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명동성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명동성당은 대한민국 서울 명동에 위치한 한국 최초의 벽돌 고딕 양식 건물이다. 1784년 이승훈이 명례방 공동체를 결성하며 한국 천주교회가 시작되었고, 이후 1882년 한미수호 통상 조약 체결을 계기로 부지 매입을 시작하여 1898년 축성식을 거행했다. 명동성당은 1909년 이완용 암살 미수 사건, 1924년 파이프오르간 설치, 한국전쟁 중 소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성지 등 다양한 역사적 사건과 함께했다. 현재는 국가사적 제258호로 지정되었으며, 다양한 미사 시간과 사제단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로마 가톨릭 성당 - 혜화동성당
    혜화동성당은 1927년 설립된 천주교 성당으로, 1960년 신축 성당 완공, 1998년 지구장 본당 승격 등 발전을 거듭하며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로마 가톨릭 성당 - 약현성당
    약현성당은 서울 중구에 있는 한국 최초의 서양식 성당 건축물로, 1887년 설립된 강당을 모태로 1892년 코스트 신부의 설계로 건립되었으며, 로마네스크와 고딕 양식이 절충된 십자형 건물로서 신유박해 순교자 이승훈의 집터 인근에 위치하고, 화재 후 복원되어 개방된 성소로 기능한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대성당 - 답동성당
    답동성당은 1897년 건립되어 1937년 증축된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근대 건축물 중 하나로, 벽돌조 고딕 양식이며 프랑스 선교사 코스트 신부의 설계로 시작되어 P. 시잘레 신부에 의해 증축되었고, 지역사회 기여로 1980년 사적 제287호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대성당 - 계산성당
    대구에 위치한 계산성당은 천주교 대구대교구의 주교좌 성당으로, 고딕 양식의 건축물이며 경상도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성당 건축물로서 역사적, 건축적 가치를 인정받아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교황이 방문하기도 했다.
  • 1898년 완공된 건축물 - 모스크바 예술극장
    콘스탄틴 스타니슬랍스키와 블라디미르 네미로비치-단첸코가 1898년에 설립한 모스크바 예술극장은 러시아 연극의 혁신을 주도하고 스타니슬랍스키의 연기 시스템을 발전시켰으며 안톤 체호프의 작품을 무대에 올리며 명성을 얻었으나, 1987년에 두 개의 극단으로 분열되었음에도 모스크바 예술극장 학교는 러시아 최고의 연극 교육기관으로 남아있다.
  • 1898년 완공된 건축물 - 빈 분리파 전시관
    빈 분리파 전시관은 요제프 마리아 올브리히가 설계하고 카를 비트겐슈타인의 재정 지원으로 건립되었으며, "시대에는 예술을, 예술에는 자유를"이라는 모토를 통해 예술의 자율성과 혁신을 강조하는 건축물로서 국제 현대 미술 전시장으로 활용되며 구스타프 클림트의 〈베토벤 프리즈〉 등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다.
명동성당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식 명칭주교좌 명동대성당
통칭명동성당
라틴어 명칭Ecclesia Cathedralis Nostrae Dominae Immaculatae Conceptionis
영어 명칭Myeongdong Catholic Cathedral
한글 명칭천주교 서울대교구 주교좌 명동대성당
한자 명칭主敎座 明洞大聖堂
로마자 표기Myeongdong Seongdang
위치서울특별시 중구 명동길 74
종파로마 가톨릭교회
관구서울관구
교구천주교 서울대교구
주보성인무염시태 마리아
웹사이트명동대성당
건축
건축 유형교회
건축 양식고딕 리바이벌
착공1892년
완공1898년
봉헌일1898년 5월 29일
문화재 지정사적 제258호 (1977년 11월 22일 지정)
소유(재)천주교서울대교구유지재단
면적1,668m²
이미지
명동성당
명동성당 전경

2. 역사

1948년 프랑스(France) 사진. 성당에 있는 루르드의 성모(Our Lady of the Immaculate Conception)상


조선 시대에 천주교는 박해를 받았으나, 실학자들을 중심으로 학문적 관심이 이어졌다.[2] 19세기 프랑스 선교사들의 활동으로 신앙이 확산되었고, 이들에 대한 박해는 1866년 병인양요의 한 원인이 되기도 했다.

