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세포 핵 치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세포 핵 치환(SCNT)은 난자와 체세포를 이용하여 핵을 치환하는 기술이다. 1962년 존 거든 경의 연구로 처음 시도되었으며, 세포의 역분화 가능성을 증명했다. SCNT는 줄기세포 연구와 생식 복제에 적용되며, 멸종 위기 동물의 보존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인간 SCNT 연구는 윤리적 논란과 기술적 한계에 직면해 있으며, 각국은 관련 정책을 다르게 적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제 - 꺾꽂이
꺾꽂이는 식물의 줄기, 잎, 뿌리 등을 잘라 새로운 개체를 번식시키는 무성 생식 방법으로, 식물 종류와 부위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적절한 환경과 기술이 필요하다. - 복제 - 탯줄
탯줄은 태아에게 영양을 공급하는 통로로, 제대정맥과 제대동맥으로 구성되며, 출생 후에는 늦게 결찰하는 것이 신생아에게 유익할 수 있고, 제대혈은 줄기 세포의 공급원이며, 다양한 이상과 용어로 사용된다. - 수명 연장 - 샹그릴라
샹그릴라는 티베트어에서 유래된 가상의 낙원으로, 소설 《잃어버린 지평선》에 등장하며, 외부와 단절된 지상 낙원, 이상향을 상징하고, 히말라야, 중국 윈난성 등 여러 지역이 실제 모델로 거론되며, 대중문화 속에서 신비로운 낙원의 대명사로 널리 알려져 있다. - 수명 연장 - 블루존
블루존은 장수와 건강한 노년 생활로 유명한 지역들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초기 연구 이후 여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최근에는 과학적 근거 부족에 대한 비판과 검증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줄기 세포 - 배아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는 초기 포유류 배아에서 유래하여 모든 세포로 분화 가능하며 자기 재생 능력을 갖춘 만능 세포로, 재생 의학, 신약 개발 등에 활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면역 거부 반응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줄기 세포 - 제대혈
제대혈은 탯줄 혈액으로, 조혈모 줄기 세포를 다량 함유하여 조혈모세포 이식의 공급원으로 활용되지만, 세포 수 부족으로 생착률이 낮고 조혈 회복이 늦는 단점도 있으며, 제대혈 은행에 보관되고 활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체세포 핵 치환 | |
---|---|
일반 정보 | |
![]() | |
유형 | 생식 기술 |
관련 질병 | 암 자가면역질환 |
상세 정보 | |
설명 | 체세포의 핵을 난자에 이식하여 복제 배아를 생성하는 방법 |
최초 개발 | 1996년 |
최초 성공 사례 | 돌리 |
관련 기술 | 줄기 세포 유전자 편집 |
윤리적 고려 사항 | |
논쟁 | 인간 복제 가능성 배아 파괴 문제 |
규제 | 국가별 규제 상이 |
2. 역사
체세포 핵 치환(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은 체세포의 핵을 핵이 제거된 난자의 세포질로 옮기는 복제 기술이다. 이 기술로 개발된 최초의 포유류는 1996년 복제 양 돌리였다.[4]
돌리가 이 기술을 사용하여 복제된 최초의 동물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SCNT의 초기 사례는 1950년대 초부터 존재한다. 1958년 존 거든 경은 SCNT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노푸스 라에비스''를 복제했다.[5] 그는 암컷 개구리의 배란을 유도하여 난자를 채취하고, 자외선 조사를 사용하여 난자의 핵을 비활성화했다. 이후 준비된 난자와 공여 세포의 핵을 결합하여 배양했고, 결국 올챙이로 발달시켰다.[5] 거든의 SCNT 적용은 핵 제거에 피펫을 사용하지 않고 자외선 조사를 이용했다는 점에서, 현대적인 적용이나 당시 다른 모델 시스템(예: ''라나 피피엔스'')에 사용된 것과 다르다.[6]
2. 1. 기원
