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분자화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분자 화학은 분자 간의 비공유 결합 상호 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분자 집합체를 연구하는 화학 분야이다. 1873년 반 데르 발스에 의해 분자간 힘의 존재가 처음으로 제기되었고, 1937년 수소 결합된 아세트산 이량체를 설명하기 위해 '초분자'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1960년대 찰스 J. 페더슨의 크라운 에테르 합성을 통해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며, 도널드 J. 크램, 장-마리 렌, 찰스 J. 페더슨은 초분자 화학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198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주요 개념으로는 분자 자기 조립, 분자 인식, 템플릿 지향 합성,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 등이 있으며, 재료 과학, 촉매, 의약, 데이터 저장 및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분자화학 - 이온 결합
이온 결합은 금속 양이온과 비금속 음이온 간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형성되며, 산화 환원 반응을 통해 생성되어 결정 격자 구조를 가지며, 전기 음성도 차이가 클수록 이온성이 강해진다. - 초분자화학 - 수소 결합
수소 결합은 전기음성도가 큰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와 다른 원자 사이의 인력으로, 분자 간 또는 분자 내에서 형성되는 화학 결합이며, 물의 특이한 성질, DNA 구조, 단백질 접힘 등 다양한 현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화학 - 합금
합금은 금속을 포함한 두 가지 이상의 원소 혼합물로, 비율과 종류를 조절하여 순수 금속과 다른 특성을 나타내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는 물질이다. - 화학 - 솔베이 회의
솔베이 회의는 에른스트 솔베이가 설립한 국제 학술 회의로, 저명한 과학자들이 모여 물리학과 화학 분야의 최첨단 과학적 문제를 논의하며 양자역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서구 과학자 중심 구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학제 간 연구 확대 및 참가자 다양성 확보를 통한 발전이 기대된다.
초분자화학 | |
---|---|
개요 | |
![]() | |
분야 | 화학, 나노기술 |
하위 분야 | 분자 자기 조립, 분자 인식, 호스트-게스트 화학 |
상세 정보 | |
정의 | 공유 결합 없이 분자 간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복합체 연구 |
상호작용 | 수소 결합, 금속 배위, 소수성 효과, 반 데르 발스 힘, π-π 상호작용, 정전기적 효과 |
관련 개념 | 자기 조립, 분자 인식, 호스트-게스트 화학, 분자 기계 |
응용 분야 | 재료 과학, 생물학, 의학, 기술 |
주요 연구 | 분자 캡슐 분자 철도 분자 스위치 분자 센서 분자 와이어 |
관련 인물 | 장마리 렌 도널드 J. 크람 찰스 J. 페더슨 제프리 스토다트 경 벤 페링하 프레이저 스토다트 리차드 크리스토퍼슨 조너선 스테드 제리 앳우드 |
역사 | |
기원 | 1960년대 찰스 J. 페더슨의 크라운 에테르 발견에서 시작 |
발전 | 장마리 렌, 도널드 J. 크람에 의해 확장, 분자 인식, 자기 조립 개념 도입 |
노벨상 | 1987년 찰스 J. 페더슨, 도널드 J. 크람, 장마리 렌 공동 수상 |
상호 작용 유형 | |
주요 상호작용 | 수소 결합 이온 결합 반 데르 발스 힘 (런던 분산력 포함) π-π 상호작용 소수성 효과 할로젠 결합 배위 결합 |
기타 상호작용 | 용매 효과 입체 효과 체인 엔태그먼트 |
응용 | |
재료 과학 | 자기 치유 재료 초분자 중합체 나노튜브 분자 전자공학 |
생물학 및 의학 | 약물 전달 시스템 유전자 치료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조절 효소 모방 |
기술 | 센서 스위치 메모리 장치 촉매 |
추가 정보 | |
관련 학술지 | Journal of Supramolecular Chemistry Supramolecular Chemistry |
2. 역사
분자간 힘의 존재는 1873년 요하네스 디데릭 반 데르 발스(Johannes Diderik van der Waals)가 처음으로 가정하였다. 헤르만 에밀 피셔(Hermann Emil Fischer)는 1894년에[14] 효소-기질 상호 작용이 분자 인식과 호스트-게스트 화학의 기본 원리인 "자물쇠와 열쇠" 형태를 취한다고 제안하여 초분자 화학의 철학적 뿌리를 발전시켰다. 1920년 웬델 미첼 라티머(Wendell Mitchell Latimer)와 로데부시(Rodebush)는 수소 결합을 설명했다.