초기 한국 천주교 공동체는 중국 베이징 교구 소속이었으나, 신자들의 노력으로 1831년 9월 9일 교황 그레고리오 16세는 서울에 독립된 조선대목구를 설정했다.[8][9] 1841년에는 조선 교회의 수호자로 "원죄 없이 잉태되신 성모 마리아"를 선포했다.[10][11][12][13]

1882년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이후, 제7대 조선 교구장 블랑 주교는 선교 부지를 물색하여 종현(鐘峴, 현재 명동)에 터를 마련했다.[3] 1887년 한불 수호 통상 조약 체결 후, 프랑스인 사제 외젠 코스트 신부의 감독 아래 성당 건축이 계획되었다.[16] 초기에는 고종의 반대가 있었으나,[3] 결국 허가되어 1892년 8월 5일 기공식이 열렸다. 건축 비용은 약 60000USD였으며,[3] 파리 외방전교회가 지원했다. 청일 전쟁과 코스트 신부의 사망 등으로 공사가 지연되어 1898년 5월 29일 완공되었고, '종현성당'이라는 이름으로 봉헌되었다.[4] 당시 서울에서 가장 큰 건물이었다.[3]

1900년에는 병인박해 순교자들의 유해가 성당 지하 묘소로 옮겨졌고, 1924년에는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 소실되었다. 1945년 광복 후 '명동성당'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1977년 11월 22일 사적 제258호로 지정되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군사 독재 시절, 명동성당은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상징적 공간이자 피난처 역할을 했다.[5][6]

1984년 5월 6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방한하여 명동성당과 대한민국의 수호자로 성모 마리아를 재확인했다.[14] 2014년 8월 18일에는 교황 프란치스코가 명동성당에서 미사를 집전했다.

2. 1. 조선 천주교의 시작과 명례방 공동체

조선인 최초로 북경에서 천주교 세례를 받은 이승훈(베드로)이 1784년 봄에 귀국하였다. 그는 서울 명례방(현 명동)에 있는 역관 김범우(토마스)의 집에서 신앙 모임인 '명례방 공동체'를 결성하였다.[23][24] 이 공동체에는 이승훈, 정약용(요한) 3형제, 권일신(프란시스 자비에르) 형제 등이 참여하였고, 광암 이벽(세례자 요한)을 지도자로 삼아 종교 집회를 가졌다. 이를 통해 한국 최초의 천주교회가 창립되었다.[44][25]

그러나 이 신앙 공동체는 오래가지 못했다. 이듬해인 1785년, '명례방 사건'이 발생하여 '''김범우'''가 체포되어 유배되었고, 공동체는 와해되었다. '''김범우'''는 유배지에서 1787년에 사망하였다.[26]

비록 명례방 공동체는 해체되었지만, 이들이 뿌린 씨앗은 훗날 결실을 보았다. '''김범우'''가 사망한 지 100년이 지난 1887년, 그의 집이 있던 명례방 일대의 땅을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매입하여 명동성당 건립을 시작하게 되었다.[27][28][29][30][31][32][33][34][35] 이는 김범우와 초기 신앙 공동체의 희생이 한국 천주교 발전의 밑거름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2. 2. 명동성당 부지 매입과 건립 과정

1882년 조미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되면서 종교의 자유가 어느 정도 보장될 것을 예견한 제7대 조선 교구장 블랑 주교는 한국인 전교회장 '김가밀로'의 명의를 빌려 성당 부지 매입을 시작했다.[36][37] 부지 매입과 건축에 필요한 재정은 파리 외방전교회가 지원했다.[36]

현재 명동성당이 위치한 종현(鐘峴, 종고개) 땅은 본래 침계 윤정현의 저택이 있던 자리였다. 바깥채만 60칸이 넘는 큰 집이었기에, 초기에는 이 한옥 건물을 그대로 성당으로 사용했다. 블랑 주교는 이곳에 '종현서당'을 열어 예비 신학생을 양성하는 한편, 본격적인 성당 건립을 준비했다. 1886년 한불 수호 통상 조약이 체결된 이듬해인 1887년(고종 24년) 5월, 블랑 주교는 남은 부지를 마저 사들였고, 그해 겨울부터 프랑스사제 외젠 코스트(Eugène Coste) 신부의 감독 아래 언덕을 깎아 터를 닦는 정지 작업을 시작했다.[44][16]

고종. 명동성당 건립 부지가 왕궁보다 높고 영희전의 풍수를 해친다는 이유로 건설에 반대하며 금교령을 발표했다.