체세포 핵 치환(SCNT)은 1962년 존 거든 경이 발표한 논문에서 시작되었다. 존 거든은 올챙이의 장 세포에서 얻은 핵을 개구리의 핵이 제거된 난자에 이식하여, 핵을 제공한 올챙이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구리를 탄생시켰다. 이는 최초의 체세포 핵 치환이자, 세포의 역분화 가능성을 증명한 실험이었다.[57]일반적으로 돌리가 이 기술을 사용하여 복제된 최초의 동물로 알려져 있지만, SCNT의 초기 사례는 1950년대 초부터 존재한다. 특히, 1958년 존 거든 경은 SCNT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노푸스 라에비스''를 복제했다.[5] 이 실험은 암컷 개체의 배란을 유도하고 난자를 채취한 후, 자외선 조사를 통해 난자의 핵을 비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준비된 난자와 공여 세포의 핵을 결합하여 배양했고, 결국 올챙이로 발달시켰다.[5] 거든의 SCNT 적용은 핵 제거를 위해 피펫을 사용하는 대신 자외선 조사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더 현대적인 적용이나 당시 다른 모델 시스템(예: ''라나 피피엔스'')에 사용된 방법과 차이가 있다.[6]
2. 2. 20세기 초반
1950년대 초부터 체세포 핵 치환(SCNT)의 초기 사례가 존재한다. 특히 1958년 존 거든 경은 SCNT의 원리를 이용하여 ''제노푸스 라에비스''를 복제했다.[5] 이 실험에서 존 거든은 암컷 개구리의 배란을 유도하고 난자를 채취한 후, 난핵을 비활성화하기 위해 자외선 조사를 하여 핵을 제거했다. 그리고 준비된 난자와 공여 세포의 핵을 결합한 다음 배양하여 올챙이로 발달시켰다.[5] 거든의 SCNT 적용은 핵을 제거하기 위해 피펫을 사용하는 대신 난자에 자외선 조사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더 현대적인 적용이나 당시 다른 모델 시스템(예: ''라나 피피엔스'')에 사용된 적용과 다르다.[6]1962년 존 거든은 올챙이 장 세포에서 얻은 핵을 개구리 핵이 제거된 난자에 이식하여 핵을 얻은 올챙이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개구리를 탄생시켰다는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이것은 최초의 체세포 핵 치환이자, 세포의 역분화 가능성을 증명한 논문이다.[57]
3. 과정
체세포 핵 치환은 두 가지 다른 종류의 세포를 필요로 한다. 첫 번째는 여성의 생식세포인 난자이다. 인간 체세포 핵 치환 실험에서는 난자 제공에 동의한 기증자들에게 여러 차례 배란을 유도하여 난자를 얻는다. 두 번째는 신체에서 얻은 체세포이다. 피부 세포, 지방 세포, 간 세포 등이 그 예시이다.
기증자의 난자에서 핵을 제거하고 남은 세포는 미분화 상태로 유지된다. 체세포에서도 핵을 제거하지만, 이 핵은 보관하고 핵을 제외한 세포는 폐기한다. 남은 체세포의 핵과 핵이 제거된 난자를 핵이 없는 난자에 체세포 핵을 넣어 줌으로써 둘을 합쳐준다. 이후 난자에 의해 체세포 핵이 재프로그래밍된다.
체세포 핵을 지닌 난자는 전기 자극을 받아 분열하기 시작한다. 이 난자는 생장 가능하며, 한쪽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 정보를 가진 성체를 만들 수 있다. 발생은 수많은 유사 분열을 거쳐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며, 이 하나의 세포는 핵을 이식한 체세포와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배반포를 형성하게 된다.[58] 이렇게 만들어진 배아는 치료 목적으로 줄기세포를 얻기 위해 해체되거나, 생식 복제를 위해 모체에 착상될 수 있다.
기존의 체세포 핵 치환은 세포를 정밀하게 조작하기 위한 고가의 장비인 미세 조작기를 필요로 한다.[9] 과학자는 미세 조작기를 사용하여 투명대에 구멍을 내고 피펫으로 난자의 원래 핵을 빨아들인다. 그런 다음 다른 피펫에 구멍을 내어 공여 핵을 주입한다.[10] 또는 빈 난자와 핵을 포함하는 공여 세포를 융합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를 가할 수 있다.[9]
3. 1. 수제 복제
2001년 인도 과학자들이 "수제 복제"라고 하는 대체 기술을 설명했다. 이 기술은 미세 조작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여러 가축 종의 복제에 사용되었다.[11] 핵 제거는 화학적 방법, 원심 분리 또는 칼날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빈 난자는 피토헤마글루티닌으로 공여 세포에 접착된 다음 전기를 사용하여 융합된다. (칼날을 사용하는 경우 두 단계의 융합이 필요하다. 첫 번째 융합은 공여자와 빈 반쪽 난자 사이에, 두 번째 융합은 반쪽 크기의 "데미 배아"와 다른 빈 반쪽 난자 사이에 있다.)[9]4. 적용
체세포 핵 치환(SCNT) 기술은 줄기 세포 연구, 생식 복제, 이종 간 핵 치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SCNT는 복제된 배아로부터 환자와 유전적으로 일치하는 다능성 세포를 얻을 수 있게 하여 치료법이나 질병 연구에 사용될 가능성을 열었다.[12] 배아 줄기 세포는 성체의 모든 조직을 생성할 수 있는 다능성을 가지지만, 생존 가능한 인간 배아를 파괴해야 한다는 논란이 있어, SCNT가 대안적인 방법으로 연구되고 있다.