1937년 칼 로타르 볼프(Karl Lothar Wolf) 등은 수소 결합된 아세트산 이량체를 설명하기 위해 '''초분자'''라는 용어를 도입했다.[18][19] 1967년 찰스 J. 페더슨(Charles J. Pedersen)은 특정 금속 이온을 킬레이트화할 수 있는 고리 모양 구조인 크라운 에테르를 발견했다. 1969년 장-마리 렌(Jean-Marie Lehn)은 크립탄드를 발견했고, 이후 도널드 J. 크램(Donald J. Cram)은 크라운 에테르에 많은 변형을 합성했다.
도널드 J. 크램, 장-마리 렌, 찰스 J. 페더슨은 이 분야의 연구를 인정받아 198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21]
2. 1. 초창기 연구
1873년 요하네스 디데릭 반 데르 발스는 분자간 힘의 존재를 처음으로 가정하였다. 1894년 헤르만 에밀 피셔는 효소-기질 상호작용이 분자 인식과 호스트-게스트 화학의 기본 원리인 "자물쇠와 열쇠" 형태를 취한다고 제안하여 초분자 화학의 철학적 뿌리를 발전시켰다.[14] 1920년 웬델 미첼 라티머와 Rodebush는 수소 결합을 설명했다.2. 2. 초분자 화학의 발전
분자간 힘의 존재는 1873년 요하네스 디데릭 반 데르 발스가 처음으로 가정하였다. 1894년, 헤르만 에밀 피셔는 효소-기질 상호 작용이 분자 인식과 호스트-게스트 화학의 기본 원리인 "자물쇠와 열쇠" 형태를 취한다고 제안했다.[14] 20세기 초, 1920년에 웬델 미첼 라티머와 로데부시(Rodebush)가 수소 결합을 설명하면서 비공유 결합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1937년 칼 로타르 볼프 등은 수소 결합된 아세트산 이량체를 설명하기 위해 '''초분자'''라는 용어를 도입했다.[18][19] 1960년대 찰스 J. 페더슨은 크라운 에테르를 합성하여 초분자 화학의 획기적인 발전을 이끌었다. 이후 도널드 J. 크램, 장-마리 렌, 프리츠 푀글레 등은 다양한 3차원 수용체를 개발했다.
1980년대에는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와 같은 개념을 통해 이 분야의 연구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1987년 도널드 J. 크램, 장-마리 렌, 찰스 J. 페더슨은 초분자 화학 분야, 특히 호스트 분자가 특정 게스트를 인식하고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선택적 "호스트-게스트" 복합체의 개발에 대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21]
2. 3. 분자 기계의 등장
1960년대 찰스 J. 페더슨(Charles J. Pedersen)이 크라운 에테르를 합성하면서 초분자화학 개념이 합성 시스템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이후 도널드 J. 크램(Donald J. Cram), 장-마리 렌(Jean-Marie Lehn), 프리츠 푀글레(Fritz Vögtle) 등의 연구자들이 다양한 3차원 수용체를 연구하였고, 1980년대에는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와 같은 개념이 등장하면서 초분자 화학 연구가 더욱 활발해졌다.[21]도널드 J. 크램, 장-마리 렌, 찰스 J. 페더슨은 선택적 "호스트-게스트" 복합체 개발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8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21] 2016년에는 벤 페링가(Bernard L. Feringa), 프레이저 스토다트(Fraser Stoddart), 장-피에르 소바주(Jean-Pierre Sauvage)가 분자 기계의 설계 및 합성에 대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17]
3. 주요 개념
초분자 화학의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 분자 자기 조립: 외부 지시 없이 분자들이 비공유결합 상호 작용을 통해 스스로 조립되어 초분자 조립체를 형성하는 현상이다. 미셀, 세포막, 소포, 액정 등의 구조를 만들 수 있으며, 결정 공학에 중요하다.[22]
- 분자 인식: 특정 분자(게스트)가 상보적인 분자(호스트)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호스트-게스트 복합체를 형성하는 현상이다. 분자 센서 및 촉매 구축에 응용된다.
