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찰현악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찰현악기는 활로 현을 마찰하여 소리를 내는 현악기군을 통칭한다. 바이올린족, 비올족, 리라와 레베크 계열, 아시아의 찰현악기, 기타 찰현악기, 회전 활 찰현악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바이올린족은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며, 첼로, 비올라, 바이올린, 콘트라베이스 등이 포함된다. 비올족은 르네상스 시대와 바로크 시대에 사용되었으며, 비올라 다 감바 등이 대표적이다. 아시아에는 해금, 아쟁, 얼후 등 다양한 찰현악기가 존재하며, 활건반, 허디거디 등 회전하는 바퀴를 사용하는 악기도 찰현악기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찰현악기 - 콘트라베이스
    콘트라베이스는 첼로보다 한 옥타브 낮은 음역을 가진 15세기 유럽 비올로네의 현대적 현악기로, 더블베이스나 업라이트 베이스 등으로도 불리며 클래식, 재즈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고 풍부한 음색과 연주 기법을 제공한다.
  • 찰현악기 - 첼로
    첼로는 비올로네에서 유래된 바이올린족 현악기로, 더블 베이스 다음으로 크며, 완전5도 간격으로 조율된 4개의 현을 가지고 굵고 부드러운 음색부터 달콤하고 정열적인 울림까지 내어 클래식 음악은 물론 대중음악, 재즈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 현울림악기 - 기타
    기타는 현을 튕겨 소리를 내는 현악기로, 어쿠스틱 기타와 일렉트릭 기타로 구분되며, 넥, 바디, 헤드로 구성되고 다양한 튜닝과 연주법, 액세서리를 통해 다양한 음악을 연주한다.
  • 현울림악기 - 콘트라베이스
    콘트라베이스는 첼로보다 한 옥타브 낮은 음역을 가진 15세기 유럽 비올로네의 현대적 현악기로, 더블베이스나 업라이트 베이스 등으로도 불리며 클래식, 재즈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고 풍부한 음색과 연주 기법을 제공한다.
  • 현악기 - 콘트라베이스
    콘트라베이스는 첼로보다 한 옥타브 낮은 음역을 가진 15세기 유럽 비올로네의 현대적 현악기로, 더블베이스나 업라이트 베이스 등으로도 불리며 클래식, 재즈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되고 풍부한 음색과 연주 기법을 제공한다.
  • 현악기 - 하프
    하프는 기원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세계 각지에서 발전해 온 현악기로,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18세기 페달 하프 발명 후 오케스트라와 실내악에서 널리 쓰이고 아일랜드 등 여러 문화권에서 상징으로 여겨진다.
찰현악기
개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가 연주되는 모습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가 연주되는 모습
종류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연주 기법
분류현악기, 찰현악기
활의 종류
페르낭부쿠
활털말총
구조
몸통공명통
거트현, 금속 또는 합성섬유

2. 바이올린족

바이올린족은 서양 음악, 특히 오케스트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찰현악기 군이다. 일반적으로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콘트라베이스 네 종류의 악기를 포함하며, 다양한 크기와 음역을 통해 풍부한 화음과 선율을 만들어낸다. 표준적인 형태 외에도 여러 변형 악기들이 존재한다.

2. 1. 표준 바이올린족



표준 바이올린족에 속하는 주요 악기는 다음과 같다.

2. 2. 바이올린족 변형

표준 바이올린족 악기의 변형된 형태들은 다음과 같다.

3. 비올족

비올족은 바이올린족보다 먼저 발생한 찰현악기의 한 종류로, 주로 르네상스 시대와 바로크 시대에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대표적인 악기로는 비올라 다 감바가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악기들이 존재했다. 표준적인 크기에 따른 분류와 여러 변형 악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표준 비올족



표준적인 비올족 악기는 다음과 같은 크기로 나뉜다.

  • 알토 비올 (알토 비올라 다 감바)
  • 베이스 비올 (베이스 비올라 다 감바)
  • 테너 비올 (테너 비올라 다 감바)
  • 트레블 비올 (트레블 비올라 다 감바)


표준 네 가지 비올 계열의 변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바리톤
  • 디비전 비올
  • 리로네
  • 리라 비올
  • 파르드수 드 비올
  • 비우엘라 데 아르코
  • 비올로네
  • 비올라 다모레

3. 2. 비올족 변형

표준적인 비올족 악기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변형 악기들이 존재한다.