SCNT를 통해 환자 특이적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를 가진 세포주를 만들어 ''체외'' 모델을 구축하고, 질병의 병태생리를 연구하거나 치료법을 발견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13] 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의 체세포를 기증받아 SCNT로 생성된 줄기 세포는 파킨슨병에 기여하는 유전자를 가지므로, 질병 연구에 유용하다.[14] 또한, SCNT로 생성된 세포는 체세포 공여자와 유전적으로 동일하므로, 면역 체계 거부 반응 없이 이식할 조직이나 장기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14][16]
인간 핵 이식 배아 줄기 세포를 만드는 데는 여러 어려움이 따랐고, 성공 사례는 제한적이었다. 체세포 핵이 적절한 발달에 중요한 배아 유전자를 켜지 못해, 발생이 8세포 단계를 넘어서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SCNT 기술을 발전시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리건 보건과학 대학교 연구 그룹은 영장류를 대상으로 SCNT 절차를 개발하여 피부 세포를 이용한 줄기 세포 생성에 성공했다. 이들은 세포 주기의 metaphase II (MII)에 있는 난모세포를 활용했는데, MII 난세포는 세포질에 특수 인자를 포함하고 있어 이식된 체세포 핵을 다능성 상태로 재프로그래밍하는 능력이 뛰어나다.[17]
유도 만능 줄기 세포(iPSC) 기술의 발전으로 SCNT 기반 연구가 주춤하기도 했지만, SCNT 줄기 세포 역시 고유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여전히 중요한 연구 분야로 남아있다.
이 기술은 돌리와 같은 동물 복제의 기초가 되며,[30] 이론적으로는 인간 복제의 가능성도 제시한다. 또한, 미토콘드리아 DNA 돌연변이 관련 질병 치료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종 간 핵 치환(iSCNT)은 멸종 위기 종을 구조하거나 멸종 후 종을 복원하는 데 사용되는 SCNT의 한 방법이다.
4. 1. 줄기세포 연구
체세포 핵 치환(SCNT)은 질병 모델링과 세포 치료제 개발을 위한 줄기세포 연구에 주로 활용된다. 이 기술은 환자 맞춤형 만능세포를 만들어 치료나 질병 연구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59]배아줄기세포는 배아에 있는 미분화 세포로, 신체의 모든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만능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손상된 세포를 대체하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지만, 인간 배아를 파괴해야 한다는 윤리적 논란이 있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줄기세포를 얻는 다른 방법을 찾고 있으며, SCNT가 그 중 하나이다.
SCNT를 통해 환자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줄기세포를 만들면, 특정 질환 관련 유전자를 가진 세포주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질병의 발생 기전을 연구하거나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유용한 생체 외 모델을 만들 수 있다.[60] 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의 체세포를 이용해 만든 SCNT 줄기세포는 해당 질병 유전자를 가지므로, 질병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61] 또한, 환자에게 이식할 조직이나 장기를 만드는 데에도 SCNT 줄기세포를 사용할 수 있다.[62] 이 경우, 면역 거부 반응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61][63]
현재 SCNT 기술을 이용한 인간 줄기세포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몇몇 연구실에서만 진행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하버드 줄기 세포 연구소, 캘리포니아 대학교, 오리건 보건과학 대학교[64] 등에서 연구를 진행 중이며, 영국에서는 인간 수정 및 배아 관리국의 허가를 받은 연구소들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66] 중국에서도 SCNT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67] 2005년 대한민국의 황우석 교수 연구팀이 SCNT를 이용한 줄기세포를 만들었다고 발표했으나, 이는 조작으로 밝혀졌다.[68][69]
SCNT를 이용한 인간 배아줄기세포 제작은 성공 사례가 많지 않다. 체세포 핵이 배아 유전자를 제대로 발현하지 못해 8세포기 이후 발달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한다. 오리건 보건과학 대학교 연구팀은 난자를 감수분열 2단계에서 사용하고 카페인을 처리하는 등의 방법으로 영장류 및 인간 SCNT에 성공했다.[64] 2014년에는 성인 체세포를 이용한 SCNT 줄기세포 생성에도 성공하여, 나이가 세포 역분화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밝혔다.[72][73] 같은 해, 뉴욕 줄기세포 재단은 당뇨병 환자의 체세포를 이용해 SCNT 줄기세포를 만들고, 인슐린 분비 세포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했다.[74]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기술의 발전으로 SCNT 기반 줄기세포 연구는 다소 주춤해졌다. iPSC는 체세포를 역분화시켜 만들기 때문에 윤리적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롭고, 질병 모델링에도 활용될 수 있다.[75] 그러나 iPSC는 후성유전적 기억(epigenetic memory) 때문에 분화 효율에 차이를 보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76] 반면 SCNT 줄기세포는 이러한 문제가 없어 줄기세포 연구에 여전히 중요한 기술로 남아있다.