- 템플릿 지향 합성: 분자 인식과 자기 조립을 이용하여 화학 반응을 위한 시스템을 미리 구성하는 방법이다. 반응물과 템플릿 사이의 비공유 결합을 통해 반응을 촉진하며, 큰 매크로사이클 제조 등에 유용하다.
-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 공유 결합 없이 토폴로지(topology)에 의해서만 연결된 분자 구조이다. 카테난, 로탁산, 분자 매듭, 분자 Borromean 링 등이 이에 해당한다.[27][28]
- 생체 모방: 생물학적 시스템의 기능을 모방하는 인공 초분자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다. 광전기화학 시스템, 촉매 시스템, 단백질 설계, 자기 복제 등이 있다.[30]
- 분자 각인: 분자 종을 템플릿으로 사용하여 호스트를 구성하고, 템플릿을 제거하여 특정 분자에 결합하는 호스트를 만드는 과정이다.[31]
- 분자 기계: 선형 또는 회전 운동, 스위칭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분자 또는 분자 집합체이다. 초분자 화학과 나노기술의 경계에 있으며, 장피에르 소바주, J. 프레이저 스토다트 경, 베르나르트 페린하가 2016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33]
3. 1. 분자 자기 조립
분자 자기 조립은 외부의 지시나 관리 없이 (적절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제외하고)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분자는 비공유결합 상호 작용을 통해 조립되도록 유도된다. 자기 조립은 분자간 자기 조립 (초분자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과 분자 내 자기 조립 (또는 접힘, 폴더머 및 폴리펩타이드에서 입증된 바와 같음)으로 세분될 수 있다. 분자 자기 조립은 또한 미셀, 세포막, 소포, 액정과 같은 더 큰 구조의 구축을 가능하게 하며, 결정 공학에 중요하다.[22]3. 2. 분자 인식 및 복합체 형성
분자 인식은 특정 분자(게스트)가 상보적인 분자(호스트)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호스트-게스트 복합체를 형성하는 현상이다. 어떤 분자가 "호스트"이고 어떤 분자가 "게스트"인지에 대한 정의는 종종 임의적이다. 분자들은 비공유결합을 사용하여 서로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분야의 주요 응용 분야는 분자 센서 및 촉매의 구축이다.3. 3. 템플릿 지향 합성
분자 인식과 자기 조립은 화학 반응(하나 이상의 공유 결합 형성)을 위해 시스템을 미리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반응성 종과 함께 사용된다. 이는 초분자 촉매의 특별한 경우로 간주될 수 있다. 반응물과 "템플릿" 사이의 비공유 결합은 반응물의 반응 부위를 가깝게 유지하여 원하는 화학 반응을 촉진한다. 이 기술은 원하는 반응 배치가 열역학적으로 또는 운동학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이 없는 상황, 예를 들어 큰 매크로사이클의 제조에 특히 유용하다. 이러한 사전 구성은 부반응을 최소화하고,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며, 원하는 입체화학을 생성하는 등의 목적을 수행한다. 반응이 일어난 후 템플릿은 제자리에 유지되거나, 강제로 제거되거나, 반응 생성물의 다른 인식 특성으로 인해 "자동으로" 분해될 수 있다. 템플릿은 단일 금속 이온만큼 간단하거나 매우 복잡할 수 있다.3. 4.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는 공유 결합 없이 토폴로지(topology)에 의해서만 연결된 분자 구조이다. 비공유 결합 상호 작용이 서로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존재할 수 있지만, 공유 결합은 존재하지 않는다. 초분자 화학, 특히 템플릿 지향 합성은 이러한 화합물의 효율적인 합성에 핵심적이다. 기계적으로 맞물린 분자 구조의 예로는 카테난, 로탁산, 분자 매듭, 분자 Borromean 링 등이 있다.[27][28]3. 5. 생체 모방