  • 바리톤
  • 디비전 비올
  • 리로네
  • 리라 비올
  • 파르드수 드 비올
  • 비우엘라 데 아르코
  • 비올로네
  • 비올라 다모레

4. 리라와 레베크 계열

중세 시대 유럽과 지중해 지역을 중심으로 활 모양의 활대로 현을 마찰하여 소리를 내는 찰현악기들이 발전하였다. 대표적으로 리라(λύρα|리라ell)와 레베크(rebec|레베크fra) 계열 악기들이 있으며, 이들은 지역 문화와 교류하며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었다.
리라 계열


  • 비잔틴 리라
  • 칼라브리아 리라
  • 크레타 리라
  • 가둘카 (불가리아)
  • 리예리차 (발칸 반도)
  • 탈하르파 (에스토니아, 스웨덴)
  • 요우힉코 (핀란드)

레베크 계열 및 관련 악기

  • 레베크
  • 라베카
  • 포셰트
  • 레밥 (중동, 북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 카만체 (이란, 캅카스 등)
  • 케멘체 (터키, 그리스 등)
  • 흑해 케멘체
  • 케멘체 (클래식)
  • 가이착 (중앙아시아)
  • 크루즈 (웨일스)

5. 아시아의 찰현악기

아시아 대륙 전역에는 각 지역의 독특한 문화와 음악적 전통을 반영하는 다채로운 찰현악기가 발달하였다. 이 악기들은 각 나라의 전통 음악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고유한 음색과 연주법으로 음악의 깊이를 더한다. 동아시아의 해금이나 얼후, 중앙아시아의 마두금, 남아시아의 사랑기 등 지역별 대표적인 찰현악기들은 해당 지역 음악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악기로 자리 잡았다.

5. 1. 한국의 찰현악기

5. 2. 중국의 찰현악기

중국에는 호금(胡琴)이라고 불리는 다양한 종류의 찰현악기가 발달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얼후(二胡)로, 서양의 바이올린에 비견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호금 계열 악기들이 존재한다.

악기 이름다른 이름 / 비고
반호板胡
다광현
다후大胡
디후低胡
디잉허후
얼후이호(二胡)
얼현二弦
가오후고호(高胡)
거후革胡
후친호금(胡琴), 호금 계열 악기의 총칭
자오후
징후경호(京胡), 경극 반주에 주로 사용
징 얼후
라루안
레이친雷琴
마구후
마토우친마두금(馬頭琴), 몽골의 마두금과 연관
산후
스후사호(四胡)
티친제금(提琴)
티후
투후土胡
원전친
시친奚琴, 한국의 해금과 연관
야정轧筝
예후야자껍질로 만든다 하여 야호(椰胡)라고도 불림
정니
중후中胡
주이친墜琴
주이후墜胡


5. 3. 일본의 찰현악기

5. 4. 몽골의 찰현악기

5. 5. 동남아시아의 찰현악기


  • 단 니(Đàn nhị)
  • 단 호(Đàn hồ)
  • 단 가오(Đàn gáo)
  • 라밥
  • 소 두앙(Saw duang)
  • 소 삼 사이(Saw sam sai)
  • 소 우(Saw u)
  • 트로 사우 톰(Tro sau thom)
  • 트로 크메르(Tro Khmer)
  • 트로 사우 토치(Tro sau toch)
  • 트로 우(Tro u)

5. 6. 남아시아의 찰현악기


  • 사랑기 (인도)
  • 사린다 (북동인도, 파키스탄)
  • 에스라지 (인도)
  • 딜루르바 (인도)
  • 라바나하타 (인도)
  • 라밥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등)
  • 가이착 (이란, 중앙아시아, 파키스탄 등)
  • 킹리 (파키스탄, 인도)
  • 소루드 (발루치스탄)
  • 활 시타르 (인도)
  • 네팔 사랑기 (네팔)