4. 2. 생식 복제
이 기술은 현재 동물 복제의 기반이 되며, 유명한 예시로 돌리가 있다.[77] 이론적으로는 인간도 복제할 수 있다. 생식 복제에서 체세포 핵 치환(SCNT) 기술을 이용하는 것은 어렵고, 제한된 성공을 거두었다. 태아 및 신생아 단계에서 많이 사망하기 때문에 이 과정은 매우 비효율적이다.[78] 인간이 아닌 종에서 복제된 새끼들은 발달 및 후성유전적인 장애로 고통받는데, 이러한 이유와 윤리적, 도덕적인 반대로 인해 인간 생식 복제는 30개국 이상에서 금지되었다.[78][31] 많은 연구자들은 현재의 복제 기술로 사람이 태어날 수 있는 미래가 올 것이라고 믿지 않는다. 현재 SCNT의 초기 배아 발생 단계에서 한계점이 존재하고 이것을 극복하는 것이 핵심적이기 때문에, 인간 복제는 SCNT에서 아직까지는 가능성으로만 남아있다.[79][80][32][33]또한, 미토콘드리아 DNA와 연관된 질병 치료에 대한 가능성도 존재한다. 최근 연구에서 미토콘드리아 DNA 관련 질환을 가진 체세포의 핵을 SCNT로 건강한 난자에 넣었을 때, 미토콘드리아 질병이 유전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치료는 복제와는 연관되지 않지만, 정자를 제공하는 아버지, 난자의 핵을 제공하는 어머니, 그리고 핵을 제외한 난자를 제공하는 어머니라는 3명의 유전적 부모를 가진 아이를 태어나게 할 수 있다.[62][15]
2018년, 돌리와 동일한 방법인 체세포 핵 이식을 사용하여 영장류의 첫 번째 성공적인 복제가 보고되었으며, 두 마리의 살아있는 암컷 복제 동물(게잡이원숭이인 ''Zhong Zhong''과 ''Hua Hua'')이 태어났다.[2][34][35][36][37]
4. 3. 이종간 핵 치환
이종간 핵 치환(iSCNT)은 체세포 핵 치환 기술을 이용하여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을 구하거나 멸종된 종을 복원하는 방법이다. 이 기술은 일반적인 가축이나 설치류의 SCNT 클로닝과 유사하지만, 멸종 위기 종이나 멸종된 종 복제에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종간 핵 치환은 숙주와 기증자가 서로 다른 두 개체를 활용하며, 이 두 개체는 서로 가까운 종, 같은 속에 속해야 한다.[81] 2000년, 로버트 란자는 젖소(''Bos taurus'')를 이용하여 인도 물소(''Bos gaurus'')의 복제된 태아를 만드는 데 성공하였다.[38]종간 핵 치환은 세포핵 역분화를 일으키는 기작이 보편적임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Gupta 연구팀은 소, 쥐, 닭의 세포를 핵이 제거된 돼지 난자에 넣는 종간 체세포 핵 치환으로 유전자 이식 복제 배아를 만드는 가능성을 연구했다.[82] 또한, 돼지 태아의 체외 배양용으로 만들어진 NCSU23 배지가 소, 쥐, 닭의 iSCNT 배아가 생체 외에서 배반포로 발달하는 데 도움이 되며, 양의 난자 세포질이 사람 체세포를 배아 단계로 역분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밝혀졌다.[83]
2017년에는 iSCNT를 통해 최초로 복제된 박트리아 낙타가 태어났다. 이때 단봉낙타의 난자와 성체 박트리아 낙타의 피부 섬유아세포가 공여 핵으로 사용되었다.[39]
5. 한계점
체세포 핵 치환(SCNT) 기술은 여러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낮은 효율성초기 연구에서 SCNT는 매우 낮은 성공률을 보였다. 복제양 돌리는 277개의 난자를 사용해 단 29개의 배아를 만들었고, 이 중 단 한 마리만이 성체로 자랐다.[77] 이는 SCNT 과정이 난자와 핵 모두에 큰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이다. SCNT는 자동화되지 않고 현미경을 이용해 수동으로 진행되어 많은 자원이 필요하며, 관련된 생화학적 기작도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2014년에는 돼지 복제 성공률이 70-80%로 보고되었고,[84] 2016년 한국의 수암생명공학연구원은 하루에 500개의 복제 배아를 생산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85]
미토콘드리아 DNA 문제SCNT는 공여 세포의 모든 유전 정보를 전달하지 못한다. 미토콘드리아는 자체적인 미토콘드리아 DNA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핵이 아닌 난자로부터 유래한다. 따라서 SCNT로 태어난 개체는 핵 공여자의 완벽한 복제품이 아니다. 이는 SCNT를 통해 만들어진 조직이나 장기를 이식했을 때 면역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43]
후성유전학적 문제후성유전학적 요인 또한 SCNT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친다. 히스톤 메틸화 조절 이상이나[45] X 염색체 비활성화 문제[45] 등은 SCNT 실패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6. 논란
체세포 핵 치환(SCNT) 기술은 인간 배아줄기세포 연구와 관련된 여러 윤리적, 사회적 논란을 야기한다.[46][47][48]