많은 인공 초분자 시스템은 생물학적 시스템의 기능을 모방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생체 모방 구조는 생물학적 모델과 인공 구현 모두에 대해 배우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로는 광전기화학 시스템, 촉매 시스템, 단백질 설계 및 자기 복제 등이 있다.[30]3. 6. 분자 각인
분자 각인은 적절한 분자 종을 템플릿으로 사용하여 작은 분자로부터 호스트를 구성하는 과정이다. 구성 후 템플릿을 제거하여 호스트만 남긴다. 호스트 구성을 위한 템플릿은 완성된 호스트가 결합하는 게스트와 미묘하게 다를 수 있다. 가장 간단한 형태의 각인은 입체적 상호작용만 사용하지만, 더 복잡한 시스템은 결합 강도와 특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소 결합 및 기타 상호 작용도 통합한다.[31]3. 7. 분자 기계
분자 기계는 선형 또는 회전 운동, 스위칭, 포획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분자 또는 분자 집합체이다. 이러한 장치는 초분자 화학과 나노기술의 경계에 존재하며, 초분자 개념을 사용하여 프로토타입이 시연되었다.[32] 장피에르 소바주, J. 프레이저 스토다트 경, 베르나르트 페린하는 '분자 기계의 설계 및 합성'으로 2016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33]4. 구성 요소
초분자 시스템은 화학자들이 잘 연구된 구조적, 기능적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더 큰 기능적 구조를 만들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필요한 특성에 맞게 선택할 수 있다.
종류 | 설명 | 예시 |
---|---|---|
합성 인식 모티프 | 분자 간 상호작용을 통해 특정 분자를 인식하고 결합한다. | 파이-파이 전하 이동 상호작용, 크라운 에테르와 금속/암모늄 양이온 결합, 카르복실산 이합체, 바이피리딘/터피리딘과 루테늄/은/금속 이온의 착물화, 포르피린/프탈로시아닌 금속 이온 착물 |
매크로사이클 | 분자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는 큰 고리 형태 분자이다. | 사이클로덱스트린, 칼릭스아렌, 쿠커비투릴, 크라운 에테르, 사이클로판, 크립탄드, 초분자 금속고리, 금속크라운 |
구조 단위 | 구성 요소들을 적절한 간격과 구조로 연결한다. | 폴리에테르 사슬, 바이페닐, 트리페닐, 알킬 사슬, 나노입자, 나노로드, 풀러렌, 덴드리머, 표면, 자가 조립 단분자막, 다층막 |
광화학 및 전기화학 활성 단위 | 빛이나 전기에 반응하여 화학적 성질, 구조가 변한다. | 포르피린, 프탈로시아닌, 광변색/광이성질화 그룹, 테트라티아풀발렌(TTF), 퀴논, 벤지딘 유도체, 바이올로겐, 풀러렌 |
생물학 유래 단위 | 생체 분자 또는 생체 반응을 모방하여 만든다. | 아비딘-비오틴 복합체, 효소-보조 인자 결합, DNA |
4. 1. 합성 인식 모티프
- 파이-파이 전하 이동 상호작용은 다이옥시아렌 또는 디아미노아렌과 바이피리디늄의 기계적으로 맞물린 시스템 구축과 결정 공학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 크라운 에테르와 금속 또는 암모늄 양이온의 결합은 초분자 화학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된다.
