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상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상병은 1930년 일본 효고현에서 태어나 1993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1952년 시 '강물', '갈매기' 등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으며, 1967년 동백림 사건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다. 그의 시는 간결한 문체로 실존주의적 주제를 다루었으며, 대표작 '귀천'은 삶과 죽음을 노래한다. 시집 '새', '주막에서', '귀천' 등을 비롯하여, 사후에는 유고시집 '나 하늘로 돌아가네'와 '천상병 전집'이 출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백림 사건 -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는 총 175석을 선출하는 선거로, 민주공화당이 압승했으나 부정선거 의혹으로 사회적 혼란과 정치적 갈등을 야기하며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 동백림 사건 - 윤이상
    윤이상은 서구 아방가르드 음악 기법과 한국 전통 음악의 융합을 통해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한국의 작곡가로서,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며 한국 현대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소화기 질환으로 죽은 사람 - 효순왕후
    효순왕후는 영조의 며느리이자 진종으로 추존된 효장세자의 왕비로, 어린 나이에 결혼했으나 남편의 요절로 과부가 되었고, 현빈으로 책봉되어 영조의 총애를 받다 35세에 사망 후 왕후로 추봉, 소황후로 추숭되었다.
  • 소화기 질환으로 죽은 사람 - 송진호
    송진호는 대구의 초, 중, 고등학교를 거쳐 건국대학교를 졸업했다.
  • 마산중학교 동문 - 박재완 (1955년)
    박재완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무직공무원으로, 행정고시 합격 후 공직과 국회의원을 거쳐 이명박 정부에서 장관을 역임하고 퇴임 후에는 삼성전자 이사회 의장,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이사장 등을 맡고 있다.
  • 마산중학교 동문 - 박능후
    박능후는 대한민국의 사회복지학자이자 정무직 공무원으로,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와 문재인 정부의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문재인 케어 추진 등 보건복지 정책을 이끌었으나 논란을 겪기도 했고 현재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겸 당무위원을 맡고 있다.
천상병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본명천상병
출생일1930년 1월 29일
출생지일본
사망일1993년 4월 28일
국적대한민국
직업시인
언어한국어
학력서울대학교
개인사
배우자목순옥
작품 활동
데뷔갈매기
대표작새, 귀천

2. 생애

천상병 시인은 1930년 1월 29일 일본에서 태어나 1993년 4월 28일 간경화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그의 생애는 출생과 초기, 서울대 수학과 동백림 사건 연루, 무연고자 오해와 유고시집 발간, 결혼과 작품 활동, 종교 활동, 사망과 추모로 나눌 수 있다.

연도사건
1930년1월 29일 일본 효고현에서 출생.[11]
1934년한국으로 일시 귀국.
1940년다시 일본으로 건너감.
1945년광복 후 귀국, 경상남도 마산시 정착.[2]
1949년마산중학교 재학 중 시 《공상|空想한국어》 발표.[3]
1950년한국 전쟁 발발, 미국 통역관 근무.
1951년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입학.[4]
1952년『문예』에 시 강물한국어, 갈매기한국어 등 발표.
1967년동백림 사건 연루, 6개월간 투옥.[5]
1970년무연고자로 오해받아 서울시립정신병원 수용.
1972년목순옥 여사와 결혼.
1979년시집 《주막에서》 발표.
1993년4월 28일 간경화로 사망.[15]


2. 1. 출생과 초기 생애

1930년 1월 29일 일본 효고현 히메지에서 한국인 부모에게서 태어났다.[2][11] 광복 후 부모를 따라 귀국하여 마산에 정착했다.[2] 1949년 마산중학교 5학년 때, 《죽순(竹筍)》 11집에 시 《공상|空想한국어》 외 1편을 발표했으며, 여러 문예지에 시와 평론 등을 발표했다.[3]

2. 2. 서울대학교 수학과 동백림 사건

1951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에 입학했으나 중퇴했다. 1967년 중앙정보부에 의해 과장된 사건으로 판명된 동백림 사건에 연루되어 6개월간 옥고를 치렀다.[5] 친구 강빈구에게 막걸리값으로 5백 원, 1천 원씩 받아 썼던 돈은 공작금으로 과장되었으며, 천상병 시인 자신도 전기고문으로 몸과 정신이 멍들었다.[15]

2. 3. 무연고자 오해와 유고시집

1970년 천상병은 행방불명되어 서울시립정신병원에 수용되기도 했다. 지인들은 그가 사망한 것으로 오해하여 유고시집 《새》를 출간하기도 했다.[15]

시집에 실린 〈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외롭게 살다 외롭게 죽을/내 영혼의 빈터에/새날이 와 새가 울고 꽃잎 필 때는,/내가 죽는 날/그 다음날.//산다는 것과/아름다운 것과/사랑한다는 것과의 노래가/한창인 때에/나는 도랑과 나뭇가지에 앉은/한 마리 새.//살아서/좋은 일도 있었다고/나쁜 일도 있었다고/그렇게 우는 한 마리 새"

2. 4. 결혼과 작품 활동

1972년 친구의 여동생인 목순옥 여사와 결혼한 천상병은 1979년 시집 《주막에서》를 민음사에서 펴냈고, 《천상병은 천상 시인이다》(1984년), 《저승가는 데도 여비가 든다면》(1987년), 시집 《요놈! 요놈! 요 이쁜 놈!》(1991년), 동화집 《나는 할아버지다. 요놈들아》(1993년)도 발표하였다. 천상병은 하느님에 대한 소박하고 순수한 기독교적 신앙을 보여주는 작품활동도 하였다.