- 생명 윤리 문제: 핵 치환 기술은 배아를 파괴해야 한다는 점에서 논란이 있는 배아 줄기 세포와는 다른 윤리적 문제를 제기한다. SCNT 기반 인간 줄기세포 연구에서 배반포가 생성되면, 이는 곧 인간 생식 복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두 과정 모두 SCNT를 통해 핵이 치환된 배아를 생성하는 동일한 첫 단계를 거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SCNT에 대한 강력한 규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46][49]
- 난자 획득의 문제점: SCNT는 여성에게서 얻을 수 있는 인간 난자를 필요로 한다. 오늘날 가장 일반적인 난자 획득 방법은 체외 수정(IVF) 치료 과정에서 남은 난자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최소 침습적인 절차이기는 하지만, 난소 과자극 증후군과 같은 건강상의 위험을 수반한다.[86][87][88]
- 난자 매매 가능성: 줄기세포 치료가 성공하려면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주를 만들어야 한다. 각 맞춤형 줄기세포주는 환자 자신의 DNA를 가진 동일한 줄기세포 집합으로 구성되어, 이식 시 거부 반응 문제를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킨슨병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환자 세포핵을 난자 기증자의 난자에 이식하여 환자와 거의 동일한 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는 난자 제공자의 것과 동일하다.)[89]
- 수백만 명의 환자가 줄기세포 치료 혜택을 기대하고 있으며, 각 환자는 맞춤형 줄기세포주 제작을 위해 많은 수의 기증된 난자를 필요로 한다. 이는 보조 생식 기술을 통해 아이를 가지려는 부부가 사용하고 남은 난자 수를 초과한다. 따라서 건강한 젊은 여성이 난자를 판매하도록 유도될 수 있으며, 이는 난자 출처의 불분명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과배란 유도를 위해 다량의 호르몬을 투여받는 건강한 젊은 여성의 장기적인 공중 보건 효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낮은 용량의 호르몬을 장기간 투여했을 때 10년 후 암 발병률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과배란 유도 호르몬의 영향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많은 국가에서 신체 일부를 사고파는 행위는 비윤리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인간 난자는 예외였다.
- 황우석 사건과 연구 윤리: 2005년 황우석 교수 연구팀이 SCNT를 이용해 줄기세포를 만들었다는 논문을 발표했으나,[68] 이는 조작으로 밝혀졌다.[69] 최근 발견된 증거에 따르면, 황우석이 만든 줄기세포는 처녀생식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었다.[70][71] 이 사건은 SCNT 연구의 투명성과 책임성에 대한 심각한 문제를 제기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줄기세포 과학자들은 인공 난자 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성공한다면 맞춤형 줄기세포주 제작에 인간 난자 기증이 필요 없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아직 갈 길이 멀다.
7. 인간 체세포 핵 치환에 관한 정책
영국에서는 1990년에 제정된 인간수정 및 배아 연구법(Human Fertilisation and Embryology Act 1990)에 따라 연구 목적에 한하여 인간 세포를 포함한 체세포 핵 치환(SCNT)이 합법이다.[90] 체세포 핵 치환을 하거나 시도하려면 반드시 인간생식배아관리국(Human Fertilisation and Embryology Authority)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미국에서는 연방법에 의해 다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체세포 핵 치환을 하려는 시도는 합법이다.[91] 하지만, 2002년도에 미합중국 연방 정부의 체세포 핵 치환을 위한 기금 지급 중단이 연구를 하기 위한 기금 조성을 막았다. 따라서 법적으로 연방에서 체세포 핵 치환을 지원해줄 수 없다.[92] 미국 학자들은 최근 체세포 핵 치환의 결과물이 인간 배아가 아니라 복제 배아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책은 도덕적으로 잘못되었고 수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93]
2003년, 미국은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의 삶과 비교할 수 없는 만큼 모든 형태의 인간복제를 금지한다''는 코스타리카의 제안을 받아들였다.[94] 해석에 따르면, 체세포 핵 치환도 이 선언에 포함되어 있다.