- 카르복실산 이합체 및 기타 간단한 수소 결합 상호 작용의 형성.
- 착물화는 바이피리딘 또는 터피리딘과 루테늄, 은 또는 기타 금속 이온의 배위로, 많은 개별 분자의 복잡한 구조를 구축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 포르피린 또는 프탈로시아닌이 금속 이온 주위에 착물을 형성하면 착물화 자체 외에도 촉매, 광화학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단위체는 자연에서 매우 많이 사용된다.
4. 2. 매크로사이클
매크로사이클은 초분자 화학에서 매우 유용하며, 게스트 분자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는 전체 공동을 제공하고 특성을 미세 조정하기 위해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사이클로덱스트린, 칼릭스아렌, 쿠커비투릴 및 크라운 에테르는 대량으로 쉽게 합성되므로 초분자 시스템에 사용하기 편리하다.
- 더 복잡한 사이클로판 및 크립탄드는 맞춤형 인식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합성할 수 있다.
- 초분자 금속고리는 고리 내에 금속 이온이 있는 매크로사이클 집합체로, 종종 각진 모듈과 선형 모듈로 형성된다.[34] 이러한 유형의 응용 분야에서 흔히 사용되는 금속고리 형태에는 삼각형, 사각형 및 오각형이 있으며, 각 도형은 "자가 조립"을 통해 조각을 연결하는 작용기를 가지고 있다.[35]
- 금속크라운은 융합된 킬레이트 고리에서 유사한 자가 조립 방식을 통해 생성된 금속매크로사이클이다.
4. 3. 구조 단위
초분자 시스템은 구성 요소가 서로 적절한 간격과 구조를 가져야 하므로 쉽게 사용 가능한 구조 단위가 필요하다.[36]-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페이서 및 연결 그룹에는 폴리에테르 사슬, 바이페닐 및 트리페닐, 그리고 단순한 알킬 사슬이 있다.
- 나노입자, 나노로드, 풀러렌 및 덴드리머는 나노미터 크기의 구조와 캡슐화 단위를 제공한다.
- 표면은 복잡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틀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전극과 전기화학 시스템을 연결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규칙적인 표면은 자가 조립 단분자막 및 다층막을 구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고체 내 분자간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는 지난 10년 동안 다양한 실험 및 계산 방법의 투입을 통해 주요한 발전을 이루었다. 여기에는 고체에서의 고압 연구와 실온에서 액체인 화합물의 "in situ" 결정화, 전자 밀도 분석, 결정 구조 예측 및 고체 상태에서의 DFT 계산을 사용하여 결정 내 이러한 상호 작용과 관련된 특성, 에너지학 및 위상학적 특성에 대한 정량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포함된다.[37]
4. 4. 광화학 및 전기화학 활성 단위
- 포르피린과 프탈로시아닌은 광화학 및 전기화학적 활성을 조절할 수 있으며, 복합체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다.[1]
- 광변색 및 광이성질화 그룹은 빛에 노출되면 결합 특성을 포함하여 모양과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1]
- 테트라티아풀발렌(TTF)과 퀴논은 여러 개의 안정적인 산화 상태를 가지므로 산화 환원 반응 및 전기화학에 사용할 수 있다.[1]
- 벤지딘 유도체, 바이올로겐 및 풀러렌과 같은 다른 단위체는 초분자 전기화학 장치에 유용하다.[1]
4. 5. 생물학 유래 단위
5. 응용 분야
초분자 화학은 재료 과학, 촉매, 의약, 데이터 저장 및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재료 과학: 분자 자기 조립을 통해 새로운 재료를 개발한다. 상향식 합성을 이용하여 큰 구조를 쉽게 만들 수 있어 나노 기술에 많이 활용된다. 많은 스마트 재료가 분자 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 촉매: 촉매와 촉매 작용의 설계 및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비공유 결합은 반응물의 결합에 영향을 준다.