그러나 성당 건축은 조선 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조선 정부는 천주교 측에 공사 중단과 토지 소유권 포기를 요구했으나, 천주교 측은 이를 거부하고 공사를 강행했다.[38] 특히 고종은 왕궁보다 높은 곳에 거대한 서양식 건물이 들어서는 것에 불쾌감을 느꼈다. 또한, 성당 부지가 조선 역대 왕들의 어진을 모신 영희전과 가까워 왕실의 풍수를 해칠 수 있다는 점도 큰 반대 이유였다.[39] 게다가 해당 부지는 고종이 평소 청백리로 이름 높던 침계 윤정현에게 직접 하사한 집이었기에, 고종의 분노는 더욱 컸다.[40]

고종은 천주교 측에 즉각 건축 중단을 명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1888년 4월 금교령을 발표하며 천주교를 탄압했다.[41] 명동성당 건립 추진이 금교령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던 것이다. 4월 28일, 독판교섭통상사무 조병식은 미국, 러시아, 이탈리아 공사관에 공문을 보내 조선에서의 기독교 전교 활동을 금지한다고 통보했다. 이 금교령으로 천주교뿐만 아니라 개신교 선교사들의 활동까지 위축되었고, 명동성당 건설은 한동안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42] 고종은 1887년에는 토지를 몰수하겠다고 위협했으며,[3] 1888년에는 조병식 통상 장관을 통해 미국, 러시아, 이탈리아 정부에 성당 건축 자금 지원을 중단하도록 압력을 넣으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또한 건설 속도를 늦추기 위해 금화 유통을 제한하는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

2. 3. 성당 건축과 완공, 그리고 시련

조선 왕실은 성당 건축 중지와 토지권 포기를 요구했으나, 천주교 측은 공사를 강행하며 갈등이 불거졌다.[38] 1888년 4월 조선 정부는 명동성당 건립을 이유로 금교령을 발표하여 천주교를 탄압했다. 고종은 왕궁보다 높은 건물이 들어서는 것과, 역대 왕의 어진(御眞)을 모신 영희전(永禧殿)과 가까워 풍수(風水)를 해칠 것을 우려하여[39] 소유권을 억류하고 공사를 지연시켰다. 특히 해당 부지는 고종이 청백리 윤정현에게 하사한 땅[40]이었기에 반발은 더욱 컸다. 고종의 건축 중단 요구를 천주교 측이 거절하자, 고종은 금교령을 발표하여 천주교와 개신교의 전도 활동을 막았다.[41] 이 때문에 한동안 성당 건설은 지연될 수밖에 없었다.[42]

소유권 분쟁이 해결된 후 1892년 8월 5일 기공식을 갖고 공사가 시작되었다.[43] 초대 주임 블랑 주교가 1890년 선종하면서 두세 신부가 2대 주임으로 부임했다.[44] 성당 설계와 공사 감독은 약현성당과 용산신학교 설계도 맡았던 코스트(Eugène Jean George Costefra) 신부가 담당했다. 1896년 코스트 신부가 사망하자 프와넬(Victor Louis Poisnelfra) 신부가 공사를 이어받아 마무리했다.

1898년 5월 29일, 조선 교구장 뮈텔(Gustave Charles Marie Mutelfra) 주교의 집전으로 축성식이 거행되었다.[44] 당시 성당 이름은 지명을 딴 종현성당(鐘峴聖堂)이었는데, 종현(鐘峴)은 정유재란명나라 장수 양호가 남대문의 을 이곳 고개(당시 북달재)에 걸었다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45]

1909년 12월 22일, 독립운동가 이재명 의사가 벨기에 국왕 레오폴드 2세 추도 미사에 참석하고 나오던 이완용을 성당 앞에서 칼로 3차례 찔러 암살을 시도했다. 이 의거로 이완용은 중상을 입었으나 목숨을 건졌고, 인력거꾼 박원문이 사망했다. 이재명 의사는 체포되어 이듬해 사형되었다.