유럽 평의회는 ''생명윤리 협약''(Convention on Human Rights and Biomedicine) 과 ''의학 및 생물학의 응용에 대한 인권과 인간 존엄성을 보호를 위한 협약의 인간 복제 금지 추가 의정서''(Additional Protocol to the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Dignity of the Human Being with regard to the Application of Biology and Medicine, on the Prohibition of Cloning Human Being)에 따라 인간의 체세포 핵 치환을 금지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평의회의 45개 회원국 중, 31개국이 ''협약''에 서명하였고, 18개국이 비준하였다. ''추가 의정서''는 29개국이 서명하였고, 14개국이 비준하였다.[95]
현재 UN에서는 모든 형태의 인간복제를 반대하고 있다.
8. 연표
- 1962년: 존 거든 경이 올챙이 장 세포 핵을 개구리 난자에 이식, 체세포 핵 치환(SCNT) 및 세포 역분화 가능성을 최초로 증명.[57]
- 1990년대 후반: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로저 패더슨 박사와 위스콘신 대학교의 제임스 톰슨 박사가 인간 배아줄기세포 연구 선도. 로저 패더슨은 인간 SCNT 연구를 시도하다 영국으로 이주.
- 2002년 12월 11일: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폴 버그 (스탠퍼드 대학교) 박사가 성인 세포핵을 이용한 줄기세포 채취 계획 발표.[96]
- 2003년 6월 17일: 미국의학협회(AMA)가 인간 SCNT 연구 지지 발표.[97]
- 2004년 2월 12일: 황우석 박사가 세계 최초로 인간 SCNT 성공 발표 (논문 조작으로 기록 취소). 황우석 사건 참조.
- 2004년 6월 21일: 케임브리지 대학교가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소 개설 발표. 로저 패더슨 교수 참여.
- 2013년 5월: 슈트라트 미탈리포프 (오리건 보건 과학 대학교) 교수팀이 인간 SCNT 기술로 배아줄기세포 확립에 세계 최초로 성공. (황우석 박사 기록 취소로 미탈리포프 박사가 최초). 오송첨단의료진흥재단 이효상 박사와 경상대학교 강은주 박사 공동 참여.
- 2014년 4월 18일: 차병원 줄기세포연구소 이동률 교수팀과 미국 차병원 줄기세포연구소 정영기 교수팀이 성인 SCNT 기술로 인간 복제줄기세포주 확립. (세계 2번째, 성인 최초).[98]
- 2014년 4월 28일: 디터 에글리(Egli) 박사(뉴욕줄기세포재단 연구소)와 마크 자우어(Sauer) 박사(컬럼비아 대학교 병원) 공동 연구진이 당뇨병 환자 피부세포를 이용한 SCNT 기술로 복제 배아줄기세포 획득 및 췌장 베타세포 분화 성공.[99]
참조
[1]
간행물
Human embryos derived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using an alternative enucleation approach
[2]
간행물
Cloning of Macaque Monkeys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2018-01-24
[3]
웹사이트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 biology and technology
https://www.britanni[...]
2018-01-27
[4]
웹사이트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 Embryology
https://embryology.m[...]
2018-01-27
[5]
간행물
A Description of the Technique for Nuclear Transplantation inXenopus laevis
https://doi.org/10.1[...]
1960-12-01
[6]
간행물
The Egg and the Nucleus: A Battle for Supremacy (Nobel Lecture)
http://dx.doi.org/10[...]
2013-12-05
[7]
간행물
Using a moot to develop students' understanding of human cloning and statutory interpretation
2017-09-12
[8]
간행물
Viable offspring derived from fetal and adult mammalian cells
[9]
간행물
Handmade cloning: recent advances, potential and pitfalls
2015-12
[10]
서적
Guide to Techniques in Mouse Development, Part A: Mice, Embryos, and Cells, 2nd Edition
2010
[11]
간행물
Cloning of Buffalo, a Highly Valued Livestock Species of South and Southeast Asia: Any Achievements?
2018-04
[12]
간행물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in Oregon: Expanding the pluripotent space and informing research ethics
[13]
간행물
Ethical issues in stem cell research
[14]
간행물
Human embryonic stem cells: origi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http://lup.lub.lu.se[...]