- 의약: 기능성 생체 재료 및 치료제 개발에 응용된다. 펩타이드의 초분자 조립, 호스트-게스트 매크로사이클 등을 통해 기계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인공 이온 채널을 만들어 세포 안팎으로 나트륨 및 칼륨 이온을 수송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약물 결합 부위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여 새로운 약학 치료법을 개발하고, 약물 전달 분야에서 캡슐화 및 표적 방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세포 기능에 중요한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을 방해하는 시스템도 설계한다.
- 데이터 저장 및 처리: 분자 수준에서 계산 기능을 시연하는 데 사용된다. 분자 스위치를 광변색 및 광이성질화 단위, 전기변색 및 산화 환원 스위치 가능 단위 등에 사용하여 데이터 저장을 한다. 합성 분자 논리 게이트가 개념적 수준에서 시연되었고, 반합성 DNA 컴퓨터로 완전한 규모의 계산을 하기도 하였다.
5. 1. 재료 과학
분자 자기 조립 공정은 새로운 재료 개발에 적용되었다.[38] 작은 분자로 구성되어 합성 단계가 적기 때문에 상향식 합성을 사용하여 큰 구조를 쉽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나노 기술에 대한 대부분의 상향식 접근 방식은 초분자 화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39] 많은 스마트 재료[40]는 분자 인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41]5. 2. 촉매
초분자 화학의 주요 응용 분야는 촉매와 촉매 작용의 설계 및 이해이다. 비공유 결합은 반응물의 결합에 영향을 미친다.[42]5. 3. 의약
초분자 화학에 기반한 설계는 기능성 생체 재료 및 치료제 개발에 수많은 응용 분야를 이끌었다.[43] 초분자 생체 재료는 기계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모듈형 및 일반화 가능한 플랫폼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펩타이드의 초분자 조립, 호스트-게스트 매크로사이클, 고친화성 수소 결합 및 금속-리간드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이 포함된다.초분자 접근 방식은 세포 안팎으로 나트륨 및 칼륨 이온을 수송하기 위한 인공 이온 채널을 만드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44]
초분자 화학은 또한 약물 결합 부위에서의 상호 작용을 이해함으로써 새로운 약학 치료법 개발에도 중요하다. 약물 전달 분야는 초분자 화학이 캡슐화 및 표적 방출 메커니즘을 제공한 결과로 중요한 발전을 이루었다.[45] 또한 초분자 시스템은 세포 기능에 중요한 단백질-단백질 상호 작용을 방해하도록 설계되었다.[46]
5. 4. 데이터 저장 및 처리
초분자 화학은 분자 수준에서 계산 기능을 시연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광자 또는 화학 신호가 이러한 구성 요소에 많이 사용되었지만, 초분자 신호 전달 장치에 의해 이러한 단위의 전기적 인터페이스도 제시되었다. 데이터 저장은 분자 스위치를 광변색 및 광이성질화 단위, 전기변색 및 산화 환원 스위치 가능 단위, 심지어 분자 운동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합성 분자 논리 게이트는 개념적 수준에서 시연되었다. 반합성 DNA 컴퓨터에 의해 완전한 규모의 계산이 달성되기도 하였다.참조
[1]
논문
Supramolecular Chemistry
1993
[2]
서적
Supramolecular Chemistry
Wiley-VCH
1995
[3]
논문
Binding Mechanisms in Supramolecular Complexes
2009
[4]
논문
Experimental Binding Energies in Supramolecular Complexes
[5]
서적
Supramolecular Chemistry
Wiley
2009
[6]
논문
Supramolecular Chemistry in Water
https://ris.utwente.[...]