1924년에는 파이프 오르간이 설치되었으나 한국 전쟁 중에 소실되었다.[46] 1945년 광복 이후 성당 이름을 현재의 명동성당으로 바꾸었다.

2. 4. 민주화 운동의 성지

1970년대와 1980년대 대한민국의 군사 독재 시절, 명동성당은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중심지이자 피난처 역할을 수행했다. 당시 가톨릭 성직자들은 한국의 군사 독재를 비판하는 주요 인물 중 하나였으며[5], 성당은 민중 정치 및 노동 운동의 거점이자 시위대의 피난처가 되었다.[5] 이 때문에 민주화 운동가들 사이에서는 '민주화의 메카'로 불리기도 했다.[6] 1980년대에는 전두환 군사독재정권의 탄압을 피해 많은 수배자와 시위대가 명동성당으로 모여들면서 민주화 운동의 성지로 인식되었다.[47]

1976년에는 가톨릭 신자이자 훗날 대통령이 되는 김대중 등이 이곳에서 박정희 정권의 퇴진을 요구하는 3.1 민주구국선언을 발표하기도 했다.[7]

특히 1987년 6월 항쟁 당시 명동성당은 시위대의 중요한 피난처가 되었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이후 약 600명의 학생 시위대가 성당 안으로 피신하여 단식 투쟁을 벌였다.[7] 당시 주교였던 김수환 추기경은 성당 진입을 시도하는 경찰 병력에게 "경찰들이 성당에 들어온다면 제일 먼저 나를 만나게 될 것입니다. 그 다음 농성 중인 신부님들을 보게 될 것이고, 그 뒤에는 수녀님들이 있습니다. 학생들은 수녀님들 뒤에 있습니다. 그들을 체포하려면 나와 신부님들과 수녀님들을 짓밟고 가십시오"라고 말하며 경찰의 진입을 막고 시위대를 보호하였다.[48] 이러한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명동성당은 한국 현대사에서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3. 건축

명동성당은 한국 최초의 벽돌로 지어진 고딕 양식 건물이다.[21][22] 건축에는 20가지 종류의 국산 붉은색 벽돌과 회색 벽돌이 사용되었다. 본당 건물의 높이는 23m이며, 신랑(nave) 역시 같은 높이이다. 시계가 있는 종탑의 높이는 45m에 달한다. 1977년 11월 22일, 국가사적 제258호로 지정되었다.[16]

성심의 성모 마리아상이 모셔진 제대 내부


성당 내부는 다양한 종교 미술품으로 장식되어 있다. 높은 제대에는 현대적인 성심의 성모상이 있으며, 이 상은 십자가를 모신 중앙 감실 양쪽에 열두 사도상과 함께 자리 잡고 있다. 측면 제대는 누르시아의 베네딕투스에게 봉헌되었고, 다른 측면 예배당에는 한국의 수호성인 김대건 안드레아와 프랑스 출신 Laurent-Joseph-Marius Imbert|범세형fra 주교의 상이 모셔져 있는데, 범세형 주교상은 한국 전통의상을 입은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에는 예수의 탄생과 동방박사의 경배, 예수와 열두 사도, 그리고 15가지 묵주기도의 신비가 묘사되어 있다. 이 스테인드글라스는 1982년 이남규 화백에 의해 원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본 제대 바로 아래에는 지하 묘실이 있다. 이곳에는 9명의 한국 교회 순교자들의 유물이 안치되어 있다. 두 명의 순교자는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나머지 다섯 명은 Laurent Joseph Marius Imbert|로랑 조제프 마리우스 앙베르fra 주교(한국 교회의 두 번째 주교), 피에르 모방 신부, 자크 샤스탕 신부, 김성우 안토니오, 최경환 프란치스코이다. 지하 묘실 예배당에서는 매일 아침 특별 순례 미사가 거행된다.