5. 7. 중앙아시아의 찰현악기

6. 기타 찰현악기


  • 가둘카 (Gadulka) (불가리아)
  • 가이착 (Ghaychak) / 기작 (Ghijak/Ghichak)
  • 고큐 (Kokyū) (일본)
  • 구독 (Gudok)
  • 구슬레 (Gusle)
  • 구에 (Gue)
  • 구즐리 (Gusli)
  • 기가 (Giga)
  • 킹리 (Kingri)
  • 단 니 (Đàn nhị) (베트남)
  • 단 가오 (Đàn gáo) (베트남)
  • 단 호 (Đàn hồ) (베트남)
  • 닥소폰 (Daxophone)
  • 딜루르바 (Dilruba)
  • 라밥 (Rebab)
  • 라바나하타 (Ravanahatha)
  • 마두금 (Morin khuur) (몽골)
  • 마센코 (Masenqo)
  • 뮤지컬 쏘 (Musical saw)
  • 바이올린족
  • * 바이올린
  • * 비올라
  • * 첼로
  • * 콘트라베이스
  • 보드 프살테리 (Bowed psaltery)
  • 비엘레 (Vielle)
  • 비올족
  • * 비올라 다 감바 (Viola da gamba)
  • * 비올라 다모레 (Viola d'amore)
  • 비올론첼로 다 스팔라 (Violoncello da spalla)
  • 비잔치 (Byzaanchy)
  • 사랑기 (Sarangi) (인도)
  • 사린다 (Sarinda) (북동인도, 파키스탄)
  • 살로 (Salo)
  • 소 두앙 (Saw duang) (태국)
  • 소 삼 사이 (Saw sam sai) (태국)
  • 소 우 (Saw u)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 소라히 (Sorahi)
  • 소루드 (Sorud)
  • 시쳅신 (Shichepshin)
  • 아기아루트 (Agiarut) (캐나다/알래스카 이누이트)
  • 아르페지오네 (Arpeggione)
  • 아쟁 (대한민국)
  • 얄르 탐부르 (Yaylı tambur) (터키)
  • 에스라지 (Esraj) (인도)
  • 요우힉코 (Jouhikko) (핀란드)
  • 우켈린 (Ukeline)
  • 움방 (Umbang)
  • 이길 (Igil) (투바)
  • 임자드 (Imzad) (투아레그족)
  • 추르친 (Chuurqin)
  • 초세금
  • 케만체 (Kamancheh) (이란, 아제르바이잔 등)
  • 코비즈 (Kobyz) (카자흐스탄 등 튀르크인)
  • 크루트 (Crwth) (웨일스)
  • 탈하르파 (Talharpa) (에스토니아, 스웨덴)
  • 타우티루트 (Tautirut) (캐나다 이누이트)
  • 트로 크메르 (Tro Khmer) (캄보디아)
  • 트로 사우 톰 (Tro sau thom) (캄보디아)
  • 트로 사우 토치 (Tro sau toch) (캄보디아)
  • 트로 우 (Tro u) (캄보디아)
  • 피들라 (Fiðla) (아이슬란드)
  • 하디 거디 (Hurdy-gurdy)
  • 해금 (대한민국)
  • * 소해금 (북한)
  • 호금 (Huqin) (중국)
  • * 얼후 (Erhu) / 이호
  • * 고호 (Gaohu)
  • * 제금 (Zhuihu)
  • * 사호 (Sihu)
  • * 반호 (Banhu)
  • 활 덜시머 (Bowed dulcimer)
  • 활 기타 (Bowed guitar)
  • 활 시타르 (Bowed sitar)
  • 뉘켈하르파 (Nyckelharpa) (스웨덴)
  • 네올라 (Neola) (실험 악기)
  • 프살모디콘 (Psalmodicon)
  • 비올리라 (Violira)
  • 바이올린치터 (Violin zither)

7. 회전 활 찰현악기

활 대신 회전하는 바퀴를 마찰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들을 말한다. 주요 악기는 다음과 같다.


  • 활건반
  • 돈스코이 릴레이
  • 덜시구르디 (바퀴와 손잡이가 있는 비엘 이라고도 함)
  • 드레젤리레
  • 하모니코드
  • 허디거디
  • 카이사츠코
  • 리라
  • 니네라
  • 오르가니스트럼
  • 테케뢰
  • 비올라 오르가니스타
  • 비올라노 비르투오소
  • 휠하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