"하느님은 어찌 생겼을까?/대우주의 정기(精氣)가 모여서/되신 분이 아니실까싶다.//대우주는 넓다./너무나 크다.//그 큰 우주의 정기가 결합하여/우리 하느님이/되신 것이 아니옵니까?"(하느님은 어찌 생겼을까)

천상병은 개종을 하지는 않았다. 천주교 명동성당을 다니다가 81년부터 개신교(장로교) 연동교회로 나갔다.

"나는 지금까지 약 30년동안은/명동 천주성당에 다녔는데/ 그러니까 어엿한 천주교신도인데도/81년부터는/기독교 연동교회로 나갑니다./주임목사 김형태 목사님도/대단히 훌륭하신 목사님으로/ 그리고 기독교방송에서/그동안 두번 설교를 하셔서/나는 드디어 그분의 연동교회엘/나갈 것을 결심하고 나갑니다./교회당 구조도 아주 교회당답고/조용하고 아늑하여 기뻐집니다./아내는 미리 연동교회였으나/그동안 가톨릭에 구애되어 나 혼자/명동 천주성당에 나갔었으나/그런데 81년부터는 다릅니다./한번밖에 안 나갔어도 그렇게 좋으니/이제는 연동교회에만 나가겠습니다./물론 개종은 않고 말입니다./배신자라는 말 듣기는 아주 싫습니다."(연동교회)

2. 5. 종교 활동

천상병은 천주교 명동성당을 약 30년간 다녔지만, 1981년부터 개신교 (장로교 연동교회)로 옮겨 신앙 생활을 했다.[15] 김형태 목사의 설교에 감명을 받아 연동교회에 나가기로 결심했다고 한다.[15] 교회당 구조도 마음에 들어 했으며, 아내 목순옥 여사도 연동교회 신자였다.[15] 천상병은 개종은 하지 않았으며, 천주교 신앙을 버린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15] 그는 하느님에 대한 소박하고 순수한 기독교적 신앙을 보여주는 작품활동도 하였다.[15]

2. 6. 사망과 추모

1993년 4월 28일, 천상병은 지병인 간경화로 의정부시 장암동 자택에서 타계했고, 의정부 공원묘지에 안장되었다.[15] 사후 유고시집 《나 하늘로 돌아가네》, 《천상병 전집》이 출간되었다. 2007년 5월 1일에는 천상병이 죽을 때까지 10여 년 간 거주한 의정부시에서 제4회 천상병 예술제가 열리는 등,[15] 그를 기리는 추모 사업이 이어지고 있다.

3. 작품 세계

천상병의 시는 간결한 문체로 쓰였으며, 실존주의적 주제를 탐구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시 귀천은 한 남자가 사후 세계를 마주하고 삶에서 죽음으로의 여정을 묘사한다.[7] 1949년 시 「공상|공상한국어」, 1952년 『문예』에 「강물|강물한국어」, 「갈매기|갈매기한국어」 등의 시가 추천되면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3. 1. 순수성과 간결함

천상병은 문단의 마지막 순수 시인이자 괴짜로 불렸으며, 우주의 근원, 죽음과 피안, 인생의 고통스러운 현실 등을 압축한 시를 주로 썼다. 장식적인 수사나 지적인 조작을 배제하고, 현실을 초탈한 자세를 매우 간결하고 담백하게 표현했다.[7] 세속적 가치와 인위적 기교가 아닌, 소박하고 천진한 시적 의식을 담아냄으로써 매우 개성적인 세계를 구축한 시인이다.