[15]
간행물
Cloning debate: Stem-cell researchers must stay engaged
[16]
간행물
Can mammalian cloning combined with embryonic stem cell technologies be used to treat human diseases?
2002-07
[17]
간행물
Human Embryonic Stem Cells Derived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null
[18]
뉴스
Cloning race is on again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06-01-17
[19]
뉴스
Dolly scientists' human clone bid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9-28
[20]
뉴스
The First Cloning Superpower
https://www.wired.co[...]
Wired
2003-01
[21]
간행물
Human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Using Adult Cells
https://www.cell.com[...]
2014-04-18
[22]
뉴스
Cloning advance using stem cells from human adult reopens ethical questions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4-04-18
[23]
간행물
Human oocytes reprogram adult somatic nuclei of a type 1 diabetic to diploid pluripotent stem cells
[24]
간행물
Breakthrough of the year: Reprogramming Cells
2008-12
[25]
간행물
Epigenetic memory i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26]
간행물
Small molecules for reprogramming and transdifferentiation
[27]
간행물
Pharmacological Reprogramming of Somatic Cells for Regenerative Medicine
[28]
간행물
IPS cells produce viable mice through tetraploid complementation
[29]
간행물
Transcriptional memory inherited from donor cells is a developmental defect of bovine cloned embryos
[30]
간행물
Sheep cloned by nuclear transfer from a cultured cell line
1996-03
[31]
간행물
Human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and cloning
[32]
간행물
Research on animal cloning technologies and their implications in medical ethics: an update
[33]
간행물
Human cloning: can it be made safe?
2003-11
[34]
간행물
These monkey twins are the first primate clones made by the method that developed Dolly
https://www.science.[...]
2018-01-24
[34]
간행물
First monkeys cloned with technique that made Dolly the sheep – Chinese scientists create cloned primates that could revolutionize studies of human disease.
2018-01-24
[35]
웹사이트
First Primate Clones Produced Using the "Dolly" Method – The success with monkeys could ignite new ethical debates and medical research
https://www.scientif[...]
2018-01-24
[36]
뉴스
First monkey clones created in Chinese laboratory
https://www.bbc.com/[...]
BBC News
2018-01-24
[37]
뉴스
Yes, They've Cloned Monkeys in China. That Doesn't Mean You're Nex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8-01-24
[38]
간행물
Cloning of an endangered species (Bos gaurus) using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
http://media.longnow[...]
2013-12-10
[39]
간행물
First cloned Bactrian camel (Camelus bactrianus) calf produced by interspecies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A step towards preserving the critically endangered wild Bactrian camels
2017-05-17
[40]
간행물
Cloning Adult Farm Animals: A Review of the Possibilitie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https://onlinelibrar[...]
2003
[41]
뉴스
China cloning on an 'industrial scale'
https://www.bbc.co.u[...]
BBC News Science and Environment
2014-01-14
[42]
간행물
Inside the cloning factory that creates 500 new animals a day
https://www.newscien[...]
2016-02-08
[43]
간행물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failures, successes and the challenges ahead
https://ijdb.ehu.eus[...]
2019-04-16
[44]
간행물
The many problems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in reproductive cloning of mammals
http://dx.doi.org/10[...]
2022-09
[45]
간행물
Strategi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2022-02-10
[46]
웹사이트
Fusion Biopolitics
http://www.thenation[...]
2002-02-18
[47]
뉴스
Some for Abortion Rights Lean Right in Cloning Fight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2002-01-24
[48]
웹사이트
Open Letter to US Senate on Human Cloning
http://geneticsandso[...]
2002-03-19
[49]
웹사이트
Open Letter to US Senators on Human Cloning and Eugenic Engineering
http://genetics-and-[...]
2002-03-19
[50]
뉴스
Cloning opponents fear loopholes in new UK law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1-11-23
[51]
웹사이트
Chapter 5: Legal and Policy Considerations. Cloning Human Beings
http://www.georgetow[...]
Report and Recommendations of the National Bioethics Advisory Commission
1997-06
[52]
간행물
Embryo Stem Cell Research: Ten Years of Controversy
[53]
간행물
What justifies the United States ban on federal funding for nonreproductive cloning?
[54]
뉴스
General Assembly Adopts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Human Cloning By Vote of 84-34-37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05-08-03
[55]
문서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Dignity of the Human Being with regard to the Application of Biology and Medicine: Convention on Human Rights and Biomedicine
http://conventions.c[...]