[7]
논문
Self-Assembly of a Circular Double Helicate
[8]
논문
A Cucurbituril-Based Gyroscane: A New Supramolecular Form
[9]
논문
High Yielding Template-Directed Syntheses of [2]Rotaxanes
[10]
논문
Assembly and Crystal Structure of a Photoactive Array of Five Porphyrins
[11]
논문
Structures of the ''p''-xylylenediammonium chloride and calcium hydrogensulfate adducts of the cavitand 'cucurbituril', C36H36N24O12
[12]
논문
Helicity-Encoded Molecular Strands: Efficient Access by the Hydrazone Route and Structural Features
[13]
논문
Fluorescent Guest Molecules Report Ordered Inner Phase of Host Capsules in Solution
[14]
논문
Einfluss der Configuration auf die Wirkung der Enzyme
https://zenodo.org/r[...]
[15]
간행물
Supramolecular chemistry
https://en.wikipedia[...]
2023-01-25
[16]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1987
https://www.nobelpri[...]
2023-02-15
[1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16
https://www.nobelpri[...]
2023-02-15
[18]
논문
Über den Ordnungszustand der Moleküle in Flüssigkeiten
Walter de Gruyter GmbH
1937-01-01
[19]
PDF
Historical Remarks on Supramolecular Chemistry
https://media.wiley.[...]
[20]
논문
Supramolecular organization of enzyme and membrane systems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1]
뉴스
Chemistry and Physics Nobels Hail Discoveries on Life and Superconductors; Three Share Prize for Synthesis of Vital Enzymes
https://query.nytime[...]
New York Times
1987-10-15
[22]
논문
Challenges and breakthroughs in recent research on self-assembly
[23]
논문
Metallo-supramolecular modules as a paradigm for materials science
[24]
논문
Supramolecular hosts that recognize methyllysines and disrupt the interaction between a modified histone tail and its epigenetic reader protein
[25]
논문
Chemistry and application of flexible porous coordination polymers
[26]
논문
Perspectives in Supramolecular Chemistry—From Molecular Recognition towards Molecular Information Processing and Self-Organization
[27]
논문
Electrochromic materials using mechanically interlocked molecules
[28]
논문
Metallosupramolecular self-assembly of a universal 3-ravel
[29]
논문
Dynamic Covalent Chemistry
[30]
논문
Fabrication of novel biomaterials through molecular self-assembly
[31]
논문
Molecular imprinting in chemical sensing
[32]
논문
Molecular Machines
[33]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2016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AB 2014
2017-01-14
[34]
서적
Functional Metallosupramolecular Materials
https://pubs.rsc.org[...]
Royal Society of Chemistry, Cambridge
2015
[35]
논문
Chiral Metallocycles: Rational Synthesis and Novel Applications
[36]
서적
Comprehensive Supramolecular Chemistry II
2017-06-22
[37]
서적
Understanding intermolecular interactions in the solid state: approaches and techniques
https://www.worldcat[...]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9
[38]
서적
Applications of Supramolecular Chemistry
https://www.crcpress[...]
CRC Press Taylor & Francis Boca Raton etc
2012
[39]
서적
Supramolecular Chemistry: From Molecules to Nanomaterials
Wiley
2012
[40]
간행물
Smart Materials Book Series
http://pubs.rsc.org/[...]
Royal Soc. Chem. Cambridge UK
[41]
간행물
Chemoresponsive Materials /Stimulation by Chemical and Biological Signals
https://dx.doi.org/1[...]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5
[42]
논문
Supramolecular catalysis beyond enzyme mimics
[43]
논문
Supramolecular biomaterials
2015-12-18
[44]
서적
The Alkali Metal Ions: Their Role in Life
Springer
2016
[45]
간행물
Smart Materials for Drug Delivery
http://pubs.rsc.org/[...]
Royal Soc. Chem. Cambridge UK
2013
[46]
논문
New pharmaceutical applications for macromolecular binders
https://hal.archiv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