3. 2. 삶과 죽음에 대한 통찰

천상병은 문단의 마지막 순수 시인이자 괴짜로 불렸으며, 우주의 근원, 죽음과 피안, 인생의 고통스러운 현실 등을 압축한 시를 주로 썼다. 장식적인 수사나 지적인 조작을 배제하고, 현실을 초탈한 자세를 매우 간결하고 담백하게 표현했다.[7] 세속적 가치와 인위적 기교가 아닌, 소박하고 천진한 시적 의식을 담아냄으로써 매우 개성적인 세계를 구축했다. 그의 대표작 귀천은 삶을 소풍에 비유하며 죽음을 하늘로 돌아가는 여정으로 묘사한다. "나는 이 아름다운 세상 소풍 끝나는 날, 하늘로 돌아가리라.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해주렴".[7]

3. 3. 동백림 사건의 영향

1967년, 천상병은 동백림 사건에 연루되어 6개월 동안 투옥되었으며, 그 기간 동안 고문을 받았다.[5] 이 경험은 천상병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고, 무력감과 알코올 중독에 시달리게 되었다. 길에서 의식을 잃은 채 발견된 천상병은 정신병원에 입원했고, 그의 친구들은 그가 죽은 것으로 믿고 사후 시집을 출판하기도 했다.[6]

그러나 천상병은 회복하여 왕성한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 그의 시는 간결한 문체로 쓰였으며, 실존주의적 주제를 탐구했다. 그의 대표작 귀천은 한 남자가 사후 세계를 마주하고 삶에서 죽음으로의 여정을, 즉 한 세상에서 다른 세상으로의 이동으로 묘사한다. "나는 이 아름다운 세상 소풍 끝나는 날, 하늘로 돌아가리라.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해주렴".[7]

4. 작품 목록

천상병 시인은 〈새〉, 〈귀천〉, 〈주막에서〉 등 여러 시집과 동화집을 발표했다.[16]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새》(1971), 《주막에서》(1979), 《저승 가는데도 여비가 든다면》(1987), 《귀천》(1989) 등이 있다. 1996년에는 《천상병 전집》이 출간되었다.[9]

4. 1. 시집

제목출판 연도
1971년
주막에서1979년
천상병은 천상 시인이다1984년
저승 가는 데도 여비가 든다면1987년
귀천1989년
요놈 요놈 요 이쁜 놈1991년
나 하늘로 돌아가네1993년
천상병 전집1996년[9]


4. 2. 동화집

나는 할아버지다. 요놈들아한국어 (1993)[16]

4. 3. 전집

1996년에 《천상병 전집》이 출간되었다.[16][9]

5. 번역된 작품

천상병 시인의 번역된 작품
언어작품명
루마니아어L ÎNTOARCEREA ÎN CER (천상병 시선집|천상병 시선집한국어)
세르비아어ПОВРАТАК НА НЕЪО (천상병 시선집 <귀천>)
스페인어Regreso al cielo (귀천|귀천한국어)
튀르키예어Gőğe dőnüş (귀천|귀천한국어)
프랑스어Retour au ciel (천상병시선-귀천|천상병시선-귀천한국어)


6. 드라마화

KBS 1TV 인간극장에서 천상병 시인의 삶을 다룬 〈귀천〉이 1994년 성탄절 특집 2부작으로 방영되었다. 정진이 천상병 역을, 김자옥이 천 시인의 아내 목순옥 역을 맡았다.[17] 2004년에는 KBS 1TV 이것이 인생이다에서 강태기 역으로 재연되었다.

6. 1. KBS 인간극장 <귀천>

1994년 KBS 1TV 인간극장에서 천상병 시인의 삶을 다룬 〈귀천〉이 성탄절 특집 2부작으로 방영되었는데, 연극배우 출신 정진이 천상병 역을, 김자옥이 천 시인의 아내이자 극 중 화자인 목순옥 역을 맡았다.[17]

6. 2. KBS 이것이 인생이다

2004년KBS 1TV 이것이 인생이다 재연극에서 강태기 역을 맡았다.[17]

7. 기타

천상병 시인은 생전에 특이한 기행으로 유명했다.[4] 그는 술을 좋아하고 자유분방한 삶을 살았으며, 문단에서는 '순수시인' 또는 '기인'으로 불렸다.[4]

7. 1. 가족 관계


  • 배우자: 목순옥(1935년 ~ 2010년 8월 26일), 슬하에 자녀는 없다.

7. 2. 학력

참조

[1]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2]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3] 서적 Korean Writers The Poets Minumsa Press
[4] 서적 Korean Poetry Today 450 Poems Since the 1920s Hanshin
[5] 서적 Korean Writers The Poets Minumsa Press
[6] 서적 Korean Writers The Poets Minumsa Press
[7]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8]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9] 서적 Korean Writers The Poets Minumsa Press
[10] 웹사이트 (102)영양 천씨(穎陽千氏)-73,118명 http://www.seoulecon[...] 2014-10-19
[11]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4-00-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임의로 지정
[12] 웹사이트 천상병 http://www.klti.or.k[...] 2014-00-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임의로 지정
[13] 웹사이트 한국현대문학대사전 http://terms.naver.c[...] 2014-00-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임의로 지정
[14] 웹사이트 Doosan百科 http://terms.naver.c[...] 2014-00-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임의로 지정
[15] 웹사이트 제4회 천상병 예술제 http://www.kyeongin.[...]
[16] 웹인용 한국현대문학대사전 - krpia https://www.krpia.co[...] 2021-04-07
[17] 뉴스 <방송> K-1TV <인간극장-歸天> 천상병시인 삶 그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5-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