Council of Europe
1997-04-04
[56]
간행물
Human embryos derived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using an alternative enucleation approach
[57]
간행물
The developmental capacity of nuclei taken from intestinal epithelium cells of feeding tadpoles
[58]
간행물
Viable offspring derived from fetal and adult mammalian cells
[59]
간행물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in Oregon: Expanding the pluripotent space and informing research ethics
[60]
간행물
Ethical issues in stem cell research
[61]
간행물
Human embryonic stem cells: origi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62]
간행물
Cloning debate: Stem-cell researchers must stay engaged
[63]
간행물
Can mammalian cloning combined with embryonic stem cell technologies be used to treat human diseases?
http://genomebiology[...]
2002-07
[64]
간행물
Human Embryonic Stem Cells Derived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http://www.cell.com/[...]
2016-04-21
[65]
뉴스
Cloning race is on again
http://www.usatoday.[...]
USA Today
2006-01-17
[66]
뉴스
Dolly scientists' human clone bid
http://news.bbc.co.u[...]
BBC News
2004-09-28
[67]
간행물
The First Cloning Superpower
http://www.wired.com[...]
Wired
2003-01
[68]
간행물
Patient-specific embryonic stem cells derived from human SCNT blastocysts
2005-06
[69]
간행물
Editorial retraction
2006-01
[70]
웹사이트
Hwangs clone was really a part 2
http://blogs.nature.[...]
[71]
웨이백
The Scientist 19 June 2007
http://www.the-scien[...]
The Scientist
2008-08-29
[72]
웨이백
Human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Using Adult Cells
http://www.cell.com/[...]
2018-11-09
[73]
뉴스
Cloning advance using stem cells from human adult reopens ethical questions
http://www.washingto[...]
Washington Post
2014-04-18
[74]
저널
Human oocytes reprogram adult somatic nuclei of a type 1 diabetic to diploid pluripotent stem cells
[75]
저널
Breakthrough of the year: Reprogramming Cells
http://www.sciencema[...]
2008-12
[76]
저널
Epigenetic memory i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77]
저널
Sheep cloned by nuclear transfer from a cultured cell line
1996-03
[78]
저널
Human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and cloning
[79]
저널
Research on animal cloning technologies and their implications in medical ethics: an update
[80]
저널
Human cloning: can it be made safe?
2003-11
[81]
저널
Cloning of an endangered species (Bos gaurus) using interspecies nuclear transfer
http://media.longnow[...]
2013-12-10
[82]
저널
Transgenic Chicken, Mice, Cattle, and Pig Embryos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into Pig Oocytes
http://online.lieber[...]
[83]
저널
Enucleated Ovine Oocyte Supports Human Somatic Cells Reprogramming Back to the Embryonic Stage
2012-04
[84]
뉴스
China cloning on an 'industrial scale'
http://www.bbc.co.uk[...]
BBC News Science and Environment
2014-01-14
[85]
뉴스
Inside the cloning factory that creates 500 new animals a day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16-02-08
[86]
웨이백
Fusion Biopolitics
http://www.thenation[...]
The Nation
2009-06-16
[87]
뉴스
Some for Abortion Rights Lean Right in Cloning Fight
http://query.nytimes[...]
New York Times
2002-01-24
[88]
웨이백
Open Letter to US Senate on Human Cloning
http://geneticsandso[...]
2010-11-22
[89]
웨이백
Open Letter to US Senators on Human Cloning and Eugenic Engineering
http://genetics-and-[...]
2006-09-30
[90]
웨이백
Cloning opponents fear loopholes in new UK law
http://www.newscient[...]
New Scientist
2008-04-21
[91]
웨이백
Chapter 5: Legal and Policy Considerations. Cloning Human Beings
http://www.georgetow[...]
Report and Recommendations of the National Bioethics Advisory Commission
2007-07-06
[92]
저널
Embryo Stem Cell Research: Ten Years of Controversy
[93]
저널
What justifies the United States ban on federal funding for nonreproductive cloning?
[94]
간행물
General Assembly Adopts United Nations Declaration on Human Cloning By Vote of 84-34-37
http://www.un.org/Ne[...]
United Nations
2005-08-03
[95]
간행물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Dignity of the Human Being with regard to the Application of Biology and Medicine: Convention on Human Rights and Biomedicine
http://conventions.c[...]
Council of Europe
1997-04-04
[96]
뉴스
스탠퍼드大 줄기세포 생산계획 파문
연합뉴스
2002-12-12
[97]
뉴스
美의학협회, 인간배아 줄기세포 연구 지지
연합뉴스
2003-06-18
[98]
뉴스
성인 체세포 이용한 줄기세포주 세계 최초로 만들어져
노컷뉴스
2014-04-18
[99]
뉴스
美연구진, 환자 맞춤형 배아줄기세포 복제 성공
조선일보
2014-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