성당 외부에는 1948년 교회 봉헌 50주년을 기념하여 프랑스에서 제작된 루르드의 성모상이 세워졌다. 1960년 8월 27일에는 로기남 바오로 대주교가 성모 동굴을 봉헌하며 한국 통일을 위해 기도했다.[17]

3. 1. 역대 주임 신부

순번이름재임 기간
1마리장구스타브 블랑1882년 ~ 1890년
2Doucet1890년 ~ 1892년
3빅토르루이 푸아넬1892년 ~ 1926년
4Marie Pierre Paul Villemot1926년 ~ 1942년
5이기준 토마스1942년 ~ 1950년
6장금구 요한 크리소스토모1950년 ~ 1957년
7양기섭 베드로1957년 ~ 1962년
8이종순 라우렌시오1962년 ~ 1963년
9신인식 바오로1963년 ~ 1964년
10황민성 베드로1964년 ~ 1965년
11이계중 요한1965년 ~ 1968년
12이문근 요한1968년 ~ 1971년
13최석우 안드레아1971년 ~ 1972년
14김몽은 요한1972년 ~ 1978년
15경갑룡 요셉1978년 ~ 1982년
16김수창 야고보1982년 ~ 1986년
17김병도 프란치스코1986년 ~ 1988년
18정의채 바오로1988년
19조순창 가시미로1988년 ~ 1994년
20장덕필 니콜라오1994년 ~ 1999년
21백남용 바오로1999년 ~ 2003년
22이성만 토마스2003년 ~ 2004년
23박신언 라파엘2004년 ~ 2010년
24여형구 미카엘2010년 ~ 2013년
25고찬근 루카2013년 ~ 2018년
26조학문 바오로2018년 ~ 2023년
27조성풍 아우구스티노2023년 ~ 현재


3. 2. 사제단

사제(세례명)직위담당축일사제서품
조성풍(아우구스티노)주임총괄8월 28일1993.07.16
나창식(안드레아)수석부주임11월 30일2011.02.08
진슬기(토마스 아퀴나스)부주임청년ㆍ문화예술1월 28일2011.02.08
조인기(암브로시오)부주임선교ㆍ교육12월 7일2016.02.05
이철규(아우구스티노)부주임전례ㆍ성음악분과8월 28일2020.02.07
김영우(스테파노)부주임장애인신앙교육12월 26일
세베로 이사악(이사악)보좌영어미사ㆍ외국인 전담 사목11월 30일2024.02.02



'''수도자'''


  • 원장수녀님 - 손명옥(벨라뎃다)
  • 김옥경(마리아 유스티나)
  • 이숙이(아가다)
  • 이수정(젤뜨루다)

3. 3. 미사 시간

'''주일 미사'''
미사장소오전 미사시간오후 미사시간
대성당07:00(일반)09:00(English)10:00(아미쿠스)11:00(일반)12:00(교중)16:00(일반)17:00(일반)18:00(일반)19:00(청년)21:00(일반)
소성당09:00 (대학생)11:00 (장애인)-



'''토요 특전 미사'''
미사장소저녁 미사시간
대성당18:00(일반)19:00(3545+)



'''평일 미사'''


  • '''화요일''' 저녁 7시: 서울 대교구장 주례 한국 통일 기원 미사 (1997년부터 매주 봉헌)

