 자나메자야와 함께 쿠루 왕국의 전성기를 이끈 왕으로, 마하바라타에서는 판다바의 후계자로 등장한다.[2] 자나메자야는 파리크시트의 아들로, 아버지와 함께 쿠루 왕국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마하바라타에도 등장한다.[3]4. 3.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
히다스페스 전투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전투를 벌인 것으로 유명한 파우라바 왕국의 왕이다.[4]5. 마하바라타와 쿠룩셰트라 전쟁
힌두교 텍스트에서 인도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주제를 이루는 쿠룩셰트라 전쟁은 주로 달의 왕조의 경쟁 분파 사이에서 벌어졌으며, 유명하게는 아르주나가 전쟁을 회피하고 그의 스승 크리슈나의 꾸짖음을 받는 결과를 낳았다. 크리슈나는 아르주나에게 다르마가 무엇보다 우선한다고 상기시키고, 이 텍스트는 네 개의 크샤트리아 가문의 필수적인 문화적 초석을 형성한다.[1]
6. 한국과의 관계 (특별 설명)
현재 주어진 자료에는 찬드라밤사와 한국 간의 직접적인 관계에 대한 내용이 없다. 그러나 인도 문화와 불교가 한국에 전래되는 과정에서 찬드라밤사가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서적
Message of the Purans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Ltd
[2]
서적
An Introduction to Indian Historiography
https://books.google[...]
Popular Prakashan
[3]
서적
Splitting the difference: gender and myth in ancient Greece and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08-25
[4]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ndu world, Volume 1
https://books.google[...]
[5]
간행물
[6]
간행물
[7]
간행물
[8]
간행물
[9]
간행물
[10]
문서
『マハーバーラタ』1.95ほかにバラタ王とクル王を含む詳しい系図が記されている
[11]
간행물
[12]
서적
Message of the Purans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Ltd
[13]
서적
Splitting the difference: gender and myth in ancient Greece and Ind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08-25
[14]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ndu world, Volume 1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