4.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Myeong-dong Cathedral of the Immaculate Conception of Mary and St. Nicholas, Seoul 서울시, Seoul-teukbyeolsi 서울특별시, South Korea http://www.gcatholic[...] 2016-05-05
[2] 서적 Focus on Korea, Korean History
[3] 간행물 The Korean repository 1898-01-00
[4] 웹사이트 History of Myeong Dong Cathedral https://web.archive.[...] 2008-05-16
[5] 뉴스 Asians Pay Tribute to the Pope https://www.nytimes.[...] 2005-04-03
[6] 뉴스 SKorean priests lead campaign against 'economic dictator' Samsung http://www.iht.com/a[...] 2008-03-07
[7] 뉴스 Myeongdong Cathedral Fighting Image of Protest Haven 2002-03-22
[8] 웹사이트 "Bellonet and Roze: Overzealous Servants of Empire and the 1866 French Attack on Korea" by Kane, Daniel C. - Korean Studies, Annual 1999 https://www.questia.[...] 2021-07-00 #날짜는 dead link에서 추정
[9] 간행물 True Doctrine in the Hermit Kingdom: A Brief Survey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2004-05-04
[10] 웹사이트 Both North and South consecrated to the Immaculate Virgin, says Bishop of Seoul http://www.asianews.[...] Pontificio Istituto per le Missioni Estere
[11] citation Patron Saints: K http://www.catholic.[...]
[12] 웹사이트 Phoenix TV documentary of the Myeongdong Cathedral https://www.youtube.[...] 2010-05-18
[13] PDF http://www.marys-tou[...] 2022-03-00
[14] citation Address of Pope John Paul II Before Declaring the Act of Entrustment of Korea to Mary https://www.vatican.[...] 1984-05-06
[15] 웹사이트 The Shrine of Our Lady of the Rosay of Namyang https://web.archive.[...] 2018-05-23
[16] 웹사이트 Heritage Information: Myeongdongseongdang http://jikimi.cha.go[...] 2008-05-16
[17] 웹사이트 Card. Yeom: We Christians, instruments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http://asianews.it/n[...] 2018-05-23
[18] 기타
[19] 웹사이트 명동본당 https://maria.cathol[...] カトリック辞典 2023-06-25
[20] 웹사이트 明洞聖堂 https://www.seoulnav[...] SEOULnavi 2009-03-09
[21] 웹사이트 ミョンドン・ソンダン(明洞聖堂) https://japanese.vis[...] Visit Seoul 2023-06-25
[22] 웹사이트 서울 명동성당 (서울 明洞聖堂) http://www.heritage.[...] 문화財庁国家文化遺産ポータル 2023-06-25
[23] 웹사이트 명례방공동체 [明禮坊共同體]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24] 웹사이트 민족사 100년의 명동대성당 01 http://www.mdsd.or.k[...] 명동대성당 홈페이지
[25]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26]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27] 웹사이트 김범우의 집이 훗날의 명동성당으로… #URL 없음 한국콘텐츠진흥원 2005
[28] 뉴스 #제목 없음 종교신문 2004-01-02
[29] 서적 한국 근대사 산책 1 인물과 사상사 2011-03-31
[30] 웹사이트 명동성당 https://terms.naver.[...] 한국문화유산답사회 2009
[31] 웹사이트 서울 명동성당 [─明洞聖堂] https://terms.naver.[...] 한국학중앙연구원
[32] 웹사이트 명동성당 (明洞聖堂) https://100.daum.net[...]
[33] 웹사이트 서울 명동성당 (서울 明洞聖堂) http://www.heritage.[...]
[34] 간행물 종현성당 Good News 카톨릭사전
[35] 간행물 명동본당 https://maria.cathol[...]
[36] 웹사이트 서울 명동성당 (서울 明洞聖堂) http://www.heritage.[...]
[37] 간행물 종현성당 Good News 카톨릭사전
[38] 서적 답사여행의 길잡이 15 돌베개 2009-00-00 # 정확한 날짜가 없어서 2009년으로 설정. 출판일 수정 필요.
[39] 웹사이트 서울 명동성당 [─明洞聖堂] 한국학중앙연구원
[40] 뉴스 명동성당 재개발 현장에 고종 하사 옛 집터 http://mbn.mk.co.kr/[...] MBN 2011-12-09
[41] 뉴스 [한국선교 130년 최초 선교사 알렌 이야기] (18) 알렌 외교관인가 선교사인가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4-06-06
[42] 서적 한국 개신교 초기의 선교 역사
[43] 서적 읽고 떠나는 국토순례 집문당 1994
[44] 웹사이트 명동대성당의 역사 http://www.mdsd.or.k[...]
[45] 간행물 종현성당 Good News 카톨릭사전
[4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cpbc.co.k[...] 2017-01-19
[47] 뉴스 http://news.donga.co[...]
[48] 뉴스 https://m.catholicti[...]
[49] 뉴스 https://news.naver.c[...]
[50] 뉴스 http://www